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141A - 트라이애슬론 안창 - Google Patents

트라이애슬론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141A
KR20160058141A KR1020167009668A KR20167009668A KR20160058141A KR 20160058141 A KR20160058141 A KR 20160058141A KR 1020167009668 A KR1020167009668 A KR 1020167009668A KR 20167009668 A KR20167009668 A KR 20167009668A KR 20160058141 A KR20160058141 A KR 20160058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pod
insole
bas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콥 마르티네즈
데이비드 비. 그레인저
폴 루이스
윌리엄 스털링 윈
Original Assignee
스펜코 메디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펜코 메디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펜코 메디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5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예를 들어, 트라이애슬론과 같은 활동적인 스포츠 중에 부닥치게 되는 접지력 및/또는 상이한 기후 조건을 받게 되는 사용자의 발에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는 안창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안창은 특정 특성을 갖는 패드 및 포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부를 형성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를 포함한다. 다양한 패드 및 포드의 위치 및 재료는 신발 동작 중에 발목 및 발 안정화, 향상된 완충 특징, 및 안창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함께 동작한다.

Description

트라이애슬론 안창 {TRIATHLON INSOLE}
본 발명은 크로스 트레이닝(cross training) 및 트라이애슬론 스포츠 활동(triathlon sporting activities)에 종사하는 착용자의 발에 향상된 완충 및 지지를 갖는 신발 안창(insole)에 관한 것이다.
인간 발은 매우 복잡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이다. 뒤꿈치 닿기(heel strike)시의 발 위의 하중은 통상적으로 사람이 보행할 때 사람의 체중의 약 1과 1/2배이다. 달리거나 백팩(backpack)과 같은 가외의 중량을 휴대할 때, 발 위의 하중은 체중의 3배를 초과할 수 있다. 발의 다수의 뼈, 근육, 인대, 및 건(tendon)은 충격력을 흡수하고 발산하고, 체중 및 다른 하중을 지탱하고, 추진을 위한 힘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적절하게 설계된 신발 안창은 발이 이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고 발을 상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안창은 개인의 특정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맞춤형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 안창은 최종 사용자의 발의 주형(cast)에 기초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최종 사용자의 발의 윤곽으로 성형된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맞춤형 제조된 아이템과 같이, 맞춤형 안창은 소량 및 이들을 적절하게 제조하여 피팅하는데 요구되는 광대한 시간에 기인하여 고가인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일반 대중을 위해 이러한 맞춤형 제조된 안창을 제조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다.
일반 대중에 배포를 위해 실용적이게 하기 위해, 안창은 개인화된 조정 및 피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에 이익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기성품으로(over-the-counter) 통상적으로 입수가능한 제1 유형의 안창은 충격 흡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발을 완충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통상의 개인에 대해, 완충형 안창은 걷기 또는 달리기와 같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에 종사하는 동안 적절하게 수행한다. 즉, 완충형 안창은 이러한 활동을 위한 충분한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무거운 백팩을 휴대하거나 또는 험준한 지형을 횡단하는 것과 같은 더 격렬하고 또는 기술적으로 도전적인 활동에 대해, 통상의 완충형 안창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완충형 안창 자체는 충분한 지지 및 제어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고, 완충형 안창을 완전히 압축함으로써 사용 중에 바닥에 닿는 경향이 있다.
다른 유형의 기성품 안창은 제어를 강조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안창은 발 모션을 제한함으로써 발의 만곡 및 비틀림을 제어하도록 비교적 경직성(stiff) 및 강성(rigid)이 되도록 제조된다. 강성 구조체는 모션을 제어하는데 양호하지만, 매우 관대하지는 않다. 그 결과, 발의 모션이 강성 구조체에 의해 부여된 한계에 도달할 때, 발 위의 하중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향이 있고 발의 구조체 위의 하중을 증가시킨다. 건 및 인대와 같은 생물학적 조직은 이들이 하중을 받게 되는 비율에 민감하기 때문에, 하중의 급격한 변화는 발, 발목 또는 다리에 상해 또는 손상을 유발한다.
상기 내용의 견지에서, 완충 및 제어의 모두를 제공하는 기성품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완충 및 제어의 모두를 제공하고 크로스 트레이닝 또는 트라이애슬론 관련 활동 중에 일반 대중에 의해 사용을 위해 실용적인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것이다.
본 출원인은 안정성 크래들(cradle) 및 그 위에 위치된 다수의 포드(pod)를 갖는 안창에 대한 특허를 허여받았다. 이들 특허는 미국 특허 제7484319호, 제7665169호, 제7908768호 및 제8250784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특허는 신발 동작 중에 안창의 가능한 이동을 다루거나 또는 예를 들어, 트라이애슬론과 같은 일정한 달리기 트레이닝을 다루기 위해 더 향상된 완충 특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1) 증가된 발목 및 발 안정성을 제공하고, (2) 뒤꿈치 밀기(push-off)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앞발(forefoot)을 완충하고, (3) 모든 런닝화 및 크로스트레이닝화의 안창 형상에 맞춤형 윤곽이고, (4) 극도로 경량이고, (5) 향상된 완충 기능을 제공하고, (6) 신발 동작 및 전환(change-over) 중에 본질적으로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갖지 않는 목표를 성취하는 신발 안창에 대한 현재의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 및 제어의 모두를 제공하고 일반 대중에 의해 사용을 위해 실용적인 안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모션 제어 및 완충의 모두를 제공하는 안창에 의해 제공된다. 안창은 발 완충 및 모션 제어의 원하는 조합을 성취하도록 협동하는 상호작용 구성요소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는 발포체 코어, 반강성 또는 강성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 포드 및 패드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의 특성, 이들의 크기 및 형상, 및 이들의 위치는 완충과 제어의 원하는 혼합을 제공하도록, 더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생체역학적 기능을 성취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over/under pronation), 과외전/소외전(over/under supination)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traction grip)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창의 구성요소는 의도된 활동의 유형 또는 카테고리를 위해 설계된 안창을 생성하도록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다수의 안창 디자인은 광범위한 상이한 활동을 다루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창은 상이한 특성을 갖는 다수의 상호교환 가능한 포드를 포함하는 키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키트를 사용하여, 최종 사용자는 특정 활동을 수용하기 위해 안창을 맞춤화하도록 포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횡단형 안정성 리브를 갖는 파셋절단된(faceted) 안정성 크래들, (2) 복수의 포드, (3) 앞발 패드, (4) 포드의 하부면 및 앞발 패드 상의 십자형 홈 패턴, 및 (5) 경옥(jadeite) 냉각 상부천을 구비하는 안창이다. 본 발명은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앞발을 완충하고, (3) 신발 동작 및 전환 중에 안창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4) 달리기 및 크로스 트레이닝 운동 중에 뒤꿈치, 중간발, 아치 및 앞발에 향상된 완충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성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안창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안창의 기부를 도시하고 있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a는 안정성 크래들의 저면도이다.
도 3b는 안정성 크래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안창의 평면(발등측)도이다.
도 5는 안창의 저면(발바닥측)도이다.
도 6은 안창의 외측면(lateral)(외면측)도이다.
도 7은 안창의 내측면(medial)(내면측)도이다.
도 8은 안창의 후면(근위측)도이다.
도 9는 9-9를 따른 안창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10-10을 따른 안창의 중족골 영역(metatarsal area) 후방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11-11을 따른 안창의 아치 영역(arch area)을 통한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12-12를 따른 안창의 뒤꿈치 영역을 통한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안창의 저면(발바닥)도에 중첩된 발의 뼈의 도면이다.
도 14는 안창의 다양한 영역을 도시하고 있는 저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트라이애슬론 경주용 안창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제2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트라이애슬론 트레이닝용 안창을 도시하고 있다.
힐컵(heelcup) 및 중간 정도의 종방향 아치 지지부를 갖는 모든 안창은 약간의(소정 정도의) 내전(pronation) "제어"를 제공하는 가능성이 있다. 중간 정도의 종방향 지지는 단지 연구 증거에 기초하여 소정 정도이다. 내전 "제어"라는 것은, 뒷발의 관절 주위에 작용하여 내전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외전(supination) 모멘트의 감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복수의 안정성 리브를 갖는 파셋절단된 안정성 크래들, (2) 복수의 포드, (3) 앞발 패드, (4) 포드의 하부면 및 앞발 패드 상의 십자형 홈 패턴, 및 (5) 경옥 냉각 상부천을 구비하는 안창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traction grip)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은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앞발을 완충하고, (3) 신발 동작 및 전환 중에 안창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4) 달리기 및 크로스 트레이닝 운동 중에 뒤꿈치, 중간발, 아치 및 앞발에 향상된 완충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성취한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안창이 개시되어 있다. 안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발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자의 오른발 신발 및 왼발 신발은 안창이 오른발 신발 및 왼발 신발 각각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서로 경면 대칭이다. 단지 왼발 안창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오른발 안창은 왼발 안창의 경면 대칭 구성을 갖는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안창은 운동화의 하부 내부와 본질적으로 유사하게 성형된다(따라서, 휴지시에 일반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는 사용자의 발을 수용하도록 구성됨). 안창은 뒤꿈치 단부(근위측)로부터 발가락 단부(원위측)로 연장하고, 상기 발가락 단부를 안창의 아치측을 따라 상기 뒤꿈치 단부에 연결하는 발의 아치측의 내측 경계 또는 측면과, 상기 발가락 단부를 안창의 다른 측에서 상기 뒤꿈치 단부에 연결하는 그 다른 측의 외측 경계 또는 측면을 갖는다. 안창은 앞발 영역(발의 중족골과 지절골을 상관하는 영역), 아치 영역(내측면을 따른), 뒤꿈치 영역(뒤꿈치 단부의 바로 전방의), 및 중간발 영역(뒤꿈치 영역과 앞발 영역 사이)을 또한 갖는다.
도 1의 분해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창(1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02)를 포함한다. 기부(1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19)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도 4 및 도 10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음)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기부(1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을 형성한다. 기부(1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32)를 형성한다. 리브(1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cuneiform)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106)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1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1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157)을 갖는다.
앞발 패드(1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 및 앞발 패드(1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ball)"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tougher)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은 기부(1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toe-off)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stay in place)"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running gear)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swapping) 및 "전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function quotient)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31)는 기부(102)의 상기 리브(1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02)는 리브(132)가 리브형 개구(1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32)가 안정성 크래들(1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06)과 기부(1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32)는 또한 기부(1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31)는 안정성 크래들(106)이 안정성 크래들(1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 내에서 기부(1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1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ASKER)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02)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 내의 기부(1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 내에서 기부(1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roll-over)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13) 내에서 기부(1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5) 내에서 기부(1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pea-pod shape)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15) 내에서 기부(1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midstance)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1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1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06) 및 앞발 패드(1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102)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108)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120), 외측 중간발 포드(121), 외측 뒤꿈치 포드(1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각각의 포드 및 패드의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21, 1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캐비티 내에 안창을 고정하고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공기 순환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완충 및 탄력성 특성을 제공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blister)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01)로 안창의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까지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jade)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이어서 패드/포드에 그리고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또한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측면,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102)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sizing guide)(150)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150)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복수의 안정성 리브를 갖는 파셋절단된 안정성 크래들, (2) 복수의 포드, (3) 앞발 패드, (4) 포드의 하부면 및 앞발 패드 상의 십자형 홈 패턴, 및 (5) 경옥 냉각 상부천을 구비하는 안창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은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앞발을 완충하고, (3) 신발 동작 및 전환 중에 안창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4) 달리기 및 크로스 트레이닝 운동 중에 뒤꿈치, 중간발, 아치 및 앞발에 향상된 완충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성취한다.
도 2는 임의의 패드, 포드, 또는 부착물이 없는 기부(202)의 저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기부(202)는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다. 기부(2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219)를 형성한다.
기부(2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2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205)을 형성한다. 기부(2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232)를 형성한다. 리브(2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2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2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2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2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257)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205)은 기부(2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2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2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기부(202)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2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도 3a 및 도 3b는 안정성 크래들(306)의 저면도 및 사시도이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기부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3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3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3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331)는 기부 상의 리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리브는 또한 기부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3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브형 개구(331)는 안정성 크래들(306)이 안정성 크래들(3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3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3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311)는 외측 중간발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3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3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3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313)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311)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313)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313)는 외측 뒤꿈치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315)는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3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315)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315)는 내측 뒤꿈치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안정성 크래들(3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도 4는 상부 시트(401) 및 횡단형 아치 지지부(438)를 도시하고 있는 안창의 평면도이다. 안창(400)은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기부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고정된 상부 시트(4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4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4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4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4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4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4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401)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4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일련의 공기 구멍이 상부 시트(401) 및 기부를 통해 연장하여 안창(400) 상하의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5는 안창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5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502)를 포함한다. 기부(5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519)를 형성한다.
기부(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5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을 형성한다. 기부(5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532)를 형성한다. 리브(5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5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5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5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557)을 갖는다.
앞발 패드(5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5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5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5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5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507) 및 앞발 패드(5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5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은 기부(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5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5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531)는 기부(502)의 상기 리브(5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502)는 리브(532)가 리브형 개구(531) 내로 돌출하여 리브(532)가 안정성 크래들(5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506)과 기부(5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532)는 또한 기부(5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5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531)는 안정성 크래들(506)이 안정성 크래들(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5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5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5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 내에서 기부(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5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502)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 내의 기부(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5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5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5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 내에서 기부(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5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5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5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5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5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5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511) 내에서 기부(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5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5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5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5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505) 내에서 기부(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5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515) 내에서 기부(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5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5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5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5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5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5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5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5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5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5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5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5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5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5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5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5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512)는 외측 뒤꿈치 포드(5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5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5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5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5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5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506) 및 앞발 패드(5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502)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5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508)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520), 외측 중간발 포드(521), 외측 뒤꿈치 포드(5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5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5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521, 5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5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신발 내에서 적소에 안창을 유지하는 것을 돕고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개방셀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5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5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5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이어서 패드/포드에 그리고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또한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측면,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502)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550)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550)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6은 안창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601) 및 상기 상부 시트(6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602)를 포함한다. 기부(6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619)를 형성한다.
기부(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을 형성한다.
기부(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은 기부(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6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6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6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 내에서 기부(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 내에서 기부(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605) 내에서 기부(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6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7은 안창의 내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7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7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702)를 포함한다. 기부(7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719)를 형성한다.
기부(7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을 형성한다. 기부(7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732)를 형성한다. 리브(7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7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은 기부(7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7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7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7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7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7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7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7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7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731)는 기부(702)의 상기 리브(7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702)는 리브(732)가 리브형 개구(731) 내로 돌출하여 리브(732)가 안정성 크래들(7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706)과 기부(7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732)는 또한 기부(7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7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7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731)는 안정성 크래들(706)이 안정성 크래들(7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7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7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 내에서 기부(7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7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7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 내에서 기부(7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7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7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7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7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705) 내에서 기부(7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7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7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7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7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7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7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7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7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7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8은 안창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8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8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802)를 포함한다. 기부(8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819)를 형성한다.
기부(8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을 형성한다. 기부(8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832)를 형성한다. 리브(8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806)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8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8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은 기부(8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8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8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8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8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8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8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8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8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831)는 기부(802)의 상기 리브(8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802)는 리브(832)가 리브형 개구(831) 내로 돌출하여 리브(832)가 안정성 크래들(8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806)과 기부(8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832)는 또한 기부(8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8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8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831)는 안정성 크래들(806)이 안정성 크래들(8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8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8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 내에서 기부(8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8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8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8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8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 내에서 기부(8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8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8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8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8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805) 내에서 기부(8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8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8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8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9는 도 4 및 도 5에 식별된 바와 같은 안창의 중간부를 따른 9-9 단면도이다. 안창(9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901) 및 상기 상부 시트(9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902)를 포함한다. 기부(9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9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을 형성한다.
기부(9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바람직하게는, 기부(9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9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9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9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9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9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9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9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9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9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9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9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9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9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9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907) 및 앞발 패드(9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9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은 기부(9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9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9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9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9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9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9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 내에서 기부(9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9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9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9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9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9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9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9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9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9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 내에서 기부(9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9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9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9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9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9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안정성 크래들(9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9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9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9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9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9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9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905) 내에서 기부(9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9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9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9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한다.
안정성 크래들(9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외측 뒤꿈치 포드(9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9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외측 뒤꿈치 포드(9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9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9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9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9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9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9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9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9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9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9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9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9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9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9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9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906) 및 앞발 패드(9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앞발 패드(920), 외측 중간발 포드(921), 외측 뒤꿈치 포드(9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9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9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9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9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9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9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9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9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9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도 10은 도 4 및 도 5에 식별된 바와 같은 10-10 단면도이다. 안창(10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001) 및 상기 상부 시트(10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002)를 포함한다. 기부(10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05)은 기부(10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005)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0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0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0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0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0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0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0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0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10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방향 아치 지지부(10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도 11은 도 4 및 도 5에 식별된 바와 같은 11-11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1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101) 및 상기 상부 시트(11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102)를 포함한다. 기부(11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105)은 기부(11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1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1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1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1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106)은 발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부(1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1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11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1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131)는 기부(1102)의 상기 리브(11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102)는 리브(1132)가 리브형 개구(11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132)가 안정성 크래들(11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06)과 기부(11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132)는 또한 기부(11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1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1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131)는 안정성 크래들(1106)이 안정성 크래들(11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1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1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1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1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11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1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1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1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12는 도 4 및 도 5에 식별된 바와 같은 12-12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2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201) 및 상기 상부 시트(12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202)를 포함한다. 기부(12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205)은 기부(12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2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2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2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2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206)은 발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부(1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2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12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2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2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2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2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205) 내에서 기부(12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2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2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2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2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2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2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2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2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205) 내에서 기부(12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2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2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2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2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안창의 저면도 위에 중첩된 발의 뼈를 도시하고 있다. 발의 뒤꿈치에는 종골(1370)이 있고, 종골(1370)의 전방에는 거골(1372)이 있다. 내측면 상의 거골(1372)의 전방에는 주상골(1374)이 있고, 외측면에는 입방골(1376)이 있다. 입방골(1376) 및 주상골(1374)의 전방에는 설상골(1378)이 있다. 설상골(1378) 및 입방골(1376)의 전방에는 중족골(1380A 내지 1380E)이 있다. 1번 중족골(1380A)이 발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5번 중족골(1380E)이 발의 외측면에 위치된다. 중족골(1380A 내지 1380E)의 전방에는 근위측 지절골(1382)이 있다. 근위측 지절골(1382)의 전방에는 중간 지절골(1384)이 있고, 각각의 발가락의 단부에는 원위측 지절골(1386)이 있다.
도 14는 안창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고(도 5와 유사함), 안창의 다양한 영역: 원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5), 외측 중간발 영역(1466),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 내측 뒤꿈치 영역(1468), 외측 뒤꿈치 영역(1469), 앞발 영역(1493), 발가락 영역(1491), 중족골두 영역(1492), 중간발 영역(1494), 및 뒤꿈치 영역(1495)을 도시하고 있다.
앞발 영역(1493)은 발가락 단부로부터 중족골두 또는 발의 "볼"의 후방까지 안창의 전체 폭을 포위하는, 발가락 영역(1491) 및 중족골두 영역(1492)을 포함한다. 발가락 영역(1491)은 발가락 단부로부터 일반적으로 1번 원위측 지절골 및 2번 및 3번 중간 지절골 및 4번 및 5번 원위측 지절골의 후방으로 그리고 중족골두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대각선 에지로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다. 발가락 영역(1491)은 내측 경계로부터 외측 경계로 연장하는 폭을 갖는다. 1번 중족골두 영역(1403) 및 소중족골두 영역(lesser metatarsal head area)(1404)을 포함하는 중족골두 영역(1492)은 발가락 영역(1491)의 대각선 에지에 인접한 전방 대각선 에지로부터 일반적으로 중족골두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 대각선 에지로 연장하는 길이를 갖는다. 중족골두 영역(1492)은 내측 경계로부터 외측 경계로 연장하는 폭을 갖는다.
중간발 영역(1494)은 원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5) 및 외측 중간발 영역(1466)을 포함한다. 중간발 영역(1494)은 앞발 영역(1493) 또는 중족골두 영역(1492)에 인접한 전방 에지 및 내측면에서 거골과 주상골 사이로부터 외측면에서 입방골의 바로 후방으로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후방 에지를 갖는다. 중간발 영역(1494)은 내측 경계로부터 외측 경계로 연장하는 폭을 갖는다.
원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5)은 1번 중족골두 바로 후방 및 중족골두 영역(1492)의 후방 대각선 에지에 인접한 전방 에지로부터 거골과 주상골 사이의 후방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5)의 폭은 내측 경계로부터 발의 중간부 부근으로 연장한다. 외측 중간발 영역(1466)은 중족골두 영역(1492)의 후방 대각선 에지로부터 입방골 바로 후방의 후방 에지로 연장한다. 외측 중간발 영역의 폭은 발의 중간부 부근으로부터 외측 경계로 연장한다.
뒤꿈치 영역(1495)은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 내측 뒤꿈치 영역(1468), 및 외측 뒤꿈치 영역(1469)을 포함한다. 뒤꿈치 영역(1495)은 중간발 영역(1494)의 후방 에지에 인접한 전방 에지를 갖고, 뒤꿈치 단부로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뒤꿈치 영역(1495)은 내측 경계로부터 외측 경계로 연장하는 폭을 갖는다.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은 거골과 주상골 사이 또는 뒤꿈치 영역(1495)의 전방 에지에 인접한 전방 에지로부터 뒤꿈치 단부와 거골 사이의 대략 중간에서 내측 경계를 따라 후방점으로 연장한다.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의 폭은 내측 경계로부터 대각선 외측 에지로 연장하고, 여기서 대각선 외측 에지는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안창폭의 대략 1/3로부터 뒤꿈치 영역(1495)의 전방 에지를 따라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의 후방점으로 연장한다.
외측 뒤꿈치 영역(1469)은 입방골 바로 후방 또는 뒤꿈치 영역(1495)의 전방 에지에 인접한 전방 에지로부터 뒤꿈치 단부로 연장한다. 외측 뒤꿈치 영역의 폭은 대각선 내측 에지로부터 외측 경계로 연장하고, 여기서 대각선 내측 에지는 외측 경계로부터 내측으로 안창폭의 대략 1/3로부터 뒤꿈치 영역(1495)의 전방 에지를 따라 뒤꿈치 단부의 바로 내측의 점으로 연장한다.
내측 뒤꿈치 영역(1468)은 뒤꿈치 영역(1495)의 전방 에지로부터 뒤꿈치 단부의 바로 내측의 내측 경계로 연장한다. 내측 뒤꿈치 영역(1468)의 폭은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의 외측 대각선 에지로부터 외측 뒤꿈치 영역(1469)의 내측 대각선 에지로 연장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467)은 바람직하게는 내측 반부에서 중족골두 영역(1492)의 전체 길이로 그리고 외측 반부에서 중족골두 영역(1492)의 전방 대각선 에지로부터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연장한다. 앞발 패드(146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467)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406)은 전체 중간발 영역(1494) 및 뒤꿈치 영역(1495)에 위치된다. 외측 반부에서 안정성 크래들(1406)의 부분은 중족골두 영역(1492) 내로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바로 후방으로 전방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402)의 리브(1432)는 리브 개구(1431)를 통해 연장하고, 원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5) 및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의 대부분에 위치된다. 대안 실시예에서, 리브 또는 돌기가 안정성 크래들(1406)에 의해 형성되고 안정성 크래들(14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원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5) 및 근위측 내측 아치 영역(1467)의 대부분에 위치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는 외측 중간발 영역(1466)의 1/3의 대략 중간에 위치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는 외측 중간발 영역(1466)의 본질적으로 전체 길이로 연장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14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는 내측 뒤꿈치 영역(1468)의 대부분에 위치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4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는 외측 뒤꿈치 영역(1469)의 대부분에 위치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4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고정된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트라이애슬론 레이싱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안창을 도시하고 있다. 도 15aa 및 도 15ab는 평면 및 저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복수의 안정성 리브를 갖는 파셋절단된 안정성 크래들, (2) 복수의 포드, (3) 앞발 패드, (4) 포드의 하부면 및 앞발 패드 상의 십자형 홈 패턴, 및 (5) 경옥 냉각 상부천을 구비하는 안창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은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앞발을 완충하고, (3) 신발 동작 및 전환 중에 안창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4) 달리기 및 크로스 트레이닝 운동 중에 뒤꿈치, 중간발, 아치 및 앞발에 향상된 완충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성취한다.
도 15aa은 상부 시트(1501) 및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도시하고 있는 안창(1500)의 평면도이다. 안창(1500)은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기부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고정된 상부 시트(15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4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1501)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일련의 공기 구멍이 상부 시트(1501) 및 기부를 통해 연장하여 안창(1500) 상하의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15ab는 안창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519)를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을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532)를 형성한다. 리브(15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1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5bg 내지 도 15bj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1557)을 갖는다.
앞발 패드(15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5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5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5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 및 앞발 패드(15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3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5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5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531)는 기부(1502)의 상기 리브(15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리브(1532)가 리브형 개구(15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532)가 안정성 크래들(15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과 기부(15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532)는 또한 기부(15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5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531)는 안정성 크래들(1506)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5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5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 내의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5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5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1) 내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 내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5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5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동역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5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5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5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5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 및 앞발 패드(15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1508)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1520), 외측 중간발 포드(1521), 외측 뒤꿈치 포드(15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5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1, 15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내에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신발 내에서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개방셀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5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5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기부면 및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천은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또한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측면,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1502)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1550)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1550)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15ba 내지 도 15bj은 안창의 평면도, 저면도, 내측면도, 외측면도, 후면도, 및 5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ba은 안창의 내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519)를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을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532)를 형성한다. 리브(15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1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531)는 기부(1502)의 상기 리브(15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리브(1532)가 리브형 개구(15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532)가 안정성 크래들(15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과 기부(15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532)는 또한 기부(15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5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531)는 안정성 크래들(1506)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5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5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15ab는 안창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519)를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을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532)를 형성한다. 리브(15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1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5bg 내지 도 15bj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1557)을 갖는다.
앞발 패드(15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5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5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5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 및 앞발 패드(15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5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5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531)는 기부(1502)의 상기 리브(15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리브(1532)가 리브형 개구(15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532)가 안정성 크래들(15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과 기부(15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532)는 또한 기부(15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5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531)는 안정성 크래들(1506)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5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5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 내의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5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1) 내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 내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516)에 사용되는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로서, 외측 뒤꿈치 포드(15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동안 사용되는 안창에 대해 약 20-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이나 다른 물품을 소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백팩킹 동안 사용되도록 설계된 안창에서 현저히 더 견고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약 20-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대한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트(15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특성을 갖는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촉진하기 위해 발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기 위해 채용된다. 또한,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중간발 포드 및/또는 외측 뒤꿈치 포드 또는 그 임의의 조합보다 더 연성인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5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5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5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5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 및 앞발 패드(15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1508)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1520), 외측 중간발 포드(1521), 외측 뒤꿈치 포드(15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5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1, 15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내에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신발 내에서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개방셀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5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5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기부면 및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천은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또한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측면,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1502)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1550)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1550)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15bc은 안창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15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519)를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을 형성한다.
기부(1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5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5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5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15aa은 상부 시트(1501) 및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도시하고 있는 안창의 평면도이다. 안창(1500)은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기부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고정된 상부 시트(15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5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1501)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일련의 공기 구멍이 상부 시트(1501) 및 기부를 통해 연장하여 안창(1500) 상하의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15be는 도 15bb에 식별된 바와 같은 안창의 중간부를 따른 15B-5 단면도이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15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을 형성한다.
기부(1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5bf 내지 도 15bj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5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15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5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5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5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 및 앞발 패드(15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5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5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5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5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5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5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5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5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5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 및 앞발 패드(15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앞발 패드(120), 외측 중간발 포드(121), 외측 뒤꿈치 포드(1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5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5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5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도 15bf은 안창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519)를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을 형성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532)를 형성한다. 리브(15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1506)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15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15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531)는 기부(1502)의 상기 리브(15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리브(1532)가 리브형 개구(15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532)가 안정성 크래들(15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과 기부(15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532)는 또한 기부(15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5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531)는 안정성 크래들(1506)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5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5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도 15bg은 도 15bb에 식별된 바와 같은 15B-7 단면도이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15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2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5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15bi 및 도 15bh은 각각 도 15bb에 식별된 바와 같은 15B-9 및 15B-8 단면도이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15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1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부(15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531)는 기부(1502)의 상기 리브(15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502)는 리브(1532)가 리브형 개구(15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532)가 안정성 크래들(15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과 기부(15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532)는 또한 기부(15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5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531)는 안정성 크래들(1506)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5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5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15bj은 도 15bb에 식별된 바와 같은 15B-10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5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 및 상기 상부 시트(15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502)를 포함한다. 기부(15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기부(15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5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5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15ca 내지 도 15ch은 안정성 크래들의 내측면도, 저면도, 외측면도, 후면도, 및 4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ca 내지 도 15ch은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내측면도, 저면도, 외측면도, 후면도, 및 4개의 단면도이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기부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5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5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5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531)는 기부 상의 리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리브는 또한 기부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5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브형 개구(1531)는 안정성 크래들(1506)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는 외측 중간발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는 외측 뒤꿈치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는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는 내측 뒤꿈치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도 15da 내지 도 15de는 안창 포드(1512, 1514, 1516)의 내측면도, 저면도, 외측면도,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da 내지 도 15de는 안창 포드(1512, 1514, 1516)의 내측면도, 저면도, 외측면도, 사시도 및 하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5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5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5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5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3) 내에서 기부(1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5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5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505) 내에서 기부(15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5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515) 내에서 기부(15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5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5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5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5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5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5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5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5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15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5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5ea 내지 도 15ed는 앞발 패드의 내측면도, 저면도, 단면도,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ea 내지 도 15ed는 앞발 패드(1508)의 내측면도, 저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앞발 패드(108)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1520), 외측 중간발 포드(1521), 외측 뒤꿈치 포드(15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5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각각의 포드 및 패드의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5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1, 15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5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캐비티 내에 안창을 고정하고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공기 순환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완충 및 탄력성 특성을 제공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5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501)로 안창의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까지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5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안창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를 포함한다. 기부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기부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기부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를 형성한다.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앞발 패드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기부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전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는 기부의 상기 리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는 리브가 리브형 개구 내로 돌출하여 리브가 안정성 크래들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과 기부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는 또한 기부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는 안정성 크래들이 안정성 크래들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5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 내의 기부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 내에서 기부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1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 내에서 기부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 및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 및 앞발 패드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 외측 중간발 포드, 외측 뒤꿈치 포드, 및 내측 뒤꿈치 포드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각각의 포드 및 패드의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캐비티 내에 안창을 고정하고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공기 순환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완충 및 탄력성 특성을 제공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로 안창의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까지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이어서 패드/포드에 그리고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고 또는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 제공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내부벽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15a 내지 도 15e에 도시된 치수 및 측정치는 본 명세서에 통합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수 및 측정치이다.
도 16a 내지 도 16d는 트라이애슬론 트레이닝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안창을 도시하고 있다. 도 16aa 내지 도 16aj은 안창의 평면도, 저면도, 내측면도, 외측면도, 후면도, 및 5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 복수의 안정성 리브를 갖는 파셋절단된 안정성 크래들, (2) 복수의 포드, (3) 앞발 패드, (4) 포드의 하부면 및 앞발 패드 상의 십자형 홈 패턴, 및 (5) 경옥 냉각 상부천을 구비하는 안창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본 발명은 (1) 발목 및 발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2) 뒤꿈치 밀기 및 착지 중에 뒤꿈치 및 앞발을 완충하고, (3) 신발 동작 및 전환 중에 안창 이동 또는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것을 돕고, (4) 달리기 및 크로스 트레이닝 운동 중에 뒤꿈치, 중간발, 아치 및 앞발에 향상된 완충 특징을 제공하기 위한 목표를 성취한다.
도 16aa은 상부 시트(1601) 및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도시하고 있는 안창(1600)의 평면도이다. 안창(1600)은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기부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고정된 상부 시트(16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4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1601)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4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일련의 공기 구멍이 상부 시트(1601) 및 기부를 통해 연장하여 안창(1600) 상하의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16ab는 안창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619)를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을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632)를 형성한다. 리브(16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1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6bg 내지 도 16b-10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1657)을 갖는다.
앞발 패드(16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6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6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6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 및 앞발 패드(16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6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6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6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631)는 기부(1602)의 상기 리브(16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리브(1632)가 리브형 개구(16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632)가 안정성 크래들(16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과 기부(16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632)는 또한 기부(16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6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6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631)는 안정성 크래들(1606)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6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6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 내의 기부(16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6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1) 내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 내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6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6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6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6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6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6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 및 앞발 패드(16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1608)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앞발 패드(1620), 외측 중간발 포드(1621), 외측 뒤꿈치 포드(16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6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1, 16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내에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신발 내에서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개방셀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6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6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기부면 및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천은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또한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측면,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1602)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1650)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1650)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16ba 내지 도 16bh은 안정성 크래들의 저면도, 내측면도, 외측면도, 후면도, 및 4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ba은 안창의 내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619)를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을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632)를 형성한다. 리브(16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1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6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631)는 기부(1602)의 상기 리브(16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리브(1632)가 리브형 개구(16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632)가 안정성 크래들(16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과 기부(16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632)는 또한 기부(16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6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6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631)는 안정성 크래들(1606)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6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6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16ab는 안창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619)를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을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632)를 형성한다. 리브(16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기부(1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6bg 내지 도 16b-10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1657)을 갖는다.
앞발 패드(16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6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6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6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 및 앞발 패드(1608)는 사용자의 발의 제1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6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6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6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631)는 기부(1602)의 상기 리브(16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리브(1632)가 리브형 개구(16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632)가 안정성 크래들(16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과 기부(16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632)는 또한 기부(16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6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6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631)는 안정성 크래들(1606)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6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6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 내의 기부(16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6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516)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1) 내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 내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616)에 사용되는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로서, 외측 뒤꿈치 포드(16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동안 사용되는 안창에 대해 약 20-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소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따라서,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백패킹 동안 사용되도록 설계된 안창에서 현저히 더 견고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로서, 약 20-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대한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트(16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특성을 갖는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촉진하기 위해 발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기 위해 채용된다. 또한,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중간발 포드 및/또는 외측 뒤꿈치 포드 또는 그 임의의 조합보다 더 연성인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6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6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6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동안, 1번 중족골은 자연적으로 하향 굴곡된다. 1번 중족골의 이러한 자연적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해지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과 무릎에 대한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608)의 내측 부분은 안정성 크래들(16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 및 앞발 패드(16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될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해, 발가락 들기 동안 엄지 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완충 특성을 갖는 발포체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를 포함하고, 이는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이다. 양호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대략 애스커 C 45-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1608)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형성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되는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발마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 ±3이다.
앞발 패드(1620), 외측 중간발 포드(1621), 외측 뒤꿈치 포드(16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저부 표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도록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에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런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는 더 적은 재료의 사용과 따라서 더 가벼운 안창을 가능하게 하면서 여전히 원하는 완충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6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1, 16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가지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돕고 신발 내에서 주위로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개방셀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6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6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도 있다. 몇몇 신발은 또한 신발의 내부 부분 상의 발 및/또는 안창을 위해 제공된 실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신발의 내측면, 전방 또는 후방을 따라 제공할 수도 있다. 기부(1602)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1650)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1650)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16bc은 안창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16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61)를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을 형성한다.
기부(1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6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6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6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16bd는 상부 시트(1601) 및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도시하고 있는 안창의 평면도이다. 안창(1600)은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으로 기부의 전체 상부면을 가로질러 고정된 상부 시트(160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6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부 시트(1601)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일련의 공기 구멍이 상부 시트(1601) 및 기부를 통해 연장하여 안창(1600) 상하의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16be는 도 16bb에 식별된 바와 같은 안창의 중간부를 따른 라인 16B-5의 단면도이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16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을 형성한다.
기부(1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도 16bf 내지 도 16b-10에서 가장 양호하게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6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1608)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1608)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1608)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1657)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 및 앞발 패드(1608)는 사용자의 발의 1번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도 11은 안창 상의 발 뼈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1608)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더 인성의 재료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발 안창의 이 부분을 위한 더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안창에 비해 35% 내지 65%만큼 안창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1607)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6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6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6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1608)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1608)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1608)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1608)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 및 앞발 패드(1608)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앞발 패드(1620), 외측 중간발 포드(1621), 외측 뒤꿈치 포드(16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6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1602)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1602)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1602)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패드/포드에 그리고 이어서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도 16bf은 안창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1619)를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을 형성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1632)를 형성한다. 리브(1632)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1606)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1606)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1602)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6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631)는 기부(1602)의 상기 리브(16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리브(1632)가 리브형 개구(16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632)가 안정성 크래들(16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과 기부(16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632)는 또한 기부(16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6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6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631)는 안정성 크래들(1606)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6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1607)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여지는 후방 정점을 갖는다.
도 16bg은 도 16bb에 식별된 바와 같은 단면 16B-7을 예시한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16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2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6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약간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 표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 측부를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본질적으로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와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애 상관하면서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 외부로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연장할 수 있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 표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16b-9 및 도 16bh은 도 16bb에 표시된 바와 같은 각각 단면 16B-9 및 16B-8을 예시한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16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1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기부(1602)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6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631)는 기부(1602)의 상기 리브(1632)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1602)는 리브(1632)가 리브형 개구(1631) 내로 돌출하여 리브(1632)가 안정성 크래들(1606)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과 기부(1602)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1632)는 또한 기부(1602)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6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1632)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1631)는 안정성 크래들(1606)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1606)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1612)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도 16b-10은 도 16bb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면 16B-10을 예시한다. 안창(1600)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 및 상기 상부 시트(1601)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1602)를 포함한다. 기부(1602)의 하부면은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기부(1602)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교환하는 것은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1601)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바람직하게는 2번 내지 4번 중족골두 아래에 놓인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1638)는 앞발 및 발의 중간에 부가의 안정성 및 완충을 제공한다.
도 16ca 내지 도 16ch은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내측 측면도, 저면도, 외측 측면도, 후면도 및 네 개의 단면도이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기부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1606)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1606)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163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1631)는 기부 상의 리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리브는 또한 기부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1631)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브형 개구(1631)는 안정성 크래들(1606)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는 외측 중간발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경직성의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는 외측 뒤꿈치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는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정점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는 내측 뒤꿈치 포드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도 16ca 내지 도 16ce는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의 저면도 및 측면도와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da 내지 도 16d-5는 안창 포드(1612, 1614, 1616)의 내측면, 하면, 외측면, 사시도 및 일 단면도를 도시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1611)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1606)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1614)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1600)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5)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3) 내에서 기부(1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1602)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1616)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1605) 내에서 기부(16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1602)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1615) 내에서 기부(102)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1602)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1606)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1606)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1614)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1616)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1616)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1614)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1614)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16)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1616)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1612)는 외측 뒤꿈치 포드(1614)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6da 내지 도 16dd는 앞발 패드의 저면도, 측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e-1 내지 도 16e-4는 앞발 패드(1608)의 내측 측면도, 저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앞발 패드(108)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1620), 외측 중간발 포드(1621), 외측 뒤꿈치 포드(1622), 및 내측 뒤꿈치 포드(1623)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각 포드 및 패드의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1620)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1, 1622)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1623)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신발 내에서 적소에 안창을 유지하는 것을 돕고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한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공기 순환을 가능하게하며 및/또는 상이한 완충 및 탄력성 특성을 제공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1602)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1601)로 안창의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까지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1601)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안창은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와 상기 상부 시트에 고정된 상부면 및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 기부를 포함한다. 기부는 또한 추가의 완충 및 지지를 발의 아치 영역에 제공하기 위해 안창의 내측면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아치 지지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의 상부면은 발의 중족골두 영역 아래에 놓인 상향 연장부 또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를 형성한다. 횡단형 아치 지지부의 상향 연장부는 횡단형 아치 지지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상부 시트의 부분을 상향 압박한다.
기부의 하부면은 앞발 영역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한다. 기부의 하부면은 또한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리브 또는 돌기를 형성한다. 리브는 바람직하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안정성 크래들에 의해 형성되고 아치 영역에서 안정성 크래들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돌기를 갖는다.
기부는 안창이 발의 자연적인 형상에 합치하는 힐컵을 갖도록 뒤꿈치를 감싸고 발의 측면들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융기된 에지를 갖는다. 융기된 에지의 높이는 안창의 내측면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고 더 두꺼우며, 안창의 외측면에서 더 낮고 더 얇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발의 근위 지절골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안창의 발가락 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근위측으로 시작한다.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외측부에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로 후방으로 그리고 내측부에서 1번 및 2번 중족골을 따라 대략 절반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은 1번 및 2번 중족골 사이에 놓인 후방 정점을 갖는다.
앞발 패드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그 내부에 고정된다. 앞발 패드는 내측 에지, 외측 에지, 근위측(후방) 에지 및 원위측(전방) 에지를 갖는다. 앞발 패드의 내측 에지는 상기 안창의 상기 내측 경계로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된 라인을 따라 연장한다. 근위측 에지는 상기 내측 에지로부터 상기 후방 정점으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3번 중족골두를 향해 측방향으로 그리고 원위측으로, 이어서 대략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를 따라 외측 에지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한다. 외측 에지는 상기 근위측 에지를 상기 앞발 패드의 상기 상부 에지에 연결한다. 사용시에, 앞발 패드 오목 영역(107) 및 앞발 패드(108)는 사용자의 발의 1번 중족골두 또는 내측볼을 제외하고는, 사용자의 발의 엄지발가락 및 발의 "볼" 아래에 놓인다.
접착제가 구성요소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앞발 패드는 수직 점프로부터 착지시에 완충 및 에너지 반환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발의 중족골두, 특히 1번 및 2번 중족골두를 위한 추진 패드 및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기부의 하부면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에 위치된다.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내측 경계에 근접한 내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외측 경계에 근접한 외측 에지로 그리고 앞발 오목 영역의 약간 근위측의 원위측 에지로부터 기부의 뒤꿈치 단부에 근접한 근위측 에지로 연장한다. 원위측 에지의 내측부는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하향 모션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안정성 크래들은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과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기부 지향면 및 신발 지향면을 갖는다. 기부 지향면은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된다.
안정성 크래들은 발을 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기부의 측면 및 후위부를 감싸는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0.5 mm 내지 3 mm 두께의 범위이고, 벽은 대략 3 mm 내지 약 0.5 mm 테이퍼진다. 안정성 크래들의 측면은 바람직하게는 더 높은 하중에 기인하여 발의 내측면 상에서 더 높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은 대략 쇼어 A 95의 경도를 갖는 나일론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강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안정성 크래들의 신발 지향면은 "파셋절단된" 표면 텍스처를 갖는다. 이 텍스처링된 파셋절단된 표면은 사용자의 발이 신발 내로 또는 외로 배치될 때 "적소에 체류"하는 안창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신발 및 러닝 기어를 다른 신발류로 교환하는 것 및 "전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는 트라이애슬론 이벤트 및 연습 세션 중에 매우 통상적인 관습이다. 이와 같이, 이들 파셋절단된 텍스처는 이들 전환 또는 교환 활동 중에 안창이 신발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이 특정 사용을 위한 이들 안창의 사용 및 성능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파셋절단된 디자인은 신발 캐비티 내에 위치될 때 안창의 내부 기능 지수를 상당히 증가시키고(비-파셋절단된 또는 평활한 안정성 크래들에 비교하여 50%만큼), 이에 의해 신발 캐비티로부터 안창의 이동 또는 진출을 방지한다.
안정성 크래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리브형 개구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브형 개구는 기부의 상기 리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는 리브가 리브형 개구 내로 돌출하여 리브가 안정성 크래들의 외부면과 대략 동일 높이가 되고 안정성 크래들과 기부를 함께 기계적으로 잠금하게 하도록 성형된다. 유리하게는, 리브는 또한 기부가 발의 아치에 부가의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도록 압축될 때(예를 들어,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리브형 개구를 통해 팽윤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는 대략 0.50 mm 내지 1.5 mm 외향으로 연장하고, 대략 4 mm의 폭을 갖는다. 리브형 개구는 안정성 크래들이 안정성 크래들의 나머지에 비교하여 아치 영역에서 더 가요성이 있게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안정성 크래들은 개구 대신에 하나 이상의 돌출 리브를 형성한다. 돌출 리브는 아치 영역을 따라 외향으로 연장한다. 돌출 리브는 설상골 주위에서 더 길고, 설상골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점진적으로 더 짧아, 포물선형 전체 형상을 생성한다. 돌출 리브는 대략 0.50 mm 외향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106)은 3번 내지 5번 중족골두 후방으로부터 입방골의 후방에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중간발의 외측 양태에 완충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중간발 포드를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50 애스커 C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부터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의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 내의 기부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안정성 크래들은 또한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의 대략 후방으로부터 뒤꿈치 단부를 향해 안정성 크래들의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을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외측 뒤꿈치 포드를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로부터 이격된 외측 뒤꿈치 에지로 안창의 외측 경계를 따라 연장하는 외측 에지를 갖는다. 외측 에지는 안창 뒤꿈치 단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뒤꿈치의 영역에서 만곡된다. 외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곡선형 에지를 또한 갖는다. 전체 구성은 직선보다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곡선형 에지를 갖는 대략 다면 기하학적 형상이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구성, 재료 및 위치는 완충을 제공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와 연계하여 동작하여 발목을 안정화한다.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포드와 본질적으로 동일한데, 이들은 외측 발목 롤오버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제휴하여 동작한다. 이 외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쇼어 C 45 내지 50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 내에서 기부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르면, 완충 코어 또는 기부가 비교적 안정성 크래들 및 다수의 탄성중합성 포드와 조합되어 완충, 안정성 및 제어를 제공하는 안창을 형성한다. 각각의 포드는 상이한 견고성을 가질 수 있고, 외측 중간발 포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외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3개의 포드가 존재한다. 포드는 포드의 크기, 형상, 및 재료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과내전/소내전, 과외전/소외전의 문제, 및 발 모션에 관련된 다른 문제점을 처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포드는 뒤꿈치 패드 영역에서 분리되고, 중간발 및 뒤꿈치 패드는 신발 내의 더 양호한 완충 및 트랙션 그립을 위해 이들의 하부면 상에 홈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안정성 크래들은 뒤꿈치 단부에 못미쳐서 기부의 하부면 상의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을 따라 뒤꿈치 영역을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와 본질적으로 동일하게 성형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에 상관하고 내측 뒤꿈치 포드가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위치에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 내에서 기부(102)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본질적으로 완두 꼬투리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원위측 및 제2 근위측 정점에서 서로 연결된 내측 에지 및 외측 에지를 갖는다. 에지는 서로 대향하여 확장되어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바람직하게는 약 60 애스커 C±3의 경도의 TPR 또는 PU로 제조된다. TPR이 사용되면, 직물은 이어서 상기 기부의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 내에서 기부에 고정된다. 직물 구성요소는 TPR이 기부에 적절하게 접착되게 한다.
지면과의 발 접촉은 일반적으로 3개의 단계: 뒤꿈치 닿기, 중간발 지지, 및 발가락 들기로 분할된다. 뒤꿈치 닿기 중에, 발의 뒤꿈치는 상당한 힘으로 지면에 충돌한다.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는 종골(뒤꿈치뼈)의 후위부 및 외측면을 따라 위치되고, 안정성 크래들의 아래로 외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뒤꿈치 포드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되고 의도된 유형의 활동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지면과 뒤꿈치의 초기 충돌 후에, 발은 비틀리거나, 내전하여, 뒤꿈치의 내측면을 지면과 접촉하게 한다. 발은 내전량 뿐만 아니라 내전이 발생하는 비율에 민감하다. 내전은 자연적이고, 소정 정도의 내전은 걷기 또는 달리기 중에 발 상의 응력 및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러나, 과도한 양 또는 비율의 내전은 상해를 야기할 수 있다.
안정성 크래들은 내전량을 제어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발의 내측부를 따라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내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와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를 형성함으로써 내전 비율을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내전 비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측 뒤꿈치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견고한 또는 더 경직성의 재료는 동일한 하중 하에서 더 연성 재료만큼 또는 연성 재료와 같은 속도로 압축하지 않는다. 따라서, 더 견고한 재료로부터 제조된 내측 뒤꿈치 포드는 더 연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뒤꿈치 포드보다 덜 압축할 것이다. 그 결과, 내측 뒤꿈치 포드는 내전을 저지하거나 대항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내전의 정도 및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역으로, 외측 뒤꿈치 포드보다 더 연성 재료로부터 내측 뒤꿈치 포드를 제조하는 것은 내전의 양 및 비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포드 내에 사용된 재료의 견고성은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 및 의도된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외측 뒤꿈치 포드 및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가볍거나 과하지 않은 정도의 활동 중에 사용될 안창에 대해 약 20 내지 30%만큼 상이하다.
무거운 백팩 또는 다른 물품을 휴대하는 것은 뒤꿈치 닿기 중 및 후에 발 상의 하중 및 내전의 비율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내측 뒤꿈치 포드는 백팩킹 중에 사용을 위해 설계된 안창 내에 상당히 더 견고하게 제조된다. 예로서, 약 20 내지 40%의 견고성의 차이가 이러한 활동에 대해 더 적합하다.
외측 중간발 포드는 보행의 중간입각기부 중에 발의 외측면에 완충 및 제어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외측 중간발 포드는 외측 뒤꿈치 포드와 동일한 특성, 예를 들어 견고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중 밀도 뒤꿈치 포드의 사용은 발목 안정성을 증진하기 위해 발의 기능의 운동학적 변화를 유발하도록 채용된다. 상이한 관절 모멘트 또는 발목 롤을 다루기 위해 외측 뒤꿈치 포드 및/또는 내측 중간발 포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보다 연성의 내측 뒤꿈치 포드를 갖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보행의 추진 또는 발가락 들기 단계의 시작시에, 뒤꿈치는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체중이 발의 볼로 전이한다. 앞발 패드는 발의 이 부분 아래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패드는 압축하는 앞발 패드 내로 투입된 에너지가 발가락 들기시에 발을 추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반환되도록 비교적 탄성 재료로 형성된다.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이 자연적으로 하향으로 굴곡한다. 1번 중족골의 이 자연적인 하향 굴곡을 방지하는 것은 발의 아치가 평탄화되게 하고 발이 과내전하게 하여, 발목 및 무릎 상의 응력을 증가시킨다. 하향 굴곡을 수용하기 위해, 앞발 패드의 내측부는 안정성 크래들의 원위측 에지의 대응 오목형 에지부 내로 후방으로 연장한다. 안정성 크래들 및 앞발 패드의 형상은 1번 중족골이 더 자연적으로 굴곡하게 하고, 이에 의해 발가락 들기 중에 엄지발가락의 하중을 조장한다.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발포체 또는 적합한 완충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는 에틸렌과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발포체, 또는 열가소성 고무("TPR")/EVA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EVA 또는 TPR/EVA 혼합물은 약 애스커 C 45 내지 50의 듀로미터(경도)를 갖는다.
앞발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고무("TPR")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부터 제조된다. 앞발 패드에 사용된 TPR 또는 PU의 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30 애스커 C±3이다.
앞발 패드, 외측 중간발 포드, 외측 뒤꿈치 포드, 및 내측 뒤꿈치 포드는 포드 또는 패드의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구성된다. 십자형 홈 패턴은 포드/패드 표면 내로 공기 간극을 도입한다. 이러한 공기 간극 및 십자형 홈 패턴은 각각의 포드 및 패드의 충격 흡수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또한 적은 재료 및 따라서 원하는 완충 기능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더 경량의 안창의 사용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앞발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0.75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중간발 및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3.0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뒤꿈치 십자형 홈 패턴은 대략 1.00 내지 2.50 mm 깊이이다. 바람직하게는, TPR 포드는 더 깊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고, PU 포드는 재료의 압축 특성에 기인하여 더 얕은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다. 십자형 홈 패턴은 신발 캐비티 내에 안창을 고정하고 안창을 적소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여, 안창이 이동하거나 슬라이딩하지 않게 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은 또한 공기 순환을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상이한 완충 및 탄력성 특성을 제공한다.
남성용 사이즈 11 내지 12 안창에 있어서,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까지의 앞발 패드의 폭은 약 85 내지 95 mm이다. 높이는 약 100 내지 110 mm이다. 깊이는 약 0.95 내지 1.50 mm이다.
안창의 구조적 특징부와 함께 동작하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안창의 총 중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바람직한 실시예(남성용 사이즈 10/11)의 총 중량은 약 4.0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창의 대안 실시예의 총 중량은 남성용 사이즈 10/11에 대해 약 5.0 내지 6.0 온스이고, 남성용 사이즈 12/13에 대해 약 6.5 내지 7.5 온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가 비례할 것이다. 십자형 홈 패턴 디자인을 사용하는 것은 더 경량의 안창을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부는 바람직하게는 물집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부직포 직물층인 상부 시트로 안창의 발가락 영역으로부터 뒤꿈치 영역까지 커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시트는 자연적인 소스로부터 얻어진 특정의 저온 옥을 함유하는 냉각 직물로 제조된다. 직물 내의 옥의 형태는 경옥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물은 습기 배리어와 조합하여 세균 및 진균을 유발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항균제로 처리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부면 상의 기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 영역에서 기부에 고정된 안창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기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구성요소는 또한 안창 성형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성형 프로세스 중에 고정된다.
오목 영역은 또한 기부면 및 패드/포드면을 갖는 천으로 라이닝되고, 상기 기부면을 따라 상기 기부에 그리고 상기 패드/포드면을 따라 상기 패드/포드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천은 이어서 패드/포드에 그리고 오목 영역에 고정된 복합 구조체에 고정된다.
몇몇 신발은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서 사이즈가 약간 상이할 수 있거나 신발의 내부 부분 상에 제공된 공간을 변경하는 가외의 패딩을 내부 벽을 따라 제공할 수 있다. 기부는 신발 내의 적절한 맞춤을 위해 사용자가 안창의 길이를 단축시키게 하는 사이징 가이드를 가질 수도 있는데, 사이징 가이드는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가위로 절단하게 될 다양한 절단 가이드 라인을 제공한다.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치수 및 측정치는 본 명세서에 통합된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수 및 측정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교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그 변형이 안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이며, 제한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형 및 변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31)

  1.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기 위한 상부면 및 사용자의 신발의 내부에 접촉하기 위한 하부면을 갖는 신발에 사용하기 위한 안창이며,
    a. 기부로서, 상기 기부는 기부 상부면 및 기부 하부면을 갖고, 상기 기부는 뒤꿈치 단부, 발가락 단부,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를 갖고, 상기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안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따라 상기 발가락 단부로 각각 연장하고, 상기 기부 하부면은
    (i) 상기 발가락 단부로부터 발의 중족골두 영역 후방의 위치로 연장하는 앞발 영역,
    (ii) 상기 중족골두 영역으로부터 발의 종골의 전방에 놓인 에지로 연장하는 중간발 영역,
    (iii) 상기 중간발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꿈치 단부로 연장하는 뒤꿈치 영역,
    (iv) 상기 앞발 영역에 위치되고, 1번 중족골두의 전방에 근위측의 기부의 원위 단부 부근으로부터 발의 엄지발가락 아래로 연장하는 앞발 패드 오목 영역, 및
    (v) 발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본질적으로 따라 위치된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을 형성하는, 기부와,
    b. 상기 중간발 영역에 위치된 아치 지지부로서, 상기 아치 지지부는 상기 내측 경계를 따라 그리고 발의 아치 아래로 횡단형으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아치 지지부와,
    c. 반강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기부 하부면의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된 안정성 크래들로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포드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복수의 포드 개구를 갖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파셋절단된 하부면을 갖는, 안정성 크래들과,
    d. 상기 앞발 패드 오목 영역에 고정된 앞발 패드로서, 상기 앞발 패드는 발의 소중족골두 아래에서 대중족골두 아래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앞발 패드와,
    e. 상기 안정성 크래들 내의 측방향 발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외측 뒤꿈치 포드로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는 그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외측 뒤꿈치 포드와,
    f.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로서,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는 홈 간극에 의해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는 그 하부면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내측 뒤꿈치 포드를 포함하는 안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의 내측면 아래에 배치된 포드는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재료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45 내지 50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대략 쇼어 C 60인 안창.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50 내지 55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약 쇼어 C 65 내지 70의 범위인 안창.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내전의 비율을 제어하도록 선택되는 안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상기 안창이 설계되는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안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굴곡을 가능하게 하도록 성형되는 안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창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중간발 영역에 위치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는 그 하부면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안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내전의 비율을 제어하도록 선택되는 안창.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상기 안창이 설계되는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안창.
  11. 사용자의 발에 접촉하기 위한 상부면 및 사용자의 신발의 내부에 접촉하기 위한 하부면을 갖는 신발에 사용하기 위한 안창이며,
    a. 기부로서, 상기 기부는 기부 상부면 및 기부 하부면을 갖고, 상기 기부는 뒤꿈치 단부, 발가락 단부,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를 갖고, 상기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는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안창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따라 상기 발가락 단부로 각각 연장하는, 기부와,
    b. 상기 내측 경계를 따라 그리고 발의 아치 아래로 횡단형으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아치 지지부와,
    c. 안정성 리브를 갖고 반강성 재료로 제조된 안정성 크래들로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포드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포드 개구를 갖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파셋절단된 하부면을 갖는, 안정성 크래들과,
    d.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에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 내의 외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 뒤꿈치 포드로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구성요소는 그 하부면 상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외측 뒤꿈치 포드와,
    e.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에서 내측 뒤꿈치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내측 뒤꿈치 포드로서,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는 간극에 의해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 구성요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는 그 하부면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내측 뒤꿈치 포드와,
    f. 상기 안창의 외측면을 따라 중간발 영역에 위치되고 외측 중간발 포드 개구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 중간발 포드로서,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는 그 하부면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외측 중간발 포드를 포함하는 안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의 내측면 아래에 배치된 포드는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재료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45 내지 50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대략 쇼어 C 60인 안창.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50 내지 55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약 쇼어 C 65 내지 70의 범위인 안창.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내전의 비율을 제어하도록 선택되는 안창.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상기 안창이 설계되는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안창.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굴곡을 가능하게 하도록 성형되는 안창.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는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에 사용된 재료보다 연성의 재료로 제조되는 안창.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45 내지 50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대략 쇼어 C 60인 안창.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50 내지 55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약 쇼어 C 65 내지 70의 범위인 안창.
  21. 신발 내의 발의 모션을 제어하기 위한 쿠션의 제조 방법이며,
    기부 상부면 및 기부 하부면을 갖는 기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부는 뒤꿈치 단부, 발가락 단부, 내측 경계 및 외측 경계를 갖고, 상기 경계들은 상기 뒤꿈치 단부로부터 상기 발가락 단부로 각각 연장하고, 상기 기부 하부면은
    (a) 상기 발가락 단부로부터 발의 중족골두 영역 후방의 위치로 연장하는 앞발 영역,
    (b) 상기 중족골두 영역으로부터 발의 종골의 전방에 놓인 에지로 연장하는 중간발 영역, 및
    (c) 상기 중간발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꿈치 단부로 연장하는 뒤꿈치 영역을 형성하는, 기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부에 안정성 크래들을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반강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상기 기부 하부면의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 오목 영역은 본질적으로 발의 중간발 영역 및 뒤꿈치 영역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포드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연장하게 하는 포드 개구를 갖고,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파셋절단된 표면을 갖는, 기부에 안정성 크래들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기부에 아치 지지부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아치 지지부는 상기 내측 경계를 따라 그리고 발의 아치 아래로 횡단형으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기부에 아치 지지부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기부에 앞발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앞발 패드는 발의 소중족골두 아래에서 대중족골두 아래로 측방향으로 그리고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기부에 앞발 패드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안정성 크래들 내의 포드 개구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협동 포드 구성요소를 연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포드 구성요소는 상기 뒤꿈치 영역의 외측면에 위치된 외측 뒤꿈치 포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뒤꿈치 영역의 내측면에 위치된 내측 뒤꿈치 포드, 및 상기 안창의 중간발 영역의 외측면에 위치된 외측 중간발 포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드 구성요소는 그 하부면에 십자형 홈 패턴을 갖는, 포드 구성요소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쿠션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는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재료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쿠션의 제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45 내지 50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대략 쇼어 C 60인 쿠션의 제조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50 내지 55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약 쇼어 C 65 내지 70의 범위인 쿠션의 제조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는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의 재료보다 더 견고한 재료로 제조되는 쿠션의 제조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45 내지 50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대략 쇼어 C 60인 쿠션의 제조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중간발 포드의 견고성은 쇼어 C 50 내지 55의 범위이고, 상기 내측 뒤꿈치 포드의 견고성은 약 쇼어 C 65 내지 70의 범위인 쿠션의 제조 방법.
  28. 제22항 및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내전의 비율을 제어하도록 선택되는 쿠션의 제조 방법.
  29. 제22항 및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의 견고성은 상기 안창이 설계되는 활동의 유형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쿠션의 제조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성 크래들은 발가락 들기 중에 1번 중족골의 굴곡을 가능하게 하도록 성형되는 쿠션의 제조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EVA 발포체 재료를 포함하는 쿠션의 제조 방법.
KR1020167009668A 2013-09-16 2014-09-11 트라이애슬론 안창 KR20160058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78544P 2013-09-16 2013-09-16
US61/878,544 2013-09-16
PCT/US2014/055133 WO2015038737A1 (en) 2013-09-16 2014-09-11 Triathlon ins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141A true KR20160058141A (ko) 2016-05-24

Family

ID=52666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668A KR20160058141A (ko) 2013-09-16 2014-09-11 트라이애슬론 안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219970A1 (ko)
EP (1) EP3046437A4 (ko)
JP (1) JP2016530042A (ko)
KR (1) KR20160058141A (ko)
CN (1) CN105722421A (ko)
SG (1) SG11201601996WA (ko)
TW (1) TW201517823A (ko)
WO (1) WO20150387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32B1 (ko) * 2018-03-21 2019-07-02 문광섭 조립형 인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6895A1 (en) * 2013-12-19 2016-10-06 Air & Grace Limited Footwear
US9693604B2 (en) * 2014-05-30 2017-07-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inner and outer midsole layers
US11344083B2 (en) * 2014-10-31 2022-05-31 Rsprint N.V. Insole design
JP5858450B1 (ja) * 2015-02-12 2016-02-10 山本 秀二 靴中敷き
EP3302151A4 (en) * 2015-05-28 2019-01-23 Implus Footcare, LLC SHOE INSOLE
KR20180004178A (ko) 2015-05-28 2018-01-10 임플러스 풋케어 엘엘씨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EP3302148A4 (en) * 2015-05-28 2019-01-23 Implus Footcare, LLC CONTOURED SUPPORT SCHOOL SOLE
JP2018515172A (ja) * 2015-05-28 2018-06-14 インプラス フットケア、エルエルシー 靴中敷
EP3302149A4 (en) * 2015-05-28 2019-01-23 Implus Footcare, LLC INNER SOLE SHOE WITH PROFILE SUPPORT
USD814750S1 (en) 2015-09-25 2018-04-10 Fourfoot, Llc Sandal
ES2742886B2 (es) * 2017-07-27 2020-12-02 Calzados Robusta S L Plantilla para calzado
CN108125316B (zh) * 2017-12-13 2019-11-29 特步(中国)有限公司 一种稳定支撑鞋底及其制作工艺
US11064766B2 (en) * 2018-11-18 2021-07-20 Tk In So Les Ltd. Insole with customizable resilient forefoot sections and/or subsections
US10856616B2 (en) * 2019-02-01 2020-12-08 Superfeet Worldwide, Inc. Dynamic insoles
USD903268S1 (en) 2019-02-06 2020-12-01 S. C. Johnson & Son, Inc. Insole
USD906658S1 (en) 2019-02-19 2021-01-05 S. C. Johnson & Son, Inc. Inso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5910A (en) * 1982-03-12 1984-03-13 Michel Marc Shoe insole
US4571857A (en) * 1984-05-07 1986-02-25 Rigoberto Castellanos Plastic foot support with reinforcing struts
US7107705B2 (en) * 2002-12-23 2006-09-19 Spenco Medical Corporation Insole with improved cushioning and anatomical centering device
JPH0739507U (ja) * 1993-12-28 1995-07-18 昭和ゴム株式会社 靴の中敷
US6481120B1 (en) * 2000-07-31 2002-11-19 Schering-Plough Healthcare Products, Inc. Full length insole for arthritic and/or diabetic people
US20040194344A1 (en) * 2003-04-05 2004-10-07 Tadin Anthony G. User-customizable insoles for footwear and method of customizing insoles
US6976322B1 (en) * 2003-10-31 2005-12-20 Superfeet Worldwide Lp Molded orthotic insert
US7484319B2 (en) * 2005-08-12 2009-02-03 Spenco Medical Corporation Shoe insole
US20070039205A1 (en) * 2005-08-22 2007-02-22 Fila Luxembourg S.A.R.L.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kit of footwear components used to provide customized footwear to a consumer
KR20080066981A (ko) * 2005-11-02 2008-07-17 스펜코 메디칼 코포레이션 신발 깔창
US8453346B2 (en) * 2007-08-24 2013-06-04 Orthosole Limited, A Guernsey Limited Company Orthotic foot device with removable support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691030C (en) * 2007-09-14 2016-08-16 Spenco Medical Corporation Triple density gel insole
CN101558922A (zh) * 2009-04-28 2009-10-21 杨孟龙 呼吸式鞋垫
NL2005226C2 (en) * 2010-08-13 2012-02-14 Sara Lee De Nv Insole pad for footwear.
US20120090201A1 (en) * 2010-09-20 2012-04-19 G-Form, LLC Vibration dampening and pressure relieving innersole for cycling shoe
US20130160331A1 (en) * 2011-12-23 2013-06-27 Park Global Footwear Inc. Shoe Insole or Midsole with a Tri-Dome Configuration for Foot Rehabilitation
JP2015526251A (ja) * 2012-08-31 2015-09-10 スペンコ メディカ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バスケットボール・インソ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32B1 (ko) * 2018-03-21 2019-07-02 문광섭 조립형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6437A4 (en) 2016-10-19
CN105722421A (zh) 2016-06-29
SG11201601996WA (en) 2016-04-28
US20160219970A1 (en) 2016-08-04
EP3046437A1 (en) 2016-07-27
TW201517823A (zh) 2015-05-16
JP2016530042A (ja) 2016-09-29
WO2015038737A1 (en)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8141A (ko) 트라이애슬론 안창
US10136698B2 (en) Shoe insole
US10485299B2 (en) Contoured support shoe insole
US9788602B2 (en) Basketball insole
US7484319B2 (en) Shoe insole
KR2018000417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US20180070670A1 (en) Shoe Insole
KR20180004126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KR20180003568A (ko) 윤곽 형성된 지지 신발 안창
JP2009514599A (ja) 靴の中敷
TW201715979A (zh) 具有緩衝墊與波狀支撐件之拖鞋及其製造方法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MX2008002075A (en) Shoe in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