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857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857B1
KR101465857B1 KR1020127032753A KR20127032753A KR101465857B1 KR 101465857 B1 KR101465857 B1 KR 101465857B1 KR 1020127032753 A KR1020127032753 A KR 1020127032753A KR 20127032753 A KR20127032753 A KR 20127032753A KR 101465857 B1 KR101465857 B1 KR 10146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back frame
slid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928A (ko
Inventor
다이스케 이시다
나리아키 가미야
겐타로 스즈키
미츠루 하세다
Original Assignee
가리모쿠 가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리모쿠 가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리모쿠 가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bstract

의자의 등받이를 일으키거나 넘어뜨렸을 때에, 착석자의 등과 등받이의 어긋남을 적게 하기 위해서,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게 구비된 백 프레임 (8) 에 시트 프레임 (10) 을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이 백 프레임 (8) 이 넘어갈수록 시트 프레임 (10) 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시트 프레임 (10) 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의자 (1) 에 있어서, 백 프레임 (8) 이, 한 쌍의 사이드 틀 (8a, 8b) 을 갖고,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형성하고, 슬라이드 프레임 (15) 에 등 쿠션재를 형성하고, 시트 프레임 (10) 에 시트 쿠션재를 형성하며,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백 프레임 (8) 이 넘어갈수록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시트 방향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시트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등 쿠션재와 시트 쿠션재 사이의 간극이, 백 프레임 (8) 이 넘어갈수록 작아지고,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커진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8 ∼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의 뒤쪽에 고정시킨 지축 (支軸) (101) 에 의해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백 프레임 (102) 을 구비하여, 그 백 프레임 (102) 의 하단과 시트 프레임 (103) 의 후단을 회전축 (108) 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상기 백 프레임 (102) 에 등 쿠션재와 표피재 등을 장착하여 등받이 (104) 로 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 (103) 에 시트 쿠션재와 표피재 등을 장착하여 시트 (105) 로 하며, 상기 등받이 (104) 를, 상기 지축 (101) 을 중심으로 하여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게 구비한 의자 (110) 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 특허 제3618443호 일본 특허 제3914020호
상기 종래의 의자 (110) 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 (104) 를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는, 그 시트 (105) 의 상면 리어부 (111) 와 등받이 (104) 의 전면 하부 (112) 가 접점 (G) 에서 접하고 있다.
그러나, 시트 프레임 (103) 의 상부에 시트 쿠션재가 설치되어 시트 (105) 가 형성되고, 백 프레임 (102) 의 전면 (前面) 에 등 쿠션재가 설치되어 등받이 (104) 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접점 (G) 은 시트 프레임 (103) 과 백 프레임 (102) 의 회전축 (108) 의 중심보다 상당히 전방 상부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도 18 의 등받이 (104) 가 기립한 상태에서, 도 19,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받이 (104) 를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시트 (105) 의 상면 리어부 (111) 와 등받이 (104) 의 전면 하부 (112) 가 서서히 멀어지고, 그 간극은 서서히 커져간다.
이것에 의해, 착석자 (121) 가 등받이 (104) 를 기립시킨 상태의 의자 (110) 에 착석하여 등받이 (104) 에 기댄 상태에서, 등받이 (104) 를 쓰러뜨리면, 시트 (105) 의 상면 리어부 (111) 와 등받이 (104) 의 전면 하부 (112) 가 서서히 멀어진다. 이로써, 등받이 (104) 가 기립해 있던 상태에서는 도 20 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착석자 (121) 의 머리부가, 등받이 (104) 를 쓰러뜨린 상태에서는 도 20 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등받이 (104) 를 넘어뜨렸을 때에, 착석자 (121) 의 상반신이 등받이 (104) 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착석자 (121) 의 상의가 상방으로 들려 올라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받이 (104) 를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때에, 착석자 (121) 가 입은 옷과 등받이 (104) 의 표피가 마찰되거나 함으로써, 등받이 (104) 의 표피에 상처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릴 수 있게 구비된 백 프레임에, 시트 프레임을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상기 시트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상기 시트 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이 한 쌍의 사이드 틀을 갖고, 그 사이드 틀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 프레임에 등 쿠션재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 쿠션재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시트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등 쿠션재와 시트 쿠션재 사이의 간극이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을, 의자 프레임의 뒤쪽에 고정시킨 지축에 의해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크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시트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시트 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또한, 백 프레임의 사이드 틀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 프레임에 등 쿠션재를 형성하고, 시트 프레임에 시트 쿠션재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시트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종래 기술의 의자 (110) 에 있어서는, 등받이 (104) 를 넘어뜨릴수록 시트 (105) 의 상면 리어부 (111) 와 등받이 (104) 의 전면 하부 (112) 가 이간되는 것과는 반대로, 상기 등 쿠션재와 시트 쿠션재 사이의 간극이,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커지도록 하였다.
이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의자의 등받이에 기댄 상태에서 등받이를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리거나 해도, 등받이에 의해 입은 옷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입은 옷을 고치거나 다시 고쳐 앉거나 할 필요없이, 쾌적하게 의자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우측면도.
도 3 은 도 1 의 정면도.
도 4 는 도 1 의 상면도.
도 5 는 도 4 의 E-E 선 측단면도.
도 6 은 도 5 의 상태에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린 상태의 측단면도.
도 7 은 도 6 의 상태에서 추가로 백 프레임을 넘어뜨린 상태의 측단면도.
도 8 은 도 5 의 F-F 선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 의자의 등 쿠션재와 시트 쿠션재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 의 상태의 E-E 선 측단면도.
도 10 은 도 9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E-E 선 측단면도, 또한 헤드레스트는 도 9 의 상태로 고정시켜 나타낸다.
도 11 은 도 10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E-E 선 측단면도, 또한 헤드레스트는 도 9 의 상태로 고정시켜 나타낸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 은 도 12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4 는 도 13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를 기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설명상 프레임 부분을 나타내며, 쿠션재나 표피재는 생략되어 있다.
도 16 은 도 15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7 은 도 16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18 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 는 도 18 의 상태에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도 20 은 도 19 의 상태에서, 추가로 등받이를 넘어뜨린 상태의 측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7 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1 은, 실시예 1 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의자 (1) 는,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대 (2) 를 갖는다. 그 받침대 (2) 상에는, 그 상하 방향 (수직 방향) 을 회전축으로 하여 그 받침대 (2)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대 (3) 가 구비되어 있다. 그 회전대 (3) 에는 의자 프레임 (4) 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의자 (1) 의 착석측, 즉 등받이 (28) 와 반대측을 앞 (A) 으로 하고, 등받이 (28) 측을 뒤 (B) 로 하며, 도 3 의 좌측을 왼쪽 (C), 우측을 오른쪽 (D) 으로서 설명한다.
상기 의자 프레임 (4) 은,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사이드 틀 (4a, 4b) 과, 그 양 사이드 틀 (4a, 4b) 의 하단 사이에 가설된 하부 틀 (4c) 을 갖고, 양 사이드 틀 (4a, 4b) 과 하부 틀 (4c) 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틀 (4c) 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회전대 (3) 가 고정 설치되고, 그 회전대 (3)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A) 에서 후방 (B) 을 향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대 (3) 의 뒤쪽에는, 상하 방향 (수직 방향) 으로 세워서 형성된 원통상의 기부 (基部) (3a) 가 설치되어 있다. 그 기부 (3a) 는, 상기 받침대 (2)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단부에는 팔꿈치부를 구성하는 부재, 본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팔꿈치 프레임 (5, 5) 이 의자 (1) 의 전후 (A-B)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부 후방에는, 도 5 ∼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평 (C-D 방향) 하게 돌출되는 지축 (7, 7) 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지축 (7) 에는, 이 지축 (7) 을 중심축으로 하여 백 프레임 (8) 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 백 프레임 (8) 은, 도 1,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한 쌍의 사이드 틀 (이하, 등의 사이드 틀이라고 한다) (8a, 8b) 을 갖고, 본 실시예 1 에서는, 그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원통이면서 중공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하였다. 그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은, 그 축방향이 의자 (1) 의 좌우 (C-D)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지축 (7, 7) 이 삽입 통과되고, 그 지축 (7, 7) 을 중심으로 하여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상부 사이에는, 연결봉 (8c) 이 가설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하단부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 (10) 이 전후 (A-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시트 프레임 (10) 은 좌우에 한 쌍의 사이드 틀 (이하, 시트의 사이드 틀이라고 한다) (10a, 10b) 을 갖고, 본 실시예 1 에서는, 그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를 원통이면서 중공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하였다. 이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은, 그 축방향이 의자 (1) 의 전후 (A-B)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전단부 사이에는 시트 프론트 틀 (10c) 이 가설되고, 양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후단부 사이에는 시트 리어 틀 (10d) 이 가설되어 있다. 그 시트 리어 틀 (10d) 의 양 측부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리어 틀 (10d) 에서 뒷 (B)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편 (10e, 10e) 이 형성되고, 그 각각의 연결편 (10e, 10e) 에는,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하단부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연결축 (10f) 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내면에는, 도 1,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안내 부재 (11, 11) 가 형성되고, 그 시트 안내 부재 (11) 는,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 (A) 쪽에서 뒤 (B) 쪽으로 향할수록 완만하게 하강하는 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시트 안내 부재 (11, 11) 에는, 그 시트 안내 부재 (11, 11) 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안내 수용 부재 (12, 12) 가 구비되어 있다. 그 안내 수용 부재 (12, 12) 의 내측에는, 상기 양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축방향 중간부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시트축 (12a) 에 의해 연결되어, 그 시트축 (12a) 을 중심으로 하여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이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시트 프레임 (10) 은, 시트축 (12a)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안내 부재 (11) 를 따라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상단부에는, 각각 헤드 안내 부재 (14, 14)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각 헤드 안내 부재 (14, 14) 는 판상 부재 (14a, 14a) 를 갖고, 그 판상 부재 (14a, 14a) 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하단부) 가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판상 부재 (14a, 14a) 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 (상단부) 에는 핀 (14b, 14b)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핀 (14b) 은, 도 3,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 부재 (14a) 의 외면에서 좌우 (C-D)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에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도 1,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백 프레임 (8) 보다 앞 (A) 쪽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도 1,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에 1 쌍의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과 연결 부재 (20) 를 갖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을, 본 실시예 1 에서는, 원통이면서 중공상의 금속제 파이프로 구성하였다. 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은, 그 축방향이 상기 등의 사이드 틀 (8a, 8b) 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부의 뒤쪽 사이에는 연결봉 (17) 이 가설되고,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하부의 뒤쪽 사이에는 연결봉 (18) 이 가설되어 있다. 또한, 우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의 상부와 하부의 뒤 (B) 쪽 (백 프레임 (8) 측) 에는,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20, 20) 가 고정 부재 (20a) 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b) 의 상부와 하부의 뒤 (B) 쪽 (백 프레임 (8) 측) 에도,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20, 20) 가 고정 부재 (20a) 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우측 연결 부재 (20, 20) 는, 우측 등의 사이드 틀 (8a) 에 대하여 그 축방향, 즉 백 프레임 (8) 의 상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있다. 또한, 좌측 연결 부재 (20, 20) 도, 왼쪽 등의 사이드 틀 (8b) 에 대하여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상기 양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 (20) 로는 플라스틱, 금속, 목재 등 고체상이면서 성형 가능한 재질이면 임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아세탈 (POM) 을 사용하였다.
상기 연결 부재 (20) 의 뒤 (B) 쪽에는, 도 5 ∼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의 백 패널 (21) 이 고정 설치되고,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등의 백 패널 (21) 이 일체로서,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등의 백 패널 (21) 은, 등판 (21a) 과, 그 등판 (21a) 의 양측에 형성된 양 사이드판 (21b, 21b)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우측 사이드판 (21b) 은 우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과 의자 프레임 (4) 의 우측 사이드 틀 (4a) 사이에, 좌측 사이드판 (21b) 은 좌측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b) 과 의자 프레임 (4) 의 좌측 사이드 틀 (4b)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 사이드판 (21b, 21b) 에는, 그 표리를 관통하는 장공 (21c) 이, 그 길이 방향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장공 (21c) 에는 상기 지축 (7) 이 관통하고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단부에는,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 (22) 이 형성되어 있다. 그 헤드 프레임 (22) 은 좌우에 한 쌍의 헤드 캠 (22a, 22a) 을 갖고, 이들의 하부에 형성된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인 헤드 축 (22b, 22b) 을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상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헤드 프레임 (22) 이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그 헤드 캠 (22a) 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적어도 그 내면으로 개구되는 안내 홈 (2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안내 홈 (23) 은, 헤드 캠 (22a) 의 외측면까지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해도 되고, 헤드 캠 (22a) 의 외측면으로는 개구되지 않는 바닥을 가진 홈으로 형성해도 된다. 상기 헤드 캠 (22a) 의 뒤쪽에는, 헤드 백 패널 (25)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 (23) 은, 본 실시예 1 에서는,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캠 (22a) 의 하부에서 상방을 향할수록 뒤 (B) 쪽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23a) 과, 그 제 1 안내 홈 (23a) 의 상부에 원호상으로 형성된 원호 홈 (23b) 과, 그 원호 홈 (23b) 의 상부에 헤드 캠 (22a) 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할수록 앞 (A) 쪽으로 경사지는 제 2 안내 홈 (23c) 이 연속되는 「く」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홈 (23) 내에는, 상기 백 프레임 (8) 의 핀 (14b) 이 안내 홈 (23) 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끼워져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하단부에는, 도 1,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27) 의 일단부 (하단부) 가,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27a) 에 의해,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 (27) 의 타단부 (상단부) 는,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상부 뒤 (B) 쪽 내면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27b) 에 의해,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링크 (27) 는 그 타단측 회전축 (27b) 이, 도 5,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일단측 회전축 (27a) 보다 전방 (A) 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 (27) 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 형상은 호상 (弧狀) 으로 형성됨과 함께, 그 호의 중심측이 앞쪽 (A)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링크 (27) 의 측면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호상 이외에도 직선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양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사이 및 양 헤드 캠 (22a, 22a) 의 사이에는 제 1 마포 (麻布) 탄력재 (도시 생략) 가 형성되고, 그 양측이, 탄성 지지 수단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과 헤드 캠 (22a, 22a) 에 장착되어 있다. 그 제 1 마포 탄력재의 상단이 상기 헤드 캠 (22a, 22a) 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연결봉 (도시 생략) 에 고정되고, 제 1 마포 탄력재의 하단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하부 연결봉 (18) 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마포 탄력재의 양측은, 상기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그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의 전면에는 등의 우레탄재 (28a) 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헤드 캠 (22a, 22a)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의 전면에는 헤드 우레탄재 (30a) 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1 표피재 (도시 생략) 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백 프레임 (8) 과 제 1 마포 탄력재과 등의 우레탄재 (28a) 와 헤드 우레탄재 (30a) 와 등의 백 패널 (21) 과 헤드 백 패널 (25) 의 외주부 전체를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표피재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백 프레임 (8), 제 1 마포 탄력재, 등의 우레탄재 (28a), 헤드 우레탄재 (30a), 등의 백 패널 (21), 헤드 백 패널 (25) 중 어느 것에 고정시켜도 되고, 어디에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과 등의 우레탄재 (28a) 에 의해 등 쿠션재 (28b) 가 구성되어 있는데, 그 등 쿠션재 (28b) 로는, 마포 탄력재나 우레탄재 이외에도 임의의 쿠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백 프레임 (8) 과 등 쿠션재 (28b) 와 등의 백 패널 (21) 과 제 1 표피재에 의해 등받이 (28) 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 캠 (22a, 22a) 사이에 형성된 제 1 마포 탄력재과 헤드 우레탄재 (30a) 에 의해 헤드 쿠션재 (30b) 가 구성되어 있는데, 그 헤드 쿠션재 (30b) 로는, 마포 탄력재나 우레탄재 이외에도 임의의 쿠션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 프레임 (22) 과 헤드 쿠션재 (30b) 와 헤드 백 패널 (25) 과 제 1 표피재에 의해 헤드 레스트 (30)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프레임 (10) 에는 제 2 마포 탄력재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그 양측이 각각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에 고정되고, 제 2 마포 탄력재의 앞단이 시트 프론트 틀 (10c)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마포 탄력재의 후단부는 시트 리어 틀 (10d) 에 탄성 지지 수단 (도시 생략) 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 2 마포 탄력재의 후단부는, 상기 탄성 지지 수단에 의해 시트 프레임 (10) 의 뒤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이 탄성 지지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상기 제 2 마포 탄력재의 상부에는 시트 우레탄재 (29a) 가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제 2 마포 탄력재과 시트 우레탄재 (29a) 에 의해 시트 쿠션재 (29b) 가 구성되어 있는데, 시트 쿠션재 (29b) 로는, 마포 탄력재나 우레탄 이외에도 임의의 쿠션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표피재 (도시 생략) 는, 상기 시트 프레임 (10) 과 시트 쿠션재 (29b) 의 외주부 전체를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표피재는, 시트 프레임 (10), 제 2 마포 탄력재, 시트 우레탄재 (29a) 중 어느 것에 고정시켜도 되고, 어디에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시트 프레임 (10) 과 시트 쿠션재 (29b) 와 제 2 표피재에 의해 시트 (29) 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이 기립한 상태에 있어서, 등 쿠션재 (28b) 의 하단과 시트 쿠션재 (29b) 와 뒤쪽 상면 사이는 이간되어,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의자 (1) 의 백 프레임 (8) 이 기립한 상태로부터, 백 프레임 (8) 을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서서히 후방 (B) 으로 넘어뜨려 가면, 도 6,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27) 는, 의자 프레임 (4) 측의 회전축 (27b) 을 중심으로 하여 그 슬라이드 프레임 (15) 측이 전방으로 회전 운동함과 함께, 회전축 (27a) 에 연결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하측 방향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한다.
또, 도 9 ∼ 11 에 있어서, 도면이 번잡해지기 때문에, 등 쿠션재 (28b), 시트 우레탄재 (29a), 헤드 쿠션재 (30b) 에는 해칭을 그리지 않았다. 또한, 등받이 (28) 의 넘어뜨림에 있어서의, 등 쿠션재 (28b), 시트 우레탄재 (29a) 와 착석자 (40) 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9 ∼ 11 에 있어서, 헤드 프레임 (22) 은 전후 방향으로 일으켜 세우거나 넘어뜨리지 않고, 도 9 의 기립된 상태로 고정시켜 도시해 놓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이동하는 것과 함께, 등 쿠션재 (28b) 와 제 1 표피재도 시트 (29) 의 시트 쿠션재 (29b)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좁아진다.
또한, 시트 프레임 (10) 은, 백 프레임 (8) 이 서서히 넘어감에 따라서, 백 프레임 (8) 의 하단부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고, 시트 안내 부재 (11) 를 따라서 서서히 앞쪽 상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헤드 프레임 (22) 은,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상단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 (22) 이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함께 하측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 헤드 안내 부재 (14) 가, 헤드 캠 (22a) (안내 홈 (23)) 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한다. 즉, 핀 (14b) 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후방 (B) 으로 경사지는 제 1 안내 홈 (23a) 안에서 상방을 향해 서서히 이동한다. 이로써,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과 헤드 프레임 (22) (헤드 캠 (22a)) 전면과의 각도 (α) 가 서서히 커지고, 헤드 레스트 (30) (헤드 프레임 (22)) 가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난다.
그리고, 핀 (14b) 이 원호 홈 (23b) 의 중앙에 위치하였을 때, 헤드 프레임 (22) (헤드 캠 (22a))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 에 대한 각도 (α) 가 최대 (소정치) 가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넘어뜨려 가면, 링크 (27) 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더욱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핀 (14b) 이, 헤드 캠 (22a) 에 있어서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전방 (A) 으로 경사지는 제 2 안내 홈 (23c) 안에서 상방을 향해 서서히 이동한다. 이로써,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과 헤드 캠 (22a) 전면과의 각도 (α) 가 서서히 작아지고, 헤드 프레임 (22) (헤드 레스트 (30)) 이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을 최대로 넘어뜨렸을 때에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과 헤드 캠 (22a) 전면과의 각도 (α) 는 대략 제로가 된다.
또한, 상기 움직임과는 반대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린 상태에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일으켜 세워가면, 링크 (27) 의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상측 방향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에, 추가로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즉, 백 프레임 (8) 이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립한 상태로부터,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최대치가 될 때까지는,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어나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넘어간다.
또한, 백 프레임 (8) 이 상기 각도 (α) 가 최대치가 되는 상태로부터, 도 7 에 나타내는 백 프레임 (8) 이 도복된 상태가 될 때까지는,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넘어가고,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헤드 프레임 (22) 이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일어선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의자 (1) 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슬라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등 쿠션재 (28b) 와 제 1 표피재가 함께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하고,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등 쿠션재 (28b) 와 제 1 표피재가 함께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도 9 에 나타내는 등받이 (28) 의 기립 상태와 도 11 에 나타내는 등받이 (28) 의 도복 상태의, 등받이 (28) 가 일어서거나 넘어가는 동작에 있어서, 도 9 ∼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격 (간극) 이 변화한다. 또한, 등받이 (28) 를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시트 (29) 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착석자 (40) 가, 등받이 (28) 를 세운 상태의 의자 (1) 에 착석하여, 등받이 (28) 에 기댄 상태에서 등받이 (28) 를 밀어 넘어뜨리거나, 일으켜 세우거나 하여도,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도 20 과 비교하여 착석자 (40) 의 이동량이 크게 감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도 11 은, 착석자 (40) 의 대퇴부와 골반의 접합부가, 도 9 의 착석자 (40) 의 착석 위치로부터 시트 (29) 에 대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착석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 에 나타내는 등받이 (28) 를 기립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착석자 (40) 의 머리의 위치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이 도 11 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착석자 (40) 의 등과 등받이 (28) 와의 위치 관계가 도 9 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고, 등받이 (28) 에 의해 입은 옷이 상방으로 들려 올라가거나 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등받이 (28) 를 세우거나 넘어뜨린 경우에도 입은 옷을 고치거나 다시 고쳐 앉거나 할 필요없이, 쾌적하게 의자 (1) 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28) 를 세우거나 넘어뜨릴 때에, 착석자 (40) 와 등받이 (28) 의 표피가 마찰되거나 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등받이 (28) 의 표피의 상처를 종래 기술의 의자 (110) 와 비교하여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백 프레임 (8) 을 기립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넘어뜨려,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될 때까지는,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서서히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헤드 레스트 (30)) 이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에 대하여 서서히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 (40) 가 의자 (1) 의 등받이 (28) 를 조금 넘어뜨리고 전방의 텔레비전 등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도 5, 9 에 나타낸 상태보다 헤드 레스트 (30) 가 등받이 (28) 에 대하여 일어서 있음으로써, 착석자 (40) 의 시선을 전방으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헤드 프레임 (22) 전면의, 백 프레임 (8) 의 상하 방향의 축에 대한 각도 (α) 가 소정치가 된 후에는,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를 넘어뜨릴수록 헤드 프레임 (22) (헤드 레스트 (30)) 이 백 프레임 (8) (등받이 (28)) 에 대하여 서서히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착석자 (40) 가 의자 (1) 의 등받이 (28) 를 크게 넘어뜨려 누운 자세 등을 취한 경우에는, 착석자의 목이 피로해지는 일없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 내지 도 14 는 실시예 2 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하단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1 개의 링크 (27) 로 연결하였지만, 본 실시예 2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 중간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복수로 이루어지는 링크 (63) 로 연결하여,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을 후방으로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하측 (시트 (29) 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좁아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상측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커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링크 (31) 은, 도 12 ∼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링크 (32) 와 제 2 링크 (33) 와 제 3 링크 (34) 의 3 개의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링크 (32) 의 일단 (상단)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 중간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32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제 1 링크 (32) 의 타단 (하단) 은 제 2 링크 (33) 의 일단 (상단)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32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제 2 링크 (33) 의 축방향의 중간부 타단측 근처부는, 등의 사이드 틀 (8a, 8b)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연결축 (33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축 (33a) 은, 지축 (7) 의 뒤쪽 근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링크 (33) 의 타단 (하단) 은 제 3 링크 (34) 의 일단 (후단) 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33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제 3 링크 (34) 의 타단 (앞단) 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의 뒤쪽 상방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34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백 프레임 (8) 을 기립한 상태로부터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제 2 링크 (33) 의 하단측이, 도 13,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축 (7) 근방의 연결축 (33a) 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 뒤쪽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또한, 이 제 2 링크 (33) 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 1 링크 (32) 의 타단 회전축 (32b) 이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12 ∼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제 1 링크 (32) 의 일단측 회전축 (32a) 에 연결된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하고,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좁아진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백 프레임이 도복된 상태로부터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우면, 상기와 반대 동작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커지도록 한 것이다.
그 밖의 움직임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2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5 내지 도 17 은 실시예 3 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1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하단부와 의자 프레임 (4) 의 양 사이드 틀 (4a, 4b) 을 링크 (27) 로 연결하였지만, 본 실시예 3 에서는,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 중간부와 시트 프레임 (10) 의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을 링크 (41) 로 연결하고,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을 넘어뜨릴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시트 (29) 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커지도록 하고, 또한, 등받이 (28) (백 프레임 (8)) 을 일으켜 세울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커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링크 (41) 는, 도 15 ∼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개의 링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링크 (41) 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 형상은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호의 중심측이 앞쪽 (A) 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링크 (41) 의 일단 (상단)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의 중간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41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링크 (41) 의 타단 (하단) 은 시트의 사이드 틀 (10a, 10b) 의 중간부에, 좌우 (C-D)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회전축 (41b) 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링크 (41) 의 측면 형상은, 상기한 호상 이외에도 직선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 3 의 의자 (1) 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자 (1) 의 백 프레임 (8) 을 기립한 상태에서, 도 16,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후방으로 넘어뜨려 가면, 시트 프레임 (10) 이 시트 안내 부재 (11) 를 따라서 서서히 앞쪽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시트 프레임 (10) 과 연결된 타단측 회전축 (41b) 이 전방 상부로 이동하고, 링크 (41) 는 그 양 회전축 (41a, 41b)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면서, 이 회전축 (41a) 이 하측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와 함께, 링크 (41) 의 회전축 (41a) 에 연결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프레임 (8) 을 도복 상태에서 백 프레임 (8) 을 서서히 일으켜 세우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을 따라서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밖의 움직임은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3 에도, 상기 실시예 1, 2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 에 있어서는, 백 프레임 (8) 을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시키고, 링크 (27, 31, 41) 에 의해,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백 프레임 (8) 이 일어서거나 넘어짐에 따라서 등의 사이드 틀 (8a, 8b) 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였지만, 상기 지축 (7) 을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에 형성하고, 링크에 의해, 백 프레임 (8) 을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후방으로 넘어갈수록 상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의자 프레임 (4) 에 고정된 지축 (7) 을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중간부에 연결하고, 그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과 백 프레임 (8) 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게, 연결 부재 (20) 를 개재하여 연결됨과 함께, 백 프레임 (8)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15b) 의 축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지축 (7) 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넘어갈수록, 링크에 의해 백 프레임 (8) 이,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방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 으로 이동하고, 그와 함께 시트 프레임 (10) 도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하단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여, 시트 프레임 (10) 의 후단과 슬라이드 프레임의 하단이 상대적으로 서서히 가까워지고,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프레임 (15) 이 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일어설수록, 링크에 의해 백 프레임 (8) 은, 슬라이드 사이드 틀 (15a) 의 축방향을 따라서 하방 (시트 (29) 방향) 으로 이동하고, 그와 함께 시트 프레임 (10) 도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하단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시트 프레임 (10) 의 후단과 슬라이드 프레임 (15) 의 하단이 서서히 멀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백 프레임 (8) 이 넘어갈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시트 (29)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백 프레임 (8) 이 일어설수록, 슬라이드 프레임 (15) 은 백 프레임 (8) 에 대하여 시트 (29) 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등 쿠션재 (28b) 와 시트 쿠션재 (29b) 의 간극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4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에서는,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백 프레임 (8) 보다 전방 (A) 에 위치시켜 형성하였지만, 슬라이드 프레임 (15) 을 백 프레임 (8) 보다 후방 (B) 에 위치시켜 형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조,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 5 에서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 의자
4 … 의자 프레임
7 … 지축
8 … 백 프레임
8a, 8b … 등의 사이드 틀
10 … 시트 프레임
15 … 슬라이드 프레임
27, 31, 41 … 링크
28b … 등 쿠션재
29b … 시트 쿠션재

Claims (3)

  1. 의자 프레임과, 그 의자 프레임에 대해 일으켜 세우고 넘어뜨릴 수 있도록 이 의자 프레임에 구비한 백 프레임과, 그 백 프레임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 시트 프레임을 갖고,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상기 시트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상기 시트 프레임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이 한 쌍의 사이드 틀을 갖고, 그 사이드 틀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 프레임에 등 쿠션재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 프레임에 시트 쿠션재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상기 사이드 틀을 따라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상기 사이드 틀을 따라 그 백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시트와 반대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등 쿠션재와 시트 쿠션재 사이의 간극이 상기 백 프레임이 넘어갈수록 작아지고, 상기 백 프레임이 일어설수록 커지고,
    1 또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링크를 구비하고, 그 링크의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에 대해 전후로 회전 운동할 수 있게 연결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링크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을 백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백 프레임을 넘어뜨렸을 때, 상기 링크의 타단이, 상기 시트 프레임과 백 프레임의 회전 운동 연결부보다 상방에서, 또한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을, 의자 프레임의 뒤쪽에 형성한 지축에 의해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27032753A 2011-01-17 2012-01-16 의자 KR101465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07089A JP5634890B2 (ja) 2011-01-17 2011-01-17 椅子
JPJP-P-2011-007089 2011-01-17
PCT/JP2012/050720 WO2012099060A1 (ja) 2011-01-17 2012-01-16 椅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928A KR20130018928A (ko) 2013-02-25
KR101465857B1 true KR101465857B1 (ko) 2014-11-26

Family

ID=4651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753A KR101465857B1 (ko) 2011-01-17 2012-01-16 의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634890B2 (ko)
KR (1) KR101465857B1 (ko)
CN (1) CN102984969B (ko)
HK (1) HK1179132A1 (ko)
SG (1) SG186738A1 (ko)
WO (1) WO2012099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5471B2 (ja) 2016-03-16 2019-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013A (ja) * 1989-09-16 1991-05-23 Rolf Voelkle 傾斜可変のシート部を備えた椅子
WO2008004583A1 (fr) * 2006-07-07 2008-01-10 Maruichi Selling Inc. Structure de chaise inclin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353Y2 (ja) * 1991-06-27 1997-07-23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DE4135948C2 (de) * 1991-10-31 1993-12-23 Rolf Voelkle Stuhl, insbesondere Bürodrehstuhl
JP3605161B2 (ja) * 1994-12-21 2004-12-2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2912369Y (zh) * 2006-06-13 2007-06-20 东钰家具股份有限公司 可滑移的座椅底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013A (ja) * 1989-09-16 1991-05-23 Rolf Voelkle 傾斜可変のシート部を備えた椅子
WO2008004583A1 (fr) * 2006-07-07 2008-01-10 Maruichi Selling Inc. Structure de chaise inclin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84969A (zh) 2013-03-20
SG186738A1 (en) 2013-02-28
WO2012099060A1 (ja) 2012-07-26
JP2012147849A (ja) 2012-08-09
JP5634890B2 (ja) 2014-12-03
KR20130018928A (ko) 2013-02-25
CN102984969B (zh) 2015-12-09
HK1179132A1 (zh)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935B1 (ko) 의자
WO2011155557A1 (ja) 椅子
US20190343286A1 (en) Chair
KR101009490B1 (ko) 앉는 위치가 조절되는 좌판부의 이동구조를 갖는 의자
KR101465857B1 (ko) 의자
JP5478142B2 (ja) 椅子
KR101300678B1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656003B1 (ko) 의자용 틸팅장치
JP5567402B2 (ja) 椅子
WO2020255195A1 (ja) 傾動椅子
KR101074490B1 (ko) 의자
KR101558413B1 (ko) 의자의 틸팅장치
JPWO2020255195A5 (ko)
KR102032781B1 (ko) 리클라이닝 체어
KR101009488B1 (ko)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JP5616134B2 (ja) 椅子
KR102273459B1 (ko) 시트 무빙 기능을 가지는 의자
JP5650491B2 (ja) 椅子
JP2022083070A (ja) 揺動椅子
KR20120116732A (ko) 의자의 아암 레스트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098952B1 (ko) 의자의 전후방향 틸팅 기구
KR200488860Y1 (ko) 흔들의자
JP5576186B2 (ja) 椅子
KR101119287B1 (ko) 가구의 받침부 이송장치
JP4528823B2 (ja) 椅子の背もた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