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721B1 -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 Google Patents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5721B1
KR102025721B1 KR1020180053259A KR20180053259A KR102025721B1 KR 102025721 B1 KR102025721 B1 KR 102025721B1 KR 1020180053259 A KR1020180053259 A KR 1020180053259A KR 20180053259 A KR20180053259 A KR 20180053259A KR 102025721 B1 KR102025721 B1 KR 102025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midsole
pull band
foo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찬아
김동환
박경남
Original Assignee
(주)한진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진실업 filed Critical (주)한진실업
Priority to KR102018005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5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9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with means to differentiate between right and left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8Collapsible, e.g. foldable for trave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모양이 각기 다른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인솔의 원하는 부분을 당김밴드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시켜서 만곡된 부분(만곡부)의 부피가 증대되게 하고, 그 만곡부가 해당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아래로 인솔과, 탄성메쉬깔창(26), 미드솔, 아웃솔(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신발창(32)을 구성하고, 신발창(32)의 상부에는 갑피(31)가 설치되는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부인솔(10)과 하부인솔(20)로 분리 형성되고, 이 상부인솔(10)은 플렉시블하며 소정의 쿠션을 지닌 상부인솔본체(11)의 저면에 암벨크로시트(12)가 합포된 상태에서 다수의 통공(1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인솔(10)의 저면 전후방과 중간에 상부인솔(10)이 상부로 만곡되게 하는 당김밴드(14)를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되, 상기 당김밴드(14)는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당김밴드본체(15)의 가운데에 방향제팩(18)이 교체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 당김밴드본체(15)의 양단부 상면에는 상부인솔(10)의 암벨크로시트(12)에 탈부착되는 수벨크로(17)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인솔(10)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인솔(20)은 당김밴드(14)가 삽입되어 배기지 않게 하는 전방통공(22)과 중간통공(23), 그리고 후방통공(24)이 각각의 당김밴드(1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Podiatric volume Adaptive functional shoes}
본 발명은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모양이 각기 다른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인솔의 원하는 부분을 당김밴드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시켜서 만곡된 부분(만곡부)의 부피가 증대되게 하고, 그 만곡부가 해당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대비할 수 있는 종래발명은, 특허출원 제10-2009-7026791호(발명의 명칭 : 신발 안창 및 신발)로 출원되어 공개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입방골 단부의 설입방 관절부 근방으로부터 제2 중족골과 제3 중족골 간의 MP 관절부의 기절골 근방까지의 부위에 맞닿아, 당해 부위를 높게 올려 아치 형상으로 유지하는 융기면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MP 관절부에 대해서는 MP 관절이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융기면이 형성된 안창을 신발의 구두 바닥에 장착해 두면, 종래의 아치 개념의 기본이 되는 발바닥의 아치의 조정이나 보강이 되어 이 기본 아치 구조의 회복을 촉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보행시 체중 이동 등에 대해서 하중 관절의 기계적 스트레스의 경감, 보행시의 기능 개선을 도모하게 되어 종래로부터 문제시되고 있는 외반무지나 편평족 등의 얼라인먼트 이상이나 족부의 기능 장해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융기면이 안창의 지정된 한곳에만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융기면에 대응되는 발바닥만 자극하게 되는데, 사람의 발은 각기 사람마다발의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어 종래발명은 종래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사람마다 아치부가 움푹 파인 사람이나, 아치부가 평평한 사람, 발두께가 두꺼우면서 발볼이 넓은 사람, 발두께가 얇으면서 발볼이 좁은 사람, "O"(오)자형 다리를 가진 사람, "X"(엑스)자형 다리를 가진 사람들, 사람들 마다 발과 다리의 모양이 다양하여 융기면이 안창의 지정된 위치에 고정형으로 형성된 종래의 발명으로는 편안한 착화감을 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9-7026791호(발명의 명칭 : 신발 안창 및 신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모양이 각기 다른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인솔의 원하는 부분을 당김밴드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시켜서 만곡된 부분(만곡부)의 부피가 증대되게 하고, 그 만곡부가 해당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에서 아래로 인솔과, 탄성메쉬깔창, 미드솔, 아웃솔이 차례로 적층되어 신발창을 구성하고, 신발창의 상부에는 갑피가 설치되는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부인솔과 하부인솔로 분리 형성되고, 이 상부인솔은 플렉시블하며 소정의 쿠션을 지닌 상부인솔본체의 저면에 암벨크로시트가 합포된 상태에서 다수의 통공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인솔의 저면 전후방과 중간에 상부인솔이 상부로 만곡되게 하는 당김밴드를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되, 상기 당김밴드는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당김밴드본체의 가운데에 방향제팩이 교체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 당김밴드본체의 양단부 상면에는 상부인솔의 암벨크로시트에 탈부착되는 수벨크로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인솔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인솔은 당김밴드가 삽입되어 배기지 않게 하는 전방통공과 중간통공, 그리고 후방통공이 각각의 당김밴드 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은, 발모양이 각기 다른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인솔의 원하는 부분을 당김밴드를 이용하여 상측으로 둥글게 만곡시켜서 만곡된 부분(만곡부)의 부피가 증대되게 하고, 그 만곡부가 해당 발바닥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함으로써, 편안한 착화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부인솔을 만곡시키는 당김밴드에 방향제팩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신발의 내부에서 나는 발냄새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신발창를 분리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창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부인솔의 저면에 당김밴드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부인솔의 상면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의 중간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상하부인솔(10,20)과, 탄성메쉬깔창(26), 미드솔(29), 아웃솔(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신발창(32)을 구성하고, 신발창(32)의 상부에는 갑피(31)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인솔(10)은 플렉시블하며 소정의 쿠션을 지닌 상부인솔본체(11)의 저면에 암벨크로시트(12)가 합포된 상태에서 다수의 통공(1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수벨크로가 탈부착되는 암벨크로시트(12)의 부착면은 하측을 향하며 암벨크로시트(12)의 이면은 상부인솔본체(11)의 저면에 합포(부착)된다.
그리고, 상부인솔(10)의 저면 전후방과 중간에 상부인솔(10)이 상부로 만곡되게 하는 비신축성 당김밴드(14)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부착 설치된다. 이때 전후방측 당김밴드(14)는 상부인솔(10) 및 발바닥이 전후길이가 길기 때문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중간측 당김밴드(14)은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되게 좌우방향으로 부착된다.
상기 각각의 당김밴드(14)는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당김밴드본체(15)의 가운데에 방향제팩(18)이 끼워지는 삽입공(16)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 당김밴드본체(15)의 양단부 상면에는 상부인솔(10)의 암벨크로시트(12)에 탈부착되는 수벨크로(17)가 설치되며, 삽입공(16)에 끼워지는 방향제팩(18)은 내부에 방향제가 담겨져 있으며 상부인솔(10)을 향하는 상부에 향기가 새어나가는 통공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인솔(10)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인솔(20)은 당김밴드(14)가 삽입 안착되어 발에 밟혔을 때 발바닥에 배기지 않게 하는 전방통공(22)과 중간통공(23), 그리고 후방통공(24)이 각각의 당김밴드(14)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 하부인솔(20)의 상면에는 향기가 발바닥 전체로 확산되게 하는 수개의 향기안내홈(25)이 각각의 통공(22,23,24)으로부터 외측으로 퍼져나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메쉬깔창(26)은 소정의 쿠션을 지닌 메쉬소재로 형성되어 우수한 통기성와 쿠션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미드솔(29)은 상측의 저경도미드솔(27)과 그 하측의 중경도미드솔(28)이 부착되어 형성되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경도미드솔(27)의 안쪽부분, 즉 발의 아치부가 형성된 쪽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중경도미드솔(28)의 바깥쪽을 두껍게 형성하며, 이들 저경도미드솔(27)과 중경도미드솔(28)의 접촉면을 파형으로 형성한다.
상기 저경도미드솔(27)과 중경도미드솔(28)의 접촉면을 파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발바닥에 고른 쿠션감을 부여하고, 발목이 내외측으로 급격하게 구부려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중경도미드솔(28) 보다 경도가 낮아 부드러운 저경도미드솔(27)이 발바닥의 수직압력을 분산하면서 저경도미드솔(27) 보다 경도가 높은 중경도미드솔(28)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두꺼움에 따라 발목이 바깥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중경도미드솔(28)과 저경도미드솔(27)은 소정의 쿠션을 지녀 부드러운 상태이며, 본 발명의 출원인은 중경도미드솔(28)의 경도를 55~60으로 정하고, 저경도미드솔(27)의 경도를 45~50으로 설계하였음을 밝힌다.
중경도미드솔(28)의 저면에 부착되는 아웃솔(30)은 공지된 아웃솔과 동일하게 마모성이 우수하며 미끄럼을 최소화하는 고무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을 착용하기 전에 착용자 자신의 발모양에 적합하게 도 2 및 도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인솔(1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호형으로 구부리는데, 이는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원하는 만큼 상측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만곡부(19)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인솔(10)에 부분적으로 착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만큼의 곡률이 되도록 만곡부(19)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신발의 내부에서 상부인솔(10)을 꺼낸 뒤에 일회용 밴드형태로 형성된 당김밴드(14)의 전후방 상부에 결합 설치된 수벨크로(17) 중에 어느 하나의 수벨크로(17)를 상부인솔(10)의 저면에 합포된 암벨크로시트(12)에 부착시킨다.
그 다음에 당김밴드(14)를 팽팽하게 당기면서 당김밴드(14)의 길이보다 긴 부분의 암벨크로시트(12)에 타측 수벨크로(17)를 부착시키면, 당김밴드(14)의 길이보다 당김밴드(14)가 부착되는 부분의 길이가 긴 상부인솔(10)의 해당부분이 상측으로 둥글게 구부려지는데, 이는 상부인솔(10)이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어 당김밴드(14)의 양측 수벨크로(17) 사이에 있는 부분의 길이가 긴 부분이 둥글게 구부려지게 된다.
이때, 당김밴드(14)의 전후방측 수벨크로(17)가 상부인솔(10)의 저면에 구비된 암벨크로시트(12)에 부착되어서 상측으로 둥글게 구부려진 만곡부(19)는 호형으로 구부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렇게 만곡부(19)가 형성된 만큼 그 부분의 부피가 증대되게 되며, 그 만곡부(19)는 곡률과 상부인솔(10)의 두께에 따라 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만곡부(19)는 두 가지 형태로 형성되는데, 첫 번째는 도 2에서와 같이 전후방통공(22,2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만곡부(19)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두 번째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의 중간 아치부분에 해당하는 중간통공(23)의 대응위치에 형성되는 만곡부(19)는 좌우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들 모두 착용자가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만곡부(19)의 크기를 조절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부인솔(10)에 착용자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만곡부(19)의 크기를 조절 형성하면, 그 만곡부(19)는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만곡부(19)의 하부에 빈공간(S)이 형성되어 발을 신발 안으로 삽입시킬 때, 발끝에 걸리게 되나 발을 삽입하는 힘에 의해 만곡부(19)가 눌리면서 발을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으며, 발의 삽입을 완료한 뒤에는 만곡부(19)가 형성된 부분의 상부인솔(10)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발바닥에 탄력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렇게 신발을 착용했을 때, 신발 내부의 체적이 감소되는데, 일예로 발 두께가 얇은 사람의 경우에 발등과 갑피의 안쪽 저면 사이에 공간이 뜨게 되나, 위와 같이 만곡부(19)가 상측으로 둥글게 융기된 상태가 되면 만곡부(19)가 상측으로 융기된 높이만큼 발등과 갑피 안쪽 저면 사이에 공간이 감축되게 되며, 발등이 갑피의 저면에 밀착되더라도 발바닥의 형태에 따라 발바닥과 상부인솔(10)의 상면 사이에 부분적으로 틈새가 형성되는 경우에 그 틈새를 만곡부(19)가 메우게 되며, 해당 발바닥에는 쿠션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만곡부(19)가 발바닥에 탄력적으로 접하는 상태에서 보행을 하면, 당김밴드(14)가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있어서 지면을 딛을 때마다 발바닥이 배길 것을 염려할 수 있겠으나, 당김밴드(14) 하측의 하부인솔(20)에는 당김밴드(14) 보다 크며 당김밴드(14)가 묻힐 만큼의 두께를 가진 통공(22,23,2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서 상부인솔(10)의 저면에 부착된 당김밴드(14)는 해당 통공(22,23,24)에 삽입 안착되어 배김 현상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인솔(10)의 전후방에 길이방향으로 만곡부(19)를 형성하고 아치부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또 다른 만곡부(19)를 착용자 자신의 발모양에 맞게 형성한 상태로 보행을 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곡부(19)가 플렉시블하며 쿠션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발바닥을 우수한 쿠션력으로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보행을 하는 과정에서 지면을 딛었다가 발이 상측으로 올라갈 때는 발바닥이 상부인솔(10)에서부터 아래로 아웃솔(30)까지 밟혔을 때 가해지는 누름력이 해제되는데, 이때, 신발창(32)에는 위에서 아래까지 소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모두 탄력을 지니고 있어서 자유높이 만큼 팽창하면서 서로 비접착식으로 적층된 탄성메쉬깔창(26)과 하부인솔(20), 상부인솔(10)의 밀착이 해제되며 느슨하게 얹힌 상태가 된다.
이때, 당김밴드(14)에 삽입된 방향제팩(18)에서는 팩의 내부에 담긴 방향제에서 향기가 나오면서 만곡부(19) 아래의 공간(S)으로 올라가게 되고, 상기 공간(S)으로 올라온 향기가 상부인솔(10)에 형성된 통공(13)을 통하여 신발 안쪽으로 퍼져나가고, 방향제팩(18)이 삽입된 당김밴드(14)가 당김밴드(14) 보다 큰 각각의 통공(22,23,24)에 삽입되어서 각각의 통공(22,23,24)에도 향기가 차있게 된다.
상기 각각의 통공(22,23,24) 주변의 하부인솔(20) 상면에는 도 1,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개의 향기안내홈(25)이 형성되어서 각각의 통공(22,23,24)으로 퍼진 향기가 각각의 향기안내홈(25)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 향기의 이동은 보행시 지면을 딛는 동작과 발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압축과 누름의 해제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펌핑작용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향기안내홈(25)으로 이동하는 향기는 보행과정에서 발이 지면에서 상측으로 올라갈 때, 미세하게 벌어지는 상부인솔(10)과 하부인솔(20)의 사이로 퍼져나가면서 상부인솔(10)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13)을 통하여 신발안쪽으로 펴져나가 신발 내부에서 발생되는 발냄새를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탄성메쉬깔창(26)은 소정의 쿠션을 지닌 메쉬소재로 형성되어 우수한 통기성와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드솔(29)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경도미드솔(27)의 안쪽부분, 즉 발의 아치부가 형성된 쪽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중경도미드솔(28)의 바깥쪽을 두껍게 형성하며, 이들 저경도미드솔(27)과 중경도미드솔(28)의 접촉면을 파형으로 형성하여 중경도미드솔(28) 보다 경도가 낮아 부드러운 저경도미드솔(27)이 발바닥의 수직압력을 분산하고, 그와 더불어 저경도미드솔(27) 보다 경도가 높은 중경도미드솔(28)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두꺼움에 따라 발목이 바깥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아 편안한 착화감과 발목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상부인솔 11 : 상부인솔본체 12 : 암벨크로시트
13 : 통공 14 : 당김밴드 15 : 당김밴드본체
16 : 삽입공 17 : 수벨크로 18 : 방향제팩
19 : 만곡부 20 : 하부인솔 21 : 하부인솔본체
22 : 전방통공 23 : 중간통공 24 : 후방통공
25 : 향기안내홈 26 : 탄성메쉬깔창 27 : 저경도미드솔
28 : 중경도미드솔 29 : 미드솔 30 : 아웃솔
31 : 갑피 32 : 신발창

Claims (3)

  1. 위에서 아래로 인솔과, 탄성메쉬깔창(26), 미드솔(29), 아웃솔(30)이 차례로 적층되어 신발창(32)을 구성하고, 신발창(32)의 상부에는 갑피(31)가 설치되는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상부인솔(10)과 하부인솔(20)로 분리 형성되고, 이 상부인솔(10)은 플렉시블하며 소정의 쿠션을 지닌 상부인솔본체(11)의 저면에 암벨크로시트(12)가 합포된 상태에서 다수의 통공(13)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인솔(10)의 저면 전후방과 중간에 상부인솔(10)이 상부로 만곡되게 하는 당김밴드(14)를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하되, 상기 당김밴드(14)는 늘어나지 않는 소재로 형성되는 당김밴드본체(15)의 가운데에 방향제팩(18)이 교체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 당김밴드본체(15)의 양단부 상면에는 상부인솔(10)의 암벨크로시트(12)에 탈부착되는 수벨크로(17)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인솔(10)의 저면에 적층되는 하부인솔(20)은 당김밴드(14)가 삽입되어 배기지 않게 하는 전방통공(22)과 중간통공(23), 그리고 후방통공(24)이 각각의 당김밴드(1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측 당김밴드(14)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부착되고 중간측 당김밴드(14)은 좌우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통공(22,23,24) 주변의 하부인솔(20)의 상면에는 향기가 발바닥 전체로 확산되게 하는 수개의 향기안내홈(25)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29)은 상측의 저경도미드솔(27)과 그 하측의 중경도미드솔(28)로 이루어지며, 저경도미드솔(27)은 안쪽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중경도미드솔(28)은 바깥쪽을 두껍게 형성하고, 저경도미드솔(27)과 중경도미드솔(28)의 접촉면을 파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KR1020180053259A 2018-05-09 2018-05-09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KR102025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59A KR102025721B1 (ko) 2018-05-09 2018-05-09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59A KR102025721B1 (ko) 2018-05-09 2018-05-09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5721B1 true KR102025721B1 (ko) 2019-09-26

Family

ID=6806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59A KR102025721B1 (ko) 2018-05-09 2018-05-09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572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634A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JP2009112456A (ja) * 2007-11-05 2009-05-28 Pansy:Kk 履物およびその中底ならびに中底用クッション材
KR20120013854A (ko) * 2010-08-07 2012-02-15 임성조 이동 가능한 지지체가 겹겹이 적층된 신발용 인솔
KR20130091039A (ko) * 2012-02-07 2013-08-16 (주)웰스텝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KR20130103980A (ko) * 2012-03-12 2013-09-25 임성조 상하로 유동되는 발바닥 지지체
KR20140113016A (ko) * 2013-03-15 2014-09-24 안강현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US20170086531A1 (en) * 2009-08-26 2017-03-30 Christian Thagaard Hansen Insole For Sho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634A (ko) * 2005-12-09 2007-06-13 주식회사 지비코리아 복수의 스프링을 갖는 신발
JP2009112456A (ja) * 2007-11-05 2009-05-28 Pansy:Kk 履物およびその中底ならびに中底用クッション材
US20170086531A1 (en) * 2009-08-26 2017-03-30 Christian Thagaard Hansen Insole For Shoes
KR20120013854A (ko) * 2010-08-07 2012-02-15 임성조 이동 가능한 지지체가 겹겹이 적층된 신발용 인솔
KR20130091039A (ko) * 2012-02-07 2013-08-16 (주)웰스텝 다단쿠션을 갖는 기능성 신발밑창
KR20130103980A (ko) * 2012-03-12 2013-09-25 임성조 상하로 유동되는 발바닥 지지체
KR20140113016A (ko) * 2013-03-15 2014-09-24 안강현 충격 흡수와 통증 경감을 위한 기능성 몰딩 에어 인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391B1 (ko) 신발 안창
JP4248580B2 (ja) 足底板の製造方法
JP5278714B2 (ja)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KR100796160B1 (ko) 뒷굽이 높은 신발용 기능성 안창
JP5808934B2 (ja) ハイヒール靴用インソール及びハイヒール靴
US20180220737A1 (en) Footwear with dynamic arch system
KR20210018435A (ko) 신발용 인솔
JP2006198101A (ja) 履物の本底及び履物
KR100955038B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KR102025721B1 (ko) 족부 볼륨 적응형 기능성신발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KR200462766Y1 (ko) 구두 중창용 허리쇠
JP5324629B2 (ja) トレーニングに適した靴の靴底
JP2019181050A (ja)
JP5959079B1 (ja) クッション付靴下
JP4592429B2 (ja) 履物の本底及び履物
KR101347216B1 (ko) 하이힐용 연질 중창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CN220694515U (zh) 一种足弓支撑鞋底以及鞋子
KR102280329B1 (ko) 건강한 스탠딩 및 전족 주행을 위한 신발 물품
CN211483175U (zh) 鞋垫
JP6829917B1 (ja) 履物の底部材
KR100955028B1 (ko) 연결판 생크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KR200392960Y1 (ko) 신체균형을 위한 교정용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