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740B1 -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740B1
KR101464740B1 KR1020070105248A KR20070105248A KR101464740B1 KR 101464740 B1 KR101464740 B1 KR 101464740B1 KR 1020070105248 A KR1020070105248 A KR 1020070105248A KR 20070105248 A KR20070105248 A KR 20070105248A KR 101464740 B1 KR101464740 B1 KR 10146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frequency
rhythm gam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537A (ko
Inventor
한우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7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65Key design detail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keys of a keyboard; Key-like musical input devices, e.g. finger sensors, pedals, potentiometers, selectors
    • G10H2220/311Key design details; Speci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keys of a keyboard; Key-like musical input devices, e.g. finger sensors, pedals, potentiometers, selectors with controlled tactile or haptic feedback effect; output interfa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적인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에서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은,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는,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노래를 포함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해서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의 리듬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음원,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소정 주파수 영역 및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음원의 임계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주파수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소정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대응하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접촉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리듬 게임이 활성화되면,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음원의 게임을 수행하고자 할 때마다 음원 컨텐츠를 새롭게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듬 게임, 음원, 주파수, 점수, 진동, 타이밍

Description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SOUND REPLAYING DEVICE AND RHYTHM GAME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능동적인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다양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음원 재생 장치는 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재생되는 음원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지고, 또한 음원의 재생뿐만 아니라 다른 부가적인 기능들이 다양하게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음원 재생 장치의 부가적인 기능은 소정의 게임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원 재생 장치의 사용자는 상기 음원 재생 장치를 이용해 음악을 들으면서 소정의 게임을 병행함으로써 음악 감상시 지루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음원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게임들은 음악을 재생하면서 동시에 수행하기에 부적절하고, 또는 플래시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가 미리 제작한 게임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게임 컨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재생되는 음원의 리듬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리듬 게임(rhythm game)도 다른 사용자가 이미 제작해 놓은 음원 컨텐츠만 대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음원에 대해 게임을 하고자 하면 새롭게 다운로드를 받거나 새로운 컨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듬 게임을 하고자 하는 음원 컨텐츠마다 각각 다운로드 받아야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직접 재생/분석하여 리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수행하고자, 본 발명은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대응하는 접촉 영역의 리듬 게임을 활성화시키고, 음원 재생 장치에 재생되는 모든 음원을 대상으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음원의 게임을 수행하고자 할 때마다 음원 컨텐츠를 새롭게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원과 동일한 리듬으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능동적인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 및 그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에서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은,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듬 게임이 활성화될 때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의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외부 접촉이 발생하면 피드백으로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는,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노래를 포함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해서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 상기 음원 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의 리듬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음원,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소정 주파수 영역 및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음원의 임계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주파수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소정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대응하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시키 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접촉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리듬 게임이 활성화되면,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부는 터치스크린이고,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음원의 임계값은 상기 소정의 주파수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의 임계값 이상의 음원이 재생되는 경우에 해당 리듬 게임을 활성화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듬 게임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정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을 발광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소정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음원의 재생되면 소정 막대 모양의 지시자를 화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일정한 속도로 하강시키며, 상기 주파수 분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막대 모양의 지시자가 화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하강하는 시간만큼 이후에 재생될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사용자의 외부 접촉을 감지하면 상기 접촉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100)는, 리듬 게임이 포함된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노래를 포함하는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120);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 의해서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130);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의 리듬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이 입력되는 입력부(140);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150); 상기 음원,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소정 주파수 영역 및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음원의 임계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60);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소정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대응하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접촉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제어부(110); 및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 리듬 게임이 활성화되면,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표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원 재생 장치(100)는, 다양한 음원을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모든 장치/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MP3, PMP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음원 재생 장치(100)는 음원 재생이 부가적인 기능으로 장착되어 있는 기기, 예컨대 핸드폰(cellular pho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재생부(120)는 음원 재생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음원을 재생한다. 상기 음원은 노래를 포함하며, 가요, 팝송, 클래식, 재즈 등의 다양 한 장르의 음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은 외부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공기중으로 전파될 수 있고, 또는 이어폰 등의 전자 기기를 통해 특정인에게만 전파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는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서 재생되는 음원에 대한 주파수를 분석한다.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는 일반적인 음원 재생 장치에서의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응용할 수 있다. 상기 이퀄라이저는 오디오 스펙트럼을 통한 음향 주파수의 강조 부분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분석부(130)는 상기 이퀄라이저의 기능을 응용하여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서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에서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 값은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된다.
상기 입력부(140)는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의 리듬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이 입력된다. 상기 입력부(140)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100)는 재생되는 음원의 리듬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타이밍을 판단하여 이를 점수로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입력부(140)가 사용자와 상기 음원 재생 장치(100)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부(150)는 상기 입력부(140)에 외부의 접촉이 있으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접촉 여부를 전달한다. 터치스크린의 외부 터치에 따른 감 지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고 공지된 방법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음원,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소정 주파수 영역 및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음원의 임계값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영역을 설정하여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가 상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대응하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의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 및 음원 세기의 임계값 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음원 세기의 임계값은 전 주파수 영역에서 공통된 단일 값일 수 있고,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파수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되는 주파수 영역 및 임계값의 설정은 도2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에 의해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소정 주파수 영역을 비교하여, 상기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가 저장된 소정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고, 상기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접촉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제어부(110)에 의해서 리듬 게임이 활성화되면, 해당하는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에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소정의 표시를 한다. 상기 표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3a 및 도3b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음원 재생 장치(100)는 상기 리듬 게임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스위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단순히 음악의 재생만을 원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음악 재생 모드로 설정하면 상기 리듬 게임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주파수 영역 및 음원 세기의 임계값 설정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세 부분의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2는 이퀄라이저를 응용하여 주파수의 크기 및 음원의 세기를 동시에 나타내는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는 세 부분의 주파수 영역을 설정하고, 구체적으로는 310Hz∼1kHz, 6kHz∼12kHz, 16kHz∼20kHz의 세 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100)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시키는 음원 세기의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는데, 상기 임계값은 전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주파수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2는 주파수 영역별로 음원 세기의 임계값이 다르게 설정된 경우를 예시적 으로 나타낸다. (a) 그래프의 임계값(21), (b) 그래프의 임계값(22) 및 (c) 그래프의 임계값(23)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영역 및 음원 세기의 임계값은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다. 상기 임계값은 음원 재생 장치(100)의 제작시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제품을 구입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한 값일 수 있다.
도2에서 예컨대 (a) 그래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음원 재생부(120)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이 500Hz의 주파수를 갖고 그 음원의 세기가 (a) 그래프의 임계값(21)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리듬 게임을 활성화한다.
상기 리듬 게임이 활성화되면 사용자는 음원 재생 장치에 소정의 접촉 입력을 한다. 상기 센서부(150)는 접촉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감지된 사용자의 접촉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원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30)을 각각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소정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31,32,33)을 발광시킨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는 세 부분의 주파수 영역을 설정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각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 음원이 재생될 때 그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31,32,33)이 활성화된다.
그 일 실시예로서,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31,32,33)을 발광시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2의 (a) 그래프에 도시된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이 원형 모양의 접촉 영역(31)이고, (b) 그래프에 도시된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이 별 모양의 접촉 영역(32)이며, (c) 그래프에 도시된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이 사각형 모양의 접촉 영역(33)일 수 있다.
따라서, 10Khz의 주파수를 갖고 임계값(22, 도2참조) 이상의 세기를 갖는 음원이 재생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32)를 발광시켜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화면(30)의 나머지 부분은 재생되는 음원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창(35)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정보창(35)은 일반적인 음원 재생 장치와 같이, 재생 시간, 음원 제목, 재생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31,32,33)에 소정의 막대 모양 지시자(37)를 화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일정한 속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음원이 재생될 때 상기 접촉 영역(31,32,33)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주파수 분석부(130)는 상기 막대 모양의 지시자(37)가 화면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하강하는 시간만큼 이후에 재생될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영역(31,32,33)이 발광하거나 또는 지시자(37)가 하강하여 상기 접촉 영역(31,32,33)에 진입하였을 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의 모양 및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업자의 인용된 범위에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에서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음원 재생부에 의해 음원이 재생된다(S400). 주파수 분석부는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한다(S405).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S410), 해당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며(S405), 포함되면 음원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15).
상기 판단 결과 음원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아니면 계속해서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고(S405), 임계값 이상이면 소정 주파수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영역을 활성화한다(S420).
다음으로, 외부 접촉 입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여(S425), 접촉이 발생하였다면 접촉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을 발생시킨다(S430). 접촉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적절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촉 입력에 대한 타이밍 분석 및 점수를 계산한다(S435). 음원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40), 음원이 남아 있다면 처음 단계로 돌아가서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고(S405), 음원이 종료되었으면 산출된 점수를 출력한다(S445).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잇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는 주파수 영역 및 음원 세기의 임계값 설정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원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각각 예시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에서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음원 재생 장치 110 : 제어부
120 : 음원 재생부 130 : 주파수 분석부
140 : 입력부 150 : 센서부
160 : 메모리부 17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음원 재생 방법에 있어서,
    음원을 재생하는 단계;
    재생 중인 상기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고,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지 않고 상기 음원 재생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리듬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입력의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의 세기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6.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
    상기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음원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면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고, 상기 분석된 주파수가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리듬 게임을 활성화하지 않고 상기 음원 재생을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리듬 게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주파수 영역에 대한 임계값은 주파수 영역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듬 게임의 활성화에 대한 사용자의 온/오프 입력을 수신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11. 삭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리듬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타이밍을 판단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분석부는 일정 시간 이후에 재생될 음원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된 리듬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KR1020070105248A 2007-10-18 2007-10-18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KR10146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48A KR101464740B1 (ko) 2007-10-18 2007-10-18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48A KR101464740B1 (ko) 2007-10-18 2007-10-18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37A KR20090039537A (ko) 2009-04-22
KR101464740B1 true KR101464740B1 (ko) 2014-11-25

Family

ID=4076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248A KR101464740B1 (ko) 2007-10-18 2007-10-18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344B1 (ko) * 2011-07-20 2012-03-09 (주)네오위즈게임즈 리듬 게임 장치, 게임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648931B1 (ko) 2014-12-22 2016-08-1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리듬 게임 제작 방법, 장치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59Y1 (ko) * 2001-03-26 2001-11-16 (주)보나테크 Fft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트바 발생 장치를 이용한게임기
KR20040053156A (ko) * 2001-10-10 2004-06-23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피드백을 사용하는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 및 조종
KR20070021456A (ko)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악패턴게임 생성 및 수행방법
JP2007089896A (ja) 2005-09-29 2007-04-12 Yamaha Corp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59Y1 (ko) * 2001-03-26 2001-11-16 (주)보나테크 Fft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트바 발생 장치를 이용한게임기
KR20040053156A (ko) * 2001-10-10 2004-06-23 임머숀 코퍼레이션 햅틱 피드백을 사용하는 사운드 데이터의 출력 및 조종
KR20070021456A (ko)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음악패턴게임 생성 및 수행방법
JP2007089896A (ja) 2005-09-29 2007-04-12 Yamaha Corp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37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7372B2 (ja) 運動補助装置
US7956274B2 (en) Performan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77740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data analysis in an audio player
US8153880B2 (en) Performan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201301318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ducing haptic events from a digital audio signal
JP2008532200A (ja) 再生リストを作成するためのスキャンシャッフル
US7060885B2 (en) Music reproduction system, music editing system, music editing apparatus, music editing terminal unit, music reproduction terminal unit, method of controlling a music edit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JP2010531464A (ja) 電子装置を用いて複数のソングを自動的にビートミックス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60116383A (ko) 디지털 오디오 재생장치의 이퀄라이저 기능 자동 설정 방법및 장치
KR101464740B1 (ko)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의 리듬 게임 구현 방법
EP1151774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dance patterns using audio signal
JP2005516285A (ja) 検索された曲目をいっしょに演奏する音楽検索システム
JP2006301276A (ja) 携帯用楽曲再生装置
KR20110079384A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JP2008242285A (ja) 演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JP5433809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
JP2007089896A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JP5486941B2 (ja) 聴衆に唱和をうながす気分を楽しむカラオケ装置
JP2007078724A (ja) 電子楽器
JP2005135519A (ja) 音楽再生装置
US10981063B2 (en) Video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game processing program product
JP2020168486A (ja)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4240099B2 (ja) 電子楽器および電子楽器制御用プログラム
JP2009134104A (ja) 楽曲再生装置、楽曲判定方法、楽曲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505012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