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001B1 -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001B1
KR101466001B1 KR20130138736A KR20130138736A KR101466001B1 KR 101466001 B1 KR101466001 B1 KR 101466001B1 KR 20130138736 A KR20130138736 A KR 20130138736A KR 20130138736 A KR20130138736 A KR 20130138736A KR 101466001 B1 KR101466001 B1 KR 101466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rain
pressing roller
angle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치원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깃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깃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깃듬
Priority to KR2013013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김부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부각은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한 반죽물을 압착하여 형성된 곡물피, 상기 곡물피 상부에 도포된 식용접착제 및, 식용접착제 상부에 적층된 김을 포함하며, 곡물피, 식용접착제, 및 김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압착된 후, 오븐이용하여 구음공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삭한 식감 및 본래의 구수한 맛을 유지시킬 수 있고, 찹쌀풀 제조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Grill processed laver-boogak , apparatus manuvacturing 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본 발명은 곡물피를 이용하여 구음공정된 김부각, 이를 제조하는 김부각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각은 우리의 전통식품으로서, 김, 쑥, 감자, 깻잎, 풋고추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철에 부각으로 만들어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 할 때 튀겨먹는 밑반찬이다.
이러한 부각중 김부각은 찹쌀풀을 이용하여 적어도 두장의 김을 서로 붙인 후 건조과정을 거쳐 기름에 튀겨 제조한다. 최근 이러한 김부각은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의 고취와 건강 및 맛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면서 전통음식인 부각에 다양한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한편, 김부각의 제조시, 찹쌀풀은 찹쌀풀을 쑤려면 찹쌀가루를 물에 풀어서 오랫동안 나무주걱으로 저으면서 끈기가 나게 하여 조금 되직하게 쑤어 식힌다. 찹쌀풀을 만들 때 반대기를 지은 찹쌀가루 반죽을 끓는물에 삶아 건져 양푼에 넣고 꽈리가 일도록 쳐야 한다. 여기에 반대기 삶은 물을 조금씩 부으면서 찹쌀풀을 만들어 이용한다. 한편, 찹쌀풀을 이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법은 국내공개특허 제1996-0028843호 및 국내공개특허 제2001-00109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찹쌀풀을 이용하는 김부각은 찹쌀풀 제조과정이 오래걸리며, 찹쌀풀을 김에 도포시 건조작업이 필요하여 김부각 제조과정도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쇄된 한약재료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곡물피를 이용하여 구음공정된 김부각, 이를 제조하는 김부각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는,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 혼합부, 상기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하는 제1 압착 롤러부, 상기 제조된 곡물피 상부에 김이 적층되면, 압착하여 김부각을 성형하는 제2 압착 롤러부 및, 상기 김부각을 오븐을 이용하여 구음공정하는 구음공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된 김부각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음공정부는, 상기 절단된 김부각을 구음공정할 수 있다.
또한,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가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곡물피가 이송되면, 식용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된 식용접착제 상부에 상기 김을 적층시키는 제1적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 혼합부, 제1압착 롤러부, 도포부, 제2 압착 롤러부, 절단부, 및 구음공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순서대로 장착되며, 상기 제1적층부는 상기 도포부 및 제2압착롤러부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적층부는, 챔버형태로 하부면에 복수의 진공홀을 구비하는 제1진공흡착부 및 상기 제1진공흡착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공흡입압을 공급하는 제1진공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적층부는, 상기 제1진공챔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김을 상기 제1진공흡착부의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도포된 식용접착제 상부로 수직이동 후, 상기 진공흡입압을 차단시켜 상기 부착된 김을 상기 도포된 식용접착제의 상부에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김부각 제조장치는, 챔버형태로 하부면에 복수의 진공홀을 구비하는 제2진공흡착부 및 상기 제2진공흡착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공흡입압을 공급하는 제2진공챔버를 포함하는 제2적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적층부는 상기 제2진공챔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압착롤러부를 통해 제1 성형된 김부각을 상기 제2진공흡착부의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제2 성형된 김부각 상부로 수직이동 후, 상기 진공흡입압을 차단시켜 상기 부착된 제1 성형된 김부각을 상기 제2 성형된 김부각의 상부에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김부각 제조장치는, 상기 적층된 제1 및 제2 성형된 김부각을 압착하는 제3압착롤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압착롤러부는, 상기 제2 압착롤러부 및 제1건조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2적층부는 상기 제2압착롤러부 및 제3압착롤러부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 롤러부 내지 제3 압착 롤러부는 상하로 맞물리는 한쌍의 롤러부를 구비하여 압착하며, 상기 제2 압착 롤러부 및 제3 압착 롤러부는, 한쌍의 롤러부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 롤러부는, 상기 반죽물을 압착하여 0.5 내지 1.5mm의 두께의 곡물피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가 되며, 상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김부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부각은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한 반죽물을 압착하여 형성된 곡물피, 상기 곡물피 상부에 도포된 식용접착제 층 및, 상기 식용접착제 층 상부에 적층된 김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피, 식용접착제 층, 및 김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압착된 후, 오븐이용하여 구음공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피는, 0.5 내지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가 되며, 상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방법은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혼합단계, 상기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하는 제1 압착단계, 상기 제조된 곡물피 상부에 김을 적층하는 적층단계, 적층된 곡물피 및 김을 압착하여 김부각을 성형하는 제2 압착단계, 상기 성형된 김부각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오븐을 이용하여 상기 김부각을 구음공정하는 구음공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제조된 곡물피의 상부에 식용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식용접착제가 도포된 곡물피 상부에 상기 김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압착단계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롤러로 상기 김부각을 압착하여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압착단계는, 상기 반죽물을 압착하여 0.5 내지 1.5mm의 두께의 곡물피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가 되며, 상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음공정된 김부각은, 얇은 곡물피를 김에 적층하여 구음공정함으로써, 바삭한 식감 및 본래의 구수한 맛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반죽물에 분쇄된 한약재를 추가하여 김부각을 제조함으로써, 향미 및 약재의 효과를 더해주어 웰빙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김부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김부각 제조를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을 단순화하고 김부각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김부각 제조방법에서 찹쌀풀 제조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죽혼합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압착롤러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도포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1적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적층부의 진공흡착부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2압착롤러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8의 절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따르면, 김부각 제조장치(1000)는 이송부(100), 반죽혼합부(200), 제1압착롤러부(300), 도포부(400), 제2압착롤러부(500), 절단부(600) 및 구음공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100)는 반죽혼합부(200)에서 제조되는 곡물피를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송부(100)은 롤러 컨베이어부(30), 롤러 컨베이어부(30)를 구동시키는 롤러 구동모터(60), 롤러 컨베이어부(30)가 안착되고 지지되는 메인 프레임(10), 메인 프레임(10)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컨베이어부(30)는 반죽혼합부(200)에서 반죽된 반죽물, 반죽물로 제조되는 곡물피, 곡물피에 식용접착제 및 김을 적층한 김부각이 로딩되고 이송되는 장치로서 롤러, 컨베이어벨트(40) 등의 이송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 구동모터(6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프레임(10)에는, 반죽혼합부(200), 제1압착롤러부(300), 도포부(400), 제2압착롤러부(500), 절단부(600) 및 구음공정부(700)가 순서대로 장착되어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로 김부각을 제조할 수 있다. 자동화 제조시, 김부각 제조장치(1000)는 제1적층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적층부(450)는 도포부(400) 및 제2압착롤러부(500)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김(53) 적층을 위해 수직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반죽혼합부(200)는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가루가 될 수 있다.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는 글루텐이 많이 포함된 곡물가루로, 반죽물 제조시 물을 균등하게 흡수하고 점성을 형성함으로써 반죽물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추후 김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김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등이 될 수 있으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한편, 반죽혼합부(200)는 도 2와 같이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반죽혼합부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반죽혼합부(200)는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고, 반죽혼합부(200)에서 형성된 반죽물은 이송컨베이어부(30)를 통해 제1압착롤러부(300)로 이송될 수 있다.
반죽혼합부(200)는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담는 반죽볼(210) 및, 반죽볼(210)에 담긴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골고루 섞어주어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부(220), 반죽부(220)와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31), 수평프레임(231)의 양 끝단과 메인프레임(1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232a,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232a,232b)의 신축에 따라 반죽부(220)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반죽부(220)는 반죽볼(210)을 덮는 덮개부(221), 덮개부(221) 양 끝단에 연결된 지지프레임(222a,222b), 덮개 부의 양 끝단의 지지프레임(222a,222b)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프레임(222a,222b)과 축연결되는 연결축(223) 및 연결축(22)의 외주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축(223)은 회전구동을 위한 제1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덮개부(221)가 반죽볼(210)에 덮히면, 제1모터가 구동되어 연결축(223)이 회전되고, 회전되는 플레이트(224)에 의해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이 골고루 잘 섞일 수 있다.
한편, 반죽혼합부(200)에서 제조된 반죽물은 이송부(100)를 통해 제1압착롤러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되거나, 추가적인 이동기(미도시)에 의해 반죽물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1압착롤러부(300)는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1압착롤러부의 정면도이다. 제1압착롤러부(300)는 상하로 맞물리는 한쌍의 롤러부(311,31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압착 롤러부(300)는 제1상부 롤러(312) 및 제1하부 롤러(311), 롤러의 회전을 위해 제1상부 롤러(312)를 관통하는 제1 상부중심축(331) 및 제1하부 롤러(311)를 관통하는 제1 하부중심축(332), 제1상부중심축(331)의 양끝단과 베어링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332a,3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하부 롤러(311)는 컨베이어 벨트(40) 내부에 구비되고, 이송롤러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하부중심축(332)의 양 끝단은 메인프레임(10)과 베어링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상부 중심축(331) 및 제1하부 중심축(332)은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반죽혼합부(200)로부터 반죽물 이송이 시작되면,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332a,332b)의 길이를 축소시켜 제1상부롤러(312)와 제1하부롤러(311)가 두께(d)만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상부롤러(312)와 제2하부롤러(311)의 제2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축(331,332)과 함께 회전되어, 이송되는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51)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곡물피(51)의 두께(d)가 0.5mm 미만이면 김부각은 색상 및 조직 감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며, 1.5mm 초과하면 완성된 김부각의 구음공정시, 시간이 길어져 고명이 타거나 색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곡물피(51)의 두께(d)는 0.5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압착롤러부(300)에서 제조되는 곡물피(51)는 이송부(100)를 통해 도포부(400)로 이송될 수 있다. 도포부(400)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도포부의 정면도이다. 도포부(400)는 식용접착제(11)를 적재하는 적재부(411), 적재부(411)에 적재된 식용접착제(11)를 분사시키는 노즐(412), 적재부(411)와 연결되는 수평프레임(431), 수평프레임(431)의 양 끝단과 메인프레임(10)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432a,432b)를 포함할 수 있다.
곡물피(51)가 이송되면,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432a,432b)를 신축하여 곡물피(51)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식용접착제(11)가 곡물피(51) 상부에 도포되도록 노즐(412)을 통해 식용접착제를 분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물피(51) 상부에 식용접착제 층(52)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노즐(412)을 이용하여 식용접착제(11)를 분사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회전가능한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식용접착제(11)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적층부(450)에 의해, 식용접착제(11)가 도포된 곡물피(51) 상부에 김이 적층될 수 있다. 제1적층부(450)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제1적층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적층부의 진공흡착부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적층부(450)는 제1진공흡착부(451) 및 제1진공챔버(4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고하면 제1진공흡착부(451)는 챔버형태로 하부면에 복수의 진공홀(70)을 구비할 수 있고, 제1진공챔버(452)는 제1진공흡착부(451)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공흡입압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적층부(450)는 수평이동 및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 김 적재함(미도시) 등에 구비된 김을 진공흡입압으로 흡입하여 부착시켜 식용접착제(52)의 상부로 적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적층부(450)는 제1진공챔버(452)로부터 공급되는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김(53)을 제1진공흡착부(451)의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식용접착제(11)가 도포된 식용접착제 층(52) 상부로 수직이동 후, 진공흡입압을 차단시켜 부착된 김(53)을 식용접착제 층(52) 상부에 적층시킬 수 있다. 즉, 김부각(50)은 도 10의 (a) 같이, 곡물피(51), 식용접착제(11)가 도포된 식용접착제 층(52), 및 김(53)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된 김부각(50)은 이송부(100)를 통해 제2압착롤러부(500)로 이송될 수 있다. 제2압착롤러부(500)는 제조된 곡물피(51) 상부에 식용접착제(11)가 도포된 후 김이 적층되면, 압착하여 김부각(50)을 성형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압착롤러부(500)는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제2압착롤러부의 정면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제2압착롤러부(500)는 상하로 맞물리는 한쌍의 롤러부(510,5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롤러부(510,520)는 제2상부 롤러(522) 및 제2하부 롤러(512), 제2상부 롤러(522) 및 제2하부 롤러(512)에 각각 형성된 돌기(523,513), 롤러의 회전을 위해 제2상부 롤러(522)를 관통하는 제2 상부중심축(521) 및 제2하부 롤러(512)를 관통하는 제2 하부중심축(511), 제2상부중심축(521)의 양끝단과 베어링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532a,5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하부중심축(511)의 양 끝단은 메인프레임(10)과 베어링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상부 중심축(521) 및 제2하부 중심축(511)은 회전구동시키는 제3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곡물피(51), 식용접착제층(52), 및 김(53)이 순서대로 적층된 김부각(50)이 이송되면,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532a,532b)의 길이를 축소시켜 제2상부롤러(522)와 제2하부롤러(512)가 일정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두께는 적층된 김(53)의 매수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김(53)이 적층된 김부각은 도 8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2상부롤러(522)와 제2하부롤러(512)는 제3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축(521,511)과 함께 회전되고, 돌기(523,513)에 의해 도 10의 (b)와 같이 김부각(50)이 성형되어, 김부각(50)의 표면에 엠보싱(54)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54)이 형성된 김부각(50)은 이송부(100)를 통해 절단부(60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의 김부각 제조장치(1000)는 도 1의 구성에 제2적층부(460) 및 제3압착롤러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적층부(460)는 제2진공흡착부(461) 및 제2진공챔버(4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적층부(460)의 구조는 제1적층부(45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제2적층부(460)는 제2진공챔버(462)로부터 공급되는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제2압착롤러부(500)를 통해 제1 성형된 김부각(50)을 제2진공흡착부(461)의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제2 성형된 김부각(50) 상부로 수직이동 후, 진공흡입압을 차단시켜 부착된 제1 성형된 김부각(50)을 제2 성형된 김부각(50)의 상부에 적층시킬 수 있다.
이때, 제1성형된 김부각(50)은 제2압착롤러부(500)로부터 성형되어 이송되는 김부각(50) 중 홀수번째 김부각이 될 수 있으며, 제2성형된 김부각(50)은 제2압착롤러부(500)로부터 성형되어 이송되는 김부각(50) 중 짝수번째 김부각이 될 수 있다. 한편, 이송부(100)의 이송타이밍은 제2적층부(460)의 진공흡입시간 및 적층시간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적층된 제1 성형된 김부각(50) 및 제2 성형된 김부각(50)은 이송부(100)를 통해 제3압착롤러부(550)로 이동되어 압착될 수 있다. 한편, 제3압착롤러부(550)는 상하로 맞물리는 한쌍의 롤러부(510,5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8의 구성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2압착롤러부(500) 또는 제3압착롤러부(550)에서 압착되어 엠보싱을 형성한 김부각은 이송부(100)를 통해 절단부(600)로 이송될 수 있다. 절단부(600)는 도 9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도 9는 도 1 및 도 8의 절단부의 정면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절단부(600)는 복수 개의 커터(613), 각 커터(613)와 축(614) 등으로 연결되는 커터지지부(612), 커터지지부(612)와 연결되어 커터지지부(612)를 이동시키는 수평프레임(631), 수평프레임(631)의 양 끝단과 메인프레임(10)에 각각 연결되고 신축하여 수평프레임(631)을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632a,6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축(614)은 회전구동시키는 제4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엠보싱(54)이 형성된 김부각(50)이 이송되면,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632a,632b)를 축소시켜 커터(613)를 이동시키고, 제4모터(미도시)를 구동하여 커터(613)를 회전시킴으로써 김부각(50)을 절단할 수 있다. 한편, 김부각(50)의 방향을 변경 또는, 커터(613) 방향이 다른 절단부를 더 추가하여 종횡으로 절단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절단된 김부각(50)의 크기는 25~35mm × 25~35mm가 될 수 있다.
한편, 절단부(600)는 커터(613)를 이용하여 절단하였으나, 가위 등을 이용하여 절단할 수도 있다. 절단된 김부각(50)은 구음공정부(700)로 이송될 수 있다.
구음공정부(700)는 오븐을 이용하여 절단된 김부각(50)을 구워낼 수 있다. 이때, 김부각(50)에 선택적으로 식용기름을 바르거나 바르지 않고 180~250℃로 5~15 초간 통과시켜 구워 도 10의(c)와 같은 김부각(50)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식용기름 도포는 절단과정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김부각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할 수 있다(810). 여기서,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가루가 될 수 있다.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는 글루텐이 많이 포함된 곡물가루로, 반죽물 제조시 물을 균등하게 흡수하고 점성을 형성함으로써 반죽물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추후 김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김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등이 될 수 있으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할 수 있다(820). 이때, 곡물피(51)의 두께(d)가 0.5mm 미만이면 김부각은 색상 및 조직 감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며, 1.5mm 초과하면 완성된 김부각의 구음공정시, 시간이 길어져 고명이 타거나 색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곡물피(51)의 두께(d)는 0.5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조된 곡물피의 상부에 식용접착제를 도포하고(830), 식용접착제가 도포된 곡물피 상부에 김을 적층할 수 있다(840).
다음으로,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제2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적층된 곡물피 및 김을 압착함으로써 김부각을 성형할 수 있다(850).
다음으로, 성형된 김부각을 일정크기로 절단할 수 있다(860). 이때, 절단된 김부각의 크기는 25~35mm × 25~35mm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오븐을 이용하여, 절단 및 성형된 김부각을 구음공정할 수 있다(870). 이때, 김부각에 선택적으로 식용기름을 바르거나 바르지 않고 180~250℃로 5~15 초간 통과시켜 구워낼 수 있다. 한편, 식용기름 도포는 절단과정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구음공정을 거친 김부각은 도 10의 (c)와 같이 표면에 엠보싱(54)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바삭함을 더 해줄 수 있다. 또한, 본래의 구수한 맛을 낼 수 있으며, 한약재로 인한 향미 및 약재의 효과를 더해주어 웰빙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0 : 김부각 제조장치 100 : 이송부
200 : 반죽혼합부 300 : 제1압착롤러부
400 : 도포부 500 : 제2압착롤러부
600 : 절단부 700 : 구음공정부
50 : 김부각 51 : 곡물피
52 : 식용접착제 층 53 : 김
54 : 엠보싱

Claims (18)

  1.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 혼합부;
    상기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하는 제1 압착 롤러부;
    상기 제조된 곡물피 상부에 김이 적층되면, 압착하여 김부각을 성형하는 제2 압착 롤러부; 및,
    상기 김부각을 오븐을 이용하여 구음공정하는 구음공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김부각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음공정부는, 상기 절단된 김부각을 구음공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롤러 컨베이어, 상기 롤러 컨베이어가 안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곡물피가 이송되면, 식용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된 식용접착제 상부에 상기 김을 적층시키는 제1적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죽 혼합부, 제1압착 롤러부, 도포부, 제2 압착 롤러부, 절단부, 및 구음공정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순서대로 장착되며, 상기 제1적층부는 상기 도포부 및 제2압착롤러부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층부는,
    챔버형태로 하부면에 복수의 진공홀을 구비하는 제1진공흡착부; 및
    상기 제1진공흡착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공흡입압을 공급하는 제1진공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적층부는,
    상기 제1진공챔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김을 상기 제1진공흡착부의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도포된 식용접착제 상부로 수직이동 후, 상기 진공흡입압을 차단시켜 상기 부착된 김을 상기 도포된 식용접착제 상부에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김부각 제조장치는,
    챔버형태로 하부면에 복수의 진공홀을 구비하는 제2진공흡착부 및 상기 제2진공흡착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공흡입압을 공급하는 제2진공챔버를 포함하는 제2적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적층부는,
    상기 제2진공챔버로부터 공급되는 진공흡입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압착롤러부를 통해 제1 성형된 김부각을 상기 제2진공흡착부의 하부면에 부착시키고, 제2 성형된 김부각 상부로 수직이동 후, 상기 진공흡입압을 차단시켜 상기 부착된 제1 성형된 김부각을 상기 제2 성형된 김부각의 상부에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김부각 제조장치는,
    상기 적층된 제1 및 제2 성형된 김부각을 압착하는 제3압착롤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압착롤러부는, 상기 제2 압착롤러부 및 제1건조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제2적층부는 상기 제2압착롤러부 및 제3압착롤러부 사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이동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롤러부 내지 제3 압착 롤러부는 상하로 맞물리는 한쌍의 롤러부를 구비하여 압착하며, 상기 제2 압착 롤러부 및 제3 압착 롤러부는, 한쌍의 롤러부의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 롤러부는,
    상기 반죽물을 압착하여 0.5 내지 1.5mm의 두께의 곡물피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가 되며, 상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1. 김부각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김부각에 있어서,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한 반죽물을 압착하여 형성된 곡물피;
    상기 곡물피 상부에 도포된 식용접착제 층; 및,
    상기 식용접착제 층 상부에 적층된 김;을 포함하며,
    상기 곡물피, 식용접착제 층, 및 김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압착된 후, 오븐이용하여 구음공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피는, 0.5 내지 1.5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며, 상기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가 되며, 상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14.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혼합단계;
    상기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하는 제1 압착단계;
    상기 제조된 곡물피 상부에 김을 적층하는 적층단계;
    적층된 곡물피 및 김을 압착하여 김부각을 성형하는 제2 압착단계;
    상기 성형된 김부각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오븐을 이용하여 상기 김부각을 구음공정하는 구음공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단계는,
    상기 제조된 곡물피의 상부에 식용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식용접착제가 도포된 곡물피 상부에 상기 김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단계는,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한쌍의 롤러로 상기 김부각을 압착하여 엠보싱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압착단계는,
    상기 반죽물을 압착하여 0.5 내지 1.5mm의 두께의 곡물피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루는,
    강력분 밀가루 및 전분가루 중 어느 하나와, 쌀가루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한약재는, 인삼, 대추, 구기자, 오미자, 복분자, 진피, 산약, 산수유 중 어느 하나가 되며, 상기 곡물가루와 분쇄된 한약재는 7:3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방법.
KR20130138736A 2013-11-15 2013-11-15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KR101466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8736A KR101466001B1 (ko) 2013-11-15 2013-11-15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8736A KR101466001B1 (ko) 2013-11-15 2013-11-15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001B1 true KR101466001B1 (ko) 2014-11-27

Family

ID=5229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8736A KR101466001B1 (ko) 2013-11-15 2013-11-15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0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083A (ko) * 2015-06-09 2015-06-24 유한회사 깃듬 김부각 제조방법
KR101726544B1 (ko) * 2016-03-04 2017-04-12 주식회사 호남샤니 만쥬빵 깨 자동도포기
KR101774097B1 (ko) * 2015-02-16 2017-09-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제조 방법
KR101940961B1 (ko) * 2018-09-18 2019-01-21 주식회사 맛사랑 김 과자의 반죽 양면에 김을 부착할 수 있는 김 부착 장치
KR20190028106A (ko) * 2017-09-08 2019-03-18 (주)서원푸드 만두제조장치
KR20220089450A (ko) * 2020-12-21 2022-06-28 영남기계 주식회사 드럼 쿠킹 머신
WO2022145965A1 (ko) * 2020-12-29 2022-07-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용 제품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용 제품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16A (ko) * 1999-04-02 2000-11-15 이전희 김의 사이에 식품이 부착된 이중김 및 그 제조방법
KR200340777Y1 (ko) 2003-10-29 2004-02-11 김용국 김부각 및 김부각 건조장치
KR20050072639A (ko) * 2004-01-07 2005-07-12 김용국 김부각 및 김부각의 제조방법
KR101286364B1 (ko) 2011-10-31 2013-07-15 전홍정 조미액을 첨가한 구이 방식의 김부각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416A (ko) * 1999-04-02 2000-11-15 이전희 김의 사이에 식품이 부착된 이중김 및 그 제조방법
KR200340777Y1 (ko) 2003-10-29 2004-02-11 김용국 김부각 및 김부각 건조장치
KR20050072639A (ko) * 2004-01-07 2005-07-12 김용국 김부각 및 김부각의 제조방법
KR101286364B1 (ko) 2011-10-31 2013-07-15 전홍정 조미액을 첨가한 구이 방식의 김부각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5960B2 (en) 2015-02-16 2020-05-12 Cj Cheiljedang Corporatio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foo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8525970A (ja) * 2015-02-16 2018-09-13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Cj Cheiljedang Corporation 食品の加工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の製造方法
KR101774097B1 (ko) * 2015-02-16 2017-09-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품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제조 방법
TWI626889B (zh) * 2015-02-16 2018-06-21 Cj第一製糖股份有限公司 食品處理設備及利用此設備之食品製造方法
EP3259997A4 (en) * 2015-02-16 2018-08-01 CJ Cheiljedang Corporation 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food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CN107223018A (zh) * 2015-02-16 2017-09-29 Cj第制糖株式会社 食品加工装置及使用其的食品制造方法
RU2705550C2 (ru) * 2015-02-16 2019-11-07 СиДжей ЧЕИЛДЗЕДАНГ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 его применением
KR20150070083A (ko) * 2015-06-09 2015-06-24 유한회사 깃듬 김부각 제조방법
KR101658571B1 (ko) 2015-06-09 2016-09-21 유한회사 깃듬 김부각 제조방법
KR101726544B1 (ko) * 2016-03-04 2017-04-12 주식회사 호남샤니 만쥬빵 깨 자동도포기
KR102003209B1 (ko) * 2017-09-08 2019-07-25 (주)서원푸드 만두제조장치
KR20190028106A (ko) * 2017-09-08 2019-03-18 (주)서원푸드 만두제조장치
KR101940961B1 (ko) * 2018-09-18 2019-01-21 주식회사 맛사랑 김 과자의 반죽 양면에 김을 부착할 수 있는 김 부착 장치
KR20220089450A (ko) * 2020-12-21 2022-06-28 영남기계 주식회사 드럼 쿠킹 머신
KR102510113B1 (ko) * 2020-12-21 2023-03-14 영남기계 주식회사 드럼 쿠킹 머신
WO2022145965A1 (ko) * 2020-12-29 2022-07-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용 제품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식용 제품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001B1 (ko) 구음공정 김부각, 김부각 제조장치, 및 김부각 제조방법
KR101591466B1 (ko) 튀김공정 김부각 제조장치
KR101658571B1 (ko) 김부각 제조방법
EP3259997B1 (en) Food processing apparatus
EP2830427B1 (en) No bake granola product and methods of preparation
KR101856471B1 (ko) 김부각의 제조방법
KR101465999B1 (ko) 김부각 및 김부각 제조방법
KR101658569B1 (ko) 튀김공정 김부각
KR20180007270A (ko) 김부각의 제조방법
CN104473040A (zh) 一种牛蒡根养生面条及其制备方法
KR101911896B1 (ko) 다층구조의 면대 제조장치와 다층 구조의 면대를 이용한 면 제조방법
KR101996413B1 (ko) 롤 형상의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101854849B1 (ko) 김 부각의 제조방법
KR101682032B1 (ko) 김부각의 제조방법
CN103918858A (zh) 一种豆酥糖的制作方法
KR102135880B1 (ko) 김부각의 제조방법
KR101172716B1 (ko) 문양이 표현된 다중 만두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6834B1 (ko) 김부각의 제조방법
JP3806691B2 (ja) とろろ昆布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とろろ昆布シート片の製造方法
JPS58165739A (ja) あられ様スナツク菓子の製造法
KR20200088981A (ko) 초콜릿 조성물이 코팅된 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1771A (ko) 떡 가공식품 제조방법
JPH01211450A (ja) のり巻きおこし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