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4525B1 -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4525B1
KR101464525B1 KR20130136047A KR20130136047A KR101464525B1 KR 101464525 B1 KR101464525 B1 KR 101464525B1 KR 20130136047 A KR20130136047 A KR 20130136047A KR 20130136047 A KR20130136047 A KR 20130136047A KR 101464525 B1 KR101464525 B1 KR 10146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extrusion
sealing
space
straigh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미
Original Assignee
최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미 filed Critical 최수미
Priority to KR20130136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28Making tube fittings for connecting pipes, e.g. U-pieces
    • B21C37/29Making branched pieces, e.g. T-pieces
    • B21C37/292Forming collars by drawing or pushing a rigid forming tool through an opening in the tub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5Making tubes of special shape; Making tube fittings
    • B21C37/16Making tubes with varying diameter in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14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 B21K1/16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parts of pipe or hose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티자형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방법에 있어서,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직선관을 제작하는 직선관제작단계와; 합형 상태에서 상기 직선관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는 직선상의 수평성형공간과 상기 수평성형공간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는 수직성형공간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평면형태의 압출펀치면을 갖는 압출펀치를 상기 수직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하는 압출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좌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좌실링펀치면을 갖는 좌실링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하는 좌실링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우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우실링펀치면을 갖는 우실링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하는 우실링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상기 직선관을 설치하는 직선관설치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상기 직선관의 좌측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좌실링펀치를 전진시키는 직선관좌측단밀폐단계와;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상기 직선관의 우측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우실링펀치를 전진시키는 직선관우측단밀폐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하는 성형압력인가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와 상기 우실링펀치를 접근시켜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일단이 밀폐된 티자 형태로 변형시키는 직선관변형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를 후퇴시켜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좌실링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우실링펀치를 후퇴시켜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우실링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개방하는 수평성형공간개방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을 취출하는 변형직선관취출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취출된 변형직선관의 밀폐단을 절단하는 변형직선관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개선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ipe Joints}
본 발명은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단면이 일정한 개선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티(Tee)자 이음구와 리듀서(Reducer)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취급이 용이한 길이로 제작되고,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관 상호간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관길이를 연장하고 있다.
관 상호간은 용접을 통해 직접 연결되거나 관이음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관이음구로는 티(Tee)자 관이음구,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 엘보우 관이음구 등이 있다.
티(Tee)자 관이음구는 수평직선구간과, 수평직선구간과 협조하여 티(T)자를 이루는 수직직선구간을 갖고 있다.
리듀서 관이음구는 리듀서확경구간(202a)과, 리듀서확경구간(202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리듀서협경구간(202b)과, 리듀서확경구간(202a)과 리듀서협경구간(202b)을 연결하는 리듀서테이퍼구간(202c)을 갖고 있다(도13 참조).
이들 티(Tee)자 관이음구와 리듀서 관이음구는 결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종단면이 일정한 개선각(대략 30도 내지 40도)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14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관이음구제작장치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성형공간(111c)과 수직성형공간(111d)을 갖는 금형(111)과, 수직성형공간(111d)에 진입하도록 설치된 압출펀치(112)와, 압출펀치(112)를 구동하는 압출펀치구동부(113)와, 수평성형공간(1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 좌실링펀치(114)와, 수평성형공간(1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 우실링펀치(115)와, 좌실링펀치(114)를 구동하는 좌실링펀치구동부(116)와, 우실링펀치(115)를 구동하는 우실링펀치구동부(117)와, 수평성형공간(111c)에 설치된 직선관(1203)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하는 성형압력인가부(117)를 갖고 있다.
금형(111)은 상부금형(111a)과 하부금형(111b)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부금형(111a)은 유압실린더와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111e)를 통해 하부금형(111b)에 접근하거나 이반될 수 있다.
수평성형공간(111c)은 합형(合型))상태에서 직선관(203)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직성형공간(111d)은 수평성형공간(111c)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출펀치(112)는 평면형태의 압출펀치면(112a)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112)는 수직성형공간(111d)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압출펀치구동부(113)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좌실링펀치(114)는 직선관(20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좌실링펀치지지돌부(114b)가 형성된 좌실링펀치면(114a)을 갖고 있다.
좌실링펀치면(114a)은 좌실링펀치지지돌부(114b)의 둘레영역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실링펀치(114)는 수평성형공간(1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우실링펀치(115)는 직선관(20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우실링펀치지지돌부(115b)가 형성된 우실링펀치면(115a)을 갖고 있다.
우실링펀치면(115a)은 우실링펀치지지돌부(115b)의 둘레영역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실링펀치(115)는 수평성형공간(1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좌실링펀치구동부(116)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실링펀치구동부(116)에 의해 직선관(203)의 좌측단을 밀폐하는 밀폐위치와 수평성형공간(1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변형위치로 좌실링펀치(114)를 전진시키고, 수평성형공간(1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는 정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우실링펀치구동부(117)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실링펀치구동부(117)에 의해 직선관(203)의 우측단을 밀폐하는 밀폐위치와 수평성형공간(1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변형위치로 우실링펀치(115)를 전진시키고, 수평성형공간(1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는 정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성형압력인가부(117)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우실링펀치(115)에 액체안내유로를 형성하고 액체안내유로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상태에서 외부에 설치된 증압기를 통해 고압의 액체를 우실링펀치(115)에 형성된 액체안내유로를 통해 공급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성형압력인가부(117)에 의해 수평성형공간(1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압출펀치구동부(113)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구동부(113)에 의해 압출펀치(112)를 수평성형공간(111c)을 향해 전진시키고, 압출펀치(1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이음구제작장치를 사용하여 티자 관이음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15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합형 상태에서 직선관(203)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는 직선상의 수평성형공간(111c)과 수평성형공간(111c)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는 수직성형공간(111d)을 갖는 금형(111)은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직선관제작단계
먼저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갖는 관재(204)를 준비한다.
다음에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관재(204)를 척과 보조고정대(척의 전방에 설치됨)를 고정하고 일자단면 형태의 바이트(206)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일자 형태의 바이트(206)를 채용하면 좌측단 외표면과 우측단 외표면이 평탄한 직선관(203)을 얻을 수 있다.
압출펀치설치단계
압출펀치(112)를 수직성형공간(111d)에 진입하도록 설치한다(도15 참조).
좌실링펀치설치단계
좌실링펀치(114)를 수평성형공간(1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한다(도15 참조).
우실링펀치설치단계
우실링펀치(115)를 수평성형공간(1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한다(도15 참조).
직선관설치단계
수평성형공간(111c)에 직선관(203)을 설치한다(도15 참조).
직선관좌측단밀폐단계
상부금형(111a)을 하부금형(111b)에 접근시켜 합형한 다음 좌실링펀치구동부(116)를 동작시켜 좌실링펀치지지돌부(114b)가 직선관(203)의 좌측단을 밀폐하도록 좌실링펀치(114)를 전진시킨다(도16 참조).
직선관우측단밀폐단계
우실링펀치구동부(117)를 동작시켜 우실링펀치지지돌부(115b)가 직선관(203)의 우측단을 밀폐하도록 우실링펀치(115)를 전진시킨다(도16 참조).
성형압력인가단계
성형압력인가부(117)를 동작시켜 수평성형공간(1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한다(도16 참조).
직선관변형단계
좌실링펀치구동부(116)와 우실링펀치구동부(117)를 동작시켜 좌실링펀치(114)와 우실링펀치(115)를 접근시킨다. 좌실링펀치(114)와 우실링펀치(115)의 접근은 수평성형공간(1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을 일단이 밀폐된 티자 형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도17 참조).
좌실링펀치복귀단계
좌실링펀치구동부(116)를 동작시켜 초기설치위치(좌실링펀치설치단계에서 좌실링펀치가 설치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좌실링펀치(114)를 후퇴시킨다(도18 참조).
우실링펀치복귀단계
우실링펀치구동부(117)를 동작시켜 초기설치위치(우실링펀치설치단계에서 우실링펀치가 설치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우실링펀치(115)를 후퇴시킨다(도18 참조).
수평성형공간개방단계
상부금형(111a)을 하부금형(111b)으로부터 이반시켜 수평성형공간(111c)을 개방한다(도18 참조).
변형직선관취출단계
압출펀치구동부(1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12)를 수평성형공간(111c)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205)을 취출한다(도18 참조).
압출펀치복귀단계
압출펀치구동부(1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변형직선관절단단계
취출된 변형직선관(205)의 밀폐단을 일자단면형태 또는 브이(V)단면 형태의 바이트(206)를 사용하여 절단한다(도19 참조).
경사면형성단계
배관베벨링머신(Pipe Beveling Machine) 등을 사용하여 취출된 변형직선관(205)의 좌측단 외표면에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203a)을 형성하고 우측단 외표면에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203b)을 형성한다.
그리고 변형직선관절단단계에서 일자단면형태의 바이트(206)를 사용한 경우배관베벨링머신(Pipe Beveling Machine) 등을 사용하여 변형직선관(205)의 절단종단 외표면에 밀폐단경사면(205c)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종래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0은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관이음구제작장치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성형공간(111'a). 협경성형공간(111'b) 및 테이퍼성형공간(111'c)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111')과, 협경성형공간(111'b)에 진입하도록 설치된 압출펀치(112')와, 확경성형공간(111'a)에 정렬되도록 설치된 가압펀치(119')와, 압출펀치(112')를 구동하는 압출펀치구동부(113')와, 가압펀치(119')를 구동하는 가압펀치구동부(121')를 갖고 있다.
금형(111')의 확경성형공간(111'a)은 리듀서확경구간(202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있다.
협경성형공간(111'b)은 확경성형공간(111'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리듀서협경구간(202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성형공간(111'c)은 확경성형공간(111'a)과 협경성형공간(111'b)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출펀치(112')는 리듀서협경구간(202b)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압출펀치지지돌부(112'b)가 형성된 압출펀치면(112'a)을 갖고 있다.
압출펀치면(112'a)은 압출펀치지지돌부(112'b)의 둘레영역은 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112')는 협경성형공간(111'b)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가압펀치(119')는 리듀서확경구간(202a)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압펀치지지돌부(119'b)가 형성된 가압펀치면(119'a)을 갖고 있다.
가압펀치면(119'a)은 가압펀치지지돌부(119'b)의 둘레영역평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펀치(119')는 확경성형공간(111'a)에 정렬되도록 확경성형공간(111'a)의 전방에 설치된다.
가압펀치구동부(121')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펀치구동부(121')에 의해 가압펀치(119')를 압출펀치(112')를 향해 가압하고, 가압펀치(119')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압출펀치구동부(113')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구동부(113')에 의해 압출펀치(112')를 확경성형공간(111'a)을 향해 가압하고, 압출펀치(1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이음구제작장치를 사용하여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21 내지 도2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형(111)은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직선관제작단계
종래 티자 관이음구를 제작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좌측단 외표면과 우측단 외표면이 평탄한 직선관(203)을 제작한다.
압출펀치설치단계
압출펀치(112')를 협경성형공간(111'b)에 진입하도록 설치한다(도21 참조).
가압펀치설치단계
확경성형공간(111'a)에 정렬되도록 확경성형공간(111'a)의 전방에 가압펀치(119')를 설치한다(도21 참조).
직선관설치단계
확경성형공간(111'a)에 진입하도록 직선관(203)을 설치한다(도21 및 도22 참조).
직선관변형단계
가압펀치구동부(121')를 동작시켜 가압펀치(119')를 압출펀치(112')를 향해 가압한다(도22 및 도23 참조). 여기서 가압펀치(119')의 가압은 확경성형공간(111'a)에 설치된 직선관(203)이 이경관형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가압펀치복귀단계
가압펀치구동부(121')를 동작시켜 가압펀치(119')를 원위치(가압펀치설치단계에서 가압펀치가 설치된 위치)로 복귀시킨다(도24 참조).
변형직선관취출단계
압출펀치구동부(1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12')를 확경성형공간(111'a)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205)을 취출한다(도24 참조).
압출펀치복귀단계
압출펀치구동부(1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경사면형성단계
배관베벨링머신(Pipe Beveling Machine) 등을 사용하여 취출된 변형직선관(205)의 상측단 외표면과 하측단 외표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는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발명자가 확인해 준 종래기술에 해당한다.
그런데 종래의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직선관(203)을 티(Tee)자 형태 또는 이경관 형태로 변형시키는 과정과 별개로 배관베벨링머신(Pipe Beveling Machine) 등을 사용하여 티(Tee)자 관이음구와 리듀서 관이음구의 종단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개선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이 증가하고 생산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티자형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방법에 있어서,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직선관을 제작하는 직선관제작단계와; 합형 상태에서 상기 직선관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는 직선상의 수평성형공간과 상기 수평성형공간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는 수직성형공간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상기 직선관을 설치하는 직선관설치단계와; 평면형태의 압출펀치면을 갖는 압출펀치를 상기 수직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하는 압출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좌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좌실링펀치면을 갖는 좌실링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하는 좌실링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우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우실링펀치면을 갖는 우실링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하는 우실링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상기 직선관의 좌측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좌실링펀치를 전진시키는 직선관좌측단밀폐단계와;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상기 직선관의 우측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우실링펀치를 전진시키는 직선관우측단밀폐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하는 성형압력인가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와 상기 우실링펀치를 접근시켜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일단이 밀폐된 티자 형태로 변형시키는 직선관변형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를 후퇴시켜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좌실링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우실링펀치를 후퇴시켜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우실링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개방하는 수평성형공간개방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을 취출하는 변형직선관취출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취출된 변형직선관의 밀폐단을 절단하는 변형직선관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리듀서확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리듀서협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확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협경구간을 연결하는 리듀서테이퍼구간을 갖는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방법에 있어서, 전 길이구간에 걸쳐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관을 제작하는 직선관제작단계와;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확경성형공간과 상기 확경성형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리듀서협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협경성형공간과 상기 확경성형공간과 상기 협경성형공간을 연결하는 테이퍼성형공간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상기 직선관을 설치하는 직선관설치단계와; 상기 협경성형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압출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압출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압출펀치면을 갖는 압출펀치를 상기 협경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하는 압출펀치설치단계와; 상기 확경성형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압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가압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가압펀치면을 갖는 가압펀치를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정렬되도록 상기 확경성형공간의 전방에 설치하는 가압펀치설치단계와; 상기 가압펀치를 상기 압출펀치를 향해 가압하여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이경관형태로 변형시키는 직선관변형단계와; 상기 가압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확경성형공간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을 취출하는 변형직선관취출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복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제작방법과 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직선관을 제작하는 한편, 압출펀치면, 좌실링펀치면, 우실링펀치면 및 가압펀치면에 각각 압출펀치안착홈, 좌실링펀치안착홈, 우실링펀치안착홈 및 가압펀치안착홈을 형성하여 직선관을 티(Tee)자 형태 또는 이경관 형태로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종단면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선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
도2, 도3, 도4, 도5, 도6,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
도10, 도11, 도12 및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종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
도15, 도16, 도17, 도18 및 도19는 각각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20은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
도21, 도22, 도23 및 도24는 각각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성형공간(11c)과 수직성형공간(11d)을 갖는 금형(11)과, 수직성형공간(11d)에 진입하도록 설치된 압출펀치(12)와, 압출펀치(12)를 구동하는 압출펀치구동부(13)와, 수평성형공간(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 좌실링펀치(14)와, 수평성형공간(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 우실링펀치(15)와, 좌실링펀치(14)를 구동하는 좌실링펀치구동부(16)와, 우실링펀치(15)를 구동하는 우실링펀치구동부(17)와, 수평성형공간(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하는 성형압력인가부(17)를 갖고 있다.
금형(11)은 상부금형(11a)과 하부금형(11b)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부금형(11a)은 유압실린더와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11e)를 통해 하부금형(11b)에 접근하거나 이반될 수 있다.
수평성형공간(11c)은 합형(合型))상태에서 직선관(203)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수직성형공간(11d)은 수평성형공간(11c)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출펀치(12)는 평면형태의 압출펀치면(12a)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12)는 수직성형공간(11d)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압출펀치구동부(13)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좌실링펀치(14)는 직선관(20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좌실링펀치지지돌부(14b)가 형성된 좌실링펀치면(14a)을 갖고 있다.
좌실링펀치면(14a)은 좌실링펀치지지돌부(14b)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S)을 갖는 요형(凹形)의 좌실링펀치안착홈(14c)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실링펀치(14)는 수평성형공간(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우실링펀치(15)는 직선관(20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우실링펀치지지돌부(15b)가 형성된 우실링펀치면(15a)을 갖고 있다.
우실링펀치면(15a)은 우실링펀치지지돌부(15b)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S)을 갖는 요형(凹形)의 우실링펀치안착홈(15c)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실링펀치(15)는 수평성형공간(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된다.
좌실링펀치구동부(16)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좌실링펀치구동부(16)에 의해 직선관(203)의 좌측단을 밀폐하는 밀폐위치와 수평성형공간(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변형위치로 좌실링펀치(14)를 전진시키고, 수평성형공간(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는 정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우실링펀치구동부(17)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우실링펀치구동부(17)에 의해 직선관(203)의 우측단을 밀폐하는 밀폐위치와 수평성형공간(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변형위치로 우실링펀치(15)를 전진시키고, 수평성형공간(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는 정렬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성형압력인가부(17)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우실링펀치(15)에 액체안내유로를 형성하고 액체안내유로에 체크밸브를 설치한 상태에서 외부에 설치된 증압기를 통해 고압의 액체를 우실링펀치(15)에 형성된 액체안내유로를 통해 공급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성형압력인가부(17)에 의해 수평성형공간(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압출펀치구동부(13)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구동부(13)에 의해 압출펀치(12)를 수평성형공간(11c)을 향해 전진시키고, 압출펀치(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를 사용하여 티자 관이음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2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합형 상태에서 직선관(203)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는 직선상의 수평성형공간(11c)과 수평성형공간(11c)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는 수직성형공간(11d)을 갖는 금형(11)은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직선관제작단계
먼저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갖는 관재(204)를 준비한다.
다음에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관재(204)를 척(207)과 보조고정대(208, 척의 전방에 설치됨)를 고정하고 바이트(206)를 회전시킨다(도2 참조).
여기서 브이(V)단면의 바이트(206)를 채용하면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203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203b)이 형성되도록 직선관(203)을 얻을 수 있다(도3 참조).
압출펀치설치단계
압출펀치(12)를 수직성형공간(11d)에 진입하도록 설치한다(도4 참조).
좌실링펀치설치단계
좌실링펀치(14)를 수평성형공간(11c)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한다(도4 참조).
우실링펀치설치단계
우실링펀치(15)를 수평성형공간(11c)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한다(도4 참조).
직선관설치단계
하부금형(11b)의 수평성형공간(11c)에 직선관(203)을 설치한다(도4 참조).
직선관좌측단밀폐단계
상부금형(11a)을 하부금형(11b)에 접근시켜 합형한 다음 좌실링펀치구동부(16)를 동작시켜 좌실링펀치지지돌부(14b)가 직선관(203)의 좌측단을 밀폐하도록 좌실링펀치(14)를 전진시킨다(도5 참조).
직선관우측단밀폐단계
우실링펀치구동부(17)를 동작시켜 우실링펀치지지돌부(15b)가 직선관(203)의 우측단을 밀폐하도록 우실링펀치(15)를 전진시킨다(도5 참조).
성형압력인가단계
성형압력인가부(17)를 동작시켜 수평성형공간(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한다(도5 참조).
직선관변형단계
좌실링펀치구동부(16)와 우실링펀치구동부(17)를 동작시켜 좌실링펀치(14)와 우실링펀치(15)를 접근시킨다. 좌실링펀치(14)와 우실링펀치(15)의 접근은 수평성형공간(11c)에 설치된 직선관(203)을 일단이 밀폐된 티자 형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도6 참조).
좌실링펀치복귀단계
좌실링펀치구동부(16)를 동작시켜 초기설치위치(좌실링펀치설치단계에서 좌실링펀치가 설치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좌실링펀치(14)를 후퇴시킨다(도7 참조).
우실링펀치복귀단계
우실링펀치구동부(17)를 동작시켜 초기설치위치(우실링펀치설치단계에서 우실링펀치가 설치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우실링펀치(15)를 후퇴시킨다(도7 참조).
수평성형공간개방단계
상부금형(11a)을 하부금형(11b)으로부터 이반시켜 수평성형공간(11c)을 개방한다(도7 참조).
변형직선관취출단계
압출펀치구동부(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2)를 수평성형공간(11c)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205)을 취출한다(도7 참조).
압출펀치복귀단계
압출펀치구동부(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변형직선관절단단계
취출된 변형직선관(205)의 밀폐단을 일자단면형태 또는 브이(V)단면 형태의 바이트(206)를 사용하여 절단한다(도8 참조).
경사면형성단계
변형직선관절단단계에서 일자단면형태의 바이트(206)를 사용한 경우 배관베벨링머신(Pipe Beveling Machine) 등을 사용하여 변형직선관(205)의 절단종단 외표면에 밀폐단경사면(205c)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성형공간(11'a). 협경성형공간(11'b) 및 테이퍼성형공간(11'c)이 형성되어 있는 금형(11')과, 협경성형공간(11'b)에 진입하도록 설치된 압출펀치(12')와, 확경성형공간(11'a)에 정렬되도록 설치된 가압펀치(19')와, 압출펀치(12')를 구동하는 압출펀치구동부(13')와, 가압펀치(19')를 구동하는 가압펀치구동부(21')를 갖고 있다.
금형(11')의 확경성형공간(11'a)은 리듀서확경구간(202a)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있다.
협경성형공간(11'b)은 확경성형공간(11'a)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리듀서협경구간(202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성형공간(11'c)은 확경성형공간(11'a)과 협경성형공간(11'b)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출펀치(12')는 협경성형공간(11'b)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압출펀치지지돌부(12'b)가 형성된 압출펀치면(12'a)을 갖고 있다.
압출펀치면(12'a)은 압출펀치지지돌부(12'b)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S)을 갖는 요형(凹形)의 압출펀치안착홈(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12')는 협경성형공간(11'b)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가압펀치(19')는 확경성형공간(11'a)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압펀치지지돌부(19'b)가 형성된 가압펀치면(19'a)을 갖고 있다.
가압펀치면(19'a)은 가압펀치지지돌부(19'b)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S)을 갖는 요형(凹形)의 가압펀치안착홈(19'c)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가압펀치지지돌부(19'b)는 종단이 리듀서테이퍼구간(202c)에 대응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펀치(19')는 확경성형공간(11'a)에 정렬되도록 확경성형공간(11'a)의 전방에 설치된다.
가압펀치구동부(21')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펀치구동부(21')에 의해 가압펀치(19')를 압출펀치(12')를 향해 가압하고, 가압펀치(19')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압출펀치구동부(13')는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왕복직선이동기구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출펀치구동부(13')에 의해 압출펀치(12')를 확경성형공간(11'a)을 향해 가압하고, 압출펀치(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장치를 사용하여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형(11)은 준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직선관제작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이음구제작방법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203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203b)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관(203)을 제작한다(도3 참조).
압출펀치설치단계
압출펀치(12')를 협경성형공간(11'b)에 진입하도록 설치한다(도10 참조).
가압펀치설치단계
확경성형공간(11'a)에 정렬되도록 확경성형공간(11'a)의 전방에 가압펀치(19')를 설치한다(도10 참조).
직선관설치단계
확경성형공간(11'a)에 진입하도록 직선관(203)을 설치한다(도10 참조).
직선관변형단계
가압펀치구동부(21')를 동작시켜 가압펀치(19')를 압출펀치(12')를 향해 가압한다(도11 및 도12 참조). 여기서 가압펀치(19')의 가압은 확경성형공간(11'a)에 설치된 직선관(203)이 이경관형태로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가압펀치복귀단계
가압펀치구동부(21')를 동작시켜 가압펀치(19')를 원위치(가압펀치설치단계에서 가압펀치가 설치된 위치)로 복귀시킨다(도13 참조).
변형직선관취출단계
압출펀치구동부(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2')를 확경성형공간(11'a)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205)을 취출한다(도13 참조).
압출펀치복귀단계
압출펀치구동부(13')를 동작시켜 압출펀치(1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203a)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203b)이 형성되도록 직선관(203)을 제작하는 한편 압출펀치면(12'a), 좌실링펀치면(14a), 우실링펀치면(15a) 및 가압펀치면(19'a)에 각각 압출펀치안착홈(12'c), 좌실링펀치안착홈(14c), 우실링펀치안착홈(15c) 및 가압펀치안착홈(19'c)을 형성하여 직선관(203)을 티(Tee)자 형태 또는 이경관 형태로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종단면을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선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생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1, 11' : 금형 2, 12' : 압출펀치
13, 13' : 압출펀치구동부 14 : 좌실링펀치
15 : 우실링펀치 16 : 좌실링펀치구동부
17 : 우실링펀치구동부 18 : 성형압력인가부
19' : 가압펀치 21' : 가압펀치구동부

Claims (4)

  1. 티자형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방법에 있어서,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직선관을 제작하는 직선관제작단계와;
    합형 상태에서 상기 직선관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는 직선상의 수평성형공간과 상기 수평성형공간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는 수직성형공간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평면형태의 압출펀치면을 갖는 압출펀치를 상기 수직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하는 압출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좌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좌실링펀치면을 갖는 좌실링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하는 좌실링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우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우실링펀치면을 갖는 우실링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하는 우실링펀치설치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상기 직선관을 설치하는 직선관설치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상기 직선관의 좌측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좌실링펀치를 전진시키는 직선관좌측단밀폐단계와;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상기 직선관의 우측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우실링펀치를 전진시키는 직선관우측단밀폐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하는 성형압력인가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와 상기 우실링펀치를 접근시켜 상기 수평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일단이 밀폐된 티자 형태로 변형시키는 직선관변형단계와;
    상기 좌실링펀치를 후퇴시켜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좌실링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우실링펀치를 후퇴시켜 초기설치위치로 복귀시키는 우실링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개방하는 수평성형공간개방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을 취출하는 변형직선관취출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취출된 변형직선관의 밀폐단을 절단하는 변형직선관절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제작방법.
  2. 리듀서확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리듀서협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확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협경구간을 연결하는 리듀서테이퍼구간을 갖는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방법에 있어서,
    전 길이구간에 걸쳐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관을 제작하는 직선관제작단계와;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확경성형공간과 상기 확경성형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리듀서협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협경성형공간과 상기 확경성형공간과 상기 협경성형공간을 연결하는 테이퍼성형공간을 갖는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준비단계와;
    상기 협경성형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압출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압출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압출펀치면을 갖는 압출펀치를 상기 협경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하는 압출펀치설치단계와;
    상기 확경성형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압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가압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가압펀치면을 갖는 가압펀치를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정렬되도록 상기 확경성형공간의 전방에 설치하는 가압펀치설치단계와;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상기 직선관을 설치하는 직선관설치단계와;
    상기 가압펀치를 상기 압출펀치를 향해 가압하여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이경관형태로 변형시키는 직선관변형단계와;
    상기 가압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펀치복귀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확경성형공간을 향해 가압하여 변형직선관을 취출하는 변형직선관취출단계와;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복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제작방법.
  3.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관을 사용하여 티자형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장치에 있어서,
    합형 상태에서 상기 직선관보다 긴 길이구간을 갖는 직선상의 수평성형공간과 상기 수평성형공간과 협조하여 티자를 이루는 수직성형공간을 갖는 금형과;
    평면형태의 압출펀치면을 가지고, 상기 수직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압출펀치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수평성형공간을 향해 전진시키고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구동부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좌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좌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좌실링펀치면을 가지고,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좌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좌실링펀치와;
    상기 직선관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우실링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실링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우실링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우실링펀치면을 가지고,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우측단에 정렬되도록 설치되는 우실링펀치와;
    상기 직선관의 좌측단을 밀폐하는 밀폐위치와 상기 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변형위치로 상기 좌실링펀치를 전진시키고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좌측단에 정렬되는 정렬위치로 복귀시키는 좌실링펀치구동부와;
    상기 직선관의 우측단을 밀폐하는 밀폐위치와 상기 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변형위치로 상기 우실링펀치를 전진시키고 상기 수평성형공간의 우측단에 정렬되는 정렬위치로 복귀시키는 우실링펀치구동부와;
    상기 성형공간에 설치된 직선관의 내부에 성형압력을 인가하는 성형압력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제작장치.
  4. 전 길이구간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좌측단 외표면에는 좌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좌측경사면이 형성되고 우측단 외표면에는 우측을 향해 하향경사를 이루는 우측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직선관을 사용하여 리듀서확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리듀서협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확경구간과 상기 리듀서협경구간을 연결하는 리듀서테이퍼구간을 갖는 리듀서(Reducer) 관이음구를 제작하기 위한 관이음구제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듀서확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확경성형공간과 상기 확경성형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리듀서협경구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협경성형공간과 상기 확경성형공간과 상기 협경성형공간을 연결하는 테이퍼성형공간을 갖는 금형과;
    상기 협경성형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압출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압출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된 압출펀치면을 가지고, 상기 협경성형공간에 진입하도록 설치되는 압출펀치와;
    상기 압출펀치를 상기 확경성형공간을 향해 가압하고 상기 압출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출펀치구동부와;
    상기 확경성형공간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압펀치지지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펀치지지돌부의 둘레영역에서 외측에 성형경사면을 갖는 요형(凹形)의 가압펀치안착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가압펀치면을 가지고, 상기 확경성형공간에 정렬되도록 상기 확경성형공간의 전방에 설치되는 가압펀치와;
    상기 가압펀치를 상기 압출펀치를 향해 가압하고 상기 가압펀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압펀치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구제작장치.

KR20130136047A 2013-11-11 2013-11-11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KR10146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047A KR101464525B1 (ko) 2013-11-11 2013-11-11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047A KR101464525B1 (ko) 2013-11-11 2013-11-11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525B1 true KR101464525B1 (ko) 2014-11-24

Family

ID=5229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047A KR101464525B1 (ko) 2013-11-11 2013-11-11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771A (zh) * 2022-02-11 2022-05-06 东莞市机信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锥方管的加工方法及加工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44A (ko) * 1993-06-14 1995-01-03 한원길 고응력 드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235727A (ja) 2001-02-07 2002-08-23 Sango Co Ltd 内面にセレーションを有する中空管とそのセレーション成形方法及びセレーション成形装置
KR20100068543A (ko) * 2008-12-15 2010-06-24 황정상 티자형 금속관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00112399A (ko) * 2009-04-09 2010-10-19 유태승 서비스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냉매배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244A (ko) * 1993-06-14 1995-01-03 한원길 고응력 드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235727A (ja) 2001-02-07 2002-08-23 Sango Co Ltd 内面にセレーションを有する中空管とそのセレーション成形方法及びセレーション成形装置
KR20100068543A (ko) * 2008-12-15 2010-06-24 황정상 티자형 금속관 성형장치 및 방법
KR20100112399A (ko) * 2009-04-09 2010-10-19 유태승 서비스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냉매배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3771A (zh) * 2022-02-11 2022-05-06 东莞市机信机械有限公司 一种全自动锥方管的加工方法及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4808B (zh) 一种变径筒形件的液压成形装置及方法
CN202591342U (zh) 一种管件弯曲成形装置
CN104338818A (zh) 一种内高压成形设备
CN102950217B (zh) 异型管端的成型方法及所用的异型夹模模具
CN103949523B (zh) 一种用于复杂管件内高压成形的设备及其使用方法
CN105436285A (zh) 一种增加三通支管高度的镦胀成形装置及方法
CN101972914B (zh) 一种弯制绕曲管的制造方法
KR101464525B1 (ko) 관이음구제작방법 및 그 장치
CN105537344B (zh) 多连体弯头压制成型装置
CN100999134B (zh) 一种车辆油管端部挤包冷成形机
CN205904249U (zh) 一种拉延修边模具及使用该模具生产的拉延弯头
CN102343379B (zh) 软管用管接头的制造方法
CN108381901B (zh) 用于生产具有快速连接用密封槽的塑料管材扩口模
CN102430911B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拉管压接一体机及其使用办法
CN208148485U (zh) 用于生产具有快速连接用密封槽的塑料管材扩口模
CN214639458U (zh) 一种用于充液压弯模具中的密封结构
CN103611753B (zh) 管材壁厚增厚的成形方法
CN103801606B (zh) 一种全自动油管接头挤压设备
CN103357688B (zh) 一种铝合金无缝管材穿孔挤压生产方法
CN203155806U (zh) 一种弯管机上用的冲孔弯管两用芯棒
CN204533914U (zh) 一种挤压机可伸缩油管
CN201295829Y (zh) 钻杆摩擦焊接内飞边剪切冲头装置
CN103341544B (zh) 一种多阶ω管内高压成形方法及装置
CN209077621U (zh) 一种制冷管路件扩口模具
CN206992615U (zh) 电力线路补修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