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867B1 - 생체 조직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867B1
KR101463867B1 KR1020147010915A KR20147010915A KR101463867B1 KR 101463867 B1 KR101463867 B1 KR 101463867B1 KR 1020147010915 A KR1020147010915 A KR 1020147010915A KR 20147010915 A KR20147010915 A KR 20147010915A KR 101463867 B1 KR101463867 B1 KR 10146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syringe
needle assembly
hous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987A (ko
Inventor
강현귀
김광기
양나리
이상봉
Original Assignee
국립암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암센터 filed Critical 국립암센터
Priority claimed from PCT/KR2013/01096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084650A1/ko
Publication of KR2014008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66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 A61B10/0275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means for severing sample with sample notch, e.g. on the side of inner sty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A61B10/028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with vacuum aspiration, e.g. caused by retractable plunger or by connected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9/00Materials for catheters, medical tubing, cannulae, or endoscopes or for coating catheters
    • A61L29/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25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taking multiple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하우징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발사버튼; 하우징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며,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직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홀이 장착되는 튜브; 및 버튼에 의해 상기 튜브 내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체성 조직을 절단하여 보관하거나 액체성 조직을 흡인하는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체 조직 채취 장치{DEVICE FOR SAMPLING BIOPSY}
본 발명은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직 채취와 약물 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종양들은 치료약과 방법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전에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종양의 확진은 종양 조직에서 종양세포를 검출하여 진단하게 되는데 인체 내 같은 부위에서조차도 여러 종류의 종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검사를 통해 치료 전에 종양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양 병소에서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은 피부를 절개 한 후 직접 채취하는 절개 생검, 주사기를 이용한 세침 흡인 검사, 및 바늘 발사건 장치를 이용한 총 조직 검사(Gun Biopsy)가 있다.
절개 생검은 충분한 조직을 얻을 수 있어 진단 정확도는 높을 수 있으나 마취와 피부 절개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정확하고 세심한 수술 기술이 없다면 절개 주변에 종양세포가 오염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주사기를 이용한 세침 흡인 검사는 환자가 덜 불편하고 통증이 덜한 방법이나 채취되는 조직의 양이 아주 적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하는데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총 조직 검사는 절단면을 가진 바늘을 이용하여 더욱 많은 조직의 획득이 가능하여 생검 방법들 중 비교적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여러 암의 진단 시 널리 사용되는 검사법이다.
도 1은 종래 총 조직검사 기술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종래 조직검사 기술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튜브(120), 및 튜브(12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생체 조직을 채취하는 바늘 조립체(130)로 구성된다.
바늘 조립체(130)는 선단부(132)와, 선단부(132)의 후방에 형성되는 조직이 보관되는 저장부(134)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의 후단부에는 바늘 조립체(130)를 조직검사부위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바늘을 따라 튜브(120)를 전진시키는 발사 버튼(112)이 구비된다.
튜브(120)의 선단부에는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1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100)의 사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의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100)의 조직 채취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영상 장치(미도시)를 보면서 종양 조직 내로 튜브(120)를 삽입하고, 하우징(110)의 후단부에 구비된 발사 버튼(112)을 한번 누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채취를 원하는 조직 부위에 바늘 조립체(130)를 투과시키며, 바늘 조립체(130)의 저장부(134) 내에 조직 중 채취될 조직이 안착된다(도 2a의 화살표 A 참조).
조직이 저장부(134) 내에 안착되면, 하우징(110)의 후단부에 구비된 발사 버튼(112)을 한번 더 누르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20)가 바늘 조립체(130)의 선단부(132)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에 조직이 절단되어 저장부(134) 내에 저장된다(도 2b의 화살표 B 참조).
마지막으로, 튜브(120)가 바늘 조립체(130)의 선단부(132)까지 이동한 상태(도 2b)에서 피부 밖으로 빼낸 후에 튜브(12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되면, 바늘 조립체(130)의 저장부(134)에 채취된 조직을 얻을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채취가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의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100)는 바늘 조립체(130)가 인체 내로 삽입되었다 인체 외부로 뺄 때, 삽입구로부터 출혈이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멍이 들거나 혈액이 고여 혈종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직이 악성 종양일 경우, 출혈이 생긴 부분 및 혈종은 악성 종양 세포에 오염이 된 것으로 간주되어 수술시 절제 범위가 넓어지거나 또는 사지절단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체의 종양 내부에 액체성 및 고체성 물질이 이질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경우와 액체만을 함유한 낭성 종양이 있으며, 이러한 액체성 종양일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로 채취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의 바늘 조립체에 절단된 조직을 보관하는 저장부, 및 액체성 조직을 채취하는 흡인홀이 구비되고, 튜브의 하단부에 상처가 생긴 조직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홀이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기구로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동시에 출혈이 생길 수 있는 부위에 약물 투여가 가능한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튜브의 하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상처가 생긴 조직 내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는 주입홀을 구비하여 인체 내 조직 채취와 약물 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종양 또는 조직 세포의 퍼짐을 예방하고, 조직 검사 트랙(조직 채취용 장치가 인체 내로 들어간 경로) 및 종양 부위를 표시해 놓을 수 있는 수술시 절제가 용이한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생체 조직 채취 시,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이 고체성일 경우에는 저장부에서 채취하고, 액체성 조직은 흡인홀로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하우징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발사버튼; 하우징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며,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직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홀이 장착되는 튜브; 및 버튼에 의해 튜브 내에서 조직검사부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체성 조직을 절단하여 보관하거나 액체성 조직을 흡인하는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의 선단부에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조립체는 Ti, Ni, Fe, Cr, Ta, 스테인레스 스틸,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의 선단부는 Ti, Ni, Fe, Cr, Ta, 스테인레스 스틸,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튜브의 선단부에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절단된 조직을 보관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 조립체에는 저장부와 연결되어 액체성 조직을 흡입하는 흡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입홀의 수직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역삼각형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입홀의 외면에 다수의 사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입홀과 연결되는 약물 주입 실린지 및 흡인홀과 연결되는 조직 흡인 실린지가 하우징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조직 흡인 실린지는 중공의 실린지 바디 및 실린지 바디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조직 흡인 실린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각각 슬라이드 버튼이 피스톤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조직 흡인 실린지는 1㏄ 내지 3cc의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버튼이 이동하는 하우징의 일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단위길이로 피스톤을 슬라이드 시킨 후 압력에 의해 발사버튼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일단이 주입홀과 연결되고, 공간부에 수납되는 연장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장튜브의 타단이 공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간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일단이 흡인홀과 연결되고, 공간부에 수납되는 연장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장튜브의 타단이 공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간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채취 장치에 따르면, 생체 조직 채취 장치의 바늘 조립체에는 절단된 조직을 보관하는 저장부, 및 액체성 조직을 채취하는 흡인홀이 구비되고, 튜브의 하단부에는 상처가 생긴 조직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홀이 구비되며, 조직 채취로 인해 종양 및 조직 검사 트랙에서 발생되는 출혈과 종양 세포 오염 부위에는 주입홀에 의해 약물이 투여됨으로써, 하나의 기구로 조직 채취와 약물 투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직 채취 후 출혈과 종양 세포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직 검사 트랙 및 종양의 조직 채취 부위에 약물을 도포하여 절단 부분을 표시함으로써, 수술 시 종양 조직뿐만 아니라 약물이 도포된 부분까지 절제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조직 채취 시,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이 고체성일 경우에는 저장부에서 채취하고, 액체성 조직은 흡인홀로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의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의 사용법을 도시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바늘 조립체의 작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의 조직 채취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7의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 주입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도 12의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 저장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의 사시도; 및
도 16는 도 15에 따른 바늘 조립체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따른 연장튜브를 개폐장치가 있는 공간부 내 장착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200)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200)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튜브(220), 및 튜브(220) 내에 결합되어 생체 조직을 채취하는 바늘 조립체(230)로 구성된다.
하우징(210)의 후단부에는 튜브(220) 및 바늘 조립체(230)를 이동시키는 발사 버튼(212), 액체성 조직을 담는 제1실린지(214), 약물을 담는 제2실린지(216), 제1실린지(214)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슬라이드(215), 제2실린지(216)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슬라이드(217)로 구성된다.
발사 버튼(212)은 2단 버튼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린지(214)와 제2실린지(216)는 중공의 실린지 바디(214a, 216a)와 실린지 바디(214a, 216a) 내를 이동하는 피스톤(214b, 216b)으로 구성되어, 하우징(210)의 내부에 나란히 구비된다.
또한, 제1실린지(214) 및 제2실린지(216)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제1실린지(214) 및 제2실린지(216)의 피스톤(214b, 216b) 일단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드(215) 및 제2슬라이드(217)가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나란히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하우징(21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제1실린지(214)와 제2실린지(216)의 용량은 1㏄ 이상의 용량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린지(214)와 제2실린지(216)의 작동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실린지(214)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1실린지(214)의 초기 상태는 제1실린지(214)의 피스톤(214b) 선단이 제1실린지(214)의 실린지 바디(214a) 선단에 닿아 있으며, 제1슬라이드(215)가 제1실린지(214)의 피스톤(214b)을 발사 버튼(21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1실린지(214)의 피스톤(214b) 선단과 제1실린지(214)의 실린지 바디(214a) 선단이 서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1실린지(214)의 실린지 바디(214a) 내에 액체성 조직이 흡인된다(도 5 참조).
이때, 제1실린지(214)가 액체성 조직을 흡인하는 경우, 제1실린지(214)의 피스톤(214b)에는 발사 버튼(212)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된다. 제1실린지(214)의 실린지 바디(214a) 내로 흡인되는 액체성 조직은 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실린지(214)의 피스톤(214b)과는 반대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발사 버튼(212) 방향으로 이동하던 실린지(214, 216)의 피스톤(214b, 216b)이 바늘 조립체(23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215) 및 제2슬라이드(217)가 슬라이드하는 하우징(210)의 일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홈(218)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드 시킨 후 정지시킨 후 압력에 의해 발사버튼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단위길이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홈(218)의 형상은 피스톤(214b, 216b)이 바늘 조립체(230)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18a)은 래크기어 형상일 수 있으며, 이는 실린지(214, 216)의 피스톤(214b, 216b)이 바늘 조립체(23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의 또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도 4와 같이, 슬라이드하는 하우징(210)의 일면에 다수의 고정홈(218b)이 길이방향으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 형상의 고정홈(218b)과 체결될 수 있는 고정홀(219)이 제1슬라이드(215) 또는 제2슬라이드(217)의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드(215) 또는 제2슬라이드(217)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고정홈(218b)이 고정홀(219)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면, 피스톤(214b, 216b)이 바늘 조립체(23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돌기 형상의 고정홈(218b)은 제1실린지(215)와 제2실린지(217)의 이동방향에 따라 일렬 또는 이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력을 가하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어 실린지(214, 216)의 피스톤(214b, 216b)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실린지(216)의 작동을 설명하면, 제2실린지(216)의 초기 상태는 제2실린지(216)의 피스톤(216b) 선단과 제2실린지(216)의 실린지 바디(216a) 선단이 서로 최대 이격된 상태로 있으며, 제2슬라이드(217)가 제2실린지(216)의 피스톤(216b) 선단을 제2실린지(216)의 실린지 바디(216a) 선단으로 이동시키면, 제2실린지(216)의 실린지 바디(216a) 내에 있던 약물은 제2실린지(216)의 피스톤(216b)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주입홀(222)을 통하여 종양의 조직 채취 부위 및 조직 검사 트랙의 출혈 부분에 투여된다(도 6 참조).
도 17 및 도 18은,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의 또다른 예로서, 상기의 제1실린지 및 제2실린지를 대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연장튜브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는 하우징(410)에 형성되는 공간부(412), 일단이 흡인홀(436) 및/또는 주입홀(422)의 끝단과 연결되고 공간부에 수납되는 연장튜브(440, 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튜브(440, 440')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연장튜브(440, 440')의 일단은 흡인홀(436) 및/또는 주입홀(422)의 끝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공간부(412)의 외부로 노출되고, 그 타단에 통상에서 사용되는 일체형 주사기(460)또는 일반 주사기(461)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442, 44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부(442)에 일체형 주사기(460)를 연결하고, 또 다른 체결부(442')에 일반 주사기(461)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장튜브(440, 440')를 통해 흡인이나 약물 주입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직 검사만 진행할 경우에는, 공간부(412) 내에 연장튜브(440, 440')를 수납하여 보관하고, 액체의 흡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체결부(442')를 통해 일반 주사기(461)로 흡인하고, 약물주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이 장전된 일체형 주사기(460)를 체결부(440)에 결합하여 주입할 수 있다.
즉, 연장튜브(440, 440')는 사용 용도에 따라 흡인홀(436) 또는 주입홀(422)의 끝단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흡인홀(436) 및 주입홀(422)의 끝단에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일체형 주사기(460)에 주입되는 약물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항암제 또는 지혈제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지혈제는 일체형 주사기(460)에 각각 분리되어 액체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가, 주입할 경우 서로 합체되어 응고되면서 지혈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체결부(442, 442')는 모든 형태의 주사기를 장착할 수 있는 유니버셜한 커넥터(universal connector)이므로, 체결부(442, 442')에 다양한 주사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9에서와 같이, 일체형 주사기 또는 일반 주사기를 제거하여, 하우징(410)에 형성된 공간부(412) 내부에 연장튜브(440)를 수납하고, 공간부(412)와 결합된 덮개(450)를 통해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450)는 공간부(412)를 개폐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하우징(4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450) 선단에는 일정 크기의 홈(454)을 가진 걸림돌기(452)가 형성되어, 공간부(412)의 일측에 형성된 걸고리(414)에 상기 걸림돌기(452)가 끼워져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412)는 연장튜브(440, 44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와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20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바늘 조립체(230)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200)는 도 3과 같이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튜브(220), 및 튜브(220) 내에 결합되어 생체 조직을 채취하는 바늘 조립체(230)로 구성된다.
하우징(210)의 구성 및 형상은 도 3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바늘 조립체(230)는 선단부(232), 선단부(232)의 후방에 형성되어 조직이 보관되는 저장부(234), 및 저장부(234)에서 제1실린지(214)와 연결되어 액체성 조직이 채취되는 흡인홀(236)로 구성된다.
상기 바늘 조립체(230)의 선단부(232)는 절단면을 가진 바늘 형상이면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바늘 조립체(230)의 선단부(232)는 삼각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바늘 조립체(230)는,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Ti, Ni, Fe, Cr, Ta, 스테인레스 스틸,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Ti, Ni, Fe, Cr, Ta, 스테인레스 스틸,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으로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에 유해하여 염증 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가 거의 없고 내식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형상기억합금의 니켈-티타늄 합금일 수 있다. 상기 니켈-티타늄 합금은, 니켈 및 티타늄의 무게 조성비에 따라 형성회복 온도가 달라지며, 예를 들어, 형상회복온도가 실온보다 높으면 실온에서 형상기억효과(Shape Memory Effect)가 나타나며, 형상회복온도가 실온보다 낮으면 실온에서 초탄성효과(Super Elastic Effect)가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초탄성 합금은 보통의 금속재료라면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이 될 정도의 큰 변형력을 가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력을 제거하면 고무와 같이 원래의 모양으로 회복된다. 따라서, 조직 채취시 채취하는 힘에 의한 변형이나 부러짐이 생기지 않고 채취 후에도 원래 형상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니켈-티타늄 합금이 본 발명이 소망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니켈 및 티타늄의 중량 조성비는 55:45 내지 99:1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45 내지 65:35일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조성물을 진공아크용해로에서 용융물로 용해하여 바늘 조립체(230)의 선단부(232)에만 코팅하여 본 발명의 바늘 조립체(2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용해된 니켈-티타늄 용융물을 판재 형상으로 응고시킨 뒤, 가공하여 본 발명의 바늘 조립체(23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튜브(220)는 약물이 유동하는 주입홀(222) 및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224)로 구성되며, 약물이 유동하는 주입홀(222)은 튜브(220)의 하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주입홀(222)의 수직단면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13a 내지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의 유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원형, 타원형 또는 역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223)의 크기는 생체 내에 삽입되는 기구의 특성상 커팅부(224) 보다 작은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3a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홀(222)의 외면에 다수의 사이드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입홀(222)의 외면 전체 또는 일부에 다수의 사이드홀(221)이 형성되어, 주입홀의 홀(223) 및 다수의 사이드홀(221)을 통해 조직 채취로 인해 발생된 상처 부위에 약물이 정확하게 투여될 수 있으며, 넓은 상처 부위에도 약물을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입홀(222)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10 내지 20%의 길이로 주입홀(222)의 선단에 사이드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직을 절단하는 커팅부(224)는 튜브(220)의 선단부, 즉 바늘 조립체(230)의 저장부(234)에서 이어지는 튜브(220) 위치에 날카롭게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200)의 사용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하우징(210)의 발사 버튼(212)은 2단 버튼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사 버튼(212)을 한번 누르면 바늘 조립체(230)가 채취될 조직의 위치로 발사되고(도 7의 화살표 C 참조), 다시 한번 발사 버튼(212)을 누르게 되면, 튜브(220)가 바늘 조립체(230)를 덮도록 바늘 조립체(230)의 선단부(232)까지 이동한다(도 8의 화살표 D 참조).
튜브(220)가 바늘 조립체(230)의 선단부(232)까지 이동하면서, 튜브(220)의 선단부에 구비된 커팅부(224)에 의하여 조직이 절단되어 저장부(234)에 채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의 조직 채취 과정을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용 장치(200)의 채취 과정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내며, 도 9 내지 도 12에서는 고체성 조직일 경우를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210)에 결합된 장전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튜브(220), 및 튜브(220) 내에 결합되는 바늘 조립체(230)를 하우징(210)에 장전시킨 후, 초음파 또는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의 영상 장치(미도시)를 보면서 종양 조직 내로 튜브(220)를 삽입한다.
이후, 하우징(210)의 후단부에 구비된 발사 버튼(212)을 한번 누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조립체(230)가 발사되어 채취할 조직(240)에 위치된다.
이때, 채취해야 할 조직(240)이 고체성이거나 또는 액체성일 경우가 있다. 따라서, 액체성 조직일 경우에는 제1슬라이드(215)를 발사 버튼(212) 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흡인홀(236)을 통하여 액체성 조직이 제1실린지(214)로 유입된다.
그러나 제1실린지(214) 내로 유입되는 액체가 없다면 채취해야할 조직(240)은 고체성이 된다.
이후, 바늘 조립체(230)가 채취할 조직(240)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발사 버튼(212)을 한 번 더 누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커팅부(224)가 구비된 튜브(220)가 바늘 조립체(230)의 저장부(234)를 덮도록 바늘 조립체(230)의 선단부(232)까지 이동한다.
이때, 커팅부(224)는 저장부(234)에 위치된 조직(240)을 절단하게 되고, 절단된 조직(240)은 저장부(234) 내에 저장된다. 상기 커팅부(224)의 저장부(234)는 절단된 조직(240)이 외부에 유출되지 않고 잘 저장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신체 내에는 조직이 절단되었기 때문에 조직 주변에 출혈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제2슬라이드(217)를 튜브(220)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제2슬라이드(217)와 연결된 제2실린지(216) 내의 약물(250)이 주입홀(222)을 통하여 출혈 부분에 투여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홀(222)을 통해 투여된 약물(250)이 조직 채취 부분 및 출혈 부분에 도포된다.
여기서, 주입홀(222)을 통하여 투여될 수 있는 약물로서는 지혈제, 조직 유착제, 조직 표시 형광물질 및 조영 물질, 골 시멘트(bone cement), 종양 치료 약물, 및 기타 조직 치료 물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튜브(220)를 신체 내에서 신체 외부로 꺼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34)에 채취된 조직(240)이 저장되며, 저장된 조직(240)을 검사실로 보내 검사를 수행한다.
만약, 검사할 조직이 액체성 조직일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바늘 조립체(230)를 채취될 조직 부분에 위치시킨 후, 제1슬라이드(215)를 발사 버튼(212) 방향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흡인홀(236)을 통하여 액체성 조직이 제1실린지(214)로 유입된다.
이후, 제1실린지(214) 내로 액체성 조직이 채취되고 난 신체 부분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2슬라이드(217)를 튜브(220)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면, 제2슬라이드(217)와 연결된 제2실린지(216) 내의 약물(250)이 주입홀(222)을 통하여 출혈 부분에 투여되며, 주입홀(222)을 통해 투여된 약물(250)이 출혈 부분에 도포된다.
마지막으로, 제1실린지(214)는 탈부착이 가능함으로, 검사할 때에는 제1실린지(214)를 하우징(210)에서 탈착하여 검사실로 보내 검사를 수행하면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300)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6은 도 15에 따른 바늘 조립체(330)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늘 조립체가 적용된 생체 조직 채취 장치(300)는 도 3 및 도 7와 같이 하우징(310), 하우징(31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되는 튜브(320), 및 튜브(320) 내에 결합되어 생체 조직을 채취하는 바늘 조립체(330)로 구성되며, 조직을 절단하는 커팅부(338)가 바늘 조립체(330)의 선단부(332)에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하우징(310), 튜브(320) 및 바늘 조립체(330)의 구성 및 형상은 도 3 및 도 7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조직을 절단하는 커팅부(338)는 바늘 조립체(330)의 선단부(332), 즉 저장부(334)에서 선단부(332)로 이어지는 위치에 날카롭게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300)의 사용 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하우징(310)의 발사 버튼은 2단 버튼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사 버튼을 한번 누르면 바늘 조립체(330)가 채취될 조직의 위치로 발사되고(도 15의 화살표 E 참조), 다시 한번 발사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바늘 조립체(330)가 튜브(320)의 내로 이동한다(도 16의 화살표 F 참조).
바늘 조립체(330)가 튜브(320) 내로 이동하면서, 바늘 조립체(330)의 선단부(332)에 구비된 커팅부(338)에 의하여 조직이 절단되어 저장부(334)에 채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조직 채취 장치(200)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의 바늘 조립체(230)에는 절단된 조직을 보관하는 저장부(234), 및 액체성 조직을 채취하는 흡인홀(236)이 구비되고, 튜브(210)의 하단부에는 상처가 생긴 조직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홀(222)이 구비되며, 조직 채취로 인해 인체 내 상처가 생긴 부위에는 주입홀(222)에 의해 약물이 투여됨으로써, 하나의 기구로 조직 채취와 약물 투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직 채취 후 출혈과 종양 세포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조직 검사 트랙 및 종양의 조직 채취 부위에 약물을 도포하여 절제 부위를 표시해 놓을 수 있어, 수술 시 종양 조직뿐만 아니라 종양 세포에 오염 가능성이 있는 약물이 도포된 부분까지 절제할 수 있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체 조직 채취 시, 채취하고자 하는 조직이 고체성일 경우에는 저장부(234)에서 채취하고, 액체성 조직은 흡인홀(236)로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생체 조직 채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발사버튼;
    상기 하우징의 선단부에서 연장되며, 하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직 내로 약물을 주입하는 주입홀이 장착되는 튜브;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상기 튜브 내에서 조직검사부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체성 조직을 절단하여 보관하거나 액체성 조직을 흡인하는 바늘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조립체의 선단부에 상기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조립체는 Ti, Ni, Fe, Cr, Ta, 스테인레스 스틸,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조립체의 선단부는 Ti, Ni, Fe, Cr, Ta, 스테인레스 스틸,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금속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선단부에 상기 조직을 절단하기 위한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조립체의 선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절단된 조직을 보관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조립체에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액체성 조직을 흡입하는 흡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홀의 수직 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역삼각형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홀의 외면에 다수의 사이드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홀과 연결되는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상기 흡인홀과 연결되는 조직 흡인 실린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상기 조직 흡인 실린지는 중공의 실린지 바디 및 실린지 바디 내부를 이동하는 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상기 조직 흡인 실린지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각각 슬라이드 버튼이 상기 피스톤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주입 실린지 및 상기 조직 흡인 실린지는 1㏄ 내지 3㏄의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버튼이 이동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정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단위길이로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드 시킨 후 압력에 의해 발사버튼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일단이 상기 주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에 수납되는 연장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튜브의 타단이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일단이 상기 흡인홀과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에 수납되는 연장튜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튜브의 타단이 상기 공간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조직 채취 장치.
KR1020147010915A 2012-11-30 2013-11-29 생체 조직 채취 장치 KR101463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295 2012-11-30
KR20120138295 2012-11-30
KR1020130079977 2013-07-08
KR1020130079977A KR20140070333A (ko) 2012-11-30 2013-07-08 생체 조직 채취 장치
PCT/KR2013/010963 WO2014084650A1 (ko) 2012-11-30 2013-11-29 생체 조직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987A KR20140082987A (ko) 2014-07-03
KR101463867B1 true KR101463867B1 (ko) 2014-12-04

Family

ID=51125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977A KR20140070333A (ko) 2012-11-30 2013-07-08 생체 조직 채취 장치
KR1020147010915A KR101463867B1 (ko) 2012-11-30 2013-11-29 생체 조직 채취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977A KR20140070333A (ko) 2012-11-30 2013-07-08 생체 조직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95039B2 (ko)
KR (2) KR20140070333A (ko)
CN (1) CN104955403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68A (ko) 2018-01-26 2019-08-05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20190115784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KR20190139016A (ko) 2018-06-07 2019-12-17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KR20200060339A (ko) 2018-01-26 2020-05-29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20200088245A (ko) 2018-04-03 2020-07-22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US11889997B2 (en) 2020-11-26 2024-02-06 Green Medical Supply., Ltd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003B1 (ko) * 2013-02-25 2014-10-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생검 장치
SG11201808269YA (en) * 2016-04-21 2018-11-29 Singapore Health Serv Pte Ltd An injection and extraction ophthalmic device
KR101870921B1 (ko) 2016-11-24 2018-06-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조직 흡인용 프로브 및 이를 구비한 생체 조직 흡인 장치
US11259786B2 (en) 2017-01-26 2022-03-01 Flower Medical Co., Ltd. Cutting biopsy instrument
CN106826943B (zh) * 2017-03-30 2018-08-21 上海海洋大学 一种用于原代细胞培养的硬组织切割器
KR102031669B1 (ko) * 2017-11-22 2019-10-1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신호 측정 및 약물 전달이 동시에 가능한 바이오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2040878A (zh) * 2018-02-23 2020-12-04 新加坡国立大学 具有止血功能的活检装置
WO2020086002A1 (en) * 2018-10-26 2020-04-30 Singapore Health Services Pte Ltd Device and method for ophthalmic extraction and injection
CN109431551B (zh) * 2018-12-14 2024-02-09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一种组织样品取样装置
KR102302990B1 (ko) * 2019-03-05 2021-09-17 주식회사 필로시스 약물 주입 장치
KR102302991B1 (ko) * 2019-03-27 2021-09-17 주식회사 필로시스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KR102267358B1 (ko) * 2019-07-10 2021-06-22 주식회사 필로시스 약물 주입 장치
KR102303485B1 (ko) * 2019-07-16 2021-09-23 주식회사 필로시스 약물 주입 장치
KR102313585B1 (ko) * 2019-07-26 2021-10-19 주식회사 필로시스 니들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 장치
CN111544055A (zh) * 2020-05-13 2020-08-18 任书兰 一种具有阻液透气功能的医用取样装置
CN113081072B (zh) * 2021-04-10 2023-02-28 范锋 一种基于中西医结合治疗肿瘤的肿瘤内科取样装置
CN113876366A (zh) * 2021-11-19 2022-01-04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色医学中心 一种肿瘤取样装置
CN115137403A (zh) * 2022-05-30 2022-10-04 烟台毓璜顶医院 一种可术中二次麻醉穿刺活检枪
CN115137401A (zh) * 2022-05-30 2022-10-04 烟台毓璜顶医院 一种可术中二次麻醉的减痛减阻仿生微织构振动穿刺活检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386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니들 장치
WO2011126898A2 (en) * 2010-03-30 2011-10-13 Sparkmed Research, Llc Drug releasing medical catheters, tubes, and devices
KR20110118603A (ko) * 2011-09-23 2011-10-31 박수희 세침을 이용한 생체조직검사용 적출기
WO2012060968A2 (en) * 2010-11-01 2012-05-10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Handheld biopsy device with needle fir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36222T3 (es) * 1986-04-21 1993-05-16 Immuno Aktiengesellschaft Instalacion de biopsia con una canula de biopsia de dos o mas lumenes.
US5830152A (en) * 1997-02-24 1998-11-03 Tao; Liang-Che Pencil-grip fine needle aspiration syringe holder
US6022324A (en) * 1998-01-02 2000-02-08 Skinner; Bruce A. J. Biopsy instrument
US6162203A (en) * 1999-01-11 2000-12-19 Haaga; John R. Cargo delivery needle
AU2002245125A1 (en) * 2000-11-06 2002-07-08 Francis C. Classe Biopsy and coagulant device
US6432064B1 (en) * 2001-04-09 2002-08-13 Ethicon Endo-Surgery, Inc. Biopsy instrument with tissue marking element
US6905489B2 (en) * 2001-04-24 2005-06-14 Northgate Technologies, Inc. Laparoscopic insertion device
CA2433205A1 (en) * 2003-03-18 2004-09-18 James Alexander Keenan Drug delivery, bodily fluid drainage, and biopsy device with enhanced ultrasonic visibility
US7156815B2 (en) * 2003-03-19 2007-01-02 Biomedical Resources, Inc. Soft tissue biopsy instrument
GB2411849B (en) * 2004-03-08 2007-08-29 Summit Medical Ltd Apparatus for mixing and discharging bone cement
CN101543414B (zh) * 2004-07-09 2011-03-23 巴德血管外围设备公司 活组织检查装置的输送系统
US8864680B2 (en) * 2004-07-09 2014-10-21 Bard Peripheral Vascular, Inc. Transport system for biopsy device
US7207950B2 (en) * 2004-10-22 2007-04-24 Goldenberg Alec S Aspiration needle with venting feature
US7766843B2 (en) * 2006-03-03 2010-08-03 Ethicon Endo-Surgery, Inc. Biopsy method
US20090216151A1 (en) * 2008-02-27 2009-08-27 Speeg Trevor W V Biopsy Probe With Hypodermic Lumen
US8622927B2 (en) * 2008-12-18 2014-01-07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Mechanical tissue sample holder indexing device
CA2799394A1 (en) * 2010-05-19 2011-11-24 Allergan, Inc. Modular injection device
WO2012015771A2 (en) * 2010-07-30 2012-02-0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Rotating full-core biopsy needle
US9282948B2 (en) * 2011-02-22 2016-03-1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Total core biopsy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448930B2 (en) * 2011-05-04 2019-10-2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devices for maximizing tissue collection in partial-core biopsy needles
US20130023790A1 (en) * 2011-07-19 2013-01-24 Schaeffer Jeremy R Biops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386A (ko) * 2009-12-03 2011-06-10 주식회사 엠아이텍 생검용 니들 장치
WO2011126898A2 (en) * 2010-03-30 2011-10-13 Sparkmed Research, Llc Drug releasing medical catheters, tubes, and devices
WO2012060968A2 (en) * 2010-11-01 2012-05-10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Handheld biopsy device with needle firing
KR20110118603A (ko) * 2011-09-23 2011-10-31 박수희 세침을 이용한 생체조직검사용 적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68A (ko) 2018-01-26 2019-08-05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20200060339A (ko) 2018-01-26 2020-05-29 고형진 절단 생검기구
KR20190115784A (ko)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KR20200088245A (ko) 2018-04-03 2020-07-22 주식회사 플라워메디칼 절단 생검기구
KR20190139016A (ko) 2018-06-07 2019-12-17 임성빈 의료용 광역학 치료 장치
US11889997B2 (en) 2020-11-26 2024-02-06 Green Medical Supply., Ltd Biopsy instrument having outer needle-lock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5403A (zh) 2015-09-30
CN104955403B (zh) 2017-12-19
US10695039B2 (en) 2020-06-30
KR20140070333A (ko) 2014-06-10
US20150305721A1 (en) 2015-10-29
KR20140082987A (ko)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867B1 (ko) 생체 조직 채취 장치
JP4728547B2 (ja) 生検路の止血を促進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090187118A1 (en) Multiple Needle System
US7169114B2 (en) Biopsy and delivery device
JP4342735B2 (ja) 中空で湾曲した超弾力的医療用針
JP4598770B2 (ja) 生検針システム
ES2247762T3 (es) Dispositivo quirurgico de biopsia.
EP2273926B1 (en) A practical and safe needle biopsy device
CN112566682B (zh) 低切迹多剂注射系统和方法
JP2024008978A (ja) 組織内の経路を閉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70123797A1 (en) Automated biopsy and delivery device
JP6518784B2 (ja) サンプリング装置の遠位端部において局所的真空を生成する装置
JPH06507099A (ja) 操作可能なスタイレット及びカニューレを備えた試験切除器具
EP2556797B1 (en) Puncture aspiration device
JP2008528086A (ja) 保護された穿刺装置を有する医療用装置
JPH10513384A (ja) 自動生検及び軟らかい組織の採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537885A3 (en) Passive safety device for needle of blood collection set
CN104519810B (zh) 穿刺器具及超声波内窥镜
US20210252217A1 (en) Therapeutic infusion needle
WO2007140381A2 (en) Multiple needle system
JP2023529864A (ja) 平行経路穿刺装置ガイドおよび方法
EP1889572A2 (en) Biopsy and delivery device
KR20210101225A (ko) 단부 배치 바늘을 가진 생검 시스템
JP2013180004A (ja) 手術器具及び手術器具用ノズルユニット
WO2014084650A1 (ko) 생체 조직 채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