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877B1 -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877B1
KR101465877B1 KR1020130048471A KR20130048471A KR101465877B1 KR 101465877 B1 KR101465877 B1 KR 101465877B1 KR 1020130048471 A KR1020130048471 A KR 1020130048471A KR 20130048471 A KR20130048471 A KR 20130048471A KR 101465877 B1 KR101465877 B1 KR 10146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fermentation
weight
container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9760A (ko
Inventor
오당섭
Original Assignee
오당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당섭 filed Critical 오당섭
Priority to KR102013004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87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2Clouding agents; Agents to improve the cloud-sta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을 가지는 백하수오와 항암효과와 노화억제의 효능을 가지는 개똥쑥을 이용하여 효소의 파괴를 저하시키면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이를 섭취할 경우에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을 가지는 백하수오와 항암효과와 노화억제의 효능을 가지는 개똥쑥을 이용하여 효소의 파괴를 저하시키면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이를 섭취할 경우에 자양강장 및 항암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white hasuo and artemisia annua fermentation liquid.}
본 발명은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을 가지는 백하수오와 항암효과와 노화억제의 효능을 가지는 개똥쑥을 이용하여 효소의 파괴를 저하시키면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이를 섭취할 경우에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경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건강 보조식품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현대인의 건강지향형 식품 선호 패턴은 다양한 천연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이들이 가진 기능성을 유지 및 강화시킨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고 그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식품이다.
발효 식품은 발효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영양적, 기능적으로 우수하며,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알코올과 유기산은 식품의 저장과 품질개선,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한다.
한편, 하수오(何首烏)는 덩굴식물로 우리나라 각지 산야에 자생하고 있는 한약재로서, 예로부터 정력과 기를 보호하는 강장 기능과 탈모 방지와 머리를 검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수오는 한방 임상에서는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를 구분하여 사용하며, 백하수오는 마디풀과의 다년생으로 시계 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뻗는 식물로 줄기나 잎을 자르면 백색유액이 나오며 뿌리는 마와 같이 주근이 비대하다.
주요성분으로는 총 질소, 전분, 조지방,광물질, 레시틴, 안트라 퀴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며, 레시틴은 심장을 강하게 하며 안트라 퀴논 유도체는 중추신경 계통에 대한 흥분작용을 하며 장연동 운동을 강화시켜 약한 설사작용을 일으킨다.
동의보감에서는 노인성 변비나 옴과 습진 등 피부병에 쓰며 강장, 강정, 장수약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원래 이 식물은 교등이라고 불려졌으며 하수오라는 사람이 이 약초를 달여먹고 흰머리가 검게되고 160살까지 살았다 하여 하수오로 불려졌다고 한다.
백하수오는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이 있어, 병후쇠약, 빈혈, 조기백발(早期白髮), 신경쇠약, 만성풍비(慢性風痺) 등에 사용하게 되며, 이 밖에도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는 작용과 항균작용도 있다.
상기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하수오의 성능을 제공받고자 일반인들은 하수오에 소주를 넣어 하수오주를 만들어 음용하고 있으나, 이는 알콜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그대로 음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개똥쑥(artemisia annu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국화과에 속하며 한국, 일본, 타이완, 몽골, 시베리아 등지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잔잎쑥 혹은 개땅쑥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길가나 빈터, 강가에서 자라는 것으로 높이가 약 1m이며, 풀 전체에 털이 없고 특이한 냄새가 나는 식물로서, 한방에서는 발열 감기, 학질, 소아경기, 소화불량,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서양에서는 마취제, 양념, 식초의 방향제로 쓰여져 왔다.
개똥쑥(artemisia annua)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으로는 아테미시닌 (Artemisinin), 아테아뉴인 B(arteannuin B), 아테미신닌산(artemisininic acid), 디하이드로아테미신닌 산(Dihydroartmisinic acid), 알파-에폭시디하이드로아테미신닌 산(a-Epoxydihydroartemisinic acid), 아테아뉴인 L(Arteannuin L), 아테아뉴인 N(ArteannuinN), 디하이드로아테아뉴인 B(Dihydroarteannuin B), 3,3',7-트리메틸케르세틴(3,3',7-Trimethylquercetin), 3,4',7-트리메틸케르세틴 (3,4',7-Trimethylquercetin)이 있으며, 이는 개똥쑥에는 말라리아 병원균의 저항성에 대항하여 높은 효능을 보이는 아테미시닌(artemisinin)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또한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갖는다.
개똥쑥의 추출은 다양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겠으나, 유기용매 추출법을 살펴보면, 개똥쑥의 추출을 위해 자연 건조 후 파쇄하여 진공오븐에서 2일간 건조하고, 그 건조된 개똥쑥을 ethanol, n-hexane을 추출용매로 하여 75℃ 항온조에서 일정하게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기화된 용매는 콘덴서에서 응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추출된 농축액을 감압 여과한 후 진공오븐에서 1일간 잔류용매를 증발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똥쑥 추출물이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추출물 제조과정에서 철분 및 칼슘 성분이 손실될 경우 소화 흡수가 원활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영양분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백하수오의 자양강장 효능과 개똥쑥의 항암 효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발효 식품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을 가지는 백하수오와 항암효과와 노화억제의 효능을 가지는 개똥쑥을 이용하여 효소의 파괴를 저하시키면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이를 섭취할 경우에 자양강장 및 항암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물에 희석하여 건강 음료로 즐겨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하수오 및 개똥이 지닌 유효 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게 하여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은,
선별된 백하수오 8 내지 10 중량부와 개똥쑥 8 내지 10 중량부를 세척하는 백하수오/개똥쑥세척단계(S100)와;
용기에 물 12 ℓ를 투입한 후, 100 ℃ 온도로 끓여 살균 처리하는 살균처리단계(S200)와;
상기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세척된 백하수오와 개똥쑥을 투입하고, 설탕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하는 설탕혼합단계(S300)와;
혼합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20일~30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액제조단계(S400)와;
상기 용기에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건져내고, 숙성실에 1년간 보관하여 숙성 발효시키는 숙성발효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은,
자양강장, 보혈(補血), 익정(益精), 소종(消腫)의 효능을 가지는 백하수오와 항암효과와 노화억제의 효능을 가지는 개똥쑥을 이용하여 효소의 파괴를 저하시키면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이를 섭취할 경우에 자양강장 및 항암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물에 희석하여 건강 음료로 즐겨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하수오 및 개똥이 지닌 유효 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게 하여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은,
선별된 백하수오 8 내지 10 중량부와 개똥쑥 8 내지 10 중량부를 세척하는 백하수오/개똥쑥세척단계(S100)와;
용기에 물 12 ℓ를 투입한 후, 100 ℃ 온도로 끓여 살균 처리하는 살균처리단계(S200)와;
상기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세척된 백하수오와 개똥쑥을 투입하고, 설탕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하는 설탕혼합단계(S300)와;
혼합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20일 ~ 30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액제조단계(S400)와;
상기 용기에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건져내고, 숙성실에 1년간 보관하여 숙성 발효시키는 숙성발효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발효액제조단계에서,
온도를 24 ~ 26℃ 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숙성발효단계에서,
숙성실 내의 온도를 20 ~ 30℃ 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1. 백하수오/개똥쑥세척단계(S100)
발효 효소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선별하고, 수세척하는 것으로 완료된다.
즉, 백하수오는 발육이 양호하면서 병충해에 피해를 입지 않은 상품을 일차적으로 선별하고, 이렇게 선별된 생 백하수오에 대해서는 흙과 이물질 제거를 위해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반복하여 세척한 뒤 상태가 양호한 상품을 이차적으로 선별한다.
또한, 개똥쑥은 5월에서 7월 사이 부드러울 때 뿌리째 채취하여 준비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개똥쑥도 흙과 이물질 제거를 위해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반복하여 세척한 뒤 상태가 양호한 상품을 이차적으로 선별한다.
이후, 선별된 백하수오 8 내지 10 중량부와 개똥쑥 8 내지 10 중량부를 준비하게 된다.
한편, 개똥쑥의 효능은 오래전부터 이질이나 소화불량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돼 왔고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 연구팀의 연구발표 자료에 의하면 항암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돼 있어 기종 항암제보다 1200배 높은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뿐만 아니라, 개동쑥은 말라리아 치료제인 아테미신 제조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열을 내리게 하고 면역조절에는 물론 피로회복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양강장의 효능을 가지고 있는 백하수오와 탁월한 항암 효능을 가지고 있는 개똥쑥을 발효시켜 언제 어디서라도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발효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게 되었다.
2. 살균처리단계(S200)
본 단계는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투입하기 위한 물속의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단계이다.
즉, 용기에 물 12 ℓ를 투입한 후, 100 ℃ 온도로 끓여 물을 살균 처리하게 된다.
물을 끓여 살균하는 이유는 물속에 함유된 각종 세균이나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멸균된 상태의 물 속에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투입하여 좀 더 안전한 발효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3. 설탕혼합단계(S300)
본 단계는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백하수오와 개똥쑥을 투입하고, 설탕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즉,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을 4 : 1의 중량비로 유지하기 위하여 설탕 4 내지 5 중량부를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백하수오와 개똥쑥을 투입하고, 설탕을 투입하여 골고루 혼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백하수오 8kg, 개똥쑥 8kg에 설탕 4kg의 비율로 계량하여 용기에 투입한 다음 교반하여 설탕이 용해되게 하는 것이다.
효소 발효시 설탕을 넣는 이유는 백하수오에 함유되어 있는 고유 성분을 최대한 빨리, 많이 용출시키며, 설탕의 농도가 진할수록 삼투압이 크게 작용되어 성분이 쉽게 용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똥쑥의 쓴맛을 중화시키기 위한 것이며, 미생물의 성장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보존기간을 연장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설탕의 농도가 진할수록 잡균의 세포에도 삼투압 현상이 작용되어 모든 균을 사멸시킬 수 있게 되며, 효소 발효시 효소 증식에 따른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설탕의 농도가 너무 진하면 효소도 모두 죽어버리는 문제점이 있게 되므로 적당한 농도로 효소의 증식을 활발하게 유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1 : 1의 중량비로 투입하게 되면 발효가 되지 않거나 매우 늦게 진행되므로 6개월이 지나도 발효될 수가 없다.
따라서,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1 : 1의 중량비로 계량하여 투입하게 되면 발효가 원활하지 않고, 효소균을 죽이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4. 발효액제조단계(S400)
본 단계는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20일 ~ 30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게 된다.
즉, 용기에 통기 가능하게 커버를 씌우고 응달에서 20일 ~ 30일 동안 발효시키게 된다.
특히, 발효시 온도 상승은 백하수오의 색상 갈변 등으로 이어지므로 24 ~ 26℃ 로 유지하여 20일 ~ 30일 동안 발효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여야 한다.
상기의 단계를 거치게 되면 백하수오 및 개똥쑥의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백하수오의 성분과 개똥쑥의 성분이 추출되고, 동시에 미생물의 발효작용이나,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에 의해 영양분이나 맛이 향상되며, 이는 발효과정에서 재료에 없는 영양분이나 맛이 더해지는 발효식품 고유의 기능에 기인된 것이다.
한편, 30일을 초과하게 되면 효소 발효에 도움이 되지 않게 되고, 오히려 발효액이 탁해지거나 잡냄새의 발생만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5. 숙성발효단계(S500)
본 단계는 용기에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분리시켜 백하수오 성분과 개똥쑥 성분이 추출된 성분추출액을 얻고, 상기 성분추출액을 충분히 숙성, 발효시켜 본 발명에서 얻고자 하는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용기에서 백하수오와 개똥쑥을 건져내고, 숙성실에 1년간 보관하여 숙성 발효시킴으로써,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숙성실 내의 온도를 20 ~ 30℃ 로 유지하고, 1년간 숙성 발효시켜야 한다.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액 속에 있는 포도당이나 과당이 효소작용(촉매작용)을 받아 다시 분해하여 이산화 탄소와 에너지를 발생한다.
숙성 초기 약 1개월 동안은 간헐적으로 저어 주어 공기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특히, 숙성 기간이 길수록 당의 량은 줄어들고 인체에 유익한 발효 부산물이 축적되는 것이므로 1년간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온도는 20 ~ 30℃ 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60도 이상이면 효소는 사멸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온도를 유지시켜줘야 하며, 숙성 용기의 입구는 한지등으로 봉하여 가스나 공기가 통하게 해야 한다.
결국, 상기와 같은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물에 희석하여 건강 음료로 즐겨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하수오가 지닌 유효 성분과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게 하여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실시예 1>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4 : 1의 중량비로 25일 동안 발효액을 제조, 비교예1은 40일 동안 발효액을 제조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백하수오 8kg, 개똥쑥 8kg, 설탕 4kg의 비율로 계량하여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투입한 다음 설탕을 투입한 후 교반하여 설탕을 용해하였다.
이후, 25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용기에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건져내고, 숙성실 내의 온도를 20 ~ 30℃ 로 유지하고, 1년간 숙성 발효시켜 실시예1의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비교예1은 제조 과정은 동일하되, 40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실험 1
관능검사는 혼탁도, 잡냄새, 기호도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
혼탁도, 잡냄새,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구분 혼탁도 잡냄새 기호도 종합
실시예1 8 9 9 8
비교예1 2 3 2 2
* 관능 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5 : 보통임 0 : 아주 나쁨)
상기 표 1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 1은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4 : 1의 중량비로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25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혼탁도가 낮으며, 잡냄새가 거의 나지 않아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1의 경우에는 40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혼탁도가 높고, 잡냄새가 많이 나서 기호도가 현저히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차 발효 과정에서 발효 기간을 최소 30일을 초과하지 않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4 : 1의 중량비로 발효액을 제조, 비교예2는 1 : 1의 중량비로 발효액을 제조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백하수오 8kg, 개똥쑥 8kg을 투입하고, 설탕 4kg의 비율로 계량하여 투입한 다음 교반하여 설탕을 용해하였다.
이후, 25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용기에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건져내고, 숙성실 내의 온도를 20 ~ 30℃ 로 유지하고, 6개월 동안 숙성 발효시켜 실시예2의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비교예2는 백하수오 8kg, 개똥쑥 8kg을 용기에 투입하고, 설탕 16kg의 비율로 계량하여 투입한 다음 교반하여 설탕을 용해하였으며, 이후 제조 과정은 동일하게 하였으며, 숙성 6개월되는 시점에 육안으로 발효 정도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실험예 2> 관능실험 2
관능검사는 육안 확인 항목으로 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대 ~ 4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40 명을 선발하였다.
육안 확인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구분 발효 정도 종합
실시예2 7 8 7.5
비교예2 2 5 3.5
* 관능 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5 : 보통임 0 : 아주 나쁨)
상기 표 2의 결과로 볼 때, 실시예2는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4 : 1의 중량비로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6개월 동안 숙성실에서 숙성시켜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므로 발효 정도가 보통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2의 경우에는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1 : 1의 중량비로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발효 정도가 보통보다 현저히 떨어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맛에서 보통의 결과를 얻었지만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보통보다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즉,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1 : 1의 중량비로 투입하게 되면 발효가 되지 않거나 매우 늦게 진행되므로 6개월이 지나도 발효될 수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1 : 1의 중량비로 계량하여 투입하게 되면 발효가 원활하지 않고, 효소균을 죽이게 되므로 백하수오와 개똥쑥의 중량을 합한 중량과 설탕의 중량을 4 : 1의 중량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조 방법을 통해 효소의 파괴를 저하시키며, 백하수오가 지닌 유효 성분과 개똥쑥이 지닌 유효 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제조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을 물에 희석하여 건강 음료로 즐겨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백하수오 및 개똥이 지닌 유효 성분을 자연스럽게 섭취할 수 있게 하여 건강 증진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0 : 백하수오/개똥쑥세척단계
S200 : 살균처리단계
S300 : 설탕혼합단계
S400 : 발효액제조단계
S500 : 숙성발효단계

Claims (3)

  1.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선별된 백하수오 8 내지 10 중량부와 개똥쑥 8 내지 10 중량부를 세척하는 백하수오/개똥쑥세척단계(S100)와;
    용기에 물 12 ℓ를 투입한 후, 100 ℃ 온도로 끓여 살균 처리하는 살균처리단계(S200)와;
    상기 살균 처리된 물이 담겨진 용기에 세척된 백하수오와 개똥쑥을 투입하고, 설탕 4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하는 설탕혼합단계(S300)와;
    혼합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20일 ~ 30일 동안 용기에 보관하여 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액제조단계(S400)와;
    상기 용기에서 백하수오 및 개똥쑥을 건져내고, 숙성실에 1년간 보관하여 숙성 발효시키는 숙성발효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발효액제조단계에서,
    온도를 24 ~ 26℃ 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숙성발효단계에서,
    상기 숙성실 내의 온도를 20 ~ 30℃ 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30048471A 2013-04-30 2013-04-30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KR10146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471A KR101465877B1 (ko) 2013-04-30 2013-04-30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471A KR101465877B1 (ko) 2013-04-30 2013-04-30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760A KR20140129760A (ko) 2014-11-07
KR101465877B1 true KR101465877B1 (ko) 2014-11-26

Family

ID=5229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471A KR101465877B1 (ko) 2013-04-30 2013-04-30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8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155A (ko) * 2006-06-21 2007-08-23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110031851A (ko) * 2009-09-21 2011-03-29 김진순 개똥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01557A (ko) * 2011-06-27 2013-01-04 (주)자연담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닭고기 숙성 방법 및 숙성된 닭고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3155A (ko) * 2006-06-21 2007-08-23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110031851A (ko) * 2009-09-21 2011-03-29 김진순 개똥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01557A (ko) * 2011-06-27 2013-01-04 (주)자연담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닭고기 숙성 방법 및 숙성된 닭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760A (ko) 201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357B1 (ko) 한방 발효 음료 제조 방법
KR102662426B1 (ko)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와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노니 식초의 제조방법
KR101799424B1 (ko) 황기 발효산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CN105285537A (zh) 一种安神柠檬味果蔬酱及其制备方法
KR20170083176A (ko) 천동삼을 포함하는 기능성 음료용 조성물
KR20150095258A (ko) 발효주의 제조방법
KR20090098024A (ko) 약주의 제조방법
KR101276789B1 (ko) 발효 오일 및 그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198914B1 (ko) 충치균 생육을 억제하는 우엉발효물
KR101186247B1 (ko) 오미자와 표고버섯을 함유하는 풍미와 보존성이 우수한 조미료의 제조 방법
KR20100053179A (ko) 미생물 발효를 통한 발효산물로 기능성 벌꿀을 제조하는 방법 및 기능성 벌꿀
KR101465876B1 (ko) 적하수오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KR101465877B1 (ko) 백하수오 및 개똥쑥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KR101690416B1 (ko) 천마, 미강, 치아씨, 녹차분말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147881B1 (ko) 아연과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아연 및 셀레늄이 융합된 기능성 인삼간장의 제조방법
CN107836690A (zh) 一种菊芋调味品及其制作方法
KR101185961B1 (ko) 허브 발효액과 홍삼 발효액이 함유된 닭육수 제조방법 및 허브 발효액과 홍삼 발효액이 함유된 닭육수
KR101436577B1 (ko) 백하수오 발효 효소액의 제조방법
KR101323694B1 (ko) 거문도 해풍 쑥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4240A (ko) 발효 숙성시킨 흑마늘이 포함된 된장, 쌈장, 청국장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0893975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KR20140129759A (ko) 백하수오 및 적하수오의 발효 효소액 제조방법
KR20130121221A (ko) 후코이단 효소 제조방법
KR100929932B1 (ko) 금 나노 포도와 마늘을 함께 발효시킨 마늘 포도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늘 포도주
KR102621081B1 (ko) 조개 및 해산물류의 양념소스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