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376B1 -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376B1
KR101463376B1 KR1020120069167A KR20120069167A KR101463376B1 KR 101463376 B1 KR101463376 B1 KR 101463376B1 KR 1020120069167 A KR1020120069167 A KR 1020120069167A KR 20120069167 A KR20120069167 A KR 20120069167A KR 101463376 B1 KR101463376 B1 KR 10146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vable motor
support
pa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003A (ko
Inventor
홍순식
Original Assignee
정성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래 filed Critical 정성래
Priority to KR102012006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3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가 자동으로 접히고 펼치는 작동을 하여 보다 안락한 승하차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를 형성하는 백패드와 시트패드의 좌우 측단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의 내측에 지지패널을 끼우고, 상기 지지패널이 구동모터를 통해서 연동하도록 하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돕기 위해서 지지날개부를 수평으로 펼치고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안락한 주행을 위해서 지지날개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 주는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car seat to trnsfer seat wing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가 자동으로 접히고 펼치는 작동을 하여 더욱 안락한 승하차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를 형성하는 백패드와 시트패드의 좌우 측단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의 내측에 지지패널을 끼우고, 상기 지지패널이 구동모터를 통해서 연동하도록 하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돕기 위해서 지지날개부를 수평으로 펼치고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안락한 주행을 위해서 지지날개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 주는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주행시 보다 안락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백패드의 젖혀지는 각도와 시트패드의 전후방 연동은 물론 백패드와 시트패드의 측단에서 라운드지게 올라서서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날개부를 갖추고 있다.
이 지지날개부는 백패드의 경우 등판의 측면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시트패드의 경우 둔부와 허벅지 부분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날개부는 종래에 백패드와 시트패드를 성형할 때, 일체형으로 몰딩하여,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런데 이렇게 유익한 효과를 낳는 지지날개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동시에 양산한다. 즉, 지지날개부는 시트의 측단에서 돌출된 상태로 성형되는데, 이 돌출된 부분이 탑승자가 승하차하는데 많은 불편함을 준다. 승하차 과정에서 신체와의 접촉을 야기하고, 이는 승하차의 어려움을 가져온다. 착석하여 운행하는 과정에서 착석의 안락함을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승하차 하는 과정에서 탑승자를 불편하게 하는 것이다.
대형차의 경우는 좌석 사이의 공간이 충분하여 전술된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지 않지만, 작은 소형차의 경우는 좌석 사이의 공간이 작아서 지지날개부에 걸리는 현상이 많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가 자동으로 접히고 펼치는 작동을 하여 보다 안락한 승하차와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시트를 형성하는 백패드와 시트패드의 좌우 측단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의 내측에 지지패널을 끼우고, 상기 지지패널이 구동모터를 통해서 연동하도록 하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승하차를 돕기 위해서 지지날개부를 수평으로 펼치고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탑승자의 안락한 주행을 위해서 지지날개부를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접어 주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는, 시트(10)를 형성하는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있어서, 머리받침구가 끼워질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의 좌우 측단에 비스듬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날개부(20); 상기 지지날개부(20)와 백패드(11), 지지날개부(20)와 시트패드(12)의 연결부위인 절첩부(21); 상기 지지날개부(20)를 좌우방향 연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모터유닛(30); 및, 시트패드(12)를 차량의 차체와 결합시키는 시트 체결프레임(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동모터(31)의 회전을 통해서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의 지지날개부(20)가 도어(D)가 개방되면, 개방된 도어 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벌리고, 도어(D)가 닫치면 개방되었던 지지날개부(20)를 좁힌다.
또한 본 발명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따른,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의 지지날개부(20) 내부에는 지지날개의 연동을 유도하는 지지패널(40)이 삽입되고 : 가동모터유닛(30)은, 전동이나 유압을 통해서 작동되는 가동모터(31); 가동모터(31)의 축단에 체결되는 입력축(32)이 형성되는 감속기(33); 가동모터(31)의 가동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접지센서(50)를 가진 제어유닛(60); 가동모터(31)의 회전 속도와 각도가 감속기(33)에서 변속되어 출력되는 출력축(34); 및 출력축(34)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유닛(60)의 접지센서(50)가 반응하면, 가동모터(31)를 회전시켜 지지날개부(20)를 모으고, 지지날개부(20)를 벌리고 : 가동모터유닛(30)의 가동모터(31)는, 스텝핑모터나 또는 써버모터를 사용하되, 각각의 지지패널(40)에 하나씩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작동시키며 : 가동모터유닛(30)의 가동모터는, 스텝핑모터나 또는 써버모터를 사용하되,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각각 하나씩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작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따른,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가동모터(31)에는, 가동모터(31)의 축단에 체결되는 감속기(33)의 입력축(32); 일측의 지지날개부(20)에 체결되기 위하여, 감속기(33)에서 속도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축(36)과 또 다른 연장바(37); 연장바(37)의 회전력의 방향전환을 위한 보조감속기(38); 보조감속기(38)의 출력축(39)에 고정되는 타측의 지지날개부(20);를 더 결합하여 좌, 우측의 지지날개부(20)를 동시에 연동시키고 : 제어유닛(60)은, 각각의 도어(D)의 개, 폐를 감지하는 접지센서(50); 접지센서(50)의 접지신호에 따라 가동모터(31)의 가동을 판단하는 제어부(61);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가동모터(31);를 통해, 도어(D)가 개방된 것을 접지센서(50)가 감지하면 지지날개부(20)를 펼쳐 탑승자의 하차를 돕고, 도어(D)가 닫힌 것을 접지센서(50)가 감지하면 지지날개부(20)를 당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 제어유닛(60)은, 터치패널(51)이나 클릭스위치(52)로 이루어진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단(53); 터치패널(51)의 스위치의 클릭에 따라서, 모터회전수, 지지날개부의 연동각도를 선택하도록 하고, 프로그램의 제어순서를 정한 가동프로그램(54);을 더 추가하여 가동모터유닛(30)을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탑승자가 승차나 하차시에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이를 접지센서가 감지하여 차량 시트의 개방된 도어방향의 지지날개부를 180도 각도로 펼쳐 탑승자의 승하차를 용이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탑승자가 탑승을 한 후 도어를 닫게 되면, 이를 접지센서가 감지하여 차량 시트의 지지날개부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탑승자의 등과 둔부를 감싸도록 하여 탑승의 안락함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시트가 탑승시와 승, 하차시에 서로 유리한 형태로 자동 상태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에서 도어 방향의 지지날개부만 연동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가 작동되는 차량의 시트를 결합하여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백패드의 지지날개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시트패드의 지지날개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시트가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동모터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가동모터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어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백패드와 시트패드의 측단에서 부드럽게 돌출된 지지날개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9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 내지 3의 도면에서처럼, 시트(10)를 형성하는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있어서, 머리받침구가 끼워질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의 좌우 측단에 비스듬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날개부(20)가 있고, 상기 지지날개부(20)와 백패드(11), 지지날개부(20)와 시트패드(12)의 연결부위인 절첩부(21)가 있으며, 상기 지지날개부(20)를 좌우방향 연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모터유닛(30) 및 시트패드(12)를 차량의 차체와 결합시키는 시트 체결프레임(F)이 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가동모터(31)의 회전을 통해서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의 지지날개부(20)가 도어(D)가 개방되면, 개방된 도어 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벌리고, 도어(D)가 닫치면 개방되었던 지지날개부(20)를 좁히는 것이다.
이유는 지지날개부(20)는 시트에 앉은 착석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한다. 인체에 맞도록 등과 둔부의 외곽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돌출된 지지날개부(20)는 오랜 시간 차량의 운행에도 운전자나 착석자가 피곤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낸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날개부(20)는 착석자가 차량에 올라타는 과정이나, 차에서 내리는 과정에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특히 소형차량의 경우 시트와 시트 사이의 공간이 많지 않기에 돌출된 지지날개부(20)에 걸려 차량의 승하차가 어려울 소지가 있다. 바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시트를 그대로 활용하되,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가동모터유닛(30)을 이용하여 지지날개부(20)를 필요시에만 돌출시키고 불필요할 경우에는 펼쳐 승하차에 곤란함을 제거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1, 2에서 상기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킴에 있어서, 한 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3 내지 8에는 양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 방향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승하차하면서 도어(D)를 개방하는 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펼치고 접히는 형태로 작동을 한다. 도어(D)가 개방되면 승차나 하차를 돕기 위해서 도어가 개방된 쪽 지지날개부(20)가 그 날개를 펼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한다.
이에 반하여 다른 실시예는 도 3 내지 8에서처럼, 양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동시에 펼치거나 절첩하는 동작으로 작동을 한다.
이들은 모두 가동모터(31)의 회전을 통해서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것이다. 사용의 방식으로 만일 차량의 도어(D)가 열린다는 것은 차량의 착석자가 하차나 승차를 위해서 의도적으로 도어(D)를 개방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시점에는 지지날개부(20)를 백패드(11)와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180도 펼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차량의 착석자가 시트에서 완전히 내려 도어(D)를 닫을 때와 착석하여 도어(D)를 닫을 때에는 시트의 지지날개부(20)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하여 부드럽게 돌출시키는 것이다. 아주 간단한 동작만으로 차량의 시트를 시기적으로 변형시켜 승하차의 편의성과 안락함이라는 장점만을 살린다.
그럼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통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것처럼,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의 지지날개부(20) 내부에는 지지날개의 연동을 유도하는 지지패널(40)이 삽입된다. 근래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의 제작형태는 일체형으로 사출성형이다. 이때 상기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의 좌우 양단에 지지날개부(20)도 동시에 성형한다. 본 발명은 이 지지날개부(20)가 도시된 도 1 내지 3에서처럼, 절첩부(21)을 통해서 구분된다. 지지날개부(20)의 내측에는 지지날개부(20)의 전체적인 연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지지패널(40)을 삽입한다. 도시된 도 2와 4에서처럼 지지패널(40)이 회동하게 되면, 그 외부를 둘러쌓는 지지날개부(20)도 동일한 각도로 연동한다. 바로 이 연동을 보다 원활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에는 절첩부(21)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실시된 상기 가동모터유닛(30)은, 전동이나 유압을 통해서 작동되는 가동모터(31)가 있고, 가동모터(31)의 축단에 체결되는 입력축(32)이 형성되는 감속기(33)가 있으며, 가동모터(31)의 가동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접지센서(50)를 가진 제어유닛(60)이 있다. 또한 가동모터(31)의 회전 속도와 각도가 감속기(33)에서 변속되어 출력되는 출력축(34)이 있고, 출력축(34)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40)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제어유닛(60)의 접지센서(50)가 반응하면, 가동모터(31)를 회전시켜 지지날개부(20)를 모으고, 지지날개부(20)를 벌리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가동모터(31)를 그 동력원으로 한다. 가동모터(31)가 회전을 하면 그 축단에 결합된 감속기(33)의 입력축(32)이 회전한다. 입력축(32)의 회전은 감속기(33) 내측의 기어단에서 변속되고 방향이 전환되어 출력축(34)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바로 이 출력축(34)은 지지패널(40)과 일체로 체결된 상태이기에 출력축(34)의 회전각도만큼 지지패널(40)은 동일한 각도로 회전을 한다. 상기 출력축(34)과 지지패널(40)의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조인트(36)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실례를 들어 본 발명의 작동 상황을 설명한다.
먼저 착석자가 하차를 위해서 차량의 도어(D)를 개방하게 되면, 이를 제어유닛(60)의 접지센서(50)가 감지를 한다. 감지된 신호는 제어유닛(60)을 통해서 가동모터(31)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도 4와 5의 (a)에서처럼 일정한 각도로 돌출된 지지날개부(20)를 도 4와 5의 (b)에서처럼 펼치는 방향으로 회전을 한다. 가동모터(31)가 회전을 하면, 이 감속기(33)의 입력축(32)이 회전을 하고, 감속기(33)가 그 회전을 감속과 방향전환을 하여 출력축(34)으로 전달한다. 전술된 것처럼 출력축(34)은 지지패널(40)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출력축(34)의 회전각도만큼 지지패널(40)이 회전을 하여 지지날개부(20)는 도시된 도 4와 5에서처럼 180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은 도시된 도 1과 2에서처럼 도어(D)가 개방되는 방향의 지지날개부(20)만 펼치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도 3 내지 9에서처럼 도어(D)가 개방되지 않은 쪽의 지지날개부(20)도 모두 개방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시트(10)를 이루는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에 모두 지지날개부(20)가 형성된 상태이기에 모든 지지날개부(20)는 펼쳐지는 것이다. 물론 도어(D) 방향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20)만 연동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동모터유닛(30)의 가동모터(31)는, 스텝핑모터나 또는 써버모터를 사용하되, 각각의 지지패널(40)에 하나씩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동모터유닛(30)은 가동모터(31)를 통해서 지지날개부(20)를 실질적으로 연동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지날개부(20)는 너무 젖혀져 후 방향으로 꺽이게 되면 바람직하지 않다. 약 180각도로 늘어서 완벽하게 등판과 동일 평면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패드(12)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정확한 각도로 회전됨이 바람직하기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가동모터(31)로서 써버모터나 스텝핑모터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 써버모터나 스텝핑모터는 모든 지지날개부(20)에 각각 하나씩 체결되어도 무방하고, 일부에만 체결되어도 무방하다. 하나의 시트에는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가 있다. 또한 각각의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는 좌측과 우측에 모두 하나씩 형성되어 하나의 시트에 총 4개의 지지날개부(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렇게 하나의 시트에 4개의 가동모터(31)가 결합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만 연동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가동모터유닛(30)의 가동모터는, 스텝핑모터나 또는 써버모터를 사용하되,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각각 하나씩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시트에 2개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킬 수 있다. 백패드(11)는 필요한 경우에 후방으로 젖혀지거나 시트패드(12)와 각도 변환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에 형성되는 지지날개부(20)에는 모두 다른 모터가 장착되야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백패드(11)에는 하나의 가동모터(31)가 장착되고, 시트패드(12)에도 다른 하나의 가동모터(31)가 장착되는 형태로 실시가 가능하다. 즉, 하나의 시트(10)에 2개의 가동모터(31)를 장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도시된 도 3과 7와 같다. 즉, 본 발명의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가동모터(31)에는, 가동모터(31)의 축단에 체결되는 감속기(33)의 입력축(32)이 있고, 일측의 지지날개부(20)에 체결되기 위하여, 감속기(33)에서 속도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축(36)과 또 다른 연장바(37)가 있으며, 연장바(37)의 회전력의 방향전환을 위한 보조감속기(38)가 있다. 또한 보조감속기(38)의 출력축(39)에 고정되는 타측의 지지날개부(20)가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좌, 우측의 지지날개부(20)를 동시에 연동시킨다.
결국 이 실시예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지지날개부(20)를 동일한 각도로 연동시키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시된 것처럼, 가동모터(31)의 축은 감속기(33)의 입력축(32)에 체결되고, 감속기(33)에는 별도의 출력축(34)이 형성되는데, 이 출력축(34)에 지지패널(40)이 결합되는 방식이다. 또한 이 실시예는 하나의 가동모터(31)를 이용하여 2개의 지지패널(40)을 연동시켜야 하기에 전술된 감속기(33)에서 빠져나오는 별도의 연장바(37)가 형성된다. 도시된 도 3에서처럼, 백패드(11)의 경우 감속기(33)의 출력축(34) 속도와 동일한 속도와 각도를 회전하는 연장바(37)가 감속기(33)에서 돌출된다. 시트패드(12)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연장바(37)의 끝단에는 별도의 보조감속기(38)가 형성되어 있기에 이 보조감속기(38)에서 속도가 방향전환을 하여 도시된 출력축(39)을 회전시키고, 이 출력축(39)에 고정되는 또 다른 지지패널(40)을 회전시킨다.
바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좌우 양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40)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을 통해서 시트(10)의 지지날개부(20)를 회전시키는 실시예이다.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지지날개부(20)는 전술된 것처럼 제어유닛(60)의 접지센서(50)의 감지를 통해서 가동모터유닛(30)을 가동한다. 전자적인 흐름은 이 제어유닛(60)을 통해서 가동모터유닛(30)을 제어하게 되는데,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어유닛(60)은, 각각의 도어(D)의 개, 폐를 감지하는 접지센서(50)가 있고, 접지센서(50)의 접지신호에 따라 가동모터(31)의 가동을 판단하는 제어부(61)가 있으며,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가동모터(31)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D)가 개방된 것을 접지센서(50)가 감지하면 지지날개부(20)를 펼쳐 탑승자의 하차를 돕고, 도어(D)가 닫힌 것을 접지센서(50)가 감지하면 지지날개부(20)를 당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즉, 제어유닛(60)의 접지센서(50)는 도어의 개, 폐를 감지한다. 양방향 감지를 하여 본 발명의 제어유닛(60)을 작동시키는데, 도어(D)가 개방된 경우에는 이를 접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부(61)로 전달한다. 도어(D)의 개방을 통보받은 제어부(61)는 모터회전을 위해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가동모터(3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어(D)가 개방된다는 것은 도어(D)를 통해서 착석자가 차량의 외부로 나가거나, 차량 외부의 탑승자가 차량에 올라타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동작을 돕기 위해서 상기 지지날개부(20)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가동모터(31)를 회전시킨다.
이후 탑승자가 지면에 올라서서 도어를 닫은 경우나, 착석자가 차량의 시트(10)에 안착하여 도어(D)를 닫은 경우에는 안전한 승차감을 위해서 지지날개부(20)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하여 돌출시킨다.
그런데 본 발명의 제어유닛(60)은, 터치패널(51)이나 클릭스위치(52)로 이루어진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단(53)과 터치패널(51)의 스위치의 클릭에 따라서, 모터회전수, 지지날개부(20)의 연동각도를 선택하도록 하고, 프로그램의 제어순서를 정한 가동프로그램(54)을 더 추가하여 가동모터유닛(30)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의 운전자마다 시트(10)의 승차감과 안락함을 느끼는 정도가 다르다. 지지날개부(20)의 회전각도를 사용자마다 다르게 조작하고 싶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어(D)는 닫았지만 물건을 차량의 시트(10)에 적재하기 위해서 특별히 지지날개부(20)가 180도 펼쳐진 상태를 유지함이 유리한 경우도 있다. 바로 이러한 경우를 위해서 본 발명의 제어유닛(60)을 별도의 조작단(53)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작단(53)은 터치패널(51)과 클릭스위치(52)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 작동스위치를 클릭하게 되면, 도어(D)가 개방된 경우에도 지지날개부(20)를 일정한 각도로 절곡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D)가 폐쇄된 경우에도 지지날개부(20)를 펼쳐서 물건의 적재를 시도할 수 있다. 나아가 더욱 특별한 작동을 시도할 수 있다.
특히 어느 정도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의 지지날개부(20)는 보다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터치패널(51)을 이용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가동모터(31)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일측의 지지날개부(20)만 펼칠 수 있고, 접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마다 지지날개부(20)의 돌출 각도에 변동이 있을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술된 가동프로그램(54)은 제어부(61) 내측에 내부프로그램으로 저장시켜도 무방하고, 별도의 기억장치 내에 저장해도 무방하지만, 본 발명의 지지날개부(20)의 보다 정밀한 제어를 위해서 필요한 구성이다.
10; 시트 11; 백패드
12; 씨트패드 20; 지지날개부
30; 가동모터유닛 31; 가동모터
32; 입력축 33; 감속기
34; 출력축 36; 조인트
37; 연장바 38; 보조감속기
39; 출력축 40; 시트패드
50; 접지센서 51; 터치패널
52; 클릭스위치 53; 조작단
54; 내부프로그램 60; 제어유닛

Claims (8)

  1. 시트(10)를 형성하는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있어서,
    머리받침구가 끼워질 백패드(11)와 시트패드(12)의 좌우 측단에 비스듬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날개부(20);
    상기 지지날개부(20)와 백패드(11), 지지날개부(20)와 시트패드(12)의 연결부위인 절첩부(21);
    상기 지지날개부(20)를 좌우방향 연동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가동모터유닛(30); 및,
    시트패드(12)를 차량의 차체와 결합시키는 시트 체결프레임(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동모터(31)의 회전을 통해서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의 지지날개부(20)가 도어(D)가 개방되면, 개방된 도어 방향의 지지날개부(20)를 벌리고, 도어(D)가 닫치면 개방되었던 지지날개부(20)를 좁히도록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모터유닛(30)은,
    전동이나 유압을 통해서 작동되는 가동모터(31);
    상기 가동모터(31)의 축단에 체결되는 입력축(32)이 형성되는 감속기(33);
    상기 가동모터(31)의 가동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접지센서(50)를 가진 제어유닛(60);
    상기 가동모터(31)의 회전 속도와 각도가 감속기(33)에서 변속되어 출력되는 출력축(34); 및
    상기 출력축(34)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어유닛(60)의 접지센서(50)가 반응하면, 가동모터(31)를 회전시켜 지지날개부(20)를 모으거나 벌리는 것이며,
    상기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가동모터(31)에는,
    가동모터(31)의 축단에 체결되는 감속기(33)의 입력축(32);
    일측의 지지날개부(20)에 체결되기 위하여, 감속기(33)에서 속도가 변환되어 출력되는 출력축(36)과 또 다른 연장바(37);
    상기 연장바(37)의 회전력의 방향전환을 위한 보조감속기(38);
    상기 보조감속기(38)의 출력축(39)에 고정되는 타측의 지지날개부(20);를 더 결합하여 도어의 개방시 좌, 우측의 지지날개부(20)를 동시에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가동모터유닛(30)의 가동모터(31)는, 스텝핑모터나 또는 써버모터를 사용하되, 각각의 지지패널(40)에 하나씩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모터유닛(30)의 가동모터는, 스텝핑모터나 또는 써버모터를 사용하되, 백패드(11)과 시트패드(12)에 각각 하나씩의 가동모터(31)를 채택하여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60)은,
    각각의 도어(D)의 개, 폐를 감지하는 접지센서(50);
    접지센서(50)의 접지신호에 따라 가동모터(31)의 가동을 판단하는 제어부(61);
    제어부(61)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지지날개부(20)를 연동시키는 가동모터(31);를 통해, 도어(D)가 개방된 것을 접지센서(50)가 감지하면 지지날개부(20)를 펼쳐 탑승자의 하차를 돕고, 도어(D)가 닫힌 것을 접지센서(50)가 감지하면 지지날개부(20)를 당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제어유닛(60)은,
    터치패널(51)이나 클릭스위치(52)로 이루어진 작동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단(53);
    터치패널(51)의 스위치의 클릭에 따라서, 모터회전수, 지지날개부의 연동각도를 선택하도록 하고, 프로그램의 제어순서를 정한 가동프로그램(54);을 더 추가하여 가동모터유닛(30)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지지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KR1020120069167A 2012-06-27 2012-06-27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KR10146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67A KR101463376B1 (ko) 2012-06-27 2012-06-27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67A KR101463376B1 (ko) 2012-06-27 2012-06-27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3A KR20140001003A (ko) 2014-01-06
KR101463376B1 true KR101463376B1 (ko) 2014-11-18

Family

ID=5013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167A KR101463376B1 (ko) 2012-06-27 2012-06-27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76B1 (ko) 2018-04-23 2019-06-12 김선규 자동차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023B1 (ko) * 2015-11-27 2022-07-06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875B2 (ja) * 1987-04-20 1997-03-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イドサポート制御装置
JP2589107B2 (ja) * 1987-11-19 1997-03-12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制御方法およびサイドサポート装置
KR97003652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의 위치 가변 장치
KR19980046782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가드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0875B2 (ja) * 1987-04-20 1997-03-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サイドサポート制御装置
JP2589107B2 (ja) * 1987-11-19 1997-03-12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制御方法およびサイドサポート装置
KR970036529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시트 쿠션 사이드 볼스터의 위치 가변 장치
KR19980046782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가드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276B1 (ko) 2018-04-23 2019-06-12 김선규 자동차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3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3621B2 (en) Control of a seating arrangement
US10703242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388985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 구조
KR100936331B1 (ko) 오토만 장치
CN204821205U (zh) 汽车用旋转座椅
CN107284300B (zh) 一种座垫电动翻折机构
WO2003016090A2 (en) Pivoting seating system
KR101463376B1 (ko) 시트 날개의 연동이 가능한 차량용 시트
CN113119819A (zh) 座兜角度调节装置以及使用其的儿童安全座椅
KR101307281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CN109515255B (zh) 车辆用座椅装置
JP6427385B2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208881629U (zh) 一种行动不便者使用的汽车全自动后座装置及汽车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211519328U (zh) 座兜角度调节装置以及使用其的儿童安全座椅
JP2018197090A (ja) 乗物用キャノピ装置
JP6988572B2 (ja) 車室前部構造
JPH06135270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CN219989056U (zh) 一种车载座椅装置
JP3828515B2 (ja) 車両用シートの電動収納構造
JP4174021B2 (ja) 車両用フロア装置
KR100590956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착용 보조장치
KR20110005785U (ko)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KR200213840Y1 (ko) 시트 등받이 회전장치
JP2013256192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