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71B1 -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71B1
KR100812871B1 KR1020060058583A KR20060058583A KR100812871B1 KR 100812871 B1 KR100812871 B1 KR 100812871B1 KR 1020060058583 A KR1020060058583 A KR 1020060058583A KR 20060058583 A KR20060058583 A KR 20060058583A KR 100812871 B1 KR100812871 B1 KR 10081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instrumentation guide
control rod
furnace
instru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821A (ko
Inventor
사토시 요네모토
시게유키 와타나베
마코토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1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02Details of handling arrange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원자로 용기 내에 복수 배설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부분에 복수의 리브 판(60)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고정하고,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원자로 용기 내에 배설되는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고정 부분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타이 플레이트(70)를 고정하고, 타이 플레이트(70)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연결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전체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REACTOR INSTRUMENTATION GUIDE TUBE SUPPOR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가 마련되는 원자로 용기의 요부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C 단면도,
도 5는 도 2의 D-D 화살표 방향 도면이며, 타이 플레이트 유닛의 외형도,
도 6은 도 2의 E-E 단면도,
도 7은 도 2의 D-D 화살표 방향 도면이며, 타이 플레이트, 노내 계장 안내관, 제어봉 안내관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가 설치되는 원자로 용기의 요부 개략도,
도 9는 도 8의 F부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가 설치되는 원자로 용기의 요부 개략도,
도 11은 도 10의 G부 상세도,
도 12는 도 10의 H-H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자로 용기 10, 80, 90 :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15 : 상부 덮개 20 : 노심 지지판
21 : 오목부 25 : 끼워맞춤부
30 : 제어봉 안내관 31 :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
35 : 제어봉 안내관용 볼트 40, 84, 95 : 노내 계장 안내관
41 : 계장 안내관 고정부 42, 85 : 외주면
43 : 하단부 44 :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
45 : 볼록부 50 : 노내 계장 안내관용 볼트
60, 86 : 리브 판 61 : 리브 판 하단부
70 : 타이 플레이트 71 : 계장 안내관 관통 구멍
72 :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 75 :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
87 : 발수 구멍 96 : 상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
97 : 하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 98 : 하단부
100 : 상부 타이 플레이트 101 :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
102 :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
105 : 상부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
106 : 상부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
110 : 하부 타이 플레이트 111 :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
112 :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
115 : 하부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
116 :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
120 : 결합 핀 130 : 노심 지지판 플랜지
135 : 부착 부재 136 : 부착 부재 끼워맞춤부
140 :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 141 : 타이 플레이트 지지 기둥
본 발명은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노내 계장 안내관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은, 비등수형 원자로 등의 운전중에 있어서의 중성자속을 계측할 수 있도록, 원자로 용기 내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노내 계장 안내관은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원자로 용기 내에 복수 라인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소정의 강성을 갖고 원자로 용기 내에 배설할 수 있도록, 복수 라인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비임(beam)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노내 계장 안내관을 굴곡 형상의 콜게이트(corrugate)부와 비임부가 교대로 형성된 편 지지 비임과, 편 지지 비임에 고정 가능한 클램프를 갖고 있다.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은 콜게이트부 내에 배설하고, 이 상태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타 넘도록 해서 클램프를 편 지지 비임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일체로 지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원자로 용기 내에 복수 라인이 배설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노내 계장 안내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87093 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노내 계장 안내관은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저면과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지만, 노내 계장 안내관에 따라서는,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부 덮개와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것도 있다. 원자로 용기 내의 이 부분에는 제어봉 안내관이 설치되기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의 배치 스페이스는 한정되어 있고, 노내 계장 안내관을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부 덮개와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치할 경우에는, 노내 계장 안내관을 가늘게 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노내 계장 안내관은, 진동에 대한 강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制振)을 도모할 수 있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와 내부에 노심 지지판을 갖는 원자로 용기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고정하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보강부와,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이 상기 노심 지지판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보다도 상기 상부 덮개쪽의 위치에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자로 용기 내에 설치되는 노내 계장 안내관을, 보강부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에 고정하고, 이 계장 안내관 고정부를 노심 지지판의 상부 덮개측의 면에 고정하는 것에 따라, 노내 계장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고정하는 부분 부근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보강부보다도 상부 덮개쪽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이 일체가 되므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 전체로서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 원자로 용기에 전해 졌을 경우라도, 그 진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와 내부에 노심 지지판을 갖는 원자로 용기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설되고, 또한 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고정하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의 형상인 통형상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길이가, 일체로 고정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의 50∼100%의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자로 용기 내에 마련되는 노내 계장 안내관을 보강부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에 고정하고, 이 계장 안내관 고정부를 노심 지지판의 상부 덮개측의 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보강부의 길이를 일체로 고정된 노내 계장 안내관과 계장 안내관 고정부의 전체 길이의 50∼100%의 범위 내로 하고 있기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의 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 원자로 용기에 전해 졌을 경우에도, 그 진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또한 상기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 사이에는 제어봉 안내관이 배설되어 있고, 제어봉 안내관은 상기 제어봉 안내관에 고정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 및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어봉 안내관 및 상기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보강부를 함께 제어봉 안내관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있으므로, 제어봉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노내 계장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으로 빼는 일이 없이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노심 지지판에 대한 상기 제어봉 안내관의 착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안내관 및 상기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가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에, 제어봉 안내관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가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어봉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보다 확실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기 보강부는 판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보강부를 관통하는 구멍인 보강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부에, 상기 보강부를 관통하는 보강부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원자로 용기 내의 물이 유동했을 경우에도, 보강부 관통 구멍 내를 물이 흐르도록 할 수 있고, 원자로 용기 내의 물의 유동에 기인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노심 지지판에는,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노심 지지판에 고정한 때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노심 지지판에 끼워맞춤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노내 계장 안내관을 계장 안내관 고정부에 의해 노심 지지판에 고정할 때에,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또한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결과,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와 내부에 노심 지지판을 갖는 원자로 용기 내에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원자로 용기에 고정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는 연결부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연결부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원자로 용기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이 일체로 된 상태에서 원자로 용기에 고정되므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 전체로서의 강성이 향상된 상태에서 원자로 용기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 등에 의한 진동이 원자로 용기에 전해 졌을 경우에도, 그 진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은 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의 형상인 통형상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했을 경우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를,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에서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 전체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또한 상기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는 제어봉 안내관이 배설되어 있고, 제어봉 안내관은 상기 제어봉 안내관에 고정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노심 지지판에 대한 상기 제어봉 안내관의 착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안내관 및 상기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가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결부에, 제어봉 안내관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가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원자로 용기 내에 제어봉 안내관이 배설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봉 안내관을 노심 지지판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보다 확실히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고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가 설치되는 원자로 용기의 요부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원자로 용기(1)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몸통(도시 생략)을 갖고 있고, 원통 몸통은 그 형상인 원통형의 축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 원통 몸통의 상부에는 내측이 공동이 되는 반원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 덮개(15)가 고정되어 있고, 위쪽이 볼록하게 되는 방향에서 원통 몸통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통 몸통의 하부에는 상부 덮개(15)와 마찬가지로 내측이 공동이 되는 반구 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 거울(도시 생략)이 고정되어 있고,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되는 방향으로 원통 몸통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자로 용기(1)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으로 되어 있고,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는 이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되는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는 노심 지지판(20)이 배설되어 있고, 이 노심 지지판(20)은 원자로 용기(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노심 지지판(20)에는 제어봉 안내관(30)과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각각 복수 고정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이다. 상기 제어봉 안내관(30)은 복수의 제어봉이 정리해서 구동되는 클러스터(cluster)형 제어봉(도시 생략)용의 안내관으로서 마련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제어봉 안내관(30)도 복수 설치된다. 그 형상은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원통형의 축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자로 용기(1) 내에 있어서의 상부 덮개(15)와 노심 지지판(20)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제어봉 안내관(30)에는, 상기 제어봉 안내관(30)에 있어서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단부, 즉 제어봉 안내관(30)의 하단에, 제어봉 안내관(30)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의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 되는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가 고정되어 있다.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는, 제어봉 안내관용 볼트(35)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를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봉 안내관(3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제어봉 안내관(30)은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원자로 용기(1) 내의 중성자를 측정하는 노내 중성자 계장(도시 생략)용의 안내관으로서 설치된다. 노내 중성자 계장은 원자로 용기(1) 내에 복수 마련되기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40)도 복수 설치된다. 그 형상은 제어봉 안내관(30)과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원통형의 축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자로 용기(1) 내에 있어서의 상부 덮개(15)와 노심 지지판(20)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C 단면도이다.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단부 부근, 즉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하단부(43) 부근에는 보강부인 리브 판(60)이 설치된다. 이 리브 판(60)은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외주면(42)에 접속되어 있고, 판의 두께 방향이,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형상인 원통형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원형의 접선 방향이 되고,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외주면(42)으로부터 상기 원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있다.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하단부(43) 부근의 외주면(42)에 접속되는 리브 판(60)은,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하단부(43)보다도 노심 지지판(20)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리브 판(60)은 하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동등한 형상으로 4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의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4개의 리브 판(60)은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상기 축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십자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 판(60)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단부인 리브 판 하단부(61)에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41)가 접속되어 있다. 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는 동등한 형상으로 4개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리브 판(60)에 대하여 하나의 계장 안내관 고정부(41)가 접속되어 있다. 각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는 대략 직방체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리브 판(60)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리브 판(60)의 두께보다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형상인 상기 원형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의 폭은 리브 판(60)의 같은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넓게 되어 있고, 리브 판(60)보다도 상기 원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브 판(60)은 이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쌍방에 접속되어 있고, 환언하면 리브 판(60)은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면에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있어서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 즉 노심 지지판(20)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45)는 대략 직방체의 형상으로 노심 지지판(2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체의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인 볼트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는 상기 볼트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는, 노내 계장 안내관용 볼트(50)를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의 볼트 구멍에 관통시켜서 노심 지지판(20)의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노심 지지판(20)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형성된 볼록부(45)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록부(45)와 거의 동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약간 볼록부(45)보다도 큰 형상으로 형성된 함몰인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한 때는, 볼록부(45)는 오목부(21)에 들어가고, 볼록부(45)와 오목부(21)는 끼워맞춤하고, 이 볼록부(45)와 오목부(21)는 끼워맞춤부(25)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내 계장 안내관용 볼트(50)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했을 경우에는, 볼록부(45)와 오목부(21)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25)가 끼워맞춤하여 고정되고, 또한 리브 판(60)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다. 즉,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노심 지지판(20)에 제어봉 안내관(30)과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쌍방이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리브 판(60) 및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는 제어봉 안내관(30)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제어봉 안내관(30)과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위치 관계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외주면(42)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리브 판(60)끼리의 사이에, 제어봉 안내관(30)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상부 덮개(15) 방향쪽의 위치, 상세하게는 리브 판(60)보다도 상부 덮개(15)쪽의 위치에는 타이 플레이트(tie plate) 고정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외주면(42)의 4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42)으로부터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형상인 원통형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4개소의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는 상기 원통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모두 같은 위치로 되어 있고, 원통형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4개의 리브 판(60)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상부 덮개(15) 방향으로부터 노심 지지판(20)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와 리브 판(60)은 중첩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에는, 리브 판(60)측의 면과 반대측의 면, 즉,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나사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되는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전체에 설치된다.
도 5는 도 2의 D-D 화살표 방향 도면이며, 타이 플레이트 유닛의 외형도이다. 또한,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상태의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갖는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에는 연결부인 타이 플레이트(70)가 고정된다. 이 타이 플레이트(70)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축방향이 두께 방향이 되는 판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이 플레이트(70)에는,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인 계장 안내관 관통 구멍(71)과,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봉 안내관(30)이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인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계장 안내관 관통 구멍(71)과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은 각각 타이 플레이트(70)에 복수 형성되어 있고, 각각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및 제어봉 안내관(3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이 플레이트(70)에는,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상태에 있어서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마련된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의 나사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타이 플레이트(7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볼트 구멍(도시 생략)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타이 플레이트(70)는, 계장 안내관 관통 구멍(71)에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통과하고,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에 제어봉 안내관(30)이 통과한 상태에서 상부 덮개(15) 방향으로부터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에 접촉시키고, 타이 플레이트(70)의 볼트 구멍에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75)를 통과시켜서 상기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75)를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고정된다. 타이 플레이트(70)는, 이렇게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고정되지만,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는 복수 마련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고, 타이 플레이트(70)는 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모두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이 플레이트(70)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은, 이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봉 안내관(30)의 착탈 방향, 즉 제어봉 안내관(30)의 형상인 원통형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어봉 안내관(30) 뿐만 아니라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도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즉, 타이 플레이트(70)를 제어봉 안내관(30)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봉 안내관(30)과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는 모든 부분이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타이 플레이트(70)를 제어봉 안내관(30)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제어봉 안내관(30)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의 모든 부분이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는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E-E 단면도이다. 상기 원자로 용기(1)를 조립하는 때는, 리브 판(60)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고정한다. 그 때에,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노심 지지판(20)에는 볼록부(45)와 오목부(21)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2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형성된 볼록부(45)를 노심 지지판(20)에 형성된 오목부(21)에 넣어서 끼워맞춤시킨다. 볼록부(45)가 오목부(21)에 끼워맞춤하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형성된 볼트 구멍과, 노심 지지판(2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가 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노내 계장 안내관용 볼트(50)를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하고,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한다.
제어봉 안내관(3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때는, 제어봉 안내관(30)에 고정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를 제어봉 안내관용 볼트(35)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제어봉 안내관(30)은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다. 또한, 이렇게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된 제어봉 안내관(30)은 인접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마련된 리브 판(60)끼리의 사이에 배설된다.
또한, 이렇게 배설되는 제어봉 안내관(30)의 방향은 대략 직사각형이 되는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의 변과 리브 판(60)이 거의 평행하게 방향으로 배설된다. 즉, 4개의 리브 판(60)은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형상인 원통형의 축방향에 보았을 경우에, 십자 형상이 되도록 배설되어 있고,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의 변이 리브 판(60)에 평행해져,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의 변과 변의 사이의 코너의 부분이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있어서의 2개의 리브 판(6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외주면(42)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어봉 안내관(30)이 배설되어 있다.
도 7은 도 2의 D-D 화살표 방향 도면이며, 타이 플레이트, 노내 계장 안내관, 제어봉 안내관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및 제어봉 안내관(30)은 함께 복수가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되고,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가 마련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에는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75)에 의해 타이 플레이트(70)가 고정된다. 이 타이 플레이트(70)는 모든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고정되기 때문에,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연결되고, 타이 플레이트(7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이렇게 노내 계장 안내관(40)이나 제어봉 안내관(30)이 배설되는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는 감속재나 냉각재를 겸하는 경수가 채워져 있다.
또한, 이렇게 원자로 용기(1) 내에 배설되는 제어봉 안내관(30)을 노심 지지판(20)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와 노심 지지판(20)을 고정하고 있는 제어봉 안내관용 볼트(35)를 분리한다. 그 후,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되고,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타이 플레이트(7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봉 안내관(30)을 윗쪽, 즉 노심 지지판(20)이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뽑는다. 이 방향에는 타이 플레이트(70)가 위치하고 있지만, 타이 플레이트(70)에는 제어봉 안내관(30)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보다도 큰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봉 안내관(30)은 이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으로부터 뽑을 수 있다.
이 원자로 용기(1)를 갖는 원자로를 운전하면, 원자로 용기(1) 내의 경수는 원자로 용기(1) 내와 원자로 용기(1)의 외부로 순환한다. 이 때문에, 경수는 원자로 용기(1) 내를 유동한다. 노내 계장 안내관(40)에는 경수의 유동에 의해 하중이 작용하고, 경수의 유동은 원자로의 출력의 조정 등에 의해 변화되기 때문에, 이 경수의 유동의 변화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에는 변동하는 하중이 작용한다.
이상의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는 원자로 용기(1) 내에 마련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리브 판(60)으로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고정함으로써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때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심 지지판(2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부분인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접속 부분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자로 용기(1) 내에 배설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중의 전체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리브 판(60)보다도 상부 덮개(15)쪽에 위치하는 타이 플레이트(70)를 고정하고, 복수 마련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타이 플레이트(70)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일체로 되므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전체로서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상부 덮개(15) 방향을 위쪽으로 하고, 노심 지지판(20) 방향을 아래쪽으로 했을 경우에,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위쪽을 타이 플레이트(70)로 고정하고, 아래쪽을 리브 판(60)으로 보강하고 있으므로,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위쪽과 아래쪽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전체로서의 강성이 향상한다. 이와 같이,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강성이 높은 상태에서 원자로 용기(1) 내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원자로의 운전중에 원자로 용기(1) 내의 경수가 유동하고, 경수의 유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변동하는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라도, 그 변동하는 하중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원자로의 운전중에 지진 등의 외부요인에 의한 진동이 원자로 용기(1)에 전해졌을 경우에도,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강성이 높은 상태에서 원자로 용기(1)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진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노심 지지판(20)에 오목부(21)와 볼록부(45)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25)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할 때에, 볼록부(45)를 오목부(21)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부착할 때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할 때에, 끼워맞춤부(25)를 끼워맞춤하고 있으므로,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노심 지지판(20)에 오목부(21)와 볼록부(45)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25)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높게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인접하는 제어봉 안내관(30)을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리브 판(6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설함으로써, 혹은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리브 판(60)을 제어봉 안내관(3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리브 판(60)을 제어봉 안내관(30)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제어봉 안내관(30)을 노심 지지판(20)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노심 지지판(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일이 없이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타이 플레이트(70)에 제어봉 안내관(30)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가 통과 가능한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72)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어봉 안내관(30)을 노심 지지판(20)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보다 확실히, 또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확실히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연결하는 타이 플레이트(70)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고정되어 있을 뿐으로, 원자로 용기(1)에는 고정되지 않고 있다. 이에 의해, 원자로 운전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손상 등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재료가 상이하기 때문에, 열팽창 계수가 상이하다. 이에 의해, 원자로의 운전시에 원자로 용기(1) 및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온도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는,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온도 변화가 동일한 변화인 경우에도, 열팽창 계수가 상이한 것에 의해,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에서 열 신장 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40)을 원자로 용기(1)에 고정했을 경우에는, 이 열 신장차에 의해, 강성이 낮은 노내 계장 안내관(4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타이 플레이트(70)는 원자로 용기(1)에는 고정하지 않고,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에만 고정하는 것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상부 덮개(15) 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되고,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독립해서 길이가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온도 변화가 생겼을 경우에 있어서의 쌍방의 열 신장차를 흡수할 수 있다. 이 결과, 원자로 운전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손상 등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리브 판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는 동시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가 설치되는 원자로 용기의 요부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8의 F부 상세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80)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 배설된 노심 지지판(20)에 노내 계장 안내관(84)이 고정되어 있고,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외주면(85)에 보강부가 되는 리브 판(86)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80)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와 달리, 타이 플레이트는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리브 판(86)은,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접속되어 있는 리브 판(60)과 마찬가지로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외주면(85)에 4개 접속됨과 동시에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내 계장 안내관(84)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고 있다. 이 리브 판(86)은,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형상인 원통형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접속되어 있는 리브 판(60)의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형상인 원통형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리브 판(86)의 길이(K)는, 일체로 고정된 노내 계장 안내관(84)과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장(J)의 50∼100%의 범위 내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 판(86)에는 상기 리브 판(86)을 관통하는 보강부 관통 구멍인 발수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발수 구멍(87)은,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길이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긴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리브 판(86)에 관하여 복수의 발수 구멍(87)이, 노내 계장 안내관(84)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80)는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는 감속재나 냉매를 겸하는 경수가 채워져 있다. 경수가 채워져 있는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접속된 리브 판(60)의 길이보다도 길이가 긴 복수의 리브 판(86)이 접속된 노내 계장 안내관(84)이 복수 배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84)에 인접하는 제어봉 안내관(30)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의 리브 판(86)으로 포위되는 것으로 되고, 복수의 리브 판(86)으로 포위된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는 상기 복수의 리브 판(86)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되는 리브 판(86)에는 발수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원자로의 운전시에는 제어봉 안내관(30)은 진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제어봉 안내관(30)이 진동했을 경우에는, 리브 판(86)에 발수 구멍(8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봉 안내관(30)의 진동이 전해진 상기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의 경수는 발수 구멍(87)을 통과해서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의 공간으로부터 흘러 나온다.
이상의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80)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과 마찬가지로, 노내 계장 안내관(84)에 리브 판(86)이 접속되어, 리브 판(86)에 의해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와 노내 계장 안내관(8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노내 계장 안내관(84)은, 리브 판(86)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계장 안내관 고정부(41)를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노심 지지판(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리브 판(86)의 길이(K)는 일체로 고정된 노내 계장 안내관(84)과 계장 안내관 고정부(41)의 전장(J)의 50∼100%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84)에 있어서의 노심 지지판(20)에 고정하는 부분 뿐만 아니라, 노내 계장 안내관(84)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 용기(1) 내의 경수가 유동했을 경우에 있어서 노내 계장 안내관(84)에 변동하는 하중이 전해질 경우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등에서도, 이것들에 기인하는 진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84)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브 판(86)에 상기 리브 판(86)을 관통하는 발수 구멍(87)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리브 판(86)의 주위의 경수가 발수 구멍(87)내를 흐르도록 할 수 있고, 리브 판(86)의 주위의 경수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봉 안내관(30)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브 판(86)은,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접속된 리브 판(60)의 길이보다도 길이가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리브 판(86)끼리 제어봉 안내관(30)의 외측을 폐쇄하기 쉽게 되어 있다. 즉, 리브 판(86)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리브 판(86)으로 포위된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의 공간은 폐쇄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렇게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의 공간이 폐쇄되어 있을 경우, 폐쇄 공간이 좁아지게 되는 만큼, FSI(Fluid-Structural Interaction : 유체 구조 연성) 효과가 커지기 쉬워진다. 이 FSI 효과가 커지면, 제어봉 안내관(30)으로의 유체 부하 질량이 커진다.
상세하게는, 제어봉 안내관(30)이 폐쇄 공간내에 설치되는 상태에서는, 제어봉 안내관(30)이 진동할 때에, 그 진동에 의해 밀려지는 주위의 경수가 도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제어봉 안내관(30)으로의 유체 부하 질량이 커진다. 이 유체 부하 질량이 커지면, 제어봉 안내관(30)의 진동 특성에 영향을 주고, 고유진동수의 저하나 진폭의 증대를 야기하고, 제어봉 안내관(30)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리브 판(86)에 발수 구멍(87)을 형성함으로써, 제어봉 안내관(30)이 진동했을 때에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의 경수는 발수 구멍(87)을 거쳐서 제어봉 안내관(30)의 주위의 폐쇄 공간으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 이에 의해, FSI 효과를 작게 할 수 있고, 리브 판(87)의 길이를 길게 했을 경우에도, 제어봉 안내관(30)의 진동 특성에 주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결과, 제어봉 안내관(30)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복수의 타이 플레이트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 전체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는 동시에,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가 설치되는 원자로 용기의 요부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와 같이,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 배설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은 타이 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에서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와 달리, 계장 안내관 고정부는 설치되지 않는다.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은 연결부인 복수의 타이 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되고,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부 덮개(15)쪽에 위치하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노심 지지판(20)쪽에 위치하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중, 상기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의 단부, 즉 상기 상부 덮개(15)나 상기 하부 거울과 함께 원자로 용기(1)를 형성하는 상기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의 단부에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가 접속되어 있다. 이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로부터 노심 지지판(20) 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판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의 노심 지지판(20) 방향의 단부에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의 단부, 즉 상기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의 단부에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가 접속되어 있다. 이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로부터 상부 덮개(15) 방향을 향해서 형성된 판형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의 상부 덮개(15) 방향의 단부에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가 접속되어 있다. 이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의 상부 덮개(15)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가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06)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의 위치는 거의 동일한 위치로 되어 있고,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에 있어서의 원통 몸통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에 대하여 상부 덮개(15) 방향으로부터 접촉하고,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06)에 의해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원자로 용기(1) 내에 마련되는 노심 지지판(20)은 상부 덮개(15) 방향으로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를 갖고 있고,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는 상부 덮개(15)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이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가 설치되는 위치는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가 마련되는 위치 부근이 되고,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접촉한다.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이 상태에서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16)에 의해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에 고정된다. 또한, 이렇게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가 고정되는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는 원자로 용기(1)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은 도 10의 G부 상세도이다. 노내 계장 안내관(95)에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에 형성되는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44)와 마찬가지의 형상의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가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부 덮개(15)쪽에 위치하는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6)로 되어 있고, 노심 지지판(20)쪽에 위치하는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7)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6)의 상부 덮개(15)측의 면으로부터 상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6)에 접촉하고, 상부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105)에 의해 상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7)의 노심 지지판(20)측의 면으로부터 하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7)에 접촉하고, 하부 타이 플레이트용 볼트(115)에 의해 하부 타이 플레이트 고정부(97)에 고정된다.
또한, 노심 지지판(20)에는 노내 계장 안내관(95)이 마련되는 위치에서 상부 덮개(15)측의 면에 부착 부재(135)가 설치된다. 이 부착 부재(135)는 상단 부분에 대략 원주형의 형상으로 상부 덮개(15) 방향으로 볼록하게 된 부착 부재 끼워맞춤부(136)를 갖고 있고, 부착 부재 끼워맞춤부(136)는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하단부(98)로부터 노내 계장 안내관(95)내에 들어가고,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하단부(98)는 부착 부재(13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노내 계장 안내관(95)은 하단부(98)가 부착 부재(135)의 사이에서 간극을 가진 상태에서 부착 부재 끼워맞춤부(136)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 12는 도 10의 H-H 화살표 방향의 도면이다. 상기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상기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각각 4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 몸통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4개소에 배설되어 있다. 즉, 4조의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가 원통 몸통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의 4개소에 배설되어 있다.
이 중,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에 대한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의 고정은, 1조의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에 대해서 5개의 상기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0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에 대한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의 고정은, 하나의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에 대해서 5개의 상기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에 있어서의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가 고정되는 위치 부근에는 결합 핀(120)이 마련되어 있고,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이 결합 핀(120)이 삽입 관통되는 것에 의해 위치 맞춤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타이 플레이트(70)와 마찬가지로, 각각 계장 안내관 관통 구멍(도시 생략)과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는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하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는 감속재나 냉매를 겸하는 경수가 채워져 있고, 이 경수는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를 갖는 원자로의 운전시에 원자로 용기(1) 내를 유동한다. 경수가 유동하는 원자로 용기(1)의 내부에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이 배설되어 있고, 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에는 모두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가 고정되어 있다. 즉,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은 연결부인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를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06)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일체로 고정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를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용 볼트(116)로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원자로 용기(1)에 고정되어 있다. 즉,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는 원자로 용기(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은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원자로 용기(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자로 용기(1) 내의 경수가 유동하고, 이 유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노내 계장 안내관(95)은 변형하거나 위치를 이동하거나 하지 않고, 그 하중을 받을 수 있다.
이상의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는,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를 고정하고, 이들의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를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에 고정하는 것에 따라, 간접적으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이들이 일체로 된 상태에서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할 수 있고,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 전체로서의 강성이 향상된 상태로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 용기(1) 내의 경수가 유동했을 경우에 있어서 노내 계장 안내관(95)으로 변동하는 하중이 전해지는 경우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등에서도, 이들에 기인하는 진동에 의해 노내 계장 안내관(95)이 크게 진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를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복수의 위치에서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이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로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연결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 전체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제어봉 안내관(30) 및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31)가 통과 가능한 제어봉 안내관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원자로 용기(1) 내에 제어봉 안내관(30)이 배설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봉 안내관(30)을 노심 지지판(20)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보다 확실히 착탈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를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원자로 용기(1)의 외부에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일체로 형성한 후에, 원자로 용기(1) 내에 집어넣을 수 있다. 이 결과, 용이하게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조립할 수 있고, 보다 확실히 유지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노심 지지판(20)에 마련되는 부착 부재(135)가 갖는 부착 부재 끼워맞춤부(136)를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끼워맞춤하고, 또한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하단부(98)는 부착 부재(13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자로 운전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손상 등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는,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열팽창 계수가 상이하기 때문에, 원자로의 운전시에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95)에서 열 신장차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한 경우에는, 이 열신장 차에 의해, 강성이 낮은 노내 계장 안내관(95)이 손상될 우려가 있지만,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하단부(98)를 부착 부재(135)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95)은 독립해서 길이가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하단부(98)를 부착 부재(135)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원자로 용기(1)와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온도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쌍방의 열 신장차를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하단부(98)와 부착 부재(135)의 간극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 결과, 원자로 운전시의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손상 등의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봉 안내관(30)은 클러스터형 제어봉용의 안내관으로서 설치되지만, 제어봉 안내관(30)은 클러스터형의 제어봉 이외의 제어봉용의 안내관으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노내 계장 안내관(40, 84, 95)은 노내 중성자 계장용의 안내관으로서 설치되지만, 노내 계장 안내관(40, 84, 95)은 노내 중성자 계장 이외의 계장용의 안내관으로서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 8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 84)의 리브 판(60, 86) 및 계장용 안내관 고정부(41)는 하나의 노내 계장 안내관(40, 84)에 대해서 4개씩 설치되지만, 이것들은 4개씩 이외의 수로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리브 판의 발수 구멍은 실시예 2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8)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84)의 리브 판(86)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발수 구멍(87)은 실시예 1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10)가 갖는 노내 계장 안내관(40)의 리브 판(60)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가 갖는 타이 플레이트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와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의 2개의 타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타이 플레이트는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복수의 타이 플레이트는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위치에서 노내 계장 안내관(95)에 고정되고, 이들을 일체로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가 갖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원자로 용기(1)에 고정되어 있는 노심 지지판 플랜지(130)에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를 고정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간접적으로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하고 있지만,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직접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해도 좋다.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연결하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할 수 있으면, 직접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해도 간접적으로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해도 좋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가 갖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각각 등간격으로 4개소에 배치되어 있지만,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모두 원형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이에 의해,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원자로 용기(1)에 고정한 때에, 보다 강성을 향상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보다 확실히 노내 계장 안내관(95)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요부 개략도이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90)가 갖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는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를 거쳐서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에 접속되어 있지만, 상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02)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12) 대신에 원형의 일체 형상으로 한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40)를 설치하고, 상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01)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 리브(111) 대신에 기둥 형상의 타이 플레이트 지지 기둥(141)을 복수 배설하고, 타이 플레이트 플랜지(140)에 접속해도 무방하다. 이에 의해, 상부 타이 플레이트(100) 및 하부 타이 플레이트(110)의 조립시에 있어서의 위치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노내 계장 안내관(95)을 정밀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노내 계장 안내관의 제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는 노내 계장 안내관을 갖는 원자로에 유용하고, 특히 노내 계장 안내관이 노심 지지판과 상부 덮개의 사이에 설치될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10)

  1.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와 내부에 노심 지지판을 갖는 원자로 용기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고정하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보다도 상기 상부 덮개쪽의 위치에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2.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와 내부에 노심 지지판을 갖는 원자로 용기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고정하는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대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의 형상인 통형상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길이가, 일체로 고정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전체 길이의 50∼100%의 범위 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는 제어봉 안내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봉 안내관은 상기 제어봉 안내관에 고정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 및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어봉 안내관 및 상기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노심 지지판에 대한 상기 제어봉 안내관의 착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안내관 및 상기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가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판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보강부에는 상기 보강부를 관통하는 구멍인 보강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장 안내관 고정부와 상기 노심 지지판에는,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노심 지지판에 고정한 때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7. 상단에 위치하는 상부 덮개와 내부에 노심 지지판을 갖는 원자로 용기 내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과,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원자로 용기에 고정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은 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의 형상인 통형상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경우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 내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노심 지지판의 사이에는 제어봉 안내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봉 안내관은 상기 제어봉 안내관에 고정된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에 의해 상기 노심 지지판의 상기 상부 덮개측의 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노심 지지판에 대한 상기 제어봉 안내관의 착탈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 안내관 및 상기 제어봉 안내관 고정부가 통과 가능한 연결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은 통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상의 형상의 길이 방향이 축방향이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의 상기 노심 지지판쪽 단부 부근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는 판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판형상의 형상의 두께 방향은 상기 노내 계장 안내관을 상기 축방향으로부터 볼 경우에 있어서 원형의 접선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KR1020060058583A 2005-06-29 2006-06-28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KR100812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9859 2005-06-29
JP2005189859 2005-06-29
JPJP-P-2005-00342413 2005-11-28
JP2005342413 2005-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821A KR20070001821A (ko) 2007-01-04
KR100812871B1 true KR100812871B1 (ko) 2008-03-11

Family

ID=3767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583A KR100812871B1 (ko) 2005-06-29 2006-06-28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21243B2 (ko)
JP (1) JP4898318B2 (ko)
KR (1) KR100812871B1 (ko)
CN (1) CN189292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64B1 (ko) 2007-02-28 2011-06-2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계장 안내관 유동 진동 억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3347B2 (en) * 2007-04-10 2013-07-09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Upper internals arrangement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JP4553957B2 (ja) * 2008-06-18 2010-09-29 三菱電機株式会社 原子炉炉内核計測装置の通路選択装置
CN102737740B (zh) * 2012-06-13 2014-08-2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压水型核反应堆堆芯仪表系统的导向装置
US9620254B2 (en) * 2013-04-11 2017-04-11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Reactor in-core instrument handling system
CN103400614B (zh) * 2013-07-31 2016-01-20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单根探测器用自紧式密封结构
US10109379B2 (en) * 2014-06-04 2018-10-23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Control rod guide tube with an extended intermediate guide assembly
US9478320B2 (en) * 2014-08-18 2016-10-25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Method for in-core instrumentation withdrawal from the core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FR3053515B1 (fr) * 2016-06-29 2018-08-17 Areva Np Reacteur nucleaire, procedes de montage et de remplacement de conduits de thermocouples, ensemble pour la mise en oeuvre des procedes
CN111968767B (zh) * 2020-09-10 2024-05-28 中国工程物理研究院核物理与化学研究所 一种肋式控温辐照装置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7270A (en) 1988-08-25 1991-10-15 Framatome Instrumentation arrangement for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US5282232A (en) 1988-02-15 1994-01-25 Framatome Nuclear reactor upper internal equipment with cluster guide devices
JPH10111384A (ja) 1996-10-07 1998-04-28 Hitachi Ltd 中性子束計測案内管の拘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8914A (en) * 1961-01-05 1965-09-28 Allis Chalmers Mfg Co Nuclear reactor with improved core arrangement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assemblies and control rod assemblies
JPH063633B2 (ja) * 1983-08-30 1994-01-12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貨幣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62295A (ja) * 1985-09-12 1987-03-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放射性イオン交換樹脂の処理方法
US5078957A (en) * 1990-11-26 1992-0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core instrumentation system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US5357547A (en) * 1992-03-18 1994-10-1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Vibration dampener for dampening vibration of a tubular member
US5263060A (en) * 1992-03-18 1993-1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Segmented instrumentation tube including a locking sleeve for interlocking the segments of the instrumentation tube
JPH0755987A (ja) * 1993-08-20 1995-03-03 Hitachi Ltd 原子炉の炉内点検補修装置
FR2717608B1 (fr) * 1994-03-15 1996-06-14 Framatome Sa Cuve d'un réacteur nucléaire comportant des moyens de maintien de ses équipements internes inférieurs et procédé d'ajustage des moyens de maintien.
US5479464A (en) * 1994-08-30 1995-12-2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xpandable top nozzle and device for securing same to a nuclear fuel assembly
GB2307330A (en) * 1995-11-14 1997-05-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trol rod guide tube
US5995575A (en) * 1997-08-29 1999-11-30 General Electric Company In-core guide tube restraint for a boiling water reactor
JP2000187093A (ja) * 1998-12-22 2000-07-04 Toshiba Corp 中性子束計測案内管支持装置
JP4330818B2 (ja) * 2001-05-17 2009-09-16 株式会社東芝 中性子計装案内管の支持機構
TW594791B (en) * 2001-09-27 2004-06-21 Toshiba Corp Incore monitoring method and incore monitor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2232A (en) 1988-02-15 1994-01-25 Framatome Nuclear reactor upper internal equipment with cluster guide devices
US5057270A (en) 1988-08-25 1991-10-15 Framatome Instrumentation arrangement for a pressurized water nuclear reactor
JPH10111384A (ja) 1996-10-07 1998-04-28 Hitachi Ltd 中性子束計測案内管の拘束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64B1 (ko) 2007-02-28 2011-06-20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계장 안내관 유동 진동 억제 구조체
US8903032B2 (en) 2007-02-28 2014-12-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tructure for suppressing flow vibration of instrumentation guide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71157A (ja) 2007-07-05
JP4898318B2 (ja) 2012-03-14
CN1892923B (zh) 2010-11-10
US20070019774A1 (en) 2007-01-25
CN1892923A (zh) 2007-01-10
US8121243B2 (en) 2012-02-21
KR20070001821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871B1 (ko) 노내 계장 안내관 지지 장치
US7276908B2 (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with suppressed noise
JP4516143B2 (ja) 機台に制御装置を備えた射出成形機
JP4330447B2 (ja) 開放型mr装置におけるノイズ抑制
US9442053B2 (en) Test sample frame and system for dynamically and/or cyclically load testing a sample
JPS6410770B2 (ko)
CZ283249B6 (cs) Osově horizontální elektrický stroj
KR20130056893A (ko) 터빈 외부 차실, 터빈 외부 차실용 가대 및 터빈 외부 차실용 가대의 시공 방법
JP2006521503A (ja) 縦方向ビームと横方向ビームから成る、ユニットを支承するための枠組構造体および前記枠組構造体を製造する方法
KR101907355B1 (ko)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철골 건축구조물
KR101250807B1 (ko) 원자로 내부구조물 종합진동평가 측정용 계측기 고정방법 및 고정장치
FI117773B (fi) Sydämessä oleva ohjausputkipidätin kiehutusreaktoria varten
JP5268716B2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101602169B1 (ko) 노내계측기의 진동저감 및 계측관내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갖는 핵연료집합체
JP2015132549A (ja) 使用済燃料プールの計測装置取付架台
US6911761B2 (en) Horizontal-axis electrical machine
JP2006305033A (ja)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
KR102296896B1 (ko) 사용후 핵연료 저장장치
JP5350199B2 (ja) ガイドホルダ
CN110510064B (zh) 一种相机仪器固定装置
JP2007171090A (ja) 炉心シュラウド支持装置および炉心シュラウドの据付方法
JP2015105867A (ja) シュラウド支持装置およびシュラウド支持装置改造方法
JP4330818B2 (ja) 中性子計装案内管の支持機構
JP2875619B2 (ja) 超電導コイル装置
JP2017083211A (ja) 使用済燃料ラック支持構造及び使用済燃料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