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602B1 -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602B1
KR101466602B1 KR20130063117A KR20130063117A KR101466602B1 KR 101466602 B1 KR101466602 B1 KR 101466602B1 KR 20130063117 A KR20130063117 A KR 20130063117A KR 20130063117 A KR20130063117 A KR 20130063117A KR 101466602 B1 KR101466602 B1 KR 10146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ta
gadolinium
meglumine
reaction
contrast ag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3006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애
임일호
하승우
박종학
박목순
Original Assignee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6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A61K49/101Organic compounds the carrier being a complex-forming compound able to form MRI-active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 A61K49/106Organic compounds the carrier being a complex-forming compound able to form MRI-active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the complex-forming compound being cyclic, e.g. DOTA
    • A61K49/108Organic compounds the carrier being a complex-forming compound able to form MRI-active complexes with paramagnetic metals the complex-forming compound being cyclic, e.g. DOTA the metal complex being Gd-DO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1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 A61K49/181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 A61K49/1821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 A61K49/1824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s
    • A61K49/1827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s having a (super)(para)magnetic core, being a solid MRI-active material, e.g. magnetite, 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MRI-active, organic agents, e.g. Gd-chelates, or nuclei, e.g. Eu3+, encapsulated or entrapped in the core of the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
    • A61K49/1833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s having a (super)(para)magnetic core, being a solid MRI-active material, e.g. magnetite, 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MRI-active, organic agents, e.g. Gd-chelates, or nuclei, e.g. Eu3+, encapsulated or entrapped in the core of the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 having a (super)(para)magnetic core coated or functionalised with a small organic molecule
    • A61K49/1845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e.g. emulsions, microcapsules, liposomes particles, e.g. uncoated or non-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microparticles or nanoparticles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s having a (super)(para)magnetic core, being a solid MRI-active material, e.g. magnetite, 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MRI-active, organic agents, e.g. Gd-chelates, or nuclei, e.g. Eu3+, encapsulated or entrapped in the core of the coated or functionalised nanoparticle having a (super)(para)magnetic core coated or functionalised with a small organic molecule the small organic molecule being a carbohydrate (monosaccharides, discacha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가돌리늄,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A), 및 메글루민을 1:1:1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한 방법에 의해, 유리 가돌리늄이 없으면서,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CONTRAST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GADOTERATE MEGLUMINE}
본 발명은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은 자기장 안에서 수소 원자의 스핀이 이완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인간 또는 동물의 신체기관을 비침습적이며 실시간으로 영상화할 수 있는 뛰어난 영상 진단 장비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MRI를 보다 다양하고 정밀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외부 물질을 주입하여 영상대조도를 증가시키는데, 이 때 사용되는 물질을 조영제라고 한다.
자기공명영상에 사용되는 조영제로서, 희토금속인 가돌리늄의 착물이 주로 사용된다. 가돌리늄 이온은 7개의 짝짓지 않은 전자들을 가지고 있어 강한 교류 전자기장을 유도하고, 근처 물분자의 양성자 스핀에 영향을 주어 이완시간(relaxation time)을 감소시켜, 이상 조직의 영상을 선명하게 나타나게 하나, 가돌리늄 이온은 독성이 있어서 안정도가 매우 큰 배위 착화합물 형태로 사용된다.
즉, 배위 수가 많은 배위자(킬레이트, chelate)가 사용되는데, 8자리 배위자인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1,4,7,10- tetraazacyclododecane-1,4,7,10-tetracetic acid: DOTA)나 디에틸렌트리아민페타아세트산(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DPTA)가 대표적인 예이다.
조영제로 사용되는 가돌리늄의 킬레이트 착물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미국등록특허 제4,647,447호에서는 DOTA와 산화가돌리늄(Gd2O3)을 반응시켜 생성한 가돌리늄의 착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미국등록특허 제4,647,447호는 DOTA와 가돌리늄이온을 화학양론적으로 반응시켜 착물을 형성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DOTA는 인습성이 높은 원료로 당량에 맞는 투입량을 반응 초기부터 확인하여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체내 독성을 야기하는 유리 가돌리늄을 생성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063060호에서는, 란타나이드, 특히 가돌리늄과 DOTA, NOTA 등의 거대고리 킬레이트의 착물의 메글루민 염을 포함하는 조영제의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공정은 상기 약학적 제제 내에 자유 가돌리늄을 소거하기 위한 특정양의 자유 거대고리 킬레이트를 함유하도록 하기 위해, 자유 거대고리 킬레이트와 자유 가돌리늄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조정하거나, 또는 잔여 자유 가돌리늄, 또는 킬레이트를 제거하는 복잡한 분석 단계를 거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 중에 상기의 세 가지 성분 이외에 염을 투입하게 되면, 반응 완료 이후에 염을 제거하는 추가 공정이 요구되며, 사용한 염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하지 않으면, 조제액의 삼투압 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사제의 경우 삼투압이 중요 품질 관리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편한 방법을 통해, 유리 가돌리늄에 의한 독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미국등록특허 제4,647,447호(1987. 3. 3. 등록, DIAGNOSTIC MEDIA) 한국등록특허 제10-1063060호(2011. 09. 07. 공고, 조영제의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공정)
본 발명의 목적은,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돌리늄,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A), 및 메글루민을 1:1:1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가돌리늄과 DOTA를 상기 당량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각 투입 당량의 100%:80~95%의 양으로 정제수에 가하여, 1차 킬레이트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에, 메글루민을 상기 당량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를 가하는 단계(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에, pH가 7.2~7.7이 되도록, DOTA를 가하여 2차 킬레이트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제3단계);
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돌리늄의 공급 원료는, 산화가돌리늄(Gd2O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가돌리늄과 DOTA를 상기 당량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각 투입 당량의 100%:93~95%의 양을 정제수에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영제 조성물에 있어서,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gadoterate meglumine)는, 가도테릭산(Hydrogen(1,4,7,10-tetraazacyclododecane-1,4,7,10- tetraacetato(4))gadolinate(1-), C16H25GdN4O8)과 메글루민(1-Deoxy-1- (methylamino)-D-glucitol, C7H17NO5)의 복합체이다.
본 발명의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은, 가돌리늄,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A), 및 메글루민을 1:1:1의 당량으로 반응시켜 제조하며, 하기 세 단계에 걸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화가돌리늄, DOTA, 메글루민을 이용하여 가장 간단한 조제 방법을 강구하기 위해 상기의 성분을 모두 같이 반응시킨 결과, 산화가돌리늄 및 DOTA를 0.5:1의 몰비로 반응시 DOTA의 인습성으로 인한 문제점과는 별개로 상기 성분 중 DOTA와 메글루민은 녹으나, 산화가돌리늄 일부는 녹지 않아 침전물로 존재하는 문제점이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반응 공정을 두 단계로 나누어서 실시하고자. 상기의 투입 성분 중 1개 성분, 또는 2개 성분을 먼저 반응시킨 후에 나머지의 2개 성분, 또는 1개 성분을 반응시킨 결과 대부분에서 산화가돌리늄 침전이 관찰이 되었다. 그러나 산화가돌리늄, DOTA를 먼저 반응시킨 후 메글루민을 반응시킨 반응에서만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 반응으로 산화가돌리늄과 DOTA를 0.5:1의 몰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투입량을 산화가돌리늄>DOTA(100%:80%), 산화가돌리늄<DOTA(80%:100%)으로 반응을 시작하여 적정 당량이 되도록 잔량의 산화가돌리늄 또는 DOTA를 메글루민 투입 전에 첨가하면서, 확인한 결과 pH는 일정한 구간(pH1.7~1.85)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이 반응과 다르게 DOTA, 산화가돌리늄 킬레이트 반응 중간에 메글루민을 투입하여 킬레이트 반응을 두 구간으로 나누어서 반응시켜 성상, pH를 확인하였다. 산화가돌리늄과 DOTA를 0.5:1의 몰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투입량을 DOTA>산화가돌리늄(100%:80%) 또는 DOTA<산화가돌리늄(80%:100%)으로 반응을 시작하여 적정 당량이 되도록 잔량의 산화가돌리늄 또는 DOTA를 메글루민 투입 후에 첨가하며, pH를 관찰하였다. 메글루민 투입 이후에 잔량의 산화가돌리늄을 투입하는 경우는 침전물이 생성되어 문제가 있었으나, 잔량의 DOTA를 투입한 경우에는 침전물의 생성이 없었으며, 일정한 구간에서는 pH 변화가 없으나 가돌리늄과 DOTA가 1:1 당량으로 반응이 완료되는 시점 부근에서는 pH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킬레이트 반응 중간에 메글루민을 투입하여 추가 DOTA를 투입한 반응에서만 추가된 량에 따른 pH 변화가 있는 도 1의 반응 공정을 실시하여 도 2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돌리늄, DOTA, 및 메글루민을 1:1:1 당량으로 반응시켜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한 조영제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의 순서도에서와 같이, 가돌리늄과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A)을 1:1의 당량으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80~95%의 양으로, 정제수에 가하여, 1차 킬레이트 반응을 실시하고 나서(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에, 메글루민을 상기 당량으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를 가하여 반응시킨 후(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에, pH가 7.2~7.7이 되도록, DOTA를 가하여 2차 킬레이트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돌리늄(Gd3 +)의 공급 원료로서, 산화가돌리늄(Gd2O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DOTA와 가돌리늄의 킬레이트 반응을 1차, 및 2차에 걸쳐 실시하며, 1차 킬레이트 반응시의 DOTA 사용량을 가돌리늄과 1:1 당량으로 반응하는데 필요한 투입량의 80~95%만을 투입하고, 2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조영제 조성물의 pH가 7.2~7.7의 범위 이내가 될 때까지 DOTA를 가함으로써, 킬레이트와 착물을 형성하지 않은 유리 가돌리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가돌리늄과 DOTA를 1:1의 당량으로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80%(예컨대, 가돌리늄 0.5M(산화가돌리늄으로서 0.25M):DOTA 0.4M)로 투입하는 것과 같이, DOTA 투입량 보다 산화가돌리늄의 투입 당량을 적게 하여 투입하고, 2차 킬레이트 반응을 통해 산화가돌리늄을 투입하면 산화가돌리늄이 용해되지 않고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1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산화가돌리늄은 당량 반응에 필요한 투입당량의 100%를 모두 투입하며, DOTA는 투입 당량의 일부만, 특히, DOTA를 가돌리늄과 1:1의 당량으로 반응하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의 80~95%만을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3~95%로 투입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만일, 1차 킬레이트 반응시의 DOTA 투입 당량이, 가돌리늄과 화학양론적으로 반응하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의 80% 미만이면, 생성된 용액의 pH가 급격히 높아지며 침전물이 없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95%를 초과하면, DOTA의 수분값이 원료 lot에 따라 다르고, 원료의 기밀 상태, 보관조건에 따라 통상 2~5%의 변동폭을 갖고 있어, DOTA수분값을 측정할 때와 보관중에 변한 DOTA 수분값의 변동폭을 완충하지 못해, 초기에 DOTA의 투입 당량이 100%를 초과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DOTA가 초기에 100%를 초과하여 투입되면, 도타와 가돌리늄의 1:1 당량 반응을 최종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제 3단계에서 산화가돌리늄의 추가 투입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산화가돌리늄의 추가 투입은 침전물 생성의 원인이 되므로, 1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DOTA를 95% 초과하여 투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1차 킬레이트 반응과 2차 킬레이트 반응 사이에, 메글루민을 가함으로써, 1차 킬레이트 반응 직후에 pH 1.70~pH 1.85였던 조영제 조성물의 pH가 pH 8.50 이상으로 높아져 약알칼리성을 띄게 됨으로써, 산성을 띄는 DOTA의 추가 투입에 따라 pH가 낮아지면서, 유리 가돌리늄이 존재하지 않는 pH 범위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1차 킬레이트 반응에 의해 생성된 가돌리늄과 DOTA의 킬레이트 착물이 보다 안정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통상 산화가돌리늄은 낮은 pH에서 반응이 일어나나, 메글루민 투입으로 pH가 높아진 후에도 DOTA와 미처 반응하지 못한 산화가돌리늄은 추가된 DOTA와 충분히 킬레이트반응이 완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들은, 2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추가 DOTA를 투입하면서, pH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도 2 및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DOTA의 투입당량이 80~98%까지는 pH변화 폭이 크지 않으나, DOTA의 투입 당량이 98%를 초과할 때 pH 변화 폭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DOTA의 투입 당량이 100% 부근이 되었을 때, pH가 6.4~8.1,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2~7.7에 도달하였고, 이 pH 7.2~7.7 범위에서는 유리 가돌리늄이 존재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pH 구간은 중성으로 일반적으로 인체와 부작용 및 주사 쇼크가 적어, pH 조절제로 따로 조정할 필요가 없는 구간이다. 아울러, 하기 [표 1] 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pH 7.2~7.7 범위에서 유리 DOTA가 0.039w/v% 이하로 존재하여 유리 킬레이트로 인한 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DOTA 투입 당량(%)* pH(3 step) 유리 DOTA
(w/v%)
1 80.3% 9.20 (미측정)
2 90.3% 9.05 (미측정)
3 95.3% 8.91 (미측정)
4 96.3% 8.84 (미측정)
5 97.3% 8.73 (미측정)
6 98.3% 8.84 (미측정)
7 99.3% 8.45 0%
8 99.765% 8.20 0%
9 99.839% 8.07 0%
10 99.957% 7.85 0%
11 100.034% 7.64 0.007%
12 100.111% 7.46 0.023%
13 100.188% 7.20 0.039%
14 100.265% 6.38 0.055%
결국, 본 발명에 있어서, 2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조영제 조성물의 pH가 7.2~7.7의 범위 내가 될 때까지 DOTA를 가함으로써, 킬레이트와 착물을 형성하지 않는 유리 가돌리늄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제1단계에서 사용된 가돌리늄이 모두 DOTA와 킬레이트 결합을 형성한 착물의 상태로 존재하는 조영제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영제 조성물은, 뇌신경계 및 척추의 자기공명영상(MRI) 조영제, 또는 체부의 자기공명영상 조영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영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의약분야에서 사용되는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가 바람직하고, 특히, 정맥내 투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영제 조성물은, 진단에 적절한 영상을 얻기에 통상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으로 투여되며, 성인 및 소아(영유아 포함)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mmol/kg~1mmol/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mmol/kg~0.5mmol/kg, 가장 바람직하게는 0.05mmol/kg~0.2mmol/kg(0.1mL/kg~0.4mL/kg)을 정맥투여한다. 성인에 한하여 연수막 종약의 진단 및 단독 전이병소 확인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나, 또는, 혈관조영시 영상결과에 따라, 0.05mmol/kg~0.2mmol/kg(0.1mL/kg~0.4mL/kg)을 추가로 정맥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제 공정, 또는 복잡한 분석 방법을 통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을 통해,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습성이 높은 DOTA로 가돌리늄과 동일한 당량의 투입 당량을 반응 초기에 결정하여 정확하게 투입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DOTA와 킬레이트 착물을 형성하지 않는 유리 가돌리늄이 존재하지 않아, 유리 가돌리늄으로 인해 체내 독성의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2차 킬레이트 반응시의 추가 DOTA투입에 따른 pH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정제수 9L에 산화가돌리늄 0.906kg(0.25M)과 DOTA 1.620kg(0.4M)를 가하여, 80~90℃에서 2~5시간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여 1차 킬레이트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후, 메글루민 0.976kg(0.5M)을 가하여 90℃에서 2~5시간동안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그리고 나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90℃ 온도 하에서 DOTA를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DOTA 투입량에 따른 pH범위를 확인하고, pH가 7.2~7.7일 때, DOTA 추가 투입을 중단하였다. 조제액을 25℃±5로 냉각시키면서 조제 중에 증발한 수분을 보정하기 위해 정제수를 넣어 최종적으로 조제액을 10L로 맞춘다.
<비교예 1>~<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각 투입 성분의 양 등을 실시예 1과 달리하여,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조영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 1에서, 메글루민 첨가 단계와 2차 킬레이트 반응 단계의 순서를 바꾸어, 비교예 4의 조영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조영제 조성물 제조시 각 단계별로 사용된 성분과 그 사용량, 및 관찰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제1단계
1차 킬레이트 반응
제2단계
제3단계
(2차 킬레이트 반응)
비고
산화가돌리늄 DOTA 메글루민 NaOH 산화가돌리늄 DOTA
실시예 1 0.906kg
(0.25M)
(100%*)
1.620kg
(0.4M)
(80%)
0.976kg
(0.5M)
(100%)
- - 추가 투입
→pH7.2~7.7시 투입 중단
-
비교예 1 0.906kg
(0.25M)
(100%)
1.417kg
(0.35M)
(70%)
0.976kg
(0.5M)
(100%)
- - 추가 투입 침전 형성
비교예 2 0.725kg
(0.20M)
(80%)
2.025kg
(0.5M)
(100%)
0.976kg
(0.5M)
(100%)
- 추가 투입 - 산화가돌리늄 용해 안 됨/ 침전 발생
비교예 3 0.906kg
(0.25)
(100%)
1.620kg
(0.4M)
(80%)
- 20g
(0.05M)
- 추가 투입 NaOH첨가 직후 침전 발생

구분

1차 킬레이트 반응

2차 킬레이트 반응

메글루민 첨가
산화가돌리늄 DOTA DOTA 메글루민 비고
비교예 4 0.906kg
(0.25)
(100%)
1.620kg
(0.4M)
(80%)

추가 투입
0.976kg
(0.5M)
(100%)

-
주: * 상기 괄호 안의 %는, 가돌리늄:DOTA:메글루민이 1:1:1의 당량으로 반응하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에 대하여, 각 단계에서의 투입 당량을 백분율로 기재한 것임
위의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1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DOTA 투입 당량의 80% 미만을 투입한 비교예 1의 경우, 침전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와 같이, 1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DOTA를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를 투입하고, 산화가돌리늄을 투입 당량의 80%로 투입한 후, 2차 킬레이트 반응시에 산화가돌리늄을 추가투입한 경우, 산화가돌리늄이 용해가 안 되고 침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비교예 3에서와 같이, 메글루민 대신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는 경우, NaOH 첨가 직후 침전이 생성되어, 침전 제거를 위해 2~3시간 교반을 필요로 하였으며, 주성분 이외의 부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되어, 이러한 부원료의 제거 공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4와 관련하여, DOTA를 가돌리늄과 1:1 당량으로 반응시킬 수 있는 투입 당량의 100%를 투입하여 반응을 시작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DOTA의 인습성으로 인해 수분값이 변동되어 어렵기 때문에, DOTA를 추가로 투입하면서 DOTA와 가돌리늄이 1:1의 당량비로 반응이 완료되어 가돌리늄이 모두 DOTA와 결합을 형성됨을 확인하여야 한다. 그러나, 비교예 4의 반응시 추가되는 도타량에 따른 pH 변화는 거의 없고 일정하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리 가돌리늄을 측정하는 복잡한 전위차 측정 방법을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가돌리늄과 DOTA를 1:1의 당량비로 반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80%로 하여 1차 킬레이트 반응시키고 나서, 메글루민을 첨가하여 pH를 약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킨 후, 추가 DOTA를 투입하여 2차 킬레이트 반응을 시키면서 pH만을 확인하는 간편한 방법에 의해, 유리 가돌리늄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면서,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Claims (4)

  1. 가돌리늄, 1,4,7,10-테트라아자사이클로도데칸-1,4,7,10-테트라아세트산(DOTA), 및 메글루민을 1:1:1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가돌리늄과 DOTA를 상기 당량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각 투입 당량의 100%: 80~95%의 양으로 정제수에 가하여, 1차 킬레이트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에, 메글루민을 상기 당량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투입 당량의 100%를 가하는 단계(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에, pH가 7.2~7.7이 되도록, DOTA를 가하여 2차 킬레이트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제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돌리늄은 산화가돌리늄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가돌리늄과 DOTA를 상기 당량비로 반응시키는데 필요한 각 투입 당량의 100%:93~95%의 양을 정제수에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KR20130063117A 2013-05-31 2013-05-31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46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117A KR101466602B1 (ko) 2013-05-31 2013-05-31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117A KR101466602B1 (ko) 2013-05-31 2013-05-31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602B1 true KR101466602B1 (ko) 2014-12-01

Family

ID=5267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31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466602B1 (ko) 2013-05-31 2013-05-31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6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48A (ko) * 2014-11-12 2016-05-20 (주)디아이테크 자기공명영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KR101625656B1 (ko) 2015-10-16 2016-05-30 최경석 자기공명영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WO2019162313A1 (de) 2018-02-23 2019-08-29 Sanochemia Pharmazeutika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kontrastmittel
CN113801071A (zh) * 2021-09-14 2021-12-17 安徽普利药业有限公司 一种钆特酸葡甲胺的精制方法
CN115779105A (zh) * 2022-11-17 2023-03-14 华润双鹤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钆布醇注射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60B1 (ko) * 2008-02-19 2011-09-07 게르브 조영제의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공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60B1 (ko) * 2008-02-19 2011-09-07 게르브 조영제의 약학적 제제를 제조하는 공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48A (ko) * 2014-11-12 2016-05-20 (주)디아이테크 자기공명영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KR101646211B1 (ko) 2014-11-12 2016-08-05 (주)디아이테크 자기공명영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KR101625656B1 (ko) 2015-10-16 2016-05-30 최경석 자기공명영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WO2017065584A1 (ko) * 2015-10-16 2017-04-20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자기공명영상용 조영제의 제조방법
CN108136054A (zh) * 2015-10-16 2018-06-08 株式会社Enzychem生命科学 制备用于磁共振成像的造影剂的方法
EP3363466A4 (en) * 2015-10-16 2019-05-15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ONTRASTING AGENT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2019162313A1 (de) 2018-02-23 2019-08-29 Sanochemia Pharmazeutika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kontrastmittel
AT521001A1 (de) * 2018-02-23 2019-09-15 Sanochemia Pharmazeutika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Kontrastmittel
AT521001B1 (de) * 2018-02-23 2020-10-15 Sanochemia Pharmazeutika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Kontrastmittel
CN111989124A (zh) * 2018-02-23 2020-11-24 萨诺化学药物有限公司 造影剂的制备方法
CN113801071A (zh) * 2021-09-14 2021-12-17 安徽普利药业有限公司 一种钆特酸葡甲胺的精制方法
CN115779105A (zh) * 2022-11-17 2023-03-14 华润双鹤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钆布醇注射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602B1 (ko) 메글루민 가도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영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EP0697872B1 (en) Tricyclopolyazamacrocyclophosphonic acids, complexes and derivatives thereof, for use as contrast agents
CN101977633B (zh) 用于制备对比剂的药物配制品的方法
EP0124766B1 (de) Enterales Kontrastmittel für die Kernspintomographie und dessen Herstellung
DE3855239T2 (de) Aminocarbonsäure und Derivate
JPH04507084A (ja) 新規磁気共鳴造影剤
DE60220282T2 (de) Mehrzähnige, zur komplexierung von metallionen geeignete aza liganden und deren verwendung in diagnose und therapie
CA1312867C (en) Manganese(ii) chelate contrast agents and methods
US5077037A (en) Novel compositions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JP2011046752A (ja) 還元された炭水化物類及び炭水化物誘導体で被覆された熱的に安定なコロイド状酸化鉄
DE69314613T3 (de) Neues chelatisierungsmittel, komplexverbindungen, die aus diesem mittel und metallatomen aufgebaut sind, und diagnostische mittel,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JPH03501848A (ja) マクロサイクリックキレート薬およびそのキレート
AU2002331348A1 (en) Multidentate aza ligands able to complex metal ions and the use thereof in diagnostics and therapy
JPS63280087A (ja) ジピリドキシルホスフエートnmri造影剤
EP2447269A2 (en) Gadolinium complex,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ri contrast agent comprising same
CN109432449B (zh) 一种铁配合物mri造影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987592B1 (ko) 암진단용 mr 조영제와 그 제조방법
Gu et al. 99m Tc-labeled and gadolinium-chelated transferrin enhanc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dual-modality SPECT/MR imaging of breast cancer
US11944690B2 (en) Formulation of contrast media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KR20140131938A (ko) Peg 치환된 알파-히드록시 포스포네이트 셸을 가지는 초상자성 나노입자
CN114981282B (zh) 作为mri造影剂的铁络合物及其盐
JPH04507401A (ja) 新規磁気共鳴造影剤
US11771780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Fe-tCDTA contrast agent and product obtainable by the method
EP3915589A1 (en) Tcdta-derived fe(iii) complexes for use in magnet resonance imaging with liver and kidney excretion
EP3778613A1 (en) Third generation dendrimer,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