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881B1 -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881B1
KR102088881B1 KR1020180159195A KR20180159195A KR102088881B1 KR 102088881 B1 KR102088881 B1 KR 102088881B1 KR 1020180159195 A KR1020180159195 A KR 1020180159195A KR 20180159195 A KR20180159195 A KR 20180159195A KR 102088881 B1 KR102088881 B1 KR 10208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mory foam
insole
bottom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행
Original Assignee
(주)부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토라 filed Critical (주)부토라
Priority to KR102018015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착용자의 이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맑은 공기를 발바닥에 골고루 주입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heel) 영역, 발볼(ball) 영역 및 아치(arch) 영역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로서, 에어 공급구가 마련된 발꿈치 영역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발볼 영역부, 상기 발꿈치 영역부와 상기 발볼 영역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다수의 에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로가 마련된 아치 영역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신발 내부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발 냄새에 의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Air insole of air pumping ty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솔(insole) 내부로 외부 공기 주입하고 배출하는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이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맑은 공기를 발바닥에 골고루 주입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감싸는 갑피, 갑피 하부에 발바닥을 받치는 밑창으로 구성되게 되며, 여기서 밑창은 쿠션이 있는 미드솔(mid-sole), 미드솔 하부에 부착되는 아웃솔(out-sole)과 미드솔 상측에 구비되는 인솔(insole)로 구성된다.
상기 아웃솔은 지면과 직접 맞닿아 접지력을 증대시켜 보행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체중 및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미드솔은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바닥에 쿠션감을 제공하거나 체중의 분산 및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인솔 역시 쿠션감 및 하중 흡수의 역할 및 신발 내부의 표면 마감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상기 어퍼는 가죽이나 섬유 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인솔은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하는 동시에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함에 따라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신발의 내부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그 표면에 가죽이나 섬유지 등을 부착하여 완성된다.
최근에는 인솔에 에어 쿠션을 마련하여 충격흡수성을 높이는 등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복수개의 에어룸을 제공하는 에어 쿠션(12) 및 상기 에어 쿠션의 외면을 덮으며 인솔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링 몰딩(11)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쿠션은 복수의 상기 에어룸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부 오목면 및 상기 상부 오목면의 주변에 형성되는 상부 융착면을 포함하는 상판과 각각의 상기 상부 오목면에 대응하는 하부 오목면 및 상기 상부 융착면에 대응하는 하부 융착면을 포함하는 하판을 상호 융착하여 제공되고, 상기 에어 쿠션은 전족 에어룸 및 상기 전족 에어룸과 연통하되 발바닥의 중앙 아치에 대응하는 중족 에어룸을 포함하고, 상기 중족 에어룸은 전방에서 용천에 인접하도록 연장된 전방 삼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 에어룸은 상기 전방 삼각부의 좌우를 지지하는 후방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족 에어룸과 상기 중족 에어룸은 상기 전방 삼각부의 원단(distal end)에서 상호 연통되는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10)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시트에 결합되고, 공기가 수용되어 밀폐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아치 영역에 에어 쿠션이 작용되도록 하는 에어 밸런싱 셀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 밸런싱 셀은 발꿈치 영역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발꿈치 셀과 상기 아치 영역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1 아치 셀 및 상기 아치 영역(4)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제2 아치 셀을 구비하고, 상기 발꿈치 셀과 제1 아치 셀 및 제2 아치 셀은 내부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상기 발꿈치 셀이 사용자의 발꿈치에 의해 눌렸을 때 공기가 상기 제1 아치 셀과 제2 아치 셀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아치를 균형되게 받치는 에어 쿠션 인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아치부의 하면에는 에어가 주입되는 정도에 따라 부피가 조절되어 아치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면에 구비되어서 몸체 내부로 에어가 주입되도록 하거나 이미 주입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에어주입 노즐부로 이루어지는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되 그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 개방되어 상기 에어주입 노즐부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관이 돌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의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제1 에어실을 형성하는 제1 외피 및 상기 제1 외피 상면에 부착되어 연통공을 통해서 제1 에어실과 연통되는 제2 에어실을 형성하는 제2 외피를 포함하는 신발용 인솔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3544호(2014.11.1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9440호(2014.03.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4100호(2011.05.02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공기가 수용되어 밀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구조로서 이 내부 공간이 손상되는 되면 에어 쿠션에 의한 충격 흡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착용자의 발바닥의 일부분, 예를 들어 발꿈치 영역 또는 아치 영역에만 에어 쿠션의 기능을 할 뿐 발볼 영역에서는 에어 쿠션 기능을 가질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밀폐 공간에 에어가 충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충격 흡수 기능만을 유지할 뿐 통상의 인솔과 같이 인솔의 상면이 착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되어 발에서 땀이 나고,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인솔의 표면상으로 맑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하므로 쾌적한 착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꿈치 영역부, 아치 영역부 및 발볼 영역부의 전체에 걸쳐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착용자의 발바닥 전체에 걸쳐 충격 흡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솔에서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므로, 발바닥 부분에서 땀의 발생을 방지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발 치수에 관계없고 모든 신발에 적용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의 메모리 폼을 접착하는 과정에서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은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heel) 영역, 발볼(ball) 영역 및 아치(arch) 영역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로서, 에어 공급구가 마련된 발꿈치 영역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발볼 영역부, 상기 발꿈치 영역부와 상기 발볼 영역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공급부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다수의 에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로가 마련된 아치 영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하부 플레이트,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바닥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 사이에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접착되는 다수의 메모리 폼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메모리 폼은 상기 발꿈치 영역부에 마련된 제1 메모리 폼, 상기 발볼 영역부에 마련된 제2 메모리 폼, 상기 아치 영역부에 마련된 제3 메모리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제1 메모리 폼, 상기 제2 메모리 폼 및 상기 제3 메모리 폼에는 각각 관통 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메모리 폼의 관통 홀은 상기 에어 공급구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의 관통 홀은 상기 에어 배출구에 대응하여 마련된 관통 홀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제3 메모리 폼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메모리 폼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에어 관통구가 마련된 아치 커버 부재가 접착되고, 상기 아치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고, 상기 아치 커버 부재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상기 제3 메모리 폼 사이에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아치 커버 부재에는 상기 에어 관통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밸브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제1 메모리 폼 상에 마련된 제4 메모리 폼과 상기 아치 커버 부재 상에 마련된 제5 메모리 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에는 각각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상기 제3 메모리 폼에 형성된 관통 홀에 대응하는 관통 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메모리 폼,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을 덮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상기 바닥 플레이트가 융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꿈치 영역부 및 아치 영역부와 발볼 영역부를 구획하는 제1 융착부,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에 형성된 제2 융착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형성된 제3 융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제1 융착부는 상기 아치 영역부에서 상기 제3 융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과 상기 제5 메모리 폼 사이에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 밸브 시트를 경유하여 제1 공기 유로로 흐르고 나서 상기 제2 밸브 시트를 경유하여 제2 공기 유로로 흐른 후 상기 에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발볼 영역부의 외측에는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치수 영역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에어 공급부는 상기 발꿈치 영역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홀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 공급부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에어 배출구는 소정의 각도를 갖고 3곳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내지 제5 메모리 폼에 마련된 각각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은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heel) 영역, 발볼(ball) 영역 및 아치(arch) 영역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와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를 융착하는 단계, (b)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에어 공급구에 접착하는 단계, (c)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발꿈치 영역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메모리 폼을 접착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발볼 영역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메모리 폼을 접착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아치 영역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3 메모리 폼을 접착하는 단계, (d)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메모리 폼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에어 관통구가 마련된 아치 커버 부재를 상기 제3 메모리 폼 상에 접착하는 단계, (e) 상기 에어 관통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밸브 시트를 상기 아치 커버 부재에 부착하는 단계, (f)상기 제1 메모리 폼 상에 제4 메모리 폼을 마련하고, 상기 아치 커버 부재 상에 제5 메모리 폼을 마련한 후, 상기 제2 메모리 폼,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을 덮도록 바닥 플레이트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융착은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단계 (e)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상기 제3 메모리 폼 사이에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단계 (f)에 의해 상기 제2 메모리 폼과 상기 제5 메모리 폼 사이에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발꿈치 영역부 및 아치 영역부와 발볼 영역부를 구획하도록 융착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에 마련된 관통 홀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융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의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꿈치 영역부에 마련된 에어 공급구로 주입된 공기가 아치 영역부를 거쳐 발볼 영역부에 마련된 다수의 에어 배출구로 지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므로, 신발 내부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발 냄새에 의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1 내지 제5의 메모리 폼을 사용하고 각각의 메모리 폼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므로, 발 바닥의 전체에 걸쳐 충경을 흡수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와 제2 밸브 시트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발꿈치 영역부에서 아치 영역부를 거쳐 발볼 영역부로 일정하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발볼 영역부의 외측에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치수 영역부가 마련되므로, 착용자의 발 치수에 관계없고 모든 신발에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하부 플레이트 및 아치 커버 부대 등에 표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에 각각의 메모리 폼을 접착하는 과정에서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에어 인솔의 제조 과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에어 공급구로 주입된 공기가 아치 영역부를 거쳐 발볼 영역부에 마련된 다수의 에어 배출구로 지속적으로 공급 및 배출되므로, 공기가 일시적으로 수용되어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내부 공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인솔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인솔에서 상부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인솔에서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 메모리 폼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3 메모리 폼에 부착되는 아치 커버 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치 커버 부재가 제3 메모리 폼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제4 및 제5 메모리 폼의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바닥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의 하부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섬유 시트"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부분에 대응하여 천연 섬유 또는 인공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로서, 통기성과 수분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항균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천 형태의 원단이며, 라텍스, EVA, 우레탄 소재 등으로 성형용 금형에 의해 발포 성형되어 형성되고, 그 표면상에 물결무늬 또는 격자무늬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 "합성수지"는 화학적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수지로서, 예를 들어 통상의 인솔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를 의미한다. 또한, "융착"은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접합, 하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의 접합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메모리 폼(memory foam)"은 충격 및 압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재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 인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100)은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heel) 영역, 발볼(ball) 영역 및 아치(arch) 영역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공급구(111)가 마련된 발꿈치 영역부(101),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가 마련된 발볼 영역부(102), 상기 발꿈치 영역부(101)와 상기 발볼 영역부(10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공급부(111)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로가 마련된 아치 영역부(103), 상기 발볼 영역부(102)의 외측에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치수 영역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공급구(11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움직임, 예를 들어 이동시 착용자의 발꿈치에서 제일 힘이 많이 부가되는 부분에 하나의 구멍으로 마련된다. 즉, 인체의 무게 중심으로서 체중의 50%는 발꿈치 영역에 인가되고, 체중의 35%는 발볼 영역에 인가되고, 체중의 15%는 아치 영역에 인가되므로, 상기 에어 공급구(111)는 발꿈치 영역(101)의 대략 중앙 부분에 마련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움직임 시 에어 공급구(111)로 가장 강력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는 발바닥 부분에서 힘이 인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120도 정도의 간격을 갖고 3곳에 마련된다. 이 에어 배출구(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공급부(111)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므로, 에어 공급부(111)에서 공급된 에어는 토출 압력이 증가하여 에어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을 착용한 착용자가 발볼 영역부(102)에 힘을 인가하여도 에어 배출구(112)를 통해 에어가 배출되게 된다. 또 도 2에서는 에어 배출구(112)가 3곳에서 각각 2개의 구멍을 마련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곳 이상 마련되거나, 3개 이상의 구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100)에서는 발꿈치 영역부(101)와 아치 영역부(103)는 연통되는 구조로 마련되고, 발꿈치 영역부(101) 및 아치 영역부(103)와 발볼 영역부(102)는 구획된 구조로 마련된다.
상기 치수 영역부(1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볼 영역부(102)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발볼 영역부(102)에서 다단으로 연장되어 마련된다. 즉, 발꿈치 영역부(101)에서 발볼 영역부(102)의 전체 길이가 260㎜인 경우,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대응이 되도록, 예를 들어 5㎜씩 연장되어 265㎜, 270㎜, 275㎜와 같은 사이즈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맞추어서 잘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발꿈치 영역부(101), 발볼 영역부(102), 아치 영역부(103)의 각각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 도 3을 기준으로 하고, 도 4 내지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100)은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가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110),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융착되는 하부 플레이트(120),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 융착되는 바닥 플레이트(150),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 사이에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접착되는 다수의 메모리 폼(131, 132, 133, 135, 136)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 인솔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의 평면도이다. 이 상부 플레이트(110)의 표면은 착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부분으로서, 통기성과 수분의 흡수성이 뛰어나고 항균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천 형태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격자무늬가 형성된다. 도 4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표면이 격자무늬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결무늬 또는 원형의 무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부 플레이트(110)에는 발꿈치 영역부(101)에 대응하는 부분에 에어 공급구(111)가 형성되고, 발볼 영역부(102)에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는 펀칭 등의 공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에어 인솔에서 하부 플레이트(120)의 저면도이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는 통상의 인솔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10)와 동일 크기로 마련되고,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은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방식에 의해 융착된다.
이 하부 플레이트(1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에 마련된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에 대응하여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에 각각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를 마련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하부 플레이트(120)와 상부 플레이트(110)의 융착 후, 펀칭 등의 공구에 의해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는 다수의 메모리 폼(131, 132, 133, 135, 136)의 각각의 접착시 위치 맞춤 등을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메모리 폼(131, 132, 133, 135, 136)에 마련된 각각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다수의 표시부(121)가 마련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 다수의 표시부(12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120)에 각각의 메모리 폼을 접착하는 과정에서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므로, 에어 인솔의 제조 과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하부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에어 공급구(111)의 부분에는 에어 공급구(111)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122)가 부착된다. 이 제1 밸브 시트(122)는 예를 들어 하부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일측이 하부 플레이트(120)에 접착되고, 타측이 에어 공급구(111)의 부분에서 하부 플레이트(120)와 비접착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 3의 확대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밸브 시트(122)는 에어 공급구(111)의 반대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여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다수의 메모리 폼의 구조 및 배치에 대해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플레이트(120)의 저면에 제1 내지 제3 메모리 폼(131, 132, 133)이 접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모리 폼(131)은 발꿈치 영역부(101)의 전체면적에 걸쳐서 마련되고, 제2 메모리 폼(132)은 발볼 영역부(102)의 전체 면적에 걸쳐서 마련되며, 제3 메모리 폼(133)은 아치 영역부(103)부분에 마련된다. 상기 제3 메모리 폼(133)의 상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모리 폼(131)의 상부에 거의 인접하게 마련되어 후술하는 제1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 상기 제1 메모리 폼(131), 제2 메모리 폼(132) 및 제3 메모리 폼(133)에는 각각 관통 홀(134)이 마련된다. 각각의 관통 홀(134)은 도 5에 도시된 표시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하부 플레이트(120)에 접착된다. 따라서 에어 공급부(111)는 제1 메모리 폼(131)에 마련된 관통 홀(134)과 연통 되며, 제1 밸브 시트(122)의 일측은 하부 플레이트(120)와 제1 메모리 폼(131)의 접착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1 밸브 시트(122)는 관통 홀(134)의 부분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에어 배출구(112)는 제2 메모리 폼(132)에 마련된 관통 홀(134)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2 메모리 폼(13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15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134)가 마련된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15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도 6에서는 3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융착을 위한 관통 홀은 대략 직선 형상으로 마련되고, 바닥 플레이트(150)를 하부 플레이트(120)에 부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다음에 제3 메모리 폼(133)에 접착되는 아치 커버 부재에 대해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3 메모리 폼(133)에 부착되는 아치 커버 부재(140)의 평면도이다.
상기 아치 영역부(103)에 마련된 제3 메모리 폼(133)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메모리 폼(133)의 관통 홀(134)에 대응하는 에어 관통구(142)가 마련된 아치 커버 부재(140)가 접착된다. 상기 에어 관통구(142)는 관통 홀(134)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이루어지고, 에어 공급구(11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 상기 에어 관통구(142)의 둘레 부분에는 관통 홀(134)과의 위치 맞춤을 위한 표시부(141)가 마련된다. 상기 표시부(141)는 관통 홀(134)과 거의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표시부(14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아치 커버 부재(140)를 제3 메모리 폼(133)에 부착하는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아치 커버 부재(1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관통구(142)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밸브 시트(143)가 부착된다.
상기 제2 밸브 시트(143)는 제1 밸브 시트(122)와 동일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일측이 아치 커버 부재(140)에 접착되고, 타측이 에어 관통구(142)의 부분에서 아치 커버 부재(140)와 비접착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 3의 확대 부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밸브 시트(143)는 에어 관통구(143)의 반대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여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아치 커버 부재(14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메모리 폼(131)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제3 메모리 폼(133)의 둘레에 부분을 따라 하부 플레이트(120)에 융착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치 커버 부재(140)가 제3 메모리 폼(133)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 아치 커버 부재(140)가 제1 메모리 폼(131)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하부 플레이트(120)에 융착되는 것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메모리 폼(131)과 제3 메모리 폼(133) 사이에 제1 공기 유로(105)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을 더 포함한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제4 메모리 폼(135) 및 제5 메모리 폼(136)의 사시도이다.
상기 제4 메모리 폼(135)은 제1 메모리 폼(131)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메모리 폼(131) 상에 부착되며, 제5 메모리 폼(136)은 제3 메모리 폼(133)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3 메모리 폼(133) 상에 부착된다.
상기 제4 메모리 폼(135)과 제5 메모리 폼(136)에는 각각 상기 제1 메모리 폼(131)과 제3 메모리 폼(133)에 형성된 관통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홀(133)이 마련된다. 상기 제4 메모리 폼(1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6~7㎜의 두께로 마련되고, 상기 제5 메모리 폼(136)은 2~3㎜의 두께로 마련되므로, 발꿈치 영역부(101) 및 아치 영역부(103)에서의 쿠션감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 시트(143)의 일측은 아치 커버 부재(140)와 제5 메모리 폼(136)의 접착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2 밸브 시트(143)는 도 3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5 메모리 폼(136)에 마련된 관통 홀(134)의 부분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 커버 부재(140)가 제3 메모리 폼(133)에 부착되어 융착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제4 메모리 폼(135)과 제5 메모리 폼(136)이 각각 상기 제1 메모리 폼(131)과 제3 메모리 폼(133) 상에 접착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닥 플레이트(150)가 제2 메모리 폼(132), 제4 메모리 폼(135)과 제5 메모리 폼(136)을 덮도록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 융착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바닥 플레이트(15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100)의 하부 사시도이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150)는 하부 플레이트(120)와의 융착의 용이성을 달성하기 위해 하부 플레이트(120)와 동일 재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염화비닐(PVC)이나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15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융착도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방식에 의해 융착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50)가 바닥 플레이트(120)가 융착되는 것에 의해 도 3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꿈치 영역부(101) 및 아치 영역부(103)와 발볼 영역부(102)를 구획하는 제1 융착부(151), 상기 바닥 플레이트(15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134)에 형성된 제2 융착부(152),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형성된 제3 융착부(153)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융착부(15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치 영역부(103)에서 상기 제3 융착부(153)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132)과 상기 제5 메모리 폼(136) 사이에 제2 공기 유로(106)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10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인솔의 표면상으로 맑은 공기가 에어 공급구(111)에서 제1 밸브 시트(122)를 경유하여 제1 공기 유로(105)로 흐르고 나서 상기 제2 밸브 시트(143)를 경유하여 제2 공기 유로(106)로 흐른 후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로 배출되므로, 쾌적한 착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의 제조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인솔(100)은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 영역부(101), 발볼 영역부(102) 및 아치 영역부(103)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의 제조 방법으로서,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가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110)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가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120)를 융착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수 영역부(104)가 마련되고, 상기 에어 공급구(111)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112)는 하부 플레이트(120)와 상부 플레이트(110)의 융착 후, 펀칭 등의 공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 공급구(111)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122)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의 에어 공급구(111)에 접착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발꿈치 영역부(101)에 관통 홀(134)이 형성된 제1 메모리 폼(131)을 접착시키고, 하부 플레이트(120)의 발볼 영역부(102)에 관통 홀(134)이 형성된 제2 메모리 폼(132)을 접착시키고, 하부 플레이트(120)의 아치 영역부(103)에 관통 홀(134)이 형성된 제3 메모리 폼(133)을 접착시킨다.
상기 접착하는 단계에서는 하부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다수의 표시부(121)상에 각각의 메모리 폼의 관통 홀(134)을 위치 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메모리 폼(133)의 관통 홀(134)에 대응하는 에어 관통구(142)가 마련된 아치 커버 부재(140)를 상기 제3 메모리 폼(133) 상에 접착하고, 상기 에어 관통구(142)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밸브 시트(143)를 상기 아치 커버 부재(140)에 부착한다. 상술한 부탁 단계에서는 제2 밸브 시트(143)의 일측이 아치 커버 부재(140)와 제5 메모리 폼(136)의 접착에 의해 고정되므로, 제2 밸브 시트(143)는 도 3의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5 메모리 폼(136)에 마련된 관통 홀(134)의 부분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치 커버 부재(140)가 제1 메모리 폼(131)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하부 플레이트(120)에 융착하는 것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메모리 폼(131)과 제3 메모리 폼(133) 사이에 제1 공기 유로(105)가 형성된다.
다음에, 상기 제2 밸브 시트(143)가 부착된 아치 커버 부재(140) 상에 제5 메모리 폼(136)을 접착하고, 상기 제1 메모리 폼(131) 상에 제4 메모리 폼(135)을 접착한 후, 상기 제2 메모리 폼(132), 제4 메모리 폼(135)과 제5 메모리 폼(136)을 덮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닥 플레이트(150)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에 융착 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50)와 바닥 플레이트(120)의 융착 단계에서는 발꿈치 영역부(101) 및 아치 영역부(103)와 발볼 영역부(102)를 구획하는 제1 융착부(151), 상기 바닥 플레이트(15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134)에 형성된 제2 융착부(152), 상기 하부 플레이트(120)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형성된 제3 융착부(153)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메모리 폼(132)과 상기 제5 메모리 폼(136) 사이에 제2 공기 유로(106)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과정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 인솔(100)이 완성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신발 내부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발 냄새에 의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110 : 상부 플레이트
120 : 하부 플레이트
131 : 제1 메모리 폼
140 : 아치 커버 부재
150 : 바닥 플레이트

Claims (19)

  1.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heel) 영역, 발볼(ball) 영역 및 아치(arch) 영역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로서,
    에어 공급구가 마련된 발꿈치 영역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발볼 영역부, 상기 발꿈치 영역부와 상기 발볼 영역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에어를 상기 다수의 에어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 유로가 마련된 아치 영역부를 포함하고,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하부 플레이트,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바닥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 사이에 구획되어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접착되는 다수의 메모리 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메모리 폼은 상기 발꿈치 영역부에 마련된 제1 메모리 폼, 상기 발볼 영역부에 마련된 제2 메모리 폼, 상기 아치 영역부에 마련된 제3 메모리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메모리 폼, 상기 제2 메모리 폼 및 상기 제3 메모리 폼에는 각각 관통 홀이 마련되고,
    상기 제1 메모리 폼의 관통 홀은 상기 에어 공급구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의 관통 홀은 상기 에어 배출구에 대응하여 마련된 관통 홀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5. 제4항에서,
    상기 제3 메모리 폼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메모리 폼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에어 관통구가 마련된 아치 커버 부재가 접착되고,
    상기 아치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고,
    상기 아치 커버 부재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상기 제3 메모리 폼 사이에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6. 제5항에서,
    상기 아치 커버 부재에는 상기 에어 관통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밸브 시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메모리 폼 상에 마련된 제4 메모리 폼과 상기 아치 커버 부재 상에 마련된 제5 메모리 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에는 각각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상기 제3 메모리 폼에 형성된 관통 홀에 대응하는 관통 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8. 제7항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메모리 폼,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을 덮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상기 바닥 플레이트가 융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발꿈치 영역부 및 아치 영역부와 발볼 영역부를 구획하는 제1 융착부,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에 형성된 제2 융착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 형성된 제3 융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융착부는 상기 아치 영역부에서 상기 제3 융착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과 상기 제5 메모리 폼 사이에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0. 제9항에서,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외부 공기는 상기 제1 밸브 시트를 경유하여 제1 공기 유로로 흐르고 나서 상기 제2 밸브 시트를 경유하여 제2 공기 유로로 흐른 후 상기 에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1. 제1항에서,
    상기 발볼 영역부의 외측에는 착용자의 발 사이즈에 대응하여 절단해서 사용할 수 있는 치수 영역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2. 제7항에서,
    상기 에어 공급구는 상기 발꿈치 영역의 중앙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 홀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 공급구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3. 제12항에서,
    상기 에어 배출구는 소정의 각도를 갖고 3곳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4. 제13항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융착을 위한 관통 홀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5. 제7항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내지 제5 메모리 폼에 마련된 각각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
  16.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의해 착용자의 발꿈치(heel) 영역, 발볼(ball) 영역 및 아치(arch) 영역에 에어 쿠션 기능을 인가하는 에어(air) 인솔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섬유 시트로 이루어지고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와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공급구와 다수의 에어 배출구가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를 융착하는 단계,
    (b) 상기 에어 공급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밸브 시트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에어 공급구에 접착하는 단계,
    (c)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발꿈치 영역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메모리 폼을 접착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발볼 영역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2 메모리 폼을 접착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아치 영역부에 관통 홀이 형성된 제3 메모리 폼을 접착하는 단계,
    (d)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 메모리 폼의 관통 홀에 대응하는 에어 관통구가 마련된 아치 커버 부재를 상기 제3 메모리 폼 상에 접착하는 단계,
    (e) 상기 에어 관통구에서 공급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밸브 시트를 상기 아치 커버 부재에 부착하는 단계,
    (f)상기 제1 메모리 폼 상에 제4 메모리 폼을 마련하고, 상기 아치 커버 부재 상에 제5 메모리 폼을 마련한 후, 상기 제2 메모리 폼, 제4 메모리 폼과 제5 메모리 폼을 덮도록 바닥 플레이트를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융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서,
    상기 융착은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서,
    상기 단계 (e)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 폼과 상기 제3 메모리 폼 사이에 제1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단계 (f)에 의해 상기 제2 메모리 폼과 상기 제5 메모리 폼 사이에 제2 공기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
  19. 제16항에서,
    상기 발꿈치 영역부 및 아치 영역부와 발볼 영역부를 구획하도록 융착되고, 상기 제2 메모리 폼에 마련된 관통 홀에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융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바닥 플레이트의 각각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인솔의 제조 방법.
KR1020180159195A 2018-12-11 2018-12-11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95A KR102088881B1 (ko) 2018-12-11 2018-12-11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195A KR102088881B1 (ko) 2018-12-11 2018-12-11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881B1 true KR102088881B1 (ko) 2020-04-20

Family

ID=7046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195A KR102088881B1 (ko) 2018-12-11 2018-12-11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8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285A (ko) * 2005-06-20 2006-12-26 서문현 신발용 깔창
KR100676675B1 (ko) * 2005-04-19 2007-02-01 오종세 복합 기능 건강 구두
KR101034100B1 (ko) 2010-09-15 2011-05-13 강문호 에어 주입량 및 배기량에 따라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신발용 인솔
KR101379440B1 (ko) 2012-07-04 2014-03-28 (주)한신코리아 에어쿠션 인솔
KR101463544B1 (ko) 2013-03-15 2014-11-20 안강현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20180055612A (ko) * 2016-11-17 2018-05-25 조영찬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75B1 (ko) * 2005-04-19 2007-02-01 오종세 복합 기능 건강 구두
KR20060133285A (ko) * 2005-06-20 2006-12-26 서문현 신발용 깔창
KR101034100B1 (ko) 2010-09-15 2011-05-13 강문호 에어 주입량 및 배기량에 따라 아치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신발용 인솔
KR101379440B1 (ko) 2012-07-04 2014-03-28 (주)한신코리아 에어쿠션 인솔
KR101463544B1 (ko) 2013-03-15 2014-11-20 안강현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KR20180055612A (ko) * 2016-11-17 2018-05-25 조영찬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07009B2 (en) Article of footwear
CN113423299B (zh) 具有区域性缓冲系统的鞋类物品
JP6592069B2 (ja) 中心張力特徴部を有する履物用流体充填チャンバー
US20200100566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JP4342553B2 (ja) クッション成分を加えた履物底の構造
EP2250917B1 (en) Midsole structure, particularly for shoes, including shoes with a vapor-permeable sole, designed for use in sports activities
KR101835236B1 (ko) 윤곽형 유체-충전식 챔버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CN102657407B (zh) 鞋底具有流体填充支撑元件的鞋类物品及其制造方法
US8813391B1 (en) Footwear with insole system
US8800170B1 (en) Footwear insole system
ES2708431T3 (es) Estructuras de suela y artículos de calzado provistos de elementos de amortiguación de la fuerza de impacto de tipo espuma y/o cámaras rellenas de fluido moderados por placas
CN104125785B (zh) 具有架高板鞋底结构的鞋类物品
KR100933527B1 (ko) 신발용 인솔
EP1526786B1 (en) Slipper insert, slip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lipper
US20070240333A1 (en)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US20050005473A1 (en) Self-cushion airflow shoes
JP2007530094A (ja) 分岐した流体充填チャンバーを組み込んだ底部構造を有する履物
KR100664398B1 (ko) 쿠션 및 통풍장치가 내설된 신발
JP2005502400A (ja) 衝撃吸収履物集合体
US20230210216A1 (en) Article of footwear
KR20090004477A (ko) 신발창
US6112432A (en) Insole,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KR102088881B1 (ko) 외부 공기 주입 방식의 에어 인솔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59756A (ko) 공기분사식 신발안창
KR20140010481A (ko) 공기 조절 에어백이 장착된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