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868B1 -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건조설비 - Google Patents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건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868B1
KR101463868B1 KR1020107029240A KR20107029240A KR101463868B1 KR 101463868 B1 KR101463868 B1 KR 101463868B1 KR 1020107029240 A KR1020107029240 A KR 1020107029240A KR 20107029240 A KR20107029240 A KR 20107029240A KR 101463868 B1 KR101463868 B1 KR 10146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drying
workbench
tread band
atta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713A (ko
Inventor
피오렌쪼 마리아니
피에란젤로 미자니
Original Assignee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1002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5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s for the processing of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30/2607Devices for transferring annular tyre components during the building-up stage, e.g.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buil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22Handling green tyres, e.g. transferring or storing between tyre manufactur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2030/105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the cores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2030/202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the building drums being movable, i.e. not permanently connected to a fixed fram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건조라인(1)을 구비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어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로서, 순서대로 배열되고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각각 형성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와, 각 작업대(4, 4', 5, 5', 6, 12, 14)에 결합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용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링 장치(3)와,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가 단지 제 1 및 제 2 작업대(4, 4', 5, 5', 6, 12, 14)만 지나도록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상기 순서의 임의의 제 1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상기 순서에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제 2 작업대(4, 4', 5, 5', 6, 12, 14)로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치(3)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가 기술되어 있다. 또한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건조설비의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방법도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건조설비{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본 발명은 차륜용 타이어 건조(建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건조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생산 싸이클은 타이어 그 자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의 건조라인에서 제조 및/또는 조립되는 건조과정과, 연이어 소정의 기하학적 형태와 트레드 패턴에 따라 타이어 구조를 정의하도록 형성된 적절한 가황라인에서 수행되는 몰딩 및 가황과정을 포함한다.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래디얼면(래디얼면은 타이어의 회전축을 포함함)에 소위 "래디얼" 타이어에 강화코드가 놓여진 보강된 하나 이상의 카카스 플라이를 포함하는 토로이드 형상의 환형 카카스를 구비한다. 각각의 카카스 플라이는 그 단부들이 해당 장착 림과 타이어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며 비드에서, 즉, 타이어의 반경방향 내부 단부들에서, 강화를 구성하는 비드 코어로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금속 강화고정구조와 일체로 결합된다. 몰딩 및 가황단계의 마지막에 돋아진 패턴이 지면 접촉을 위해 형성되는 트레드 밴드라고 하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밴드가 상기 카카스에 크라운식으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벨트 구조로 알려진 강화 구조가 카카스와 트레드 밴드 사이에 배열된다. 이런 구조는 주로 자동차 타이어의 경우 각 층에서 서로 나란하고 인접층의 코드와는 교차되는 식으로 배열된, 바람직하게는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 주로 금속 재료의 강화 코드들이 제공된 고무피복된 섬유의 적어도 2개의 반경방향 중첩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벨트 구조는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서, 적어도 언더라잉 벨트층의 단부에서, 또한 (0도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직물 또는 금속코드의 제 3 층을 더 구비한다.
벨트 구조와 트레드 밴드는 또한 소위 타이어의 "크라운 구조"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튜브리스 타입의 타이어에서, 타이어 자체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불침투성 특성을 갖는 라이너라고 하는 반경방향 내부층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리고 하기 특허청구범위에서, "엘라스토머 재료"라는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폴리머 및 적어도 하나의 강화 충진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런 조성물은 가교제 및/또는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한다. 가교제에 의해, 이런 재료는 열로써 가교될 수 있어, 최종 제조품을 이룬다.
본 내용에서, "생타이어"라는 용어는 아직 가황 및 몰딩되지 않은 건조과정에 의해 얻어진 타이어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위 "래디얼" 타이어에서, 카카스 플라이 또는 플라이들에 배열된 각각의 코드는 원주전개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을 나타내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대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면에 놓여 있다. 반대로, 소위 "크로스 플라이(crossed ply)"에서, 카카스 구조는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원주전개방향으로 지향된 경사진 코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카카스 플라이와, 코드가 경사 방향을 내보이며 상기 제 1 플라이의 코드에 대해 대칭으로 가로지르는 제 2 카카스 플라이를 구비한다.
4륜 차량용 타이어에 비해, 2륜 차량용 타이어는 여러 가지 구조적 차이를 내포하는 완전히 독특한 성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가장 중요한 차이는 곡선을 따른 주행시 오토바이는 지면에 수직한 각도(캠버각이라 함)를 이루는 직선상의 주행시 위치에 대해 상당히 기울어져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발생하며, 상기 각도는 주로 45°에 이르나 극한 주행상태에서는 65°에 달할 수 있다. 이는 오토바이가 곡선을 그릴 때 타이어 접촉면이 점진적으로 트레드 밴드의 중앙영역으로부터 곡선의 중심방향에서 축 방향 최외각 지역으로 이동한다. 이런 이유로, 2륜 차량용 타이어는 강한 크로스 벤딩(cross bending)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크로스 벤딩은 통상적으로 트레드 밴드의 반경방향 외부지점과 타이어의 적도면상에 측정된 트레드 밴드 자체의 측면 대향단부들이 지나는 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단부들 간의 타이어 현(cord)을 따라 측정된 거리 사이의 벤딩비(R)의 특정 값으로 정의된다. 자동차 차량용 타이어에서는 벤딩비의 값은 대개 약 0.05의 차례인데 비해, 2륜 차량용 타이어에서 벤딩비(R)의 값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0.15이며 통상적으로는 후륜 타이어의 경우 약 0.3이고, 전륜 타이어의 경우는 약 0.45까지의 차례이다.
현재, 2륜 차량용 타이어는 대개 인접한 카카스 구조에 속하는 코드들에 대해 적절히 지향된 기본적으로 직물 또는 금속 코드로 이루어진 폐쇄 고리처럼 형성된 하나 이상의 벨트층들을 구비할 수 있는 벨트 구조에 결합된 래디얼 카카스 구조를 갖는다.
특히, 벨트 구조는 축방향으로 코일에 나란하게 권선되고 타이어 자체의 원주전개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소위 "0도 벨트"의) 하나 이상의 연속 코드들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벨트 구조는 2개의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층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층은 서로 나란히 배열된 코드들로 보강된 엘라스토머 재료들로 구성되고, 상기 층들은 제 1 벨트층의 코드들이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향되는 식으로 배열되는 반면, 제 2 층의 코드들은 또한 경사 지향을 나타내나 제 1 층(소위 "크로스 벨트")의 코드에 대해 대칭으로 횡단된다.
따라서, 차륜용 타이어와 특히 2륜 차량용 타이어는 서로 매우 다른 타입일 수 있다. 이는 타이어 건조 설비와 공정의 관점에서 상당히 복잡한 것을 의미한다.
동일 출원인 명의 WO 01/32409는 피가공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제작 및 조립하도록 각각 배열된 작업대에 제공된 타이어 건조라인으로서, 서로 다른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모델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련의 타이어들이 동시에 처리되고, 가황 라인으로 타이어 전송은 로봇암을 통해 그리고 각각의 상기 작업대로 타이어의 운반속도와 동일한 운반속도에 따라 수행되는 타이어 건조라인을 기술하고 있다.
동일 출원인 명의 WO 01/39963은 타이어가 서로 다르며, 피가공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부품을 조립하도록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작업대를 갖는 건조유닛과, 가황유닛과, 작업대와 가황유닛 간에 동작하며 피가공 타이어를 운반 및 이동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는 타이어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EP 1 481 791 A2는 다른 크기의 다른 건조 사양에 따라 타이어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타이어들을 동시에 생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각각의 타이어 타입을 구성하는데 요구되는 타이어 건조장비와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와, 각 건조장비가 주어진 로트(lot)를 건조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해당 싸이클의 회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제 1 건조 사양의 마지막 타이어가 지난 후 제 2 건조 사양으로 전환함으로써 로트 변경시 제 2 건조 사양으로 자동 변경하는 단계와, 최종 로트가 생산될 때까지 각각의 이전 로트의 각 마지막 타이어가 지날 때 각 작업대에서 다음 건조 사양으로의 자동 변경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산 시스템은 소정 거리로 각각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4개의 카카스 건조 작업대와, 바람직하게는 카카스 건조 라인과는 별개의 작업대를 갖는 크라운 구조 건조라인을 가지며, 카카스 및 크라운 구조는 세그먼트 자동체결 몰드에서 결합된다.
WO 01/32409 및 WO 01/39963에 기술된 타입의 공정들은 토로이드형 지지체 상에 건조된 타이어의 제조 공정시 생산성을 높이고, 서로 동기화되는 자동화된 표준단계들에 의한 건조를 위해 기본 반제품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런 공정들은 고도의 기술적 유연성을 얻게 하지 못한다. 즉, 각 타이어의 기본 반제품을 이용할 가능성은 엘라스토머 재료의 타입이나 직물 또는 금속 강화코드의 타입에 의해 달라진다. 실제로, 이런 방법들은 차수, 하나 또는 2개의 카카스 플라이들, 비드존에 있는 강화요소들과 같이 타이어의 몇몇 구조적 구성부품들의 선택적 존재, 비드존에서 비드 코어를 형성하는 고무 금속와이어의 코일의 배열, 0도로 다소 확장된 벨트층, 및 트레드 밴드에 있는 층 및 하부층의 존재와 같이 제한된 특징들이 다른 타이어를 생산하는데 적합하다.
이 문제는 심지어 4륜 차량용 타이어를 건조하는 경우에 훨씬 더 실감된다. 이런 경우, 실제로, 대부분의 경우에서, 동일한 차량은 다른 모델의 타이어를 필요로 하므로, 적절한 기술적 융통성을 달성할 가능성이 기본이 된다.
EP 1 481 791에 예시된 방법은 서로 다른 특징들을 갖는 반제품들로 타이어를 얻게 하므로 기술적으로 융통성이 있으나, 예컨대 피제조 타이어의 모델이 변경되고 이들을 수행하기 위한 큰 규모의 설비들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성 면에서 제한된다.
더욱이, 본 출원인은 이러한 후자 타입의 생산 시스템에서 매우 많은 재료들 및/또는 반제품들의 관리로 인해 타이어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분들의 생산 단계들을 동기화하는데 있어 문제가 되고 이로써 생산성에 부정적 결과를 갖는 생산 시스템의 전반적 관리에 문제가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은 상술한 참조문헌들에 예시된 모든 설비들에서 하나의 작업대가 고장날 경우 사례의 명백한 결함들로 전체 건조설비가 차단되어야 하는 것을 알았다.
본 명세서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작업대의 "순서"는 한 세트의 적어도 3개의 작업대들이 기설정된 설치 순서에 따라 배열되는 것을 의미하며, 첫번째와 마지막 사이의 각 작업대는 2개의 다른 작업대들, 즉, 선행 및 후속 작업대에 인접해 있고, 상기 세트의 첫번째 작업대는 상기 세트의 제 2 작업대에 인접해 바로 앞에 있으며, 상기 세트의 마지막 작업대는 상기 세트의 두번째 작업대에 인접해 바로 뒤에 있다.
따라서, 바로 뒤에 인접해 있는 작업대들과 바로 뒤에 인접해 있지 않는 작업대들이 순서대로 발견된다.
물론, 작업대가 3개인 경우, 제 2 작업대와 두번째 작업대는 일치한다.
본 명세서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기본 구성요소"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연속세장요소, 엘라스토 재료로 피복된 고무 금속 또는 직물 강화코드, 적어도 2개의 직물 또는 금속 코드를 포함하는 적절한 크기로 절단된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리본형 요소(이하에서 "스트립형 요소"라고 함) 형태의 기본 반제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타이어의 "구조적 구성요소"는 기능 또는 일부분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타이어의 어떤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조적 구성요소는, 예컨대, 라이너, 언더라이너, 마모방지요소, 비드 코어, 비드 충진제, 카카스 플라이, 벨트 스트립, 벨트 하부층, 트레드 밴드 하부층, 사이드월 삽입물, 사이드월, 트레드 밴드, 보강 삽입물이다.
본 명세서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타이어의 "모델"은 기하학적(예컨대, 트레드 밴드폭, 사이드월 높이, 피팅 직경과 같은) 특징, 구조적 (예컨대, 벨트 구조가 있거나 없는 래디얼 또는 크로스 카카스 플라이를 갖는 1개의 플라이 또는 2개의 플라이 구조, 크로스 벨트, 0도, 크로스 벨트 및 0도를 갖는 벨트 구조 타입, 하나 이상의 층들을 갖는 트레드 밴드 타입 등과 같은) 특징, 및 기술적(예컨대, 다양한 구조적 구성요소들의 혼합물, 직물 또는 금속강화 코드를 구성하는 재료, 강화 코드의 형성 타입 등과 같은) 특징의 세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기술적 요건들이 매우 다른 타이어를 건조하기 위해, 전체 설비의 정체를 방지하며, WO 01/32409 및 WO 01/39963에 예시된 타이어들의 타입의 공정에 대한 융통성과 심지어 생상성을 향상시키고, EP 1 481 791 A2에 예시된 것들과 같이 전반적으로 규모가 크고 관리 및 동기화가 어려운 생산설비를 방지하는 것이 건조라인의 임의의 작업대로부터 동일한 건조라인의 임의의 다른 작업대로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제공된 건조 설비를 갖는데 필수적임을 인식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지지체 형성시 피가공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장치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작업대들을 순서대로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륜용 타이어 건조라인과, 상기 순서의 임의의 작업대로부터 상기 순서에 인접하지 않는 임의의 다른 작업대로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치를 가짐으로써 높은 생산성과 완제품의 고품질을 달성하는 고분화와 고도의 기술적 복잡도를 갖는 일단의 타이어가 동시에 생산될 수 있음을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은 순서대로 배열된 복수의 작업대에 있는 복수의 구조적 구성부품들을 건조하는 각각의 형성 지지체 상에 다른 모델의 타이어를 건조하는 방법에 있어, 한 작업대에서 인접하지 않는 다른 작업대로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제공되고, 또한 생산성을 높이면서 고도의 기술적 유연성을 갖는 타이어가 얻어질 수 있음을 알았다.
달리 말하면, 본 출원인은 건조 라인의 모든 작업대에서 피가공 타이어의 순차적 통과를 방지하고, 한 작업대로부터 인접하고 바로 뒤의 작업대를 지나며, 피건조 타이어의 기술적 요건 및 작업대의 이용가능성에 따라 타이어의 선택 및 운송 로직을 도입함으로써 다른 타이어를 건조할 위한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작업대가 고장날 경우 전체 설비의 정체를 방지하는 공지된 방법 및 설비의 융통성과 생산성 모두가 향상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보다 엄밀하게, 제 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순서대로 배열된 복수의 작업대를 구비하고 각 작업대는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타이어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의 건조 라인에서 작업대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ⅱ) 피가공 타이어가 타이어 모델, 건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및 작업대 자체의 이용가능성을 바탕으로 운송되는 서로 인접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작업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은 피가공 타이어가 단지 상기 적어도 2개의 작업대만 지나는 식으로 발생되는 차륜용 타이어의 건조 라인에서 작업대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 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으로서,
b) 타이어 건조라인에서 순서대로 배열된 복수의 작업대에서 각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함으로써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타이어의 제 1 및 제 2 모델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가공되는 타이어들은 운송장치(2)에 의해 한 작업대로부터 다른 작업대로 운송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타이어 모델을 건조하는 단계 b)는 건조라인(1)의 제 1 작업대로부터 상기 순서대로 인접하지 않은 제 2 작업대로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c)를 포함하고,
운송의 각 단계 c)는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가 단지 상기 제 1 및 제 2 작업대만 지나는 식으로 발생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조된 각 타이어에 대해 다른 기본적인 반제품의 사용과 호환될 수 있기 때문에, 기술적 유연성 및/또는 생산성 감소의 상술한 단점들을 방지하면서, 완성품의 높은 성능품질을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술적으로 유연하고 효율적이다. 실제로 본 출원인은 이런 타입의 공정에서 요구된 유연성이 클 경우 각 건조라인에 대해 최소 약 50%의 정도, 요구된 유연성이 제한될 경우 각 건조라인에 대해 최대 약 80% 까지 생산성이 증가함을 입증했다.
제 3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건조라인을 구비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어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로서,
순서대로 배열되고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각각 형성된 복수의 작업대와,
각 작업대에 결합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용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링 장치와,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가 단지 제 1 및 제 2 작업대만 지나도록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상기 순서의 임의의 제 1 작업대로부터 상기 순서에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제 2 작업대로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치(3)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정을 수행하는 상기 설비는 상술한 동일한 이점을 달성한다.
본 출원인은 건조설비에 상기 순서의 임의의 한 작업대에서 같은 순서의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작업대로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 장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하나의 작업대가 고장날 경우 설비를 중단할 필요성과 관련된 상술한 단점들을 또한 극복하게 하는 것을 입증했다.
마지막으로, 본 출원인은 하나의 작업대에 결합된 핸들링 장치의 사용을 방지하고, 또한 한 작업대에서 다른 작업대로 타이어를 운송하며, 이런 동작의 특별한 운송장치를 할당함으로써 다른 작업대의 싸이클 회수를 최적화하고 건조설비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입증했다.
본 발명은 상기 태양 중 적어도 하나에서 하기의 바람직한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작업대를 선택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피건조 타이어의 모델과 작업대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선행된다. 이런 식으로, 생산비와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해 이런 정보를 처리하여 가장 적합한 작업대를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건조단계 b) 앞에
a) 복수의 작업대에서 피건조 타이어의 복수의 기본 구성요소들을 배열하는 단계가 온다.
이점적으로, 건조단계 b)는 단계 c)의 상류에
d) 타이어 모델, 건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작업대 자체의 이용가능성을 바탕으로 피가공 타이어가 운송되는 작업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타이어 건조시 그리고 이에 따라 가장 적절한 작업대의 선택시 상황의 완전한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건조단계 b)는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한 작업대로부터 상기 순서의 바로 뒤의 작업대로 운송함으로써 수행된다. 달리 말하면, 타이어를 건조하는 방법은 순서의 단일 이동방향을 따라 피가공 타이어의 운송을 제공한다. 이런 식으로, 처리시간과 관리 관점에서 이점을 갖고 타이어가 상기 순서에서 앞뒤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조단계 b)는
ⅰ)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와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구비하는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와,
ⅱ)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구비하는 벨트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와,
ⅲ)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피건조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모델에서, 트레드 밴드의 반경방향 외부 거리와 타이어의 적도면에 측정된 트레드 밴드 자체의 측면 대향단부들이 지나는 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단부들 간의 타이어 현을 따라 측정된 거리 간의 벤딩비(R)가 약 0.15 이상이다. 이런 식으로, 2륜 차량용 타이어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비(R)는 0.3 이하이다. 이런 식으로, 2륜 차량의 뒷쪽 타이어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비(R)는 0.45 이하이다. 이런 식으로, 2륜 차량의 앞쪽 타이어를 얻을 수 있다.
이점적으로, 상기 단계 ⅱ)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은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직물 또는 금속 코드 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 ⅲ)는 상기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트레드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 ⅲ')를 포함한다.
이점적으로, ⅳ) 피가공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 위치에 피가공 타이어의 사이드월의 적어도 일부를 부착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상기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 ⅲ)는, 트레드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 ⅲ') 전에, ⅲ") 상기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ⅲ'), ⅲ"), 또는 ⅳ)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나란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함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구성요소를 조립함으로써 건조된다.
타이어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작업대에 기본 구성요소를 공급하는 사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점적으로, 성형 지지체는 토로이드형 지지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로이드형 지지체는 피가공 타이어의 반경방향 내부면과 일치하는 반경방향 외부면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모델은 크기가 다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모델은 구조적 구성요소가 다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모델은 기본 구성요소가 다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복수의 작업대는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와,
적어도 하나의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와,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를 구비하고,
상기 카카스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 및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구비한다.
이점적으로, 상기 타이어 건조설비의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는 2개이다.
바람직하기로,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는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에 의해 건조된 카카스 구조와는 다른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도록 형성된다.
건조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는 적어도 플라이 부착유닛과, 비드코어 부착유닛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대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비드코어 부착유닛은 고무 금속 강화코드로 성형된 연속세장요소의 디스펜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상기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하도록 성형 지지체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에 결합된 핸들링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는 상기 카카스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언더벨트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 부착유닛을 구비한다.
이점적으로, 상기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는 상기 카카스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제 1 벨트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 부착유닛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런 벨트층 부착유닛은 2개이다.
바람직하기로,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는 적어도 2개이다.
이점적으로, 제 1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는 적어도 2개의 반경방향 중첩 벨트층을 부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층들은 제 1 벨트층의 코드가 피가공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향되어 있는 한편 제 2 층의 코드는 제 1 층의 코드에 대해 경사방향을 갖고 있으나 대칭으로 교차되는 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 2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는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직물 또는 금속 코드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부착하도록 형성된다.
건조설비의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트레드 밴드 부착 유닛은 2개이다.
이점적으로, 건조설비는 피가공 타이어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월 부분을 건조하기 위한 사이드월 부착유닛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월 건조 작업대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건조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을 더 구비한다.
이런 유닛은 바람지하게는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에 배열되어 있다.
타이어 건조설비는 라이너 부착유닛이 제공된 라이너 부착 작업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타이어 건조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구성요소 공급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업대 중 적어도 하나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연속세장요소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상기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하도록 성형 지지체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결합된 핸들링 장치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건조설비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대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기본 구성요소를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를 한 작업대로부터 또 다른 작업대로 운송하도록 형성된 운송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운송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딩 트랙상에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점적으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용의 핸들링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나타낸 비제한적인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선택 방법, 타이어 제조방법 및 타이어 건조설비의 몇몇 바람직한 예들에 대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 선택 방법 및 타이어 제조방법이 수행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 설비의 개략적 설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도면을 참조로, 참조부호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의 건조라인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피건조 타이들은 적어도 2개의 다른 모델들이다. 이런 모델들은 크기, 구조적 구성요소 및/또는 기본 구성부품들에서 다를 수 있다.
설비의 건조라인(1)은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를 구비하고, 작업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구성요소를 조립함으로써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는데 적합하다. 작업대(4, 4', 5, 5', 6, 12, 14)는 상기의 정의에 따른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시스템의 건조라인(1)은 각 작업대(4, 4', 5, 5', 6, 12, 14)에 결합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용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링 장치(3)를 더 구비한다. 각 핸들링 장치(3)는 상기 기본 구성요소를 조립하기 위한 각각의 작업대(4, 4', 5, 5', 6, 12, 14)와 협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건조라인(1)은 또한 순서 중 임의의 제 1 작업대로부터 심지어 제 1 작업대에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제 2 작업대로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치(2)를 구비하므로, 상기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가 단지 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작업대로 전해지게 된다.
상기 운송 경로에는 성형 지지체(2)가 뒤따르고 상기 경로는 임의의 타입(직사각형, 지그재그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바로 뒤의 작업대 및 이에 인접하지 않은 작업대로의 운송이 발생하면, 상기 운송 경로는 일반적으로 한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순서대로 인접해 있고 이에 바로 뒤이은 작업대(4, 4', 5, 5', 6, 12, 14)로 이동을 위한 운송 지지체(2)가 뒤따를 수 있는 경로와는 일반적으로 다르다.
특히,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건조 작업대(4,4')와,
·적어도 하나의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와,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6')를 구비하고,
카카스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와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구비하며, 벨트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는 2개이고,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는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에 의해 건조된 카카스와는 다를 수 있는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도록 형성된다. 대안으로,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와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는 예컨대 2-플라이 타이어의 경우 각각의 성형 드럼상에 동일한 카카스 구조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각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는 플라이 부착유닛(7)과 비드코어 부착유닛(8)을 구비한다.
비드코어 부착유닛(8)에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금속 강화코드로 형성된 연속세장요소의 디스펜서(dispenser)를 나타내는 장치가 제공되는 반면, 바람직하게는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에 결합된 각 핸들링 장치(3)에 연결된 액츄에이터는 성형 지지체를 이동시켜 환형고정구조를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상기 연속세장요소를 권선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는 2개이다(이 중 단 하나만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각각은 상기 카카스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언더벨트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언더벨트층 부착유닛(9)을 구비한다.
각각의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는 상기 카카스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제 1 벨트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 부착유닛(10)을 더 구비한다.
제 1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벨트층의 코드가 피가공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측면 지향되는 식으로 배열된 한편, 제 2 벨트층의 코드는 경사방향을 띠지만 제 1 벨트층의 코드에 대해 대칭적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2개의 반경방향 중첩 벨트층을 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타이어 건조설비의 제 2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는 2개의 벨트층 부착유닛(1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 2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는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직물 또는 금속 코드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건조라인(1)의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는 2개의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과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3)을 구비한다.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3)은 전용 건조 작업대에서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 외부에 배열될 수 있다.
건조설비(1)는 피가공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월 부분을 건조하기 위한 사이드월 부착유닛(17)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월 건조 작업대(12)를 더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건조라인(1)은 라이너 부착유닛(18)이 제공된 라이어(14)를 부착하기 위한 작업대를 더 구비한다.
건조라인(1)에는 각각의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용 스트립형 요소 공급유닛(16)이 제공된다. 동일한 스트립형 요소 공급유닛들이 각각의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순서대로 상기 작업대(4, 4', 5, 5', 6, 12, 14) 중 적어도 하나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연속세장요소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 이런 장치가 제공된 각 작업대는 또한 성형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를 구비해 나란히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연속세장요소를 권선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언더벨트층 부착유닛(9),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3),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 사이드월 부착유닛(17), 라이너 부착유닛(18)은 각각 상기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건조설비는 작업대(4, 4', 5, 5')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몇몇 기본 구성요소들(일반적으로 스트립형 요소 및/또는 고무 코드)에 대한 준비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순서의 한 작업대에서 또 다른 작업대로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도록 형성된 운송장치(2)는 로봇암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운송장치(2)는 이런 로봇 암이 움직일 때 가이딩 트랙(15)과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에 대한 각각의 핸들링 장치(3)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건조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모델은 2륜 차량용으로, 트레드 밴드의 반경방향 외부 거리와 타이어의 적도면상에 측정된 트레드 밴드 자체의 측면 대향단부들이 지나는 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단부들 간의 타이어의 현을 따라 측정된 거리 사이의 벤딩비(R)는 0.5 이상이다.
특히, 상기 벤딩비(R)는 피건조 타이어가 후륜 또는 전륜 타입인 사실을 바탕으로 약 0.3 이하, 또는 약 0.45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지지체는 토로이드형 지지체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토로이드형 지지체는 피가공(피건조) 타이어의 반경방향 내부면에 일치하는 반경방향 외부면을 갖는다.
각 작업대(4, 4', 5, 5', 6, 12, 14)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본 구성요소를 조립함으로써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각각 형성되고 순서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다른 모델의 타이어 건조라인(1)에서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방법은 타이어 모델, 건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및 작업대 자체의 이용가능성을 바탕으로 피가공 타이어가 운송되는 서로 인접하지 않은 적어도 2개의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피가공 타이어는 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적어도 2개의 작업대(4, 4', 5, 5', 6, 12, 14)만 지나도록 운송이 수행된다.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방법은, 선택 단계 전에, 피건조 타이어의 모델 및 작업대(4, 4', 5, 5', 6, 12, 14)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택방법은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정보와 방법의 수신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단계 a)에 따르면, 타이어 건조방법은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에서 피건조 타이어의 복수의 기본 구성요소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그 후,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작업대(4, 4', 5, 5', 6, 12, 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기본 구성요소를 조립함으로써 각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며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타이어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모델을 건조하는 단계 b)를 제공한다. 각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는 단계는 타이어 건조라인(1)에서 순서에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들은 운송장치(2)에 의해 한 작업대(4, 4', 5, 5', 6, 12, 14)에서 다른 작업대로 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제 1 및 제 2 모델을 건조하는 단계 b)는 건조라인(1)의 제 1 작업대(4, 4', 5, 5', 6, 12, 14)에서 상기 순서에 인접하지 않은 제 2 작업대(4, 4', 5, 5', 6, 12, 14)로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c)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각 운송단계 c)는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가 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작업대(4, 4', 5, 5', 6, 12, 14)만 지나도록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단계 b)는 운송단계 c)의 상류에 타이어 모델, 건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및 작업대(4, 4', 5, 5', 6, 12, 14) 자체의 이용가능성을 바탕으로 피가공 타이어가 운송되는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단계 d)를 포함한다.
건조단계 b)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서의 한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바로 뒤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 피가공 타이어의 운송에 의해 수행된다. 즉, 건조 라인(1)의 이동방향을 따라 운반이 발생된다.
특히, 건조단계 c)는
ⅰ)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와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구비하는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와,
ⅱ)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구비하는 벨트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와,
ⅲ)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ⅱ)는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직물 또는 금속 코드가 제공된 벨트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이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해당 작업대로 기본 구성요소를 공급하는 사전단계를 더 구비한다.
타이어 건조 라인(1)을 참조로, 예컨대 A는 1-플라이 타이어이고, B는 2-플라이 타이어이며, A와 B는 벨트 구조로서 0°로 금속 코드층을 모두 갖는 2개의 타이어(A 및 B) 모델의 경우의 도 1에 도시된 설비의 동작 예를 기술한다.
라이너 부착유닛(18)이 바람직하게는 나란한 및/또는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의 부착에 의해 라이너층을 부착하는 라이너 부착 작업대(14)로 피가공 타이어(A)용 형성 지지체가 운송된다. 이런 라이너 부착단계에 앞서 적어도 하나의 비드강화구조의 부착단계 및/또는 타이어(A)의 성형 지지체 상에 마모방지요소의 부착단계가 행해질 수 있다.
그런 후, 또한 라이너층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언더라이너층을 부착할 수 있다.
피가공 타이어(A)는 타이어(A)에 요구되는 플라이의 타입 또는 상기 작업대(4,4')의 이용가능성에 따라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 또는 4')로 운송되고, 단계 ⅰ)에 따라, 카카스 구조의 건조가 수행된다. 이 예에서는, 1-플라이 타이어(A)가 운송장치(2)에 의해 라이너 부착 작업대(14)로부터 상기 방법의 선택단계에 제공된 바에 따라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를 지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단계 c)에 따라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가 없는 것처럼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로 바로 전해진다.
상기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에서, 카카스 플라이는 플라이 부착유닛(7)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트립형 요소들을 서로 나란히 부설함으로써 라이너층 또는(제공된다면) 언더라이너층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부착된다. 다른 투사 사양에 따라, 다른 기본 구성요소들이 카카스 구조의 다른 구조적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단계 ⅰ)는 카카스 플라이의 축방향 대향단부에 적어도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부착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런 단계는 비드 코어 부착유닛(8)에 의해 수행되고, 이 동작은 하기에 예시되어 있다.
그 후, 피가공 타이어(A)의 카카스 플라이에, 복수의 내부 및/또는 외부 강화요소 및/또는 마모방지요소를 부착할 수 있다.
타이어(A)의 건조와 동시에, 또한 타이어(B)가 상술한 방법의 단계 b)에 EK라 건조된다.
보다 정확하게, 피가공 타이어(B)의 성형 지지체는 피가공 타이어(A)가 없어지자마자 라이너 부착 작업대(14)로 운송된다. 타이어(A)에 대한 상술한 같은 공정이 상기 라이너 부착 작업대(14)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단계 ⅰ)에 따르면, 카카스 구조 건조는 아래와 같이 수행된다: 제 1 카카스 플라이를 부착하기 위해 피가공 타이어(B)가 운송장치(2)에 의해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로 이송되고, 이 작업대는 타이어(A)가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로 운송되었기 때문에 자유롭다. 그 후, 운송장치(2)는 카카스 구조 건조단계를 완료한 타이어(A)가 상기 작업대로부터 운송된 후 제 2 카카스 플라이를 부착하기 위해 타이어(B)를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로 운송한다.
특히,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에서, 제 2 카카스 플라이가 제 1 카카스 플라이의 부착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타이어(B) 의 제 1 카카스 플라이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부착된다. 이런 단계에 뒤이어 제 2 카카스 플라이의 축방향 대향 단부들에 다른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부착한다.
단계 c)에 따르면, 피가공 타이어(A)는 그런 후 운송장치(2)에 의해 제 2 벨트구조 작업대(5')로 운송된다.
달리 말하면, 본 명세서에 예시된 예에서, 피가공 타이어(A)는 제 2 카카스 구조 작업대(4')로부터 제 1 벨트 구조 작업대(5)를 지나지 않고도 제 2 벨트 구조 작업대(5')로 운송된다.
이런 제 2 벨트 구조 작업대(5')에서, 이 특정한 예에서 언더벨트층 부착유닛(9)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나란히 및/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의 부착에 의해, 가공된 타이어(A)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언더벨트층의 부착을 위해 먼저 제공된 벨트 구조의 건조 단계 ⅱ)가 수행되고, 그런 후, 특별한 벨트층 부착유닛(10)에서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고무 금속코드층의 부착에 의해 벨트층 부착을 얻는다.
단계 c)에 따르면, 피가공 타이어(B)는 운송장치(2)에 의해 제 2 벨트 구조 작업대(5')로 운송된다.
달리 말하면, 피가공 타이어(B)는 제 1 카카스 구조 작업대(4)로부터 작업대를 지나지 않고도 제 2 벨트 구조 작업대(5')로 운송된다.
더욱이, 제 2 벨트 구조 작업대(5')(2개의 벨트층 부착유닛(10))의 바람직한 형태로 인해 상기 작업대에서 타이어(B)의 운송은 상기 작업대에 여전히 타이어(A)가 있더라도 이점적으로 발행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타이어(B)의 벨트 구조 건조 단계 ⅱ)는 타이어(A)를 건조하기 위해 상술한 것과 동일한 그런 작업대(5')에서 수행된다.
그런 후 피가공 타이어(A)는 운송장치(2)에 의해 트레드 밴드 건조단계 ⅲ)가 수행되는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로 운송된다. 이런 단계 ⅲ)는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3)에서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을 부착하는 서브단계 단계 ⅲ')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ⅲ)는 마지막으로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1)에서 제공된다면 상기 트레드 밴드 하부층 또는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층을 부착하는 서브단계 ⅲ")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 밴드층이 2개이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각각의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에 순차적으로 부착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단계 ⅲ') 및 ⅲ")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나란히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의 부착에 의해 수행된다.
벨트 구조의 건조 마지막에, 또한 피가공 타이어(B)가 운송장치(2)에 의해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로 운송되고, 트레드 밴드 건조단계 ⅲ)는 타이어(A)의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기 위해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들로 수행된다.
또한 이 경우,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2개의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의 바람직한 형태로 인해, 타이어(A)가 여전히 있는 동안 타이어(B)가 상기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로 운송될 수 있어 생산성을 더 향상시킨다.
그런 후, 피가공 타이어(A)는 운송장치(2)에 의해 사이드월 건조 작업대(12)로 운송된다. 이런 작업대(12)에서, 사이드월 부착유닛(17)은 상기 트레드 밴드의 축방향 외부 위치에 타이어(A)의 사이드월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착하고, 나란히 및/또는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의 부착에 의해 단계 ⅳ)를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그 후, 또한 피가공 타이어(B)가 운송장치(2)에 의해 사이드월 건조 작업대(12)로 운송되고, 사이드월 부착유닛(17)이 타이어(A)에 대해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들로 타이어(B)의 사이드월의 적어도 일부분을 부착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건조된 타이어(A 및 B)는 바코드, 라벨 등과 같은 선택 요소의 부착을 위해 또는 본 명세서에 미도시된 몰딩 및 가황유닛으로 진행을 위해 건조라인(1)으로부터 나올 때 다른 선택 작업대로 운송된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범위내에 그리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양, 파라미터, 퍼센트 등을 나타내는 모든 수치들은 언제나 "약"이라는 용어가 앞에 붙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더욱이, 모든 수치 범위는 본문에 특별히 나타낸 범위를 제외하고는 최대 및 최소 수치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Claims (55)

  1. 순서대로 배열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를 구비하고 각 작업대(4, 4', 5, 5', 6, 12, 14)는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타이어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의 건조 라인(1)에서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방법으로서,
    - 타이어 모델, 건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및 작업대 자체의 이용가능성을 바탕으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제1 작업대 및 상기 제1 작업대와 인접하지 않은 제2 작업대를 선택하는 단계; 및
    - 제 1 작업대와 제 2 작업대 사이에 순서대로 배열된 어떤 작업대를 지나지 않고, 상기 제 1 작업대로부터 상기 순서대로 인접하지 않은 상기 제 2 작업대로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의 건조 라인에서 작업대를 선택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하는 단계는 피건조 타이어의 모델과 작업대(4, 4', 5, 5', 6, 12, 14)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의 건조 라인에서 작업대를 선택하는 방법.
  3. 적어도 2개의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으로서,
    b) 타이어 건조라인(1)에서 순서대로 배열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에서 각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함으로써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타이어의 제 1 및 제 2 모델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가공되는 타이어들은 운송장치(2)에 의해 한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다른 작업대로 운송되며,
    적어도 제 1 및 제 2 타이어 모델을 건조하는 단계 b)는 건조라인(1)의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선택된 제 1 작업대로부터 상기 순서대로 인접하지 않은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선택된 제 2 작업대로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 1)를 포함하고,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는 상기 제 1 작업대와 상기 제 2 작업대 사이에 순서대로 배열된 어떤 작업대도 지나지 않고 상기 제 1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 2 작업대로 운송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건조단계 b) 앞에
    a)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에서 피건조 타이어의 복수의 기본 반제품들을 배열하는 단계가 오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건조단계 b)는 운송 단계 1) 이전에,
    타이어 모델, 건조되는 구조적 구성요소, 작업대(4, 4', 5, 5', 6, 12, 14) 자체의 이용가능성을 바탕으로 피가공 타이어가 운송되는 작업대(4, 4', 5, 5', 6, 12, 14)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건조단계 b)는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한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상기 순서의 바로 뒤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 운송함으로써 수행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 b)는
    ⅰ)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와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구비하는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와,
    ⅱ)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구비하는 벨트 구조를 건조하는 단계와,
    ⅲ)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피건조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모델에서, 트레드 밴드의 반경방향 외부 거리와 타이어의 적도면에 측정된 트레드 밴드 자체의 측면 대향단부들이 지나는 선 사이의 거리와 상기 단부들 간의 타이어 현을 따라 측정된 거리 간의 벤딩비(R)가 0.15 이상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비(R)는 0.3 이하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비(R)는 0.45 이하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ⅱ)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은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직물 또는 금속 코드 층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 ⅲ)는
    상기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트레드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 ⅲ')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ⅳ) 피가공 타이어의 축방향 외부 위치에 피가공 타이어의 사이드월의 적어도 일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 밴드를 건조하는 단계 ⅲ)는 트레드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 ⅲ') 전에
    ⅲ") 상기 벨트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ⅲ'), ⅲ")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나란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함으로써 수행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는 나란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들을 다라 엘라스토머 재료인 적어도 하나의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서 수행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7.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반제품을 조립함으로써 건조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8.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에 기본 반제품을 공급하는 사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1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지지체는 토로이드형 지지체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로이드형 지지체는 피가공 타이어의 반경방향 내부면과 일치하는 반경방향 외부면을 갖는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2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모델은 크기가 다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타이어 모델은 구조적 구성요소가 다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2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타이어 모델은 기본 반제품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24.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 건조라인(1)을 구비하고, 적어도 2개의 타이어 모델이 다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로서,
    순서대로 배열되고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각각 형성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와,
    각 작업대(4, 4', 5, 5', 6, 12, 14)에 결합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용의 적어도 하나의 핸들링 장치(3)와,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가 상기 제 1 작업대와 상기 제 2 작업대 사이에 순서대로 배열된 어떤 작업대도 지나지 않고 상기 제 1 작업대로부터 상기 제 2 작업대로 운송되도록 성형 지지체 상의 피가공 타이어를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선택된 상기 순서의 임의의 제 1 작업대로부터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선택된 상기 순서에 인접하지 않은 임의의 다른 제 2 작업대로 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송장치(2)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25. 제 2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는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와,
    적어도 하나의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와,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를 구비하고,
    상기 카카스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카카스 플라이 및 한 쌍의 환형고정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벨트 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지지체는 토로이드형 지지체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지지체는 토로이드형 지지체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토로이드형 지지체는 피가공 타이어의 반경방향 내부면과 일치하는 반경방향 외부면을 갖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29. 제 25 항에 있어서,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는 2개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0. 제 26 항에 있어서,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는 2개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1. 제 29 항에 있어서,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는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에 의해 건조된 카카스 구조와는 다른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도록 형성된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2. 제 30 항에 있어서,
    제 1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는 제 2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에 의해 건조된 카카스 구조와는 다른 카카스 구조를 건조하도록 형성된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3. 제 24 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대(4, 4', 5, 5', 6, 12, 14)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반제품을 조립함으로써 각 타이어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구성요소를 건조하도록 형성된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4. 제 25 항에 있어서,
    각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는 적어도
    플라이 부착유닛(7)과,
    비드코어 부착유닛(8)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코어 부착유닛(8)은 고무 금속 강화코드로 성형된 연속세장요소의 디스펜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6. 제 3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반경방향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상기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하도록 성형 지지체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카카스 구조 건조 작업대(4,4')에 결합된 핸들링 장치(3)에 연결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7. 제 25 항에 있어서,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는 상기 카카스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언더벨트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 언더벨트층 부착유닛(9)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8. 제 25 항에 있어서,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는 상기 카카스 구조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제 1 벨트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 부착유닛(10)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층 부착유닛(10)은 2개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0. 제 25 항에 있어서,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5')는 2개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1. 제 40 항에 있어서,
    제 1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는 적어도 2개의 반경방향 중첩 벨트층을 부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층들은 제 1 벨트층의 코드가 피가공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향되어 있는 한편 제 2 층의 코드는 제 1 층의 코드에 대해 경사방향을 갖고 있으나 대칭으로 교차되는 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2. 제 40 항에 있어서,
    제 2 벨트 구조 건조 작업대(5')는 원주방향으로 0°지향된 직물 또는 금속 코드층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벨트층을 부착하도록 형성된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3. 제 25 항에 있어서,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4. 제 43 항에 있어서,
    트레드 밴드 부착유닛(11)은 2개인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5.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3)을 더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 밴드 하부층 부착유닛(13)은 트레드 밴드 건조 작업대(6)에 배열되어 있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7. 제 25 항에 있어서,
    피가공 타이어의 반경방향 외부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월 부분을 건조하기 위한 사이드월 부착유닛(17)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월 건조 작업대(12)를 더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8. 제 25 항에 있어서,
    라이너 부착유닛(18)이 제공된 라이너 부착 작업대(14)를 더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49.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형 요소 공급유닛(16)를 더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5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4, 4', 5, 5', 6, 12, 14) 중 적어도 하나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된 연속세장요소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51. 제 5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가 나란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 코일을 따라 상기 연속세장요소를 부착하도록 성형 지지체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4, 4', 5, 5', 6, 12, 14)에 결합된 핸들링 장치(3)에 연결된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52.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작업대(4, 4', 5, 5', 6, 12, 14)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기본 반제품을 준비하는 라인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53. 제 24 항에 있어서,
    자신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를 한 작업대(4, 4', 5, 5', 6, 12, 14)로부터 또 다른 작업대(4, 4', 5, 5', 6, 12, 14)로 운송하도록 형성된 상기 운송장치(2)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54.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2)는 가이딩 트랙(15)과 결합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55. 제 2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성형 지지체 상에 피가공 타이어용의 상기 핸들링 장치(3)는 적어도 하나의 로봇암을 구비하는 차륜용 타이어 건조설비.
KR1020107029240A 2008-06-27 2008-06-27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건조설비 KR101463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08/000437 WO2009157028A1 (en) 2008-06-27 2008-06-27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713A KR20110027713A (ko) 2011-03-16
KR101463868B1 true KR101463868B1 (ko) 2014-11-20

Family

ID=4034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240A KR101463868B1 (ko) 2008-06-27 2008-06-27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건조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759129B2 (ko)
EP (1) EP2291282B1 (ko)
JP (1) JP5789509B2 (ko)
KR (1) KR101463868B1 (ko)
CN (1) CN102076488B (ko)
BR (1) BRPI0822832B1 (ko)
PL (1) PL2291282T3 (ko)
WO (1) WO2009157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9509B2 (ja) * 2008-06-27 2015-10-07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構築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WO2010070374A1 (en) * 2008-12-17 2010-06-24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KR101980670B1 (ko) * 2009-12-22 2019-05-21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차륜용 생타이어 건조방법 및 설비
BR112012028669B1 (pt) 2010-05-28 2020-04-22 Pirelli método para controlar o gerenciamento da formação de tambores, e, planta para produção de pneus
ITMI20111320A1 (it) * 2011-07-15 2013-01-16 Pirelli Metodo, processo e appara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ITMI20112370A1 (it) * 2011-12-23 2013-06-24 Pirelli Processo e impianto di confezionamento di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ITMI20121757A1 (it) * 2012-10-17 2014-04-18 Pirelli Metodo e impian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ITMI20122214A1 (it) * 2012-12-21 2014-06-22 Pirelli Metodo e impianto per confezionare pneumatici per ruote di veicoli
US10639860B2 (en) * 2013-11-26 2020-05-05 Pirelli Tyre S.P.A. Method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DE202014101003U1 (de) 2014-03-06 2015-06-17 Kuka Systems Gmbh Fertigungsanlage
WO2015193844A1 (en) * 2014-06-20 2015-12-23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EP3218175B1 (en) 2014-12-15 2018-03-07 Pirelli Tyre S.p.A. Method for managing a carcass structure building line,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 carcass structures
NL2015094B1 (en) 2015-07-06 2017-01-31 Vmi Holland Bv Apparatus and method for stitching.
EP3390027B1 (en) * 2015-12-17 2021-07-28 Pirelli Tyre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yr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0978A1 (en) * 2002-11-25 2005-09-07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manufacturing method
US20050194101A1 (en) 1999-12-01 2005-09-08 Pirelli Pneumatici S.P.A. Plant for producing types of tyres different from each oth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0792A (en) * 1959-05-08 1963-11-06 Dunlop Rubber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neumatic tyres
US4443290A (en) * 1982-06-08 1984-04-17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Work station
US5354404A (en) * 1990-05-25 1994-10-11 Cooper Tire & Rubber Company Control for integrated tire building system
JPH0811232A (ja) * 1994-06-29 1996-01-16 Bridgestone Corp タイヤ成形システム
DE19544369C2 (de) 1995-11-29 1998-05-20 Continental Ag Herstellung von Fahrzeugluftreifen
PT1224074E (pt) 1999-10-29 2004-11-30 Pirelli Processo e aparelhopara o fabrico de diferentes tipos de pneus
RU2258608C2 (ru) * 2000-05-26 2005-08-20 Пирелли Пнеуматичи С.П.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знотипных шин
EP1201414B2 (en) * 2000-10-30 2019-12-04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idewall of a pneumatic tire
US6579054B2 (en) * 2001-07-18 2003-06-17 Columbia Trailer Co., Inc. Shape-modifiable transition chute for trailer tipper
US6793752B2 (en) * 2001-09-21 2004-09-2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recision longitudinal registration of tire building drum to automated tire building system work station
KR100928974B1 (ko) * 2002-11-05 2009-11-27 피렐리 타이어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차륜용 타이어 조립 방법 및 그 장치
US20040238102A1 (en) 2003-05-30 2004-12-02 Jean-Claude Girard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s on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TWI220077B (en) * 2003-07-15 2004-08-01 High Tech Comp Corp Multi-frequency antenna
US7305254B2 (en) * 2003-07-17 2007-12-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software transfer between a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accessory
US7195047B2 (en) * 2003-12-11 2007-03-27 The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ire manufactur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res
JP4502720B2 (ja) * 2004-06-15 2010-07-1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生タイヤの成型方法およびタイヤ成型システム
DE102005055609A1 (de) 2005-11-22 2007-05-24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Transport- und Fertigungssystem zur Verwendung beim Aufbau von Reifenrohlingen
ATE494134T1 (de) * 2006-10-12 2011-01-15 Pirelli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uftreifens und entsprechende aufbaulinie und montagevorrichtung
JP5789509B2 (ja) * 2008-06-27 2015-10-07 ピレリ・タイヤ・ソチエタ・ペル・アツィオーニ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構築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WO2015193844A1 (en) * 2014-06-20 2015-12-23 Pirelli Tyre S.P.A.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4101A1 (en) 1999-12-01 2005-09-08 Pirelli Pneumatici S.P.A. Plant for producing types of tyres different from each other
EP1570978A1 (en) * 2002-11-25 2005-09-07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291282T3 (pl) 2013-08-30
JP2011525866A (ja) 2011-09-29
US11241850B2 (en) 2022-02-08
BRPI0822832B1 (pt) 2018-11-06
US10759129B2 (en) 2020-09-01
WO2009157028A1 (en) 2009-12-30
US20200346422A1 (en) 2020-11-05
EP2291282A1 (en) 2011-03-09
KR20110027713A (ko) 2011-03-16
BRPI0822832A2 (pt) 2015-06-23
CN102076488B (zh) 2014-08-06
JP5789509B2 (ja) 2015-10-07
US20110168322A1 (en) 2011-07-14
US20230013972A1 (en) 2023-01-19
CN102076488A (zh) 2011-05-25
EP2291282B1 (en)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868B1 (ko)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건조설비
KR101402833B1 (ko) 차륜용 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US11198266B2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EP2387500B1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US20210221082A1 (en) Plant for building green tyres for vehicle wheels
KR101522990B1 (ko) 차륜용 타이어 건조방법 및 설비
CN101522403A (zh) 充气轮胎的制造工艺及相关的构建生产线和组装设备
JP2013501650A (ja) 車両ホイール用タイヤを構築するためのプロセスおよびプラント
EP3166777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6155203B2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構築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RU245794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ки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16137728A (ja) 車両の車輪用タイヤを構築する方法およびプラント
KR20150079610A (ko) 차륜용 타이어를 생산하는 설비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