KR101467394B1 -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394B1
KR101467394B1 KR1020130082016A KR20130082016A KR101467394B1 KR 101467394 B1 KR101467394 B1 KR 101467394B1 KR 1020130082016 A KR1020130082016 A KR 1020130082016A KR 20130082016 A KR20130082016 A KR 20130082016A KR 101467394 B1 KR101467394 B1 KR 10146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
resin composition
acrylat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주평
장인수
우주한
신찬호
김길란
하성민
남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to KR102013008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3Chemically modified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1 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 얻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B) 광중합성 단량체; (C) 광중합 개시제; 및 (D)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이루어진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화합물의 우레탄 성분의 비율, 광반응성 관능기 수 등을 조절하여 물성 조절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물리적 특성 조절이 용이하고 광특성이 우수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다이오드 등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하는 광학용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Photocurable and optical resin compositions with various properties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compositions}
본 발명은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레탄 성분 비율을 줄이고 1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도록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을 제조함으로써 물리적 특성 조절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고, 제조한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에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기능성 첨가제를 전체 조성물 대비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물성 조절이 하여 광학용 접착제로 사용하기 적합한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디스플레이는 매년 고화질화 되어가고 있고 대형화됨에 따라 부피와 두께를 줄이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평판디스플레이의 패널 및 광학적 소재의 광특성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고, 두께 또한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광학 소재들은 더욱 광특성이 우수해지고 있으며, 여러 기능을 소화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광학 소재가 적용되어 부피와 두께가 더욱 최소화되어 가고 있으며, 더불어 각종 광학 소재들을 접합시키기 위한 점착시트와 접착제 을 이용함으로써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를 줄여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263502호는 표시 패널과 보호판의 계면에 기포나 박리를 일으키지 않고 표시 패널과 보호판을 접합시킬 수 있는 점착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점착시트를 사용하여 접합함으로써 두께를 줄이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광학용 테이프의 제조 공정을 통해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대형화에 한계가 있으며, 접합 공정에서 유입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탈포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점착 시트를 대신하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되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186963호에서 제시된 수지 조성물은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부타디엔계 중합체 등의 고무계 폴리머가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점탄성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광특성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평판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 시에 물리적 특성과 광특성, 더불어 광특성의 장기간 신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1: 일본 공개특허 제2009-263502호 2: 일본 공개특허 제2009-186963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로 사용 가능한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합성하고, 합성된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와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및 기능성 첨가제 등을 전체 조성물 대비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평판디스플레이의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 시에 물리적 특성과 광특성, 더불어 광특성의 장기간 신뢰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성 조절이 용이하고 광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터치 패널 등의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착하기 적합한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1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 얻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B) 광중합성 단량체; (C) 광중합 개시제; 및 (D)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리적 특성 조절이 용이하고 광특성이 우수한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화합물의 우레탄 성분의 비율, 광반응성 관능기 수 등을 조절하여 물성 조절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물리적 특성 조절이 용이하고 광특성이 우수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다이오드 등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하는 광학용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합한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 및 수지 조성물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a3) 1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 얻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B) 광중합성 단량체; (C) 광중합 개시제; 및 (D)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는 (a4) 광중합 가능한 단관능 희석제를 용매로 하여 (a1) 수평균 분자량 3,000 ~ 20,000의 글리콜계 디올 화합물, (a2) 수평균 분자량 1,000 ~ 4,000의 글리콜계 외 디올 화합물 및 (a3) 1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기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공중합시켜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B) 광중합성 단량체 성분으로, (b1) 극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b2) 극성 작용기를 가지지 않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b3)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과 환상 지방족기를 가지는 광중합 단량체; 및 (b4) 아크릴 관능기를 2개 이상을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가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C) 광중합 개시제와 (D) 기능성 첨가제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와 (B) 광중합성 단량체의 총합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10 ~ 90 중량부; (B) 광중합성 단량체 10 ~ 90 중량부; (C) 광중합 개시제 0.3 ~ 10 중량부; 및 (D) 기능성 첨가제 0 ~ 7 중량부를 함유하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성분] :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 a1 ) 성분 : 수평균 분자량 3,000 ~ 20,000의 글리콜계 디올 화합물
(a1) 수평균 분자량 3,000 ~ 20,000의 디올 화합물은[이하, '(a1) 성분'이라 한다] 글리콜계 디올 화합물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 a2 ) 성분 : 수평균 분자량 1,000 ~ 4,000의 글리콜계 외 디올 화합물
(a2) 수평균 분자량 1,000 ~ 4,000의 글리콜계 외 디올 화합물은[이하, '(a2)성분'이라 한다] 시판되는 폴리올레핀 디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디올 화합물은 폴리에틸렌디올, 폴리프로필렌디올, 폴리이소프렌디올, 수첨 폴리부타디엔디올, 폴리(에틸렌- co-부틸렌) 디올 및 폴리부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1) 성분 또는 (a2) 성분의 사용량은,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를 1 당량으로 할 때, (a1) 성분 또는 (a2) 성분의 히드록시기를 2 당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a1) 성분 또는 (a2) 성분의 히드록시기가 2 당량을 초과할 경우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되지 않은 히드록시기가 과량으로 존재하여 평판디스플레이에 광학용 접착제로서 적용하였을 때 신뢰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a3 ) 성분 : 1분자 내 1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1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a3) 1분자 내 1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1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이하, '(a3)성분'이라 한다],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이소시아네이토 메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3) 성분의 사용량은 (a1)과 (a2)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총 히드록시기를 1 당량으로 할 때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0.1 ~ 1.0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1 당량을 초과하여 과량으로 존재할 경우 (a1)과 (a2) 성분의 히드록시기가 모두 반응함으로써 2관능의 (메트)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가 제조되어 물성조절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a1) 또는 (a2) 성분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존재하여 제조된 (메트)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의 저장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한 (a3) 1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여 단관능 (메트)아크릴 변성 우레탄을 이용할 경우, 이미 한쪽에는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고 있어 말단 캡핑(end capping)과정의 생략이 가능하여 단관능 (메트)아크릴 변성 우레탄 제조과정의 단순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a4 ) 성분 : 광중합 가능한 단관능 희석제
(a4) 광중합 가능한 단관능 희석제는[이하, '(a4) 성분'이라 한다] 히드록시기, 아민기, 인산기 또는 카르복실기의 극성 관능기를 가지지 않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직쇄 또는 환상 지방족 구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H2C=CHR1-COO-R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H3이며; R2는 탄소수 1 ~ 12개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직쇄 또는 환상 지방족 구조를 가지는 알킬 구조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로 이루어지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제조 시에, 상기 성분들과 하기 (a5)와 (a6)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a1), (a2) 및 (a3)를 공중합시켜 제조한 우레탄 화합물에 (a5) 1분자 내에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1개의 작용기를 가지는 수평균 분자량 300 이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a6) 1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2개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혼합하고 반응시켜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1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디올 화합물과 반응하여 모두 우레탄 반응이 이루어지기에, (a5)와 (a6) 성분을 이용한 부가 반응은 생략될 수 있다.
( a5 ) 성분 : 1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된 1개의 작용기를 가지는 수평균 분자량 300 이하의 ( 메타 )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a5) 1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에서 선택된 1개의 작용기를 가지는 수평균 분자량 300 이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는[이하, '(a5) 성분'이라 한다],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아민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메틸아미노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가 있다. 그리고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는 (메타)아크릴산, 2-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호박산,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호박산, 2-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프탈산, 2-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헥사 히드로 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헥사 히드로 프탈산 등이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민기를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미노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2-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호박산,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호박산, 2-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프탈산, 2-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헥사 히드로 프탈산 및 2-(메타)아크릴로일 옥시 에틸 헥사 히드로 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 화합물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a6 ) 성분 : 1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2개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a6) 1분자 내에 카르복실기를 2개 가지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이하, '(a6) 성분'이라 한다]에는 이타콘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A) 성분은, (a1) 성분 또는 (a2) 성분과, (a3) 성분을 2:1 당량의 비율로 반응시켜 단관능 우레탄 화합물으로 수득할 수 있으며, 우레탄 반응은 75 ~ 95℃에서 90 분 이내로 반응시켜 완성될 수 있다.
상기 (a5)와 (a6) 성분은 상기 우레탄 반응 종료 후 남아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a5)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중 1개의 작용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모노머 및 (a6)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합물로, 상기 (a5)와 (a6) 성분의 사용량은,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 1 당량에 대하여 (a5) 성분은 0.45 ~ 1.3 당량 및 (a6) 성분은 0.05 ~ 0.2 당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a5)와 (a6)의 총합이 0.5 ~ 1.5 당량이 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5)와 (a6)의 혼합 사용량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반응 종료 후 남아 있는 (a3) 성분의 미반응의 디이소시아네이트기 0.1 ~ 0.4 당량에 대해 (a5)와 (a6) 성분의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당량 합이 0.1 ~ 0.5 당량 더 많도록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관능의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제조 과정에서 (a5) 성분과 (a6) 성분을 이용한 반응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 ~ 50,000 이며, (B) 광(자외선) 경화성 단량체 화합물과의 총합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10 ~ 90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도, 인장력, 신장력 등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90 중량부 초과인 경우 경도가 상승하고 점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B) 성분] : 광중합성 단량체
(B) 광중합성 단량체는, 상기 (A) 성분과 (B) 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b1) 극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0.1 ~ 10 중량부; (b2) 극성 작용기를 가지지 않는 직쇄 구조의 단광능 아크릴레이트 9 ~ 60 중량부; (b3)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과 환상 지방족기를 가지는 광중합 단량체 0.4 ~ 10 중량부; 및 (b4) 아크릴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0.5 ~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b1 ) 성분 : 극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b1) 극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하, '(b1) 성분'이라 한다]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b2 ) 성분 : 극성기를 가지지 않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b2) 극성기를 가지지 않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하, '(b2) 성분'이라 한다)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b3 ) 성분 :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과 환상 지방족기를 가지는 광중합 단량체
(b3)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과 환상 지방족기를 가지는 광중합 단량체(이하, '(b3) 성분'이라 한다)는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노로보르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비닐노르보닐온 및 비닐노르보닐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b4 ) 성분 : 아크릴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b4) 아크릴 관능기를 2개 또는 3개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이하, '(b4) 성분'이라 한다)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디마텐올디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B) 성분은, (A) 성분과 (B) 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 90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광중합성 단량체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수지의 점도가 높아 작업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90 중량부 초과인 경우 광경화성 접착제로 적용하였을 때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C) 성분]
상기 (C) 광중합 개시제 (이하, '(C) 성분'이라 한다)는 카르보닐계 광중합개시제, 설피드계 광중합개시제, 퀴논계 광중합개시제, 아조계 광중합개시제, 과산화물계 광중합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는 이들로부터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페논, 벤질, 벤조인,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p-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페논, p,p'-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4-N,N'-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퀴논, 안트라퀴논, 디페닐디줄피드, 디벤질디설피드, 테트라에틸티우람디설피드, 테트라메틸암모니움모노설피,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프로판, 히드라진,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과산화벤조일, 디-t-부틸퍼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포리노-프로판-1-온 및 2-히드록시-1-{4-[4-(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닐)-벤질]-페닐}-2-메틸-프로판-1-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C) 성분은 (A)와 (B) 성분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했을 때, 0.3 ~ 1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사용량이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수지 조성물의 경화가 충분하지 않고, 1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경화 후 수지의 분자량이 작아져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D) 성분]
(D) 기능성 첨가제 성분[이하, '(D) 성분'이라 한다] 으로는 중합 금지제, 실란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가소제 및 충진제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트리메톡시실라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트리에톡시실라닐(메타)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1차 산화방지제로 페놀계 또는 방향족 아민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차 산화방지제로 포스파이트계 및 유황 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납계, 칼슘계, 유기장계,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아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히드록시 벤조페논, 히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과, 자유라디칼을 제거하고 정지시키는 아릴에스테르, 페놀 및 아민계 1차 산화방지제, 벤조에이트 및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프탈산 에스테르계, 트리-메리트산 에스테르계, 지방족 2염기산 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린산 에스테르계, 함염소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알루미나, 세리아 및 티타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D)성분은, (A)성분과 (B)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0 ~ 7 중량부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성분이 7 중량부 초과 시 경화속도가 느려지고 광특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에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은,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시키는 광학용 접착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필요하다면 본 발명의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에 개질제, 소포제 등을 임의로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개질제는 레벨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레벨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물, 폴리에스테르 변성 디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물, 폴리에테르 변성 디메틸 알킬 폴리실록산 공중합물 등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로는 실리콘계 오일, 불소계 오일, 폴리카르본산계 폴리머 등 공지의 소포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50 중량부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와 보호부가 접합된 평판디스플레이]
본 발명에 있어 평판디스플레이는 상기에 기술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하는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접합한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있어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부(1)와 보호부(2)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층(3)을 이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지 조성물을 디스펜싱을 이용하여 보호부 이면에 특정 패턴을 그린 후, 표시부와 수지 조성물이 맞닿을 수 있도록 위치와 간격을 조정하여 표시부와 수지 조성물의 패턴이 그려진 보호부를 합착하는데, 이 때 간격은 50 ~ 300 ㎛가 되도록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수지 조성물이 패턴에 따라 전체 면적에 고르게 도포되면 고압수은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LED 램프 등을 광원으로 하여 자외선을 조사시켜,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표시부와 보호부가 합착된 평판 디스플레이를 얻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단관능 ( 메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제조
교반기, 온도계, 냉각쟈켓이 설치된 깨끗하게 청소된 4L 유리반응기에 온도 70℃를 유지하며, 폴리(에틸렌-co-부틸렌)디올(일본조달(주)제, 상품명 : GI-2000, 분자량 약 2,500) 220 중량부를 투입하고, 2-이소시아네이토 에틸아크릴레이트 12.4 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2 중량부를 투입하고 2 시간 반응을 시켰다. 반응물을 적외선분광광도계(FT-IR)로 측정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멸된 것을 확인 후 반응을 종료시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우레탄 화합물(HS-1)을 얻었다.
제조예 2 : 단관능 ( 메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제조
교반기, 온도계, 냉각쟈켓이 설치된 깨끗하게 청소된 4L 유리반응기에 온도 80℃를 유지하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사히글라스제, 분자량 약 8,000) 704 중량부를 투입하고, 2-이소시아네이토 에틸아크릴레이트 12.4 중량부,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2 중량부를 투입하고 2 시간 반응을 시켰다. 반응물을 적외선분광광도계(FT-IR)로 측정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멸된 것을 확인 후 반응을 종료시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우레탄 화합물(HS-2)을 얻었다.
제조예 3 : 단관능 ( 메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제조
교반기, 온도계, 냉각쟈켓이 설치된 깨끗하게 청소된 4L 유리반응기에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0 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13 중량부를 투입하여 잘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 후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06 중량부를 투입하여 1 시간 30 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온도 85℃를 유지하며,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사히글라스제, 분자량 약 8,000) 704 중량부를 투입하고,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14 중량부, 이타콘산 0.06 중량부를 투입하고 추가로 1 시간 반응을 시켰다. 반응물을 적외선분광광도계(FT-IR)로 측정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멸된 것을 확인 후 반응을 종료시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우레탄 화합물(HS-3)을 얻었다.
제조예 4 : 다관능 ( 메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제조
교반기, 온도계, 냉각쟈켓이 설치된 깨끗하게 청소된 4L 유리반응기에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0 중량부, 폴리(에틸렌-co-부틸렌)디올(일본조달(주)제, 상품명 : GI-2000, 분자량 약 2,500) 65 중량부, 희석제로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5 중량부를 투입하여 잘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 후,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2 중량부를 투입하여 1 시간 30 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온도 85℃를 유지하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이타콘산 0.06 중량부를 투입하고 추가로 1 시간 반응을 시켰다.반응물을 적외선분광분석법(IR)로 측정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멸된 것을 확인 후 반응을 종료시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우레탄 화합물(H-4)을 얻었다.
제조예 5 : 다관능 ( 메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제조
교반기, 온도계, 냉각쟈켓이 설치된 깨끗하게 청소된 4L 유리반응기에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0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사히글라스제, 분자량 약 8,000) 208 중량부, 희석제로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45 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5 중량부를 투입하여 잘 교반하고 반응기 온도를 85℃로 승온 후,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2 중량부를 투입하여 1 시간 30 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온도 85℃를 유지하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이타콘산 0.06 중량부를 투입하고 추가로 1 시간 반응을 시켰다. 반응물을 적외선분광분석법(IR)로 측정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소멸된 것을 확인 후 반응을 종료시켜,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우레탄 화합물(H-5)을 얻었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1) 59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옥틸 데실 아크릴레이트 17 중량부, 트리사이클로데칸 다이메탄올 다이아크릴레이트 2 중량부,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 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틸-케톤(상품명 이가큐어 184 :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0.8 중량부,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상품명 이가큐어 819 :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 0.7 중량부를 혼합하여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2) 59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배합 및 방식으로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3) 59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배합 및 방식으로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1) 49 중량부, 제조예 4에서 얻어진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4) 49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배합 및 방식으로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2) 49 중량부, 제조예 4에서 얻어진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5) 49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배합 및 방식으로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3) 49 중량부, 제조예 5에서 얻어진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5) 49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 배합 및 방식으로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HS-3) 49 중량부,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무황변 타입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니폰 고세이, 상품명 : UVX-3000B, 분자량 약 18,000) 1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 비율로 혼합하여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광(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소니케미칼&인포메이션디바이스 코퍼레이션, 상품명 : SVR1320)을 선택하였다.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2 의 배합특성을 표 1에 표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점도, 경도 및 광특성을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 점도, 경도 및 광특성 측정
<점도>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콘플레이트(Cone-Plate) 타입의 점도계(TV-35, 토키산교제)를 사용하고, 0.5 ml를 채취해서 25℃ 항온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25℃ 항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순환조를 점도계에 연결하고 온도 센서를 플레이트에 연결시켜 수지 조성물(0.5 ml)의 온도를 확인하였다.
<경도>
메탈할라이드램프 3000 mJ/cm2 경화조건 하에서 수지 조성물을 약 5 mm 두께로 경화시켰다. 경화된 시편을 실온(23 ~ 25℃)에 30 분 이상 방치시킨 후, 쇼와 경도계 A 타입을 사용하여 경화된 수지 조성물의 5 군데 측정하고,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을 취하였다.
<광특성>
광학용 접착제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광특성이 유지되어 황변이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부합하는 조건하에서 b* 값을 장기간 측정하여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유리 기판(80 mm×30 mm×10 mm) 위에 300 ㎛m 높이의 가이드 라인을 세워놓고 수지 조성물을 일정량 적하하고,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적하된 수지 조성물을 얇게 도포시킨다. 도포된 수지 조성물을 메탈할라이드 램프, 광량 3,000 mJ/cm2 의 경화 조건에서 경화시킨다.
b* 값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초기 광특성을 측정하고 자외선 30,000 mJ/cm2 를 추가로 조사한 후, 시편의 b*값을 재측정하여 변화량을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2의 배합특성 및 실험예 측정 결과 (단위 : 중량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HS-1 80 - - 70 - - - -
HS-2 - 78 - - 68 - 68 -
HS-3 - - 78 - - 68 - -
HS-4 - - - 10 - - - -
HS-5 - - - - 10 10 - -
UVX-3000B - - - - - - 10 -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10 11 11 10 11 11 11 -
옥틸 데실 아크릴레이트 7 8 8 7 8 8 8 -
트리사이클로데칸 다이메탄올 다이아크릴레이트 2 2 2 2 2 2 2 -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 1 1 1 1 1 1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 1 1 1 1 1 1 -
이가큐어 184 0.8 0.8 0.8 0.8 0.8 0.8 0.8 -
이가큐어 819 0.7 0.7 0.7 0.7 0.7 0.7 0.7 -
점도 (cPs, 25℃) - 4000 4000 4000 5000 4500 4500 6500 4300
메탈헬라이드,
3,000mJ/cm2, 경화 후
b* 0.25 0.22 0.25 0.25 0.24 0.26 0.36 0.32
메탈헬라이드,
30,000mJ/cm2,
추가 조사 후
b* 0.29 0.25 0.30 0.31 0.29 0.30 0.70 0.35
△b* 0.04 0.03 0.05 0.06 0.05 0.04 0.34 0.03
경도 (Shor A type) - 47 10 10 55 16 17 45 22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과 같이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단독 사용할 경우, 글리콜 계열의 디올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수지 조성물이 더욱 경도가 낮아 소프트(soft)하였고, 실시예 5 및 6과 같이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경도가 상승하여 딱딱(Hard)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는 양 말단에 광반응성 아크릴레이트기를 2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UV) 조사 후 반응이 이루어지면 주쇄 역할을 하고,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는 한쪽 말단에만 광반응성 아크릴레이트기를 1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외선(UV) 조사 후 반응이 이루어지면 측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딱딱(Hard)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소프트(Soft)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와 단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의 적절한 비율로 혼합할 경우 물성 조절과 광특성의 신뢰성 또한 조절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점탄 특성과 광특성의 장기 신뢰성을 구현함에 있어서, 평판디스플레이의 보호부와 표시부를 접합하는 광학용 접착제로 적용하기에 탁월한 수지 조성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은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다이오드 등 평판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보호부를 접합하는 광학용 접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패널의 화상 표시부
2: 보호부
3: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층

Claims (25)

  1. (A) 1 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포함하는 혼합물을 이용하여 공중합시켜 얻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B) 광중합성 단량체; 및
    (C) 광중합 개시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물성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와 (B) 광중합성 단량체의 총합을 100 중량부로 하였을 때,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10 ~ 90 중량부;
    (B) 광중합성 단량체 10 ~ 90 중량부; 및
    (C) 광중합 개시제 0.3 ~ 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는 (a4) 광중합 가능한 단관능 희석제를 용매로 하여 (a1) 글리콜계 디올 화합물, (a2) 글리콜계 외 디올 화합물 및 (a3) 1분자 내 이소시아네이트기를 1개와 아크릴레이트를 1개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은, (a4) 성분을 용매로 이용하여 (a1), (a2) 및 (a3)를 공중합시켜 제조한 우레탄 화합물에, (a5)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a6)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은 다관능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1) 성분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2) 성분은, 폴리에틸렌디올, 폴리프로필렌디올, 폴리이소프렌디올, 수첨 폴리부타디엔디올, 폴리(에틸렌-co-부틸렌)디올 및 폴리부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1) 성분 또는 (a2) 성분의 사용량은,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 1당량에 대해 (a1) 또는 (a2) 성분의 히드록시기가 2 당량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3) 성분은, 2-이소시아네이토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이소세아네이토메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3) 성분의 사용량은, (a1)과 (a2)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총 히드록시기를 1 당량으로 할 때,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0.1 ~ 1.0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4) 성분은, 하기의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며,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직쇄 또는 환상 지방족 구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H2C=CHR1-COO-R2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CH3이며, R2는 탄소수 1 ~ 12 개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직쇄 또는 환상 지방족 구조를 가지는 알킬 구조이다. 단, 상기 식은 하이드록시기, 아민기, 인산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과 같은 극성 관능기를 가지지 않는다.)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5) 성분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및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말레산으로 이루어지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6) 성분은, 이타콘산 및 푸마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5)와 (a6)의 혼합 사용량은,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반응 종료 후 남아 있는 (a3)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 0.1 ~ 0.4 당량에 대해 (a5)와 (a6) 성분의 히드록시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 당량 합이 0.1 ~ 0.5 당량 더 많도록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0 ~ 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과 (B) 성분의 총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할 때 (B) 광중합성 단량체가,
    (b1) 극성의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0.1 ~ 10 중량부;
    (b2) 극성기를 가지지 않는 직쇄구조의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9 ~ 60 중량부;
    (b3)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과 환상 지방족기를 가지는 광중합 단량체 0.9 ~ 15 중량부; 및
    b4) 아크릴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0 ~ 5 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광중합 개시제는 카르보닐계 광중합 개시제, 설피드계 광중합 개시제, 퀴논계 광중합 개시제, 아조계 광중합 개시제 및 과산화물계 광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중합 금지제, 실란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가소제 및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비닐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트리메톡시실라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트리에톡시실라닐(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1차 산화방지제로 페놀계 및 방향족 아민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차 산화방지제로 포스파이트계 및 유황 에스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안정제는 납계, 칼슘계, 유기장계,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아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히드록시 벤조페논, 히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아릴에스테르, 페놀 및 아민계 1차 산화방지제, 벤조에이트 및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프탈산 에스테르계, 트리-메리트산 에스테르계, 지방족 2 염기산 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린산 에스테르계, 함염소계 및 폴리에스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는 실리카, 알루미나, 세리아 및 티타니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24. 제 1 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의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
  25. 제 24 항에 따른 광경화성 광학용 접착제로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가 접합되고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어 화상 표시부와 보호부가 합착된 평판디스플레이.
KR1020130082016A 2013-07-12 2013-07-12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KR10146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16A KR101467394B1 (ko) 2013-07-12 2013-07-12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016A KR101467394B1 (ko) 2013-07-12 2013-07-12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394B1 true KR101467394B1 (ko) 2014-12-01

Family

ID=5267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016A KR101467394B1 (ko) 2013-07-12 2013-07-12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105A (ko) *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효성 듀얼 큐어링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469A (ko) * 2007-04-27 2010-02-10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그 경화물 및 광학 렌즈 시트용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
KR20110115386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5385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시에 경화 전후 색상의 변화를 통해 광경화성 조성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KR20110116451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및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시에 경화 전후 색상의 변화를 통해 광경화성 조성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469A (ko) * 2007-04-27 2010-02-10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그 경화물 및 광학 렌즈 시트용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
KR20110115386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15385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시에 경화 전후 색상의 변화를 통해 광경화성 조성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KR20110116451A (ko) * 2010-04-19 2011-10-26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및 광경화성 조성물의 광경화시에 경화 전후 색상의 변화를 통해 광경화성 조성물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105A (ko) *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효성 듀얼 큐어링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636150B1 (ko) 2014-10-14 2016-07-05 주식회사 효성 듀얼 큐어링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5296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とその硬化物、樹脂シートとその製造法、及び表示装置
US10385240B2 (en) Acrylate-terminated urethane polybutadienes from low-monomer 1:1 monoadducts from reactive olefinic compounds and diisocyanates and hydroxy-terminated polybutadienes for liquid optically clear adhesives (LOCAs)
KR101362869B1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JP7263008B2 (ja) 二重硬化性の光学的に透過性の接着剤組成物
JP6270145B2 (ja) 光学用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該硬化層および光学部材
US20200277444A1 (en) Polysiloxane Urethane Compounds and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Compositions
KR20170107462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그 경화물
JPWO2015190560A1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及び物品
WO2022075366A1 (ja) 接着剤セット、フィルム、接着体、及び被着体の分離方法
JPWO2017110655A1 (ja) 硬化性組成物、粘着層、透明面材、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67394B1 (ko) 물성 조절이 용이한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KR101161014B1 (ko) (메타)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변색 수지 조성물, 및 이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절연처리된 전자부품
JP444187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硬化フィルム
JP6899225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20150007695A (ko) 광경화성 무황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JP2010265402A (ja) 光及び熱硬化併用型樹脂組成物、電子ペーパー用の光及び熱硬化併用型防湿シール材、電子ペー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75943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보호용 무기입자 함유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WO2006134964A1 (ja) 接着剤用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50007696A (ko) 광경화성 광학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평판디스플레이
JP7244278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67774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로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90024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KR20240003279A (ko) 고신축성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축성 필름
KR20240003278A (ko) 고강도 신축성 필름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신축성 필름
KR20130015218A (ko) 수지형 도광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