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544B1 -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544B1
KR101463544B1 KR1020130027854A KR20130027854A KR101463544B1 KR 101463544 B1 KR101463544 B1 KR 101463544B1 KR 1020130027854 A KR1020130027854 A KR 1020130027854A KR 20130027854 A KR20130027854 A KR 20130027854A KR 101463544 B1 KR101463544 B1 KR 101463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hamber
insole
sole
air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016A (ko
Inventor
안강현
김대일
김서연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안강현
김대일
김서연
김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강현, 김대일, 김서연, 김지원 filed Critical 안강현
Priority to KR102013002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54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은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에어룸을 제공하는 에어쿠션, 및 에어쿠션의 외면을 덮으며 인솔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링 몰딩을 포함한다. 에어쿠션은 상판 및 하판을 융착하여 제공되며, 각각 복수의 에어룸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부 오목면 및 하부 오목면을 포함하고, 에어룸 주변에 형성되는 상부 융착면 및 하부 융착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FUNCTIONAL MOLDING AIR INSOLE FOR IMPACT ABSORPTION AND PAIN RELIEVING}
본 발명은 기능성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커버링 몰딩과 에어 인솔을 조합하여 체중하중에 의한 허리, 무릎 및 발목으로의 충격을 흡수하고, 연골 손상을 예방하며,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고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솔(insole)은 신발밑창이 아닌 신발, 운동화 등의 내부에 제공되며, 직접 발바닥 전체와 접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지형 변화를 완만하게 처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신발밑창이 신발을 이루는 요소로서, 갑피의 하부에 교체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요소라면, 인솔 또는 깔창은 갑피 내부에 교체 가능하게 위치하는 요소로서 신발의 완충 기능을 부가할 수 있고, 발바닥과의 직접적인 밀착을 통해 충격 흡수 외에 균형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허리, 무릎, 발목에는 보행이나 조깅 시 체중의 약 1.2배에서 4배나 되는 무게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무게하중을 흡수하고 관절뼈가 상하지 않도록 각 관절 사이에 존재하는 연골이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연골은 지면과 발이 착지시 충격을 흡수하고 발이 지면과 떨어지는 순간 곧바로 반발 탄성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의 관절연골을 오래 동안 잘 사용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대화된 생활과 환경으로 인해 옛날에 비해 젊은 층의 무릎관절염 환자수가 더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을 분석해보면, 현대인의 경우 비만에 의한 과체중이 많은데 과체중의 무게부하는 연골이 더 빨리 닳게 만들고 쉽게 피로하게 만든다고 한다. 그리고 옛날의 부드러운 흙 길은 체중하중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했는데, 현대의 딱딱한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길은 충격 흡수가 흙 길에 비해 부족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딱딱한 길 또는 바닥은 무릎 연골의 피로도를 가중시켜 연골의 마모도를 증가시키고, 관절 부분의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보행이나 조깅 시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충격을 제일 밑바닥에서 지지하고 있는 신발 인솔에서 흡수하게 되면, 허리와 무릎, 발목의 각 관절의 연골에 미치는 압력성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압력성 부하를 줄이게 되면 관절의 연골에 피로를 경감하고, 연골의 마모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관절 연골이 얇아져서 보행 시 많은 통증에 시달리는 사람들도 허리, 무릎, 발목 등의 관절로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 편안한 생활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보행이나 조깅 시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충격을 신발 인솔에서 충분히 흡수하여, 허리와 무릎, 발목의 각 관절의 연골에 미치는 압력성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절의 연골 피로를 경감하고, 연골의 마모를 예방할 수 있으며, 통증에 시달리는 사람들도 허리, 무릎, 발목 등의 관절로 전달되는 하중을 줄여 편안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능성 몰딩 에어인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어룸을 이용하되, 에어룸이 계획된 상태로 부풀어 충격을 흡수하고, 발바닥을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은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에어룸을 제공하는 에어쿠션, 및 에어쿠션의 외면을 덮으며 인솔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링 몰딩을 포함한다. 에어쿠션은 상판 및 하판을 융착하여 제공되며, 각각 복수의 에어룸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부 오목면 및 하부 오목면을 포함하고, 에어룸 주변에 형성되는 상부 융착면 및 하부 융착면을 포함한다.
에어쿠션은 하나가 아닌 복수의 에어쿠션을 제공함으로써, 뒤꿈치로부터의 착지, 발바닥 전면으로 지지하는 스탠딩(standing) 및 발가락으로 차면서 추진하는 추진 단계에서 각각 적절한 완충 및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소프트 우레탄폼 등을 이용함으로써 에어쿠션의 외면을 덮는 커버링 몰딩을 형성하여 발바닥과의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어쿠션은 전족 에어룸, 중족 에어룸 및 후족 에어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족 에어룸은 발가락 부위 및 그 주변에 대응하며, 다르게는 추진 단계에서 지면에 닿는 부분에 대응할 수도 있다. 후족 에어룸은 뒤꿈치 및 그 주변에 대응하며, 다르게는 착지 단계에서 지면에 닿는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중족 에어룸은 발바닥 중 중앙 아치 및 그 주변에 대응하며, 다르게는 전족 에어룸과 후족 에어룸 사이에 대응할 수 있다.
전족 에어룸은 발가락 뿌리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호 융착부에 대응하는 상부 융착면 및 하부 융착면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원호 융착부에 의해서 발가락 뿌리 부분을 자극하는 것은 물론, 전족 에어룸의 상하 팽창을 제한하여 추진 시에 발가락을 심하게 압박하는 것은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전족 에어룸은 용천 부위에 제공되는 용천 융착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용천 융착부에 대응하는 상부 융착면 및 하부 융착면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용천 융착부는 발바닥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 팽창을 제한하여 좌우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발바닥 중앙에 해당하는 용천을 자극할 수 있다.
중족 에어룸은 전족 에어룸과 연통될 수도 있으며, 착지, 스탠딩 및 추진의 과정 중 에어가 연통된 통로를 통해 전후로 이동하게 되고, 부분적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마사지를 하는 듯한 효과를 주어 발바닥 마사지 및 혈액순환 촉진 등을 통해 신체 전반의 피로를 회복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족 에어룸은 전방에서 용천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전방 삼각부를 포함하고, 전족 에어룸은 상기 전방 삼각부의 좌우를 지지하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족 에어룸과 중족 에어룸은 상기 전방 삼각부의 원단(distal end)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링 몰딩은 소프트 우레탄폼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보행 또는 조깅 시 충격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링 몰딩의 상면에 다수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은 일반 신발과 대비하여 보행하중충격흡수율을 약 30%~40% 정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보행이나 조깅 시 각 관절에 부하되는 체중의 약 4~5배의 하중이 가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은 과다한 하중에 의한 충격을 빠르게 흡수하고, 곧바로 반발탄성 상태로 전환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발에 피로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은 모든 종류의 신발에 장착 가능하며,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 각 관절의 연골 마모도를 낮출 수 있고, 연골이 쉬 피로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보행하중 흡수율을 약 30%~40% 향상시키는 것은 각 관절에 부하되는 하중압력을 약 30~40% 줄여주는 효과를 주어 마치 체중이 약 30~40 % 줄어든 듯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 융착면에 의해서 정의되는 융착부는 에어쿠션의 상판과 하판이 상하로 과도하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며, 커버링 몰딩은 에어쿠션의 외면을 덮음으로써 착지 안전성 및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족 에어룸에서 발가락 뿌리에 대응하여 원호 형상으로 제공되는 원호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호 융착부에 대응하는 상부 융착면 및 하부 융착면이 서로 융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원호 융착부는 곡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곡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발가락 관절에 대응하는 원호 융착부는 발가락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고, 그 주변의 원호 융착부는 발바닥 중 전족을 지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원호 융착부는 보행 시 무게부하를 지지하면서 필요 이상으로 전족 에어룸이 부풀어 오르는것을 예방하여 발가락을 보호할 수 있다.
전족 에어룸, 중족 에어룸 및 후족 에어룸 중 적어도 하나는 연통되어 있으며, 에어쿠션 속의 에어가 앞뒤 좌우로 움직이면서 발바닥을 마사지해줌으로써 발바닥을 손으로 마사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고 혈액순환을 높여 발과 다리 및 이와 연결된 신체전반의 피로가 쌓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체중 부하에 의한 뒤꿈치 부분과 전족부위 발가락 뿌리 부위에 압박이 일반적인 신발에 비해 낮으며, 이 부분의 혈액순환이 좋아 특히 당뇨환자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커버링 몰딩은 상면에 다수의 돌출 엠보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바닥 전체에 부드러운 자극을 주어 발바닥을 지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부 표면에는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섬유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내장된 에어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에어쿠션을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에서 보행 또는 런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내장된 에어쿠션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에어쿠션을 분리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100)은 복수개의 에어룸을 포함하는 에어쿠션(120) 및 에어쿠션(120)의 외면을 덮어 수용하는 커버링 몰딩(110)을 포함한다.
에어쿠션(120)은 탄성을 가지는 상판(130) 및 하판(140)은 상호 융착하여 제공되며, 에어쿠션(120)에는 기능적으로 전족 에어룸(220), 중족 에어룸(240) 및 후족 에어룸(260)이 정의된다. 전족 에어룸(220) 내지 후족 에어룸(260)을 형성하기 위해, 상판(130)에는 복수의 상부 오목면(132) 및 그 주변에 형성되는 상부 융착면(134)이 형성되며, 하판(140)에는 상부 오목면(132)에 대응하는 하부 오목면(142) 및 상부 융착면(134)에 대응하는 하부 융착면(14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쿠션(120)을 형성하기 위해 상판(130) 및 하판(140)이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 시트를 이용하며, 이 합성수지 시트를 예비 성형한 후 융착하는 과정으로 제공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에어룸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이용될 수가 있다.
커버링 몰딩(110)은 발포성 재질의 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링 몰딩(110)이 소프트 우레탄폼 재질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에어쿠션(120)을 제작한 후, 커버링 몰딩(110)이 에어쿠션(120)의 외면을 수용하면서 인솔의 외부 형상을 이루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에어쿠션(120)은 전족 에어룸(220)을 포함한다. 전족 에어룸(220)은 발바닥의 전족부, 즉 발가락을 중심으로 한 형태와 기능을 유사하게 응용한 형태로 발 굽힘을 좋게 하기 위해 발가락 뿌리 부분 위치에 대응하여 원호 융착부(222)가 제공된다. 원호 융착부(222)는 발가락 뿌리 부분을 따라 원호, 곡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곡선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발가락 뿌리 부분이 직선이 아닌 곡선 또는 원호 상에 배치되므로 발가락의 굽어짐을 좋게 할 수 있다.
원호 융착부(222)를 형성하기 위해, 에어쿠션(120)을 구성하는 상판(130) 및 하판(140)에는 원호 모양의 상부 융착면(134) 및 하부 융착면(144)이 상하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이들을 융착에 의해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원호 융착부(222)는 융착을 통해서 상하로 누운 H자 형상의 기둥 구조를 제공하여, 그 자체로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원호 융착부(222)에 의해서 보행 시 추진 과정에서 전족 부위를 지압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족 에어룸(220)이 과도하게 부푸는 것은 제한하여 발가락에 필요이상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족 에어룸(220)의 중앙으로 용천 부위에 해당하는 용천 융착부(224)가 제공될 수 잇다. 용천 융착부(224)는 원호 융착부(222) 및 중족 에어룸(240)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용천 융착부(224)를 중심으로 전족 에어룸(220)이 좌우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용천 융착부(224)를 중심으로 좌측이 눌리면 우측이 융기되고, 우측이 눌리면 좌측이 융기되는 구조를 갖는다. 용천 융착부(224)는 용천 부위를 지압할 수 있으며, 발바닥의 혈액순환의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에어쿠션(120)은 발바닥의 중앙 아치에 대응하는 중족 에어룸(24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족 에어룸(240)은 발바닥에서 움품 들어간 아치부를 지지하며 그 자체만으로도 보행 시 압력을 분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족 에어룸(240)는 전족 에어룸(220)과 작은 연통경로(230)로 연결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족 에어룸(240)의 전방에 용천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전방 삼각부(242)가 제공되며, 전방 삼각부(242)에 대응하여 전족 에어룸(220)은 전방 삼각부(242)의 좌우를 향해 연장된 후방 연장부(226)를 포함한다. 전족 에어룸(220)과 중족 에어룸(240)을 연결하는 연통경로(230)는 전방 삼각부(242)의 원단(distal end)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경로(230)는 전족 에어룸(220)과 중족 에어룸(240) 간의 형성되며, 보행 중 충격흡수와 분산, 발가락 뿌리부분에 압력 완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족 에어룸(220)과 중족 에어룸(240) 사이로 에어가 왕래하면서 에어룸이 부풀어 올랐다가 꺼졌다를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용천 융착부(224) 주변으로 발바닥의 용천부분과 주변부를 부드럽게 자극을 주게 되고, 이것은 손으로 발바닥의 용천을 자극했을 때와 동일한 작용을 할 수가 있다.
보행이 아닌 제자리에 서 있을 때에도, 전족 에어룸(220)과 중족 에어룸(240)의 공기압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 즉 마치 맨발로 부드러운 잔디 위를 딛고 있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발바닥의 하중압력을 발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키되, 원호 융착부(222)에 의해서 엄지 발가락 등 발가락 뿌리 부분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낮추어 발가락 뿌리 부분의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게 된다. 혈액순환이 잘되므로 인해 발에 피로가 쌓이지 않고, 하루 종일 서서 일하거나 오래 걸어야 하는 사람들에게도 피로에서 오는 발통증을 경감시켜 줄 수가 있다. 특히, 당뇨 환자의 경우, 발과 신발 인솔 사이에 있어 하중압력에 의해 발바닥이 눌려지면 발가락 뿌리 부분에서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괴사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발가락 뿌리 부위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인솔은 당뇨 환자의 발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데도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균형은 서 있을 때 허리 및 척추자세를 바르게 세우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허리, 척추근육, 척추관절연골 등에 부하되는 하중압력을 줄여 주어 허리통증완화 및 허리건강유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에서 보행 또는 런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전족 에어룸(220)은 보행이나 런닝 중 착지 압력에 의한 발바닥 배김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착지시 전족 에어룸(220)이 보행이나 런닝 중 압력을 받았을 압력에 의해 상판(130) 또는 하판(140)이 반발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특히 상판(130)이 부풀어 오르게 되면 발가락을 위로 들어 올리게 되어 발가락을 신발의 갑피와 인솔 사이에 끼우고 압박하게 되어 발바닥과 발가락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에어쿠션(120) 상판(130)과 하판(140) 부분을 원호 융착부(222)로 연결시켜 착지 압력이 전족 에어룸(220)에 주어지더라도 상판(130)이 일정 부분 이상 부풀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판(130)과 하판(140)을 연결시켜주는 융착부로는 원호 융착부(222)와 용천 융착부(224)가 있을 수 있다. 원호 융착부(222)는 보행 시 발가락뼈의 관절로 직접적인 압박이 가해지는 위치를 피하면서 보행 중 발가락 굽힘이 잘될 수 있도록 엄지발가락 뼈관절에서부터 새끼발가락 뼈관절까지 길게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바닥의 중앙부분에 해당하는 용천 융착부(224)도 음각홈으로서 전족 에어룸(220)이 과도하게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용천 융착부(224)는 발이 지면과 밀착하는 지면이 균일한 수평상태가 아니라면, 내외측의 압력이 틀리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균형을 잡게 할 수가 있다. 즉, 압력이 많이 받는 쪽이 더 많이 찌그러지면서 덜 받는 쪽으로 에어가 밀리게 된다.
상판(130)과 하판(140)을 연결하는 융착부는 수직으로 연결하지 않고 약간 사선으로 연결하여 과도한 체중하중압력에도 발가락 및 발가락 뿌리부분 관절에 미치는 압박을 줄일 수가 있다.
발바닥의 아치를 지지하는 중족 에어룸(240)은 전족 에어룸(220)과 연결되며, 전족 에어룸(22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중족 에어룸(240)은 보행 및 런닝 시 체중에 의한 하중충격을 흡수하고 허리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발바닥의 아치를 밑에서 지지하여 체중이 발바닥 전체에 분산되도록 하여 발에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발바닥 아치를 부드럽고 지속적으로 지지하므로 아치가 평평하게 무너진 평발개선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보행이나 조깅 시에 중족 에어룸(240)이 부풀어 오르면서 발을 튕겨주고, 몸을 앞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하여 추진력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에어쿠션(120)은 뒤꿈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후족 에어룸(260)을 포함할 수 있다. 발의 뒤꿈치 부분을 밑에서 지지하는 지지하는 후족 에어룸(260)은 중족 에어룸(240)과 인접하게 제공된다.
후족 에어룸(260)은 착지 시 뒷꿈치 밑에서 서포트를 하면서 최초 착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며(a), 발목관절, 무릎관절, 허리척추관절, 목관절로 전달되는 충격의 강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한 각 관절 사이의 연골에 미치는 충격도 약화되기 때문에 연골의 피로와 마모를 줄일 수 있고 각 관절의 연골을 건강하게 오래 동안 유지 및 사용할 수 있다.
에어쿠션(120)의 상판(130)과 하판(140) 표면에는 돌기를 두어 발바닥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돌기는 커버링 몰딩(110)을 이루는 우레탄 커버링 작업에서 접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쿠션(120)의 소재는 폴리우레탄(PU) 등이 사용될 수 잇고, 에어로는 일반 공기나 질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커버링 몰딩(110)은 발의 흔들림을 잡아주어 발목 골절 등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에어쿠션(120)만을 신발에 끼워 사용하게 되면 발이 신발 내부에서 미끄러울 수 있으며, 전면적으로 발바닥을 지지할 수가 없다. 또한, 발과 신발 간의 밀착성이 떨어지면 심한 운동 또는 등산 등의 운동을 할 때에도 부상의 요인이 되므로 소프트 우레탄폼으로 에어쿠션(120)을 전체 몰딩한 커버링 몰딩(110)이 사용될 수 있다.
커버링 몰딩(110)은 에어쿠션(120)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두께를 사용하여 착화시 충격흡수가 잘되면서 발에 배기지 않도록 제작한다. 또한, 신발 내에서 에어쿠션(120)의 움직임을 잡아 주어 에어쿠션(120)의 압력이 약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뒤꿈치가 지면에 착지할 때 압력을 많이 받은 부분에서 덜 받는 쪽으로 에어가 쏠리는 것을 커버링 몰딩(110)이 제한하며, 소프트 우레탄 몰딩으로 에어쿠션(120)을 견고하게 잡아 줄 수 있다.
커버링 몰딩(110)의 표면에 섬유시트를 이용하여 표면의 땀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섬유시트와 접하는 표면에 부드러운 엠보싱을 두어 발바닥 지압효과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0: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110:커버링 몰딩
120:에어쿠션 130:상판
140:하판 220:전족 에어룸
230:연통경로 240:중족 에어룸
260:후족 에어룸

Claims (9)

  1.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에어룸을 제공하는 에어쿠션; 및
    상기 에어쿠션의 외면을 덮으며 인솔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링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쿠션은 복수의 상기 에어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부 오목면 및 상기 상부 오목면의 주변에 형성되는 상부 융착면을 포함하는 상판과 각각의 상기 상부 오목면에 대응하는 하부 오목면 및 상기 상부 융착면에 대응하는 하부 융착면을 포함하는 하판을 상호 융착하여 제공되고,
    상기 에어쿠션은 전족 에어룸 및 상기 전족 에어룸과 연통하되 발바닥의 중앙 아치에 대응하는 중족 에어룸을 포함하고,
    상기 중족 에어룸은 전방에서 용천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전방 삼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 에어룸은 상기 전방 삼각부의 좌우를 지지하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 에어룸과 상기 중족 에어룸은 상기 전방 삼각부의 원단(distal end)에서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 에어룸은 발가락 뿌리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호 융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융착면 및 상기 하부 융착면은 상기 원호 융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오목면 및 상기 하부 오목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족 에어룸의 상하 팽창을 제한하고, 상기 원호 융착부의 양측으로 상기 전족 에어룸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족 에어룸은 용천 부위에 제공되는 용천 융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융착면 및 상기 하부 융착면은 상기 용천 융착부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오목면 및 상기 하부 오목면 내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천 융착부가 발바닥 중앙을 자극하고, 상기 용천 융착부의 전후로 상기 전족 에어룸이 연통되어 좌우 균형을 유지하는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몰딩은 소프트 우레탄폼을 이용하여 제공되며, 보행 또는 조깅시 충격흡수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몰딩의 상면에 다수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1020130027854A 2013-03-15 2013-03-15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101463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54A KR101463544B1 (ko) 2013-03-15 2013-03-15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854A KR101463544B1 (ko) 2013-03-15 2013-03-15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16A KR20140113016A (ko) 2014-09-24
KR101463544B1 true KR101463544B1 (ko) 2014-11-20

Family

ID=5175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854A KR101463544B1 (ko) 2013-03-15 2013-03-15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5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81B1 (ko) 2018-12-11 2020-04-20 (주)부토라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721B1 (ko) * 2018-05-09 2019-09-26 (주)한진실업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KR102357936B1 (ko) * 2020-11-09 2022-02-07 이시혁 착화감과 보행성능이 우수한 3중 구조의 고기능성 신발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53Y1 (ko) * 1996-06-27 1999-05-15 이태석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230072Y1 (ko) * 2000-08-07 2001-07-03 이태석 탄성 재질로 된 주머니속에 우레탄 발포 액상을 발포시킨 스폰지를 내장한 깔창
JP2009112456A (ja) * 2007-11-05 2009-05-28 Pansy:Kk 履物およびその中底ならびに中底用クッション材
KR20100056052A (ko) * 2008-11-19 2010-05-27 박상용 신사화에 소프트한 큐션을 제공하는 속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9453Y1 (ko) * 1996-06-27 1999-05-15 이태석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230072Y1 (ko) * 2000-08-07 2001-07-03 이태석 탄성 재질로 된 주머니속에 우레탄 발포 액상을 발포시킨 스폰지를 내장한 깔창
JP2009112456A (ja) * 2007-11-05 2009-05-28 Pansy:Kk 履物およびその中底ならびに中底用クッション材
KR20100056052A (ko) * 2008-11-19 2010-05-27 박상용 신사화에 소프트한 큐션을 제공하는 속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81B1 (ko) 2018-12-11 2020-04-20 (주)부토라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016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5115A1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11612211B2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4263728A (en) Jogging shoe with adjustable shock absorbing system for the heel impact surface thereof
US10016017B2 (en)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KR100377822B1 (ko)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 장치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TW201138665A (en) Shoe construction having a rocker shaped bottom and integral stabilizer
KR20160058141A (ko) 트라이애슬론 안창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KR101463544B1 (ko)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100940011B1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JP2017086975A (ja) 靴の中敷又は履物底の構造
KR101059393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20090127843A (ko) 충격흡수형 신발창
KR20070077300A (ko) 기능성 신발 안창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KR101245973B1 (ko) 신발 중창
JP3095615U (ja) 振動吸収緩衝機能を具えたソール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CN207940398U (zh) 一种内外足弓独立支撑的鞋垫
KR101263614B1 (ko)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20160050595A (ko) 신발깔창
CN205214368U (zh) 负跟鞋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