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432B1 -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432B1
KR101463432B1 KR1020110145038A KR20110145038A KR101463432B1 KR 101463432 B1 KR101463432 B1 KR 101463432B1 KR 1020110145038 A KR1020110145038 A KR 1020110145038A KR 20110145038 A KR20110145038 A KR 20110145038A KR 101463432 B1 KR101463432 B1 KR 10146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reactor
holder
monitoring
specime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447A (ko
Inventor
차요섭
정순홍
김현봉
김용규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4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3Remote inspection of vessels, e.g. pressure vesse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20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bjects into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handling objec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Arrangements for removing objects from the pressure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시편함이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를 원자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편함 홀더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고, 상기 시편함을 상기 바디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시편함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감시 시편함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긴 원자로의 검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에 설치되는 카메라, 가이드부 등에 의하여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감시 감시 시편함을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POSITIONING APPRATUS FOR SURVEILLANCE CAPSULE ASSEMBLY AND METHOD OF POSITIONING SURVEILLANCE CAPSULE ASSEMBLY}
본 발명은 원자로에 삽입되는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가동 중에 원자로 내부에는 감시 시편함이 삽입되고, 핵연료 교체 주기 시에 원자로에서 인출하여 중성자로 인한 영향을 검사한다.
상기 감시 시편함은 원자로와 동일한 재질의 시편으로서, 원자로와 동일한 환경에 노출되고, 상기 감시 시편함의 기계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한다. 중성자의 조사로 인한 원자로 압력용기의 취화 정도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각종 시편과 온도 감시자 및 중성자속 감시자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종래에는 원자로의 가동기간 중 감시 시편함을 인출 및 제거한 후 추가적인 재삽입이 불필요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설계수명이 증가된 원자로가 제작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신 노형인 APR1400 원자로의 경우 설계 수명이 기존 OPR1000의 40년에서 약 60년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수명이 길어진 원자로 압력용기의 기계적 특성을 지속적으로 감시, 측정하기 위해 감시 시편함의 추가삽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 기술 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46254호
삭제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원자로 내부의 기 설정된 위치에 감시 시편함을 삽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시편함 삽입장치는 바디부, 이송부 및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시편함이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를 원자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편함 홀더로 이송시킨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고, 상기 감시 시편함을 상기 바디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과 연통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는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원자로 내부의 이동경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는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는 카메라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는 상기 바디부에 상기 카메라 와이어를 수납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는 상기 카메라 와이어 및 상기 바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가 안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밴드 안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시편함 홀더의 외주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는 상기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돌출되고, 상기 시편함 홀더가 부착되는 원자로의 내벽과 상기 시편함 홀더 사이에 삽입되어, 시편함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시편함 삽입방법은 감시 시편함을 인출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감시 시편함과 상기 인출장치를 삽입장치에 수납하는 단계, 원자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편함 홀더로 상기 삽입장치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감시 시편함에서 상기 인출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장치와 상기 삽입장치를 상기 원자로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감시 시편함을 상기 시편함 홀더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시편함에 장착된 래치를 펼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감시 시편함을 원자로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내 감시 시편함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므로, 수명이 긴 원자로의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삽입장치의 평면도.
도 2a는 도 1의 컨텍터의 확대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컨텍터를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삽입장치를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감시 시편함의 삽입과정을 설명하게 위한 평면도.
도 5은 감시 시편함이 장착되는 위치를 표시한 원자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원자로를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삽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삽입장치(1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공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장치(100)는 컨텍터(110), 제1 튜브(120), 제2 튜브(130), 연결부(150) 및 이송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텍터(110), 제1 튜브(120), 제2 튜브(130), 연결부(150) 및 이송부(140)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연결되며, 서로 연통되는 중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튜브(120, 130)의 중공은 인출장치(200, 도4a 참조)에 장착된 감시 시편함(300, 도4a 참조)이 수납 및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튜브(120)는 시편함 홀더(301)의 상단으로부터 원자로 내부에 설치되는 노심지지배럴(CSB : CoreSupport Barrel) 상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노심지지배럴은 원자로 내부에 고정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감시 시편함(300, 도4a참조)은 상기 시편함 홀더에 수납된다.
상기 제2 튜브(130)은 상기 제1 튜브(120)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장치(100)의 전체 길이를 결정한다. 상기 제2 튜브(130)는 원자로 내부에서 상기 삽입장치(10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제2 튜브(130)는 상기 이송부(140)으로 상기 삽입장치(100)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튜브(120, 130)는 상기 연결부(150)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50)는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튜브(120, 130)를 분리하여 형성하고, 연결하므로 인하여, 부피가 큰 삽입장치의 제작 및 보관이 용이하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컨텍터(110)는 상기 제1 튜브(120)에 연결된다. 상기 컨텍터(110)는 본체(111), 가이드부(112) 및 카메라(1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1)는 상기 제1 및 제2 튜브와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본체(111) 내부의 중공은 상기 삽입장치(100)의 단부를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11)의 일단부에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14)로 상기 인출장치(200, 도 4a 참조)와 상기 시편함 홀더(301, 도4a 참조)에 장착된 상기 감시 시편함(300, 도4a 참조)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11)의 일단부의 외주는 상기 시편함 홀더(301, 도4a 참조)의 외주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본체(111)의 일단부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12)는 상기 시편함 홀더(301, 도4a 참조)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감시 시편함(300)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장치(100)를 고정시킨다.
상기 카메라(160)는 상기 본체(111)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160)는 초소형카메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장치(100)가 이송되는 위치를 촬영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장치(100)의 이송 시에 상기 감시 시편함(300, 도4a 참조)이 삽입되는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감시 시편함(300, 도4a 참조) 안착 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와이어(162)가 상기 카메라(160)와 연결되어 상기 삽입장치(100)를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카메라(160)가 장착되는 상기 컨텍터(11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이송부(140)까지 상기 삽입장치(100)의 일면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61)에 상기 카메라 와이어(162)가 수납된다.
상기 카메라 와이어(162)를 상기 컨텍터(110)에 고정하는 밴드(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113)는 상기 컨텍터(11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 중 카메라 와이어(162)가 상기 와이어 홈부(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카메라(160)와 카메라 와이어(162)가 끊어졌을 경우, 원자로 내부에서 분실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컨텍터(110)에 상기 밴드(113)가 장착되는 밴드 장착부(163)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 장착부(163)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 장착부(163)는 상기 컨텍터(110)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와, 상기 컨텍터(1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감시 시편함(300, 도4a 참조)이 상기 시편함 홀더에 안정적으로 수납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와이어(162)와 상기 밴드(113)를 포함하는 상기 삽입장치(100)의 외주는 상기 노심지지배럴 상단부의 홀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튜브(130)의 일단에는 이송부가 연결되어 상기 삽입장치(100)를 적절한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2 튜브(130)의 일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루프 형상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에 이송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원자로의 외부로부터 상기 삽입장치(100)를 이송 및 삽입하게 된다.
이하, 상기 시편함 삽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시편함(300, 도 4a 참조)를 상기 원자로 내부의 상기 시편함 홀더에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감시 시편함의 삽입과정을 설명하게 위한 평면도이다.
감시 시편함(300)은 인출장치(200)의 일단과 고정된다. 상기 인출장치(200)는 감시 시편함(300)을 상기 원자로에서 인출할 때, 인출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장치(200)는 상기 감시 시편함(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홀을 포함한다. 홀의 내면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시 시편함(300)의 외면은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장치(200)의 홀에 상기 감시 시편함(300)의 일부가 수납되면서 나사 결합한다. 상기 인출장치(200)의 일단에는 회전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원자로 외부에서 상기 회전부(201)를 회전시켜 인출장치(200)와 상기 감시 시편함(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장치(200)와 결합된 상기 감시 시편함(300)은 상기 삽입장치(100)의 내부에 안착된다. 상기 삽입장치(100)는 상기 감시 시편함(300)만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감시 시편함(300)이 상기 인출장치(20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삽입장치(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장치(100)의 이송부 및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상기 시편함 홀더(301)로 상기 삽입장치(100)가 이송된다. 상기 삽입장치(100)의 가이드부(112, 도2a 참조)는 상기 시편함 장착부 즉, 노심지지배럴(CSB: Core Support Barrel)과 상기 시편함 홀더(301)의 틈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장치(100)를 고정한다.
상기 시편함(300)은 양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래치(latch, 310)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310)가 펼쳐지면, 상기 시편함 홀더(301)에 형성되는 개구부(302)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래치(310)는 상기 감시 시편함(300)을 향하여 접혀있다. 따라서, 상기 감시 시편함(300)이 상기 시편함 홀더(301)에 걸리지 아니하고, 상기 시편함 홀더(301) 내부로 삽입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래치(310)가 접힌 상태로 상기 시편함 홀더(301)에 상기 감시 시편함(300)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302)보다 상기 래치(310)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시편함(300)과 고정되어 있는 상기 인출장치(200)가 회전하면, 상기 래치(310)는 상기 시편함(300)을 상부로 밀면서 펼쳐진다. 예를 들어, 상기 인출장치(200)가 6바퀴 돌면, 상기 래치(310)는 모두 펼쳐지게 된다.
상기 래치(310)가 펼쳐지면, 상기 시편함 홀더(301)의 개구부(302)로 상기 래치(310)가 돌출되어 상기 시편함 홀더(301)과 상기 감시 시편함(300)이 고정되게 된다.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장치(200)를 상기 감시 시편함(300)과 분리한다. 상기 인출장치(200)는 상기 삽입장치(100)로부터 인출하고, 상기 삽입장치(100)를 상기 원자로에서 인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노심지지배럴(CSB : Core Support Barrel) 및 상기 시편함 홀더가 제작되어 고정 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장치(100)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상기 감시 시편함(300)을 상기 시편함 홀더(3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작된 원자로에 감시 시편함을 인출, 삽입 할 수 있으므로, 수명이 긴 원자로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은 감시 시편함이 장착되는 위치를 표시한 원자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원자로를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원자로의 내벽에 상기 시편함 홀더(30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장치(100)와 상기 인출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원자로의 내부에 상기 감시 시편함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8)

  1. 감시 시편함이 수납 가능하도록 중공을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를 원자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편함 홀더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고, 상기 감시 시편함을 상기 바디부로부터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개구부; 및
    상기 바디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원자로 내부의 이동경로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는 카메라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에 상기 카메라 와이어를 수납하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와이어 및 상기 바디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가 안착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밴드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시편함 홀더의 외주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게 돌출되고, 상기 시편함 홀더가 부착되는 원자로의 내벽과 상기 시편함 홀더 사이에 삽입되어, 시편함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장치.
  7. 감시 시편함을 인출장치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감시 시편함과 상기 인출장치를 제1항에 기재되어 있는 시편함 삽입장치에 수납하는 단계;
    원자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시편함 홀더로 상기 삽입장치를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인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감시 시편함을 상기 시편함 홀더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감시 시편함에서 상기 인출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장치와 상기 삽입장치를 상기 원자로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감시 시편함을 상기 시편함 홀더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인출장치를 회전시켜 상기 시편함에 장착된 래치를 펼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편함 삽입 방법.
KR1020110145038A 2011-12-28 2011-12-28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KR10146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38A KR101463432B1 (ko) 2011-12-28 2011-12-28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038A KR101463432B1 (ko) 2011-12-28 2011-12-28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447A KR20130076447A (ko) 2013-07-08
KR101463432B1 true KR101463432B1 (ko) 2014-11-20

Family

ID=4899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038A KR101463432B1 (ko) 2011-12-28 2011-12-28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047A (en) 1978-02-17 1980-04-0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Irradiation surveillance specimen assembly
JPH04125496A (ja) * 1990-09-17 1992-04-24 Toshiba Corp 配管内監視装置
KR100197979B1 (ko) 1995-08-24 1999-06-15 이호림 관절형 원자로 용기 감시 시편함 인출공구
KR20000046254A (ko) * 1998-12-31 2000-07-25 김형국 원자로용 건조상태 조사시편 취급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6047A (en) 1978-02-17 1980-04-0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Irradiation surveillance specimen assembly
JPH04125496A (ja) * 1990-09-17 1992-04-24 Toshiba Corp 配管内監視装置
KR100197979B1 (ko) 1995-08-24 1999-06-15 이호림 관절형 원자로 용기 감시 시편함 인출공구
KR20000046254A (ko) * 1998-12-31 2000-07-25 김형국 원자로용 건조상태 조사시편 취급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447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4605B2 (en) Shim support guide jig for magnetic field generation apparatus, magnetic field generation apparatu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equipment each including shim support in which magnetic material shims are arranged and adjusted by employing shim support guide jig, and magnetic field adjustment method for magnetic field generation apparatus, as well as magnetic field adjustment method f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equipment
CN109642880B (zh) 用于样本的高压冷冻和x射线晶体衍射的模块化样本保持器
KR102503490B1 (ko) 방사선조사 표적 취급 장치
US9719813B2 (en) Connector mechanism for safely and quickly attaching and detaching a sensor
KR101463432B1 (ko) 감시 시편함 삽입장치 및 감시 시편함 삽입 방법
KR20070001821A (ko)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KR940010229B1 (ko) 재구성 가능한 연료집합체용 안내딤블계류형 체결관
EP2109113A2 (en) Detachable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component
US9857486B2 (en) Docking station
JP5726688B2 (ja) 破損燃料検査装置及び方法
JPH05180980A (ja) 核燃料棒の超音波検査方法と装置
KR20160132924A (ko) 원자로 내부구조물 센서 삽입물
KR101037212B1 (ko) 열중성자검출기의 성능 시험장치
JP5383635B2 (ja) 燃料ホルダ、燃料固定用カバー、燃料固定用カバーの使用方法、燃料ホルダの使用方法、及び燃料集合体の待機時間解消方法
JP2019163972A (ja) 使用済燃料の輸送及び/又は貯蔵に用いられる容器の伝熱試験装置
KR100709276B1 (ko) 사용후핵연료 집합체로부터 연료봉 인출을 위한 인덱스설치지그
JP2500354Y2 (ja) 機械式送出し・遠隔位置決め装置
KR100807317B1 (ko) 반도체 칩 패키지 테스트 트레이 및 반도체 칩 패키지 이송방법
KR100668908B1 (ko) 비파괴 방식 핵물질 측정용 수평구조 중성자 측정 장치 및그 운용 방법
KR100592559B1 (ko) 핵연료 조사시험용 원격 계장 리그 장치
JP6697818B2 (ja) 固定装置、試験片の製造装置、及び試験片の製造方法
KR100956968B1 (ko) 이중 타원형 캠을 이용한 사용후핵연료 그리퍼
KR100237135B1 (ko) 절첩이 가능한 원자로 감시시편함
US8869637B2 (en) Electric generator and method for inspecting an electric generator
KR100655575B1 (ko) 복수의 축소 연료봉 집합체를 구비한 조사시험용 원격계장리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