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185B1 - 간접 대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접 대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185B1
KR101465185B1 KR1020120118681A KR20120118681A KR101465185B1 KR 101465185 B1 KR101465185 B1 KR 101465185B1 KR 1020120118681 A KR1020120118681 A KR 1020120118681A KR 20120118681 A KR20120118681 A KR 20120118681A KR 101465185 B1 KR101465185 B1 KR 10146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bag
bag
sensor
punch
outpu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529A (ko
Inventor
조성근
이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미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미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미타
Priority to KR102012011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1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는 누적적으로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는 누적적으로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간접 대련 시스템 {Indirect sparing system}
본 발명은 격투기용 간접 대련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태권도, 합기도, 복싱, 킥복싱 입식의 입식 격투기의 경우에는 훈련 또는 경기의 일환으로서 두 사람이 서로 타격을 주고 받는 형태의 대련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대련의 과정 속에서 양 대련자는 서로 타격을 주고 받기 때문에 항상 부상의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부상의 위험 및 그로 인한 심리적 저항감은 대련의 형식의 훈련 방식의 도입 및 참여 유도에 어려움을 가져 오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격투기를 수련하는 사람들이 직접적으로 공방을 주고 받지 않더라도 대련 형식의 훈련 또는 경기를 가능하게 해주는 간접 대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은 선수들의 직접적으로 공방을 주고 받지 않더라도 대련 형식의 훈련 또는 경기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대련 과정에서 상대방의 타격에 따른 부상의 위험 및 이로 인한 심리적 저항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수련 방법으로서 참여와 흥미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1)은, 베이스부(100), 제1펀치백(200A), 제2펀치백(200B), 제1센서(400A, 401A), 제2센서(400B, 401B),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 제1타격 표시부(600A,110A), 제2타격 표시부(600B,110B), 센서 신호 수신부(40), 제어부(30), 디스플레이(5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00)는, 제1펀치백(200A), 제2펀치백(200B)을 지지한다. 베이스부(100)부는 상측에 캡(130)을 구비하는데 그 캡(130)을 열면,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된다. 베이스부(100)의 내부 공간에는 물 또는 모래를 채워w짐으로써 베이스부(100)에 무게를 무겁게 하며, 제1펀치백(200A) 또는 제2펀치백(200B)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베이스부(100)가 쉽게 움직이거나 제1펀치백(200A), 제2펀치백(200B)과 함께 베이스부(100)가 넘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외부는 사람이 베이스부(100)를 가격하더라도 부상을 당하지 않도록, 쿠션을 가지는 소재로 덮여 있을 수 있다.
제1펀치백(200A)은 사용자로부터 타격을 받는 부분으로, 베이스부(100)의 상측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며,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를 구비한다.
몸통부(210A)는 사람의 몸통에 대응되는 높이 및 길이로 형성되며, 머리부(220A)까지 연장되는 중심축과 그 중심축을 감싸며 쿠션을 제공하는 완충재를 구비한다.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는 베이스부(1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결합된다. 도 2는 제1펀치백(200A)의 하측에 스프링이 배치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2 참조하면 제1펀치백(200A)과 베이스부(100)의 플레이트(101)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스프링(150)은 몸통부(210A)의 중심축(205)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로 배치된다. 따라서 몸통부(210A)의 중심축(205)의 전후 좌우 방향의 기울어짐은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몸통부(210A)의 중심축의 단부는 베이스부(100)의 플레이트(101)에 형성된 구멍(103)에 끼워져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하여 몸통부(210A)는 어느 정도 상하 이동이나 전후 좌우의 기울어짐이 가능하면서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머리부(220A)는 사람의 머리에 대응되도록 몸통부(2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몸통부(210A)로부터 연장되는 중심축(205)의 둘레를 결합되는 완충재를 구비한다. 머리부(220A)는 타격 위치(P1)에 위치한 사람이 좀더 용이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몸통부(210A)보다 타격 위치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펀치백(200B)은 베이스부(100)의 중심으로 제1펀치백(200A)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제2펀치백(200B)의 구체적인 형태는 제1펀치백(200A)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펀치백(200B)도 중심축에 결합된 완충재를 구비하는 몸통부(210B) 및 머리부(220B)를 구비하며,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와 결합된다. 그외 제2펀치백(200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펀치백(20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에 배치되며, 제1펀치백(200A)에 가해지는 타격의 유무 또는 타격에 세기를 감지한다. 제1센서(400A)로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 센서, 충격에 의한 제1펀치백(200A)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400A)로는 자기장 혹은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가 활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1펀치백(200A)을 가격하는 사람이 자석 혹은 RFID 태그를 구비한 전자 발 보호대 또는 전자 글러브를 착용한 것에 대비한 것이다. 즉 제1센서(400A)는 전자 발 보호대 또는 전자 글러브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타격을 감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제1센서(400A)로는 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여러 종류의 센서를 조합적으로 채용하여 타격의 감지의 오류를 제거하고 충격에 의해서 변화되는 다양한 물리량 정보를 동시에 취득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에 각각 배치되어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에 전달되는 타격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210A)에 배치되는 제1센서(400A)는 몸통부의 여러 지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몸통부(210A)의 전면, 측면 등 여러 지점에 위치되고, 머리부(220A)에 배치되는 제1센서(400A) 역시 머리부(220A)의 여러 지점에 가해지는 충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머리부(220A)의 전면, 측면 등 여러 지점에 배치된다.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에 내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400A)는 제1펀치백(200A)의 외측에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는 전자 보호대(300A,301A)에 배치되는 접촉 또는 압력 감지 센서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1센서(400A)를 제1펀치백(200A)의 외측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전자 보호대(300A,301A)에 배치할 경우, 제1센서(400A)의 파손 또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자 보호대(300A,301A)만을 교체해 주면 되므로 센서 고장에 대한 대처가 매우 용이하다.
전자 보호대(300A,301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0A)와,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의 외측을 감싸도록 머리부(220A)의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1A)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펀치백(200A)에는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0A,301A)가 타격에 의해서 제1펀치백(200A)에 대하여 위치 변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제1펀치백(200A)에 강제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는 결속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수단으로는 제1펀치백(200A)과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서로 묶어주는 끈, 제1펀치백(200A)과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서로 부착시켜두는 벨크로, 제1펀치백(200A)과 전자 보호대(300A,301A)를 결합시켜주는 단추 혹은 스냅 단추, 제1펀치백(200A)에 고정 결합되는 벨크로 패스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제1펀치백(200A)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채용되는 결속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 수단으로서 벨크로 패스너(211)가 마련된다. 벨크로 패스너(211)는 제1펀치백(200A)에 고정되는 고정부(213)와, 고정부(213)에 연장되게 배치되며 고정부(213)에 대해서 접힘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부(214)를 구비한다. 벨크로 패스너(211)의 고정부(213)와 가동부(214)의 마주 보는 면에는 각각 암벨크로 및 수벨크로가 배치되어 있어서 고정부(213)와 가동부(214)가 접촉되면 상호 부착된다.
벨크로 패스너(211)는 전자 보호대(300A,301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마련되며, 벨크로 패스너(211)의 가동부(214)는 전자 보호대(300A,301A)의 일부에 끼워진 다음, 고정부(213)에 부착됨으로써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제1펀치백(200A)에 결속시켜 줄 수 있다. 벨크로 패스너(211)의 가동부(214)는 전자 보호대(300A,301A)에 구멍이나 고리가 마련되어 있으면 거기에 끼워질 수도 있고, 도 3a 및 도 3b에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보호대(300A,301A)는 그 양측을 연결하는 띠(303)를 붙잡아 주는 형태로 전자 보호대(300A,301A)를 제1펀치백(200A)에 결속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펀치백(200A)에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300A,301A)는 제1펀치백(200A)에 맞도록 별도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으나,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전자 보호대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특히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는 사람의 몸통부와 크기가 유사하므로, 사람의 몸통에 착용되는 전자 몸통 보호대를 결합시키기에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 착용하는 기존의 전자 보호대를 그대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특수한 전자 보호대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자 보호대를 제작에 따른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사람이 착용하는 전자 몸통 보호대를 제1펀치백(200A)에 배치하는 경우에 전자 몸통 보호대의 어깨 끈이 벗겨지지 않도록 어깨 끈(305)은 상측으로 돌출된 제1신호 발생부(500A)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펀치백(200A)은 전자 몸통 보호대의 어깨 끈(305)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돌출부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제1신호 발생부(500A)가 그러한 돌출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센서(400B)는 제2펀치백(200B)의 몸통부 및 머리부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센서(4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2센서(400B)도 전자 보호대(300B,301B)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제1센서(400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센서(40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신호 발생부(500A)는 제1펀치백(200A)의 타격 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소리, 빛 등의 신호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제1신호 발생부(500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신호 발생부(500A, 501A)는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 각각에 배치되는 발광부로 이루어진다. 발광부는 전구, LED 등의 발광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신호 발생부(500A,501A)는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 및 머리부(220A) 각각에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그 각각은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의 정면, 양측면에 제1센서(400A)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신호 발생부(500A)도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의 정면, 양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신호 발생부(500B,501B)는 제2펀치백(200B)의 타격 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소리, 빛 등의 신호를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제2펀치백(200B) 측에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1타격 표시부(600A,110A)는 제1펀치백(200A)에 유효한 타격 가해진 경우에 이를 빛 또는 소리 등의 인식 가능한 신호로 표시하여, 유효한 타격이 가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타격 표시부(600A,110A)는 발광부로 이루어지며,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600A)와, 제1펀치백(200A)의 몸통부(21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600A)를 구비한다.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는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의 상측에 배치되고 몸통부(21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110A)는 베이스부(100)에 배치되는데, 머리부(22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110A)는 머리부(220A)에 유효한 타격이 가해지면 점등되고 몸통부(210A)에 대응되는 제1타격 표시부(110A)는 몸통부(210A)에 유효한 타격이 가해지면 점등되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제2타격 표시부(600B,110B)는 제2펀치백(200B)에 유효한 타격 가해진 경우에 이를 빛 또는 소리 등의 인식 가능한 신호로 표시하여, 유효한 타격이 가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타격 표시부(600B,110B)는 제2펀치백(200B)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타격 표시부(600A,11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타격 표시부(600A,110A)에 대한 것으로 갈음한다.
센서 신호 수신부(40)는 제1센서(400A) 및 제2센서(400B)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기 위한 것으로서, 제1센서(400A) 및 제2센서(400B)의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받는다. 센서의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방식은 여러가지 표준화된 무선 통신 방법, 예컨대 와이파이 무선랜 방식이 가능하다. 센서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센서부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센서(400A), 제2센서(400B), 센서 신호 수신부(40),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 제1타격 표시부(600A,110A), 제2타격 표시부(600B,110B) 및 디스플레이(5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이들 각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0)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어부와 각 구성 간의 신호 전달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센서 신호 수신부(40)에 연결되며, 신호 발생 제어부(31A,31B), 유효타격 검출부(33A,33B), 출력값 연산부(35), 출력 이미지 생성부(36)를 구비한다. 제어부(30)의 각 구성은 별도의 하드웨어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으나, 이와는 달리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물리적으로는 구별이 불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신호 발생 제어부(31A,31B)는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 및 몸통부(210A)의 제1신호 발생부(500A,501A)를 제어하여 무작위적으로 또는 일정한 패턴으로 간헐적으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신호 발생 제어부(31A)는 제2펀치백(200B)의 제2신호 발생부(500B,501B)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한다.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센서 신호 수신부(40)와 연결되며, 제1펀치백(200A) 또는 제2펀치백(200B)에 유효한 타격이 가해졌는지를 판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신호를 발생시킨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혹은 제2신호 발생부(500B,501B)에 대응되는 센서에서 타격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이를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하며,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유효한 타격임을 판정할 수 있도록 시간차 검출부(331A,331B) 및 강도 비교부(332A,332B)를 구비할 수 있다. 시간차 검출부(331A,331B)는 신호 발생 제어부로부터 언제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또는 제2신호 발생부(500B,501B)가 신호를 발생시켰는지를 입력받고 이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센서로부터 감지되면 이를 유효한 타격으로 인정하는 방식으로 유효한 타격을 판정할 수 있다. 강도 비교부(332A,332B)는 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타격의 세기, 예컨대 압력이 소정의 크기를 넘어서는 경우에 이를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유효타격 검출부(33A,33B)는 시간차 및 타격의 강도가 동시에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때에만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하는 것일 수도 있다. 유효타격 검출부(33A,33B)가 유효한 타격이 제1펀치백(200A)에 가해졌다고 판단하면, 유효타격 검출부(33A)는 제1타격 표시부(600A,110A)에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유효한 타격이 제2펀치백(200B)에 가해졌다고 판단하면, 유효타격 검출부(33B)는 제2타격 표시부(600B,110B)에서 신호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값 연산부(35)는 유효타격 검출부(33A,33B)에서 유효한 타격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정된 타격에 대해서, 그 타격의 강도 혹은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또는 제2신호 발생부(500B,501B)에서 신호가 송출된 다음 얼마의 시간이 흐른 이후에 그 타격이 행하여졌는지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점수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출력값 연산부(35)는 제1펀치백(200A)에 가해진 타격의 강도에 따라 증가하는 제1출력값(S10A)과 제2펀치백(200B)에 가해진 타격의 강도에 따라 증가하는 제2출력값(S10B)을 산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출력값 연산부(35)는 각 타격의 위치 및 시간차를 이용하여 출력값에 가산점을 추가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출력값 연산부는 유효 타격에 따라서 출력값을 누적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일 수도 있으나, 유효 타격에 따라서 기준 값으로부터 누적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출력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출력 이미지 생성부(36)는 출력값 연산부에서 산출된 제1출력값(S10A) 및 제2출력값(S10B)을 디스플레이(50)에 표시해 줄 수 있도록 이미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 이미지 생성부(36)는 제1출력값과 제2출력값을 숫자로 표현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제1출력값 및 제2출력값에 따라서 길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막대 형상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50)는 제어부에서 생성된 출력 이미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50)에는 제1펀치백(200A)의 타격에 의한 제1출력값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제2펀치백(200B)의 타격에 의한 제2출력값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므로,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을 타격하는 사람은 자신과 다른 사람이 펀치백(200A,200B)에 얼마만큼의 유효 타격을 가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펀치백을 타격하는 사람 및 주변의 사람들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1)의 일부 작동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1)의 작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1)의 양측의 타격 위치에 두 사람이 위치하고,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을 각각 타격하게 된다.
이때 제1펀치백(200A)의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에는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신호가 발생되고, 제1펀치백(200A)의 타격 위치(P1)에 서 있는 사람은 그 신호에 따라서 제1펀치백(200A)의 머리부(220A) 혹은 몸통부(210A)를 타격하게 된다. 한편, 제2펀치백(200B)의 제2신호 발생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제2펀치백(200B)의 타격 위치(P2)에 서 있는 사람은 제2펀치백(200B)의 머리부(220B) 혹은 몸통부(210B)를 타격하게 된다.
제1펀치백(200A)이 타격되면 제1센서(400A)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신호 수신부(40)로 전송한다. 제어부(30)의 유효타격 검출부(33A)는 신호 수신부(40)가 수신한 제1센서(400A)의 신호를 분석하여, 타격이 작동된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에 대응되는 제1센서(400A)에서 감지되었는지, 타격의 강도는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타격이 제1신호 발생부(500A,501A)의 작동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안에 이루어졌는지를 판정하고, 이로부터 유효한 타격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한다.
유효한 타격으로 판정되면 제어부는 제1펀치백(200A)의 제1타격 표시부(600A,110A)를 작동시켜 타격이 유효하게 제1펀치백(200A)에 가해졌는지를 표시하여 준다.
제2펀치백(200B)이 타격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센서(400B)가 이를 감지하고, 유효타격 감지부(33B)가 유효한 타격인지를 판정하고 유효한 타격인 경우에는 제2펀치백(200B)의 제2타격 표시부(600B,110B)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펀치백(200A)의 가격 위치(P1)의 사람이 제1펀치백(200A)을 계속적으로 가격하고, 제2펀치백(200B)의 가격 위치(P2)에 위치하는 사람이 제2펀치백(200B)을 계속적으로 가격하면, 제어부(30)의 출력값 연산부(35)는 제1펀치백(200A)의 타격에 대응되는 제1출력값 및 제2펀치백(200B)의 타격에 대응되는 제2출력값을 산출한다. 제1출력값과 제2출력값은 타격의 강도, 타격의 난이도에 따라서 증감폭이 가감될 수 있다. 타격의 난이도는 타격이 머리부에서 발생하였는지, 짧은 시간 안에 연속적으로 가격이 이루어졌는지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펀치백의 몸통부의 좌우측의 신호 발생부에서 동시에 신호가 발생한 다음, 짧은 시간 내에 펀치백의 몸통부의 좌우측이 타격되면 이를 나래 차기로 판단하고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30)에서 산출된 제1출력값 및 제2출력값에 대응되는 값이 디스플레이(50)에서 이미지(IM)의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되는 이미지로는 경과 시간(IM-T), 타격의 강도(IM-S-A,IM-S-B), 타격 기술의 종류(예컨대 머리 차기, 몸통 차기, 나래 차기, 연속 차기)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50)에 표시되는 각종의 정보는 타격을 수행하는 사람 또는 이를 지켜보고 있는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격투 대전 게임에서 채용되고 있는 화면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접 대련의 남은 시간이 디스플레이(50)의 화면 상단에 표시되고 이를 중심으로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의 타격에 따라서 길이가 감소되는 형태의 막대형 그래프(IM-G)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의 경우에 타격에 따라서 상대방의 막대형 그래프(IM-G)가 줄어드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대방의 막대형 그래프(IM-G)를 먼저 없애는 쪽이 간접 대련에서 승리한 것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접 대련 시스템(1)에 따르면 서로 대련하는 사람들이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가격하지 않고, 대신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으로써 대련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방을 가격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서 가격에 의한 부상의 우려가 없음은 물론, 대련에 대한 심리적인 부담감 없이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또한, 타격의 세기, 타격 기술의 종류에 따른 차별적인 점수를 도입함으로써 효과적인 실제 대련과 같이 복잡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어서, 간접 대련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흥미와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간접 대련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는 달리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의 간접 대련 시스템(1)에서 제1신호 발생부(500A,501A), 제2신호 발생부(500B,501B), 제1 및 제2타격 표시부(600A,110A,600B,110B)는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는 복수의 코일 스프링(150)에 의해서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펀치백(200A) 및 제2펀치백(200B)는 탄성 지지되지 않고 베이스부(1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제1펀치백과 제2펀치백은 충분한 쿠션을 가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펀치백(200A)의 중심축(205)은 그 단부의 일부가 베이스부(100)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제1펀치백(200A)의 중심축은 볼 조인트에 의해서 베이스부(100)에 결합되어 전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펀치백(200A)는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간접 대련 시스템 100 ... 베이스부
200A,200B ... 제1펀치백, 제2펀치백 300A,300B ... 전자 보호대
400A, 400B ... 제1센서, 제2센서
500A,501A ... 제1신호 발생부 500B,501B ... 제2신호 발생부
600A,110A ... 제1타격 표시부 600B,110B ... 제2타격 표시부
30 ... 제어부 40 ... 신호 수신부
50 ...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삭제
  2.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펀치백 및 상기 제2펀치백 각각은,
    수직으로 직립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1펀치백 사이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제2펀치백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1펀치백 또는 상기 제2펀치백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3.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펀치백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1펀치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와,
    상기 제2펀치백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제2펀치백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 보호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각각 전자 보호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보호대는 사람이 착용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은,
    타격에 의해서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된 전자 보호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펀치백과 상기 전자 보호대를 결속시키주는 결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2펀치백은,
    타격에 의해서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된 전자 보호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제1펀치백과 상기 전자 보호대를 결속시키주는 결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속 수단은,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과 전자 보호구를 서로 묶어주는 끈,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과 전자 보호구를 서로 부착시켜두는 벨크로,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과 전자 보호구를 결합시켜주는 단추 혹은 스냅 단추, 또는 상기 각 제1펀치백 및 제2펀치백에 배치되는 벨크로 패스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5.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타격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서 측정된 타격의 세기가 커짐에 따라서 상기 제1출력 값 및 상기 제2출력 값의 증가 또는 감소의 폭을 크게 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6. 삭제
  7.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1펀치백과,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며 완충재를 구비하는 제2펀치백과,
    상기 제1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1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제2펀치백에 배치되며 상기 제2펀치백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1출력 값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감지된 타격에 따라 누적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되는 제2출력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펀치백 및 상기 제2펀치백 각각은,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각각 상기 몸통부 및 머리부에 배치되어 상기 몸통부 및 머리부에 전달되는 타격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간접 대련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펀치백의 타격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간헐적으로 생성하는 제1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2펀치백의 타격위치에 위치한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신호를 간헐적으로 생성하는 제2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제1신호 발생부에서 신호가 생성된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1펀치백에 타격이 가해지면 제1출력 값을 증감시키고,
    상기 제2신호 발생부에서 신호가 생성된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제2펀치백에 타격이 가해지면 제2출력 값을 증감시키는 간접 대련 시스템.
  9. 삭제
  10. 제2항 내지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력 값에 대응되는 이미지와 상기 제2출력 값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간접 대련 시스템.
KR1020120118681A 2012-10-24 2012-10-24 간접 대련 시스템 KR10146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81A KR101465185B1 (ko) 2012-10-24 2012-10-24 간접 대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681A KR101465185B1 (ko) 2012-10-24 2012-10-24 간접 대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29A KR20140052529A (ko) 2014-05-07
KR101465185B1 true KR101465185B1 (ko) 2014-11-25

Family

ID=5088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681A KR101465185B1 (ko) 2012-10-24 2012-10-24 간접 대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1369A (zh) * 2019-07-03 2019-09-06 山东职业学院 一种多种防护功能的心理发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5185B (zh) * 2017-05-17 2020-03-10 许昌学院 一种武术擂台赛机器人的防掉台控制方法
KR102044902B1 (ko) 2018-12-13 2019-11-14 주식회사 엠앤엠 향상된 복원력을 갖는 대련용 타격기 프레임
TWI726786B (zh) * 2020-08-05 2021-05-01 陳天宇 拳擊沙包同步控制方法
CN115193004B (zh) * 2022-07-29 2023-09-26 北京拳适能体育科技有限公司 一种格斗反击训练方法及装置
KR102533468B1 (ko) * 2022-08-12 2023-05-17 구민관 자동 득점 판정이 가능한 격투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11B2 (ja) * 1988-04-27 1995-03-15 大平技研工業株式会社 ボクシングゲーム機
KR101018038B1 (ko) * 2010-04-20 2011-03-02 이병호 태권도용 전자 호구
KR101093669B1 (ko) * 2010-11-26 2011-12-15 유성규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KR101136700B1 (ko) * 2011-09-19 2012-04-19 김성환 타격부를 구비한 트레드밀
JP7022611B2 (ja) * 2018-02-06 2022-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の制御方法、露光装置、及び物品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11B2 (ja) * 1988-04-27 1995-03-15 大平技研工業株式会社 ボクシングゲーム機
KR101018038B1 (ko) * 2010-04-20 2011-03-02 이병호 태권도용 전자 호구
KR101093669B1 (ko) * 2010-11-26 2011-12-15 유성규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KR101136700B1 (ko) * 2011-09-19 2012-04-19 김성환 타격부를 구비한 트레드밀
JP7022611B2 (ja) * 2018-02-06 2022-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露光装置の制御方法、露光装置、及び物品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1369A (zh) * 2019-07-03 2019-09-06 山东职业学院 一种多种防护功能的心理发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529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185B1 (ko) 간접 대련 시스템
US7891231B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EP223617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registering the location and intensity of impacts in sports
US8485879B2 (en) Fight analysis system
CN105705090B (zh) 传感器和应用
US10039967B2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JP6038854B2 (ja) チーム競技環境における運動パフォーマンスモニタリ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3508037A (ja) 武道で使用する電子スコアリングシステム、方法及び防護具
US9320954B1 (en) Reflex strike technology
US20120214647A1 (en) Martial arts training device
KR101314644B1 (ko) 가상현실 겨루기 방법
KR101093669B1 (ko) 겨루기용 전자호구 시스템
KR101446604B1 (ko) 태권도용 전자 호구 장치
US10518152B2 (en) Wearable shield for evaluating accuracy of a fighter's performance
US4634116A (en) Speed and striking bag frequency device
KR101719729B1 (ko) 전자 호구
KR20150140111A (ko) 타격 훈련 장치 및 타격 훈련 방법
KR20200145278A (ko) 골프 타격 연습 방법 및 그 장치
US11110334B2 (en) Golf training aid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13403A (ko) 골프채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임팩트 위치 알람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9918B1 (ko)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KR20120139446A (ko) 퍼팅 연습기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0345147Y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CA2385367A1 (en) Sport apparatus with impact sensing and display
KR20100032234A (ko) 안전 격검용 격벽 유닛과 이를 구비한 안전 격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