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636B1 -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 Google Patents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636B1
KR101462636B1 KR1020130038072A KR20130038072A KR101462636B1 KR 101462636 B1 KR101462636 B1 KR 101462636B1 KR 1020130038072 A KR1020130038072 A KR 1020130038072A KR 20130038072 A KR20130038072 A KR 20130038072A KR 101462636 B1 KR101462636 B1 KR 10146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opening
source uni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942A (ko
Inventor
이재욱
최은형
이형섭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8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6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이 개시되며, 상기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둘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둘레부재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둘레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곽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ELEVATOR OPERATION PANEL HAVING INDIRECT LIGHT}
본원은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는 수직통로에 설치되어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제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는 조작 패널이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조작 패널은 엘리베이터 카의 벽면에 내장되어 배치되는 매립형 조작 패널로서, 단조로운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인테리어를 보완하지 못하고 오히려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조작 패널은 딱딱하고 고급스럽지 못한 외양을 가지고 있어, 미려하고 친인간적인 디자인이 강조되는 현대의 트렌드에 부합되지 않는 바, 미려한 외양을 가진 조작 패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려한 외양을 가진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둘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둘레부재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둘레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곽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둘레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빛을 출사시키는 광원부를 통해 부드러운 조명을 형성함으로써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외장적 특징을 가진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3은 상측에서 바라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간접조명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를 확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간접조명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A를 확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면, 전방, 후면,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위쪽을 향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위쪽을 향한 면이 전면, 전반적으로 아래쪽을 향한 방향이 후방, 전반적으로 아래쪽을 향한 면이 후면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이하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며, 도 3은 상측에서 바라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간접조명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를 확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를 부각 또는 축소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베이스 플레이트(1)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둘레부재(11)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벽면(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벽면(0)간의 체결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벽면은 예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 벽면, 승강장의 벽면 등일 수 있다. 즉,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 승강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벽면(0) 상에, 즉 벽면(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인테리어의 단조로움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작 패널은 벽면(0)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바, 벽면에 조작 패널을 수용(매립)할 공간을 형성해야 했고, 이에 따라 설치에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벽면(0) 상에 설치되는 바, 설치가 용이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둘레부재(11)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1a)가 형성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광원부(3)를 포함한다.
광원부(3)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1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개구부(11a)에 대응하여 둘레부재(11)의 내측에 배치된다.
광원부(3)가 개구부(11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는 것은, 광원부(3)가 소정 이상의 광량이 개구부(11a)를 통해 출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광원(point source of light)을 가지는 광원부(3)의 경우에는 광원과 개구부(11a)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3)에서 방사된 빛은 개구부(11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출사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에 조명(L)이 형성되는 본 간접조명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간접조명을 통해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눈부심 없이 은은한 느낌을 주는 미려한 외양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둘레부재(11)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는 개구부(11a)가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부(11a)는 둘레부재(11)을 일부를 절개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개구부(11a)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홀(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둘레부재(11)는 개구부(11a)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광투과성 부재(1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투과성 부재(11b)라 함은,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부재, 즉 반투명한 부재 또는 투명한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은은한 간접조명을 구현한다는 측면에서, 광투과성 부재(11b)는 완전히 투명한 부재보다는 반투명한 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광투과성 부재(11b)는 아크릴 재질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광투과성 부재(11b)가 개구부(11a)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한다는 것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부(11a)를 전부 가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11a) 중 일부만을 가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투과성 부재(11b)를 구비함으로써, 광투과성 부재(11b)를 경유하여 개구부(11a)로 광이 출사될 수 있어, 보다 균일하면서도 은은한 간접조명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투과성 부재(11b)의 광투과도를 조절함으로써, 간접조명의 세기 또한 적정히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광투과성 부재(11b)는 광원부(3)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 또는 산란시키는 재질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테면, 광투과성 부재(11b)는 표면에 빛을 확산 또는 산란시키는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광투과성 부재(11b)는 빛을 확산 또는 산란시키는 입자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확산성 또는 산란성을 갖는 광투과성 부재(11b)를 구비함으로써, 더욱 균일하면서도 은은한 간접조명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광원부(3)는 좌측 광원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광원부(31)는 광투과성 부재(11b)를 경유하여 좌측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11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측 광원부(31)는 선 형상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좌측 광원부(31)는 개구부(11a) 상에 복수의 점광원이 전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3)는 우측 광원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 광원부(33)는 선 형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우측 광원부(33)는 개구부(11a) 상에 복수의 점광원이 전부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3)에 있어서, 광원부(3)는 점광원 외에 선광원(linear source of light)을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좌측 광원부(31) 및 우측 광원부(33) 각각은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하나의 선광원을 포함함으로써, 선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광투과성 부재(11b)를 경유하여 개구부(11a) 각각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3)는 개구부(11a)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베이스 플레이트(1) 외측으로의 빛의 출사량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해 베이스 플레이트(1) 외측으로의 빛의 출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명의 조명도(iluminance)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바,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원부(3)에서 방사된 빛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출사되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조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외양,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인테리어, 탑승자의 눈부심 등을 고려하여 조명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조명도를 구현하기 위해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광원부(3)가 장착되는 마운팅부(7)를 둘레부재(1)의 내측에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운팅부(7)는 “ㄴ”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마운팅부(7)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면(예시적으로 도 3을 보았을 때, 위쪽을 향한 면)에 체결됨으로써 둘레부재(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투과성 부재(11b)를 경유하여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해 빛이 출사되도록 좌측 광원부(31) 및 우측 광원부(33)가 배치되는 경우에, 마운팅부(7)는 좌측 광원부(31) 및 우측 광원부(33)가 각각 장착되도록 둘레부재(1)의 좌측 측면의 내측 및 우측 측면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마운팅부(7)는 마운팅부(7)에 장착된 광원부(3)에 대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열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운팅부(7)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커버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5)는 베이스 플레이트(1)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53)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부(53)에는 버튼(81) 및 디스플레이패널(83)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5)는 커버부(53)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곽부재(51)를 포함한다.
외곽부재(51)는 커버부(53)의 상측 및 하측에 체결되는 가로부(511) 및 커버부(53)의 좌측 및 우측에 체결되는 세로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곽부재(51)는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원부(3)에서 방사된 빛은 개구부(11a)를 통과한 직후 곧장 전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벽면(0)과 외곽부재(51) 사이를 통과한 후에야 전방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빛의 경로를 통해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외측에 형성되는 조명(L)을 간접조명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곽부재(51) 중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부분은 세로부(513)(도 1 참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둘레부재(11)의 상측 측면 및 하측 측면에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개구부(11a)에 대응하여 광원부(3)가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패널(1)의 상측 및 하측에도 조명이 형성된다면, 외곽부재(51)의 가로부(511)가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패널(1)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조명을 간접조명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보다 부드럽고 고른 조명을 실현시킬 수 있고, 향상된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접조명형태의 조명(L)을 통해 조작 패널의 미려한 외장적 형태를 연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한 탑승객의 눈부심을 예방하므로 탑승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외곽부재(51)는 개구부(11a)를 통해 출사되는 빛이 전방에 대하여 간접조명을 형성하도록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곽부재(51)는 개구부(11a)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전방을 향한 직접적인 출사를 최소화하는 크기(t)만큼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곽부재(51)에 의해 외측으로 형성된 단차의 크기(t)가 도 4에 도시된 상태보다 작게(짧게) 되면, 외곽부재(51)의 후면이나 벽면(0)에 1회 이상 반사되지 않고 곧장 전방을 향해 출사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곽부재(51)의 단차 크기가 짧아질수록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접적인 광 조사로 인한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곽부재(51)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크기(t)는 은은한 간접 조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형성되는 조명의 조명도 조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3)와 개구부(11a)(또는 광투과성 부재(11b))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명도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외곽부재(51)에 의해 외측으로 형성된 단차의 크기(t)를 조정하여 개구부(11a)를 통과한 빛이 전방으로 출사되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명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외곽부재(51)는 개구부(11a)가 노출되도록 둘레부재(11)의 일부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3을 참조하면, 외곽부재(5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둘레부재(11)의 개구부(11a)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로 둘레부재(11)의 외측을 감싸게 둘레부재(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광원부(3)에서 출사된 빛은 개구부(11a)를 통과한 직후 외곽부재(51)와 벽면(0)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간접조명(L)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외곽부재(51)의 세로부(513)는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출은 일정한 관이나 봉 형태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공 방법으로서, 세로부(513)를 이루는 재료를 사출구에 주입하고, 사출구를 통과하여 형성된 세로부(513)의 원형(prototype)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세로부(513)를 형성할 수 있다. 설정된 길이는 세로부(513)가 커버부(53)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높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커버부(53)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조작 패널용 외부트림의 제조방법은 세로부(513)를 압출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외부트림의 제작에 있어서, 높이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세로부(513)를 이루는 재질은 예시적으로 알루미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커버 플레이트(5)는 둘레부재(11)와 외곽부재(51)의 체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둘레부재(11)와 외곽부재(51)의 체결은 경첩(9)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이하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며, 도 7은 상측에서 바라본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간접조명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도 7의 A를 확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를 부각(확대) 또는 축소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베이스 플레이트(1)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는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둘레부재(11)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벽면(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베이스 플레이트(1)와 벽면(0)간의 체결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벽면은 예시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내부 벽면, 승강장의 벽면 등일 수 있다. 즉,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 승강장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벽면(0) 상에, 즉 벽면(0)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인테리어의 단조로움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작 패널은 벽면(0)에 내장되어 설치되는 바, 벽면에 조작 패널을 수용(매립)할 공간을 형성해야 했고, 이에 따라 설치에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벽면(0) 상에 설치되는 바, 설치가 용이하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둘레부재(11)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1a)가 형성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광원부(3)를 포함한다.
광원부(3)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11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개구부(11a)에 대응하여 둘레부재(11)의 내측에 배치된다.
광원부(3)가 개구부(11a)에 대응하여 배치된다는 것은, 광원부(3)가 소정 이상의 광량이 개구부(11a)를 통해 출사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점광원(point source of light)을 가지는 광원부(3)의 경우에는 광원과 개구부(11a)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광원부(3)에서 방사된 빛은 개구부(11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출사됨으로써,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에 조명(L)이 형성되는 본 간접조명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간접조명을 통해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눈부심 없이 은은한 느낌을 주는 미려한 외양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둘레부재(11)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는 복수의 개구부(11a)가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광원부(3)는 좌측 광원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광원부(31)는 좌측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11a)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측 광원부(31)는 선 형상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광원부(31)는 개구부(11a) 각각에 점광원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3)는 우측 광원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측 광원부(33)는 선 형상의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복수의 점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우측 광원부(33)는 개구부(11a) 각각에 점광원이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3)에 있어서, 광원부(3)는 점광원 외에 선광원(linear source of light)을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좌측 광원부(31) 및 우측 광원부(33) 각각은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하나의 선광원을 포함함으로써, 선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개구부(11a) 각각을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둘레부재(11)에 형성되는 개구부(11a)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 복수의 개구부(11a)가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둘레부재(11)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 하나의 개구부(11a)가 장공 형태로 둘레부재(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이러한 장공 형태의 개구부(11a) 내측에는 선광원을 갖는 광원부(3)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광원부(3)는 개구부(11a)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거리는 베이스 플레이트(1) 외측으로의 빛의 출사량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해 베이스 플레이트(1) 외측으로의 빛의 출사량을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에 형성되는 조명의 조명도(iluminance)를 조절할 수 있다. 조명도는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바,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광원부(3)에서 방사된 빛이 베이스 플레이트(1)의 외측으로 출사되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하여 조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의 외양,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인테리어, 탑승자의 눈부심 등을 고려하여 조명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조명도를 구현하기 위해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광원부(3)가 장착되는 마운팅부(7)를 둘레부재(1)의 내측에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운팅부(7)는 “ㄴ”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마운팅부(7)는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면(예시적으로 도3을 보았을 때, 위쪽을 향한 면)에 체결됨으로써 둘레부재(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둘레부재(1)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해 빛이 출사되도록 좌측 광원부(31) 및 우측 광원부(33)가 배치되는 경우에, 마운팅부(7)는 좌측 광원부(31) 및 우측 광원부(33)가 각각 장착되도록 둘레부재(1)의 좌측 측면의 내측 및 우측 측면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마운팅부(7)는 마운팅부(7)에 장착된 광원부(3)에 대한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열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마운팅부(7)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커버 플레이트(5)를 포함한다.
도 5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5)는 베이스 플레이트(1)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53)를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부(53)에는 버튼(81) 및 디스플레이패널(83)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버 플레이트(5)는 커버부(53)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곽부재(51)를 포함한다.
외곽부재(51)는 커버부(53)의 상측 및 하측에 체결되는 가로부(511) 및 커버부(53)의 좌측 및 우측에 체결되는 세로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곽부재(51)는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원부(3)에서 방사된 빛은 개구부(11a)를 통과한 직후 곧장 전방으로 퍼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벽면(0)과 외곽부재(51) 사이를 통과한 후에야 전방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빛의 경로를 통해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외측에 형성되는 조명(L)을 간접조명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외곽부재(51) 중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부분은 세로부(513)(도 5 참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둘레부재(11)의 상측 측면 및 하측 측면에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개구부(11a)에 대응하여 광원부(3)가 설치됨으로써, 베이스 패널(1)의 상측 및 하측에도 조명이 형성된다면, 외곽부재(51)의 가로부(511)가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베이스 패널(1)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된 조명을 간접조명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은 보다 부드럽고 고른 조명을 실현시킬 수 있고, 향상된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접조명형태의 조명(L)을 통해 조작 패널의 미려한 외장적 형태를 연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탑승한 탑승객의 눈부심을 예방하므로 탑승자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외곽부재(51)는 개구부(11a)를 통해 출사되는 빛이 전방에 대하여 간접조명을 형성하도록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곽부재(51)는 개구부(11a)를 통해 출사되는 빛의 전방을 향한 직접적인 출사를 최소화하는 크기(t)만큼 둘레부재(11)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곽부재(51)에 의해 외측으로 형성된 단차의 크기(t)가 도 8에 도시된 상태보다 작게(짧게) 되면, 외곽부재(51)의 후면이나 벽면(0)에 1회 이상 반사되지 않고 곧장 전방을 향해 출사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곽부재(51)의 단차 크기가 짧아질수록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접적인 광 조사로 인한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곽부재(51)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크기(t)는 은은한 간접 조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형성되는 조명의 조명도 조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부(3)와 개구부(11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명도를 설정할 수도 있지만, 외곽부재(51)에 의해 외측으로 형성된 단차의 크기(t)를 조정하여 개구부(11a)를 통과한 빛이 전방으로 출사되기까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명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외곽부재(51)는 개구부(11a)가 노출되도록 둘레부재(11)의 일부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7을 참조하면, 외곽부재(5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둘레부재(11)의 개구부(11a)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로 둘레부재(11)의 외측을 감싸게 둘레부재(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광원부(3)에서 출사된 빛은 개구부(11a)를 통과한 직후 외곽부재(51)와 벽면(0)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간접조명(L)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외곽부재(51)의 세로부(513)는 압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압출은 일정한 관이나 봉 형태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공 방법으로서, 세로부(513)를 이루는 재료를 사출구에 주입하고, 사출구를 통과하여 형성된 세로부(513)의 원형(prototype)을 설정된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세로부(513)를 형성할 수 있다. 설정된 길이는 세로부(513)가 커버부(53)의 양측면에 상하 방향(높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커버부(53)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조작 패널용 외부트림의 제조방법은 세로부(513)를 압출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외부트림의 제작에 있어서, 높이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세로부(513)를 이루는 재질은 예시적으로 알루미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와 커버 플레이트(5)는 둘레부재(11)와 외곽부재(51)의 체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둘레부재(11)와 외곽부재(51)의 체결은 경첩(9)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베이스 플레이트 11: 둘레부재
11a: 개구부 11b: 광투과성 부재
3: 광원부 31: 좌측 광원부
33: 우측 광원부 5: 커버 플레이트
51: 외곽부재 511: 가로부
513: 세로부 53: 커버부
7: 마운팅부 81: 버튼
83: 디스플레이패널 9: 경첩

Claims (10)

  1.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에 있어서,
    둘레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된 둘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둘레부재의 측면에는 빛이 출사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여 상기 둘레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곽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거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외측으로의 빛의 출사량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상기 광원부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사되는 빛이 전방에 대하여 간접조명을 형성하도록 상기 둘레부재의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재는 상기 개구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둘레부재의 일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것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가 장착되는 마운팅부를 상기 둘레부재의 내측에 더 포함하는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광투과성 부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부재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확산 또는 산란시키는 재질 또는 형상을 갖는 것인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재의 좌측 측면 및 우측 측면 각각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좌측 광원부 및 우측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광원부는 상기 좌측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우측 광원부는 상기 우측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빛이 출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KR1020130038072A 2013-04-08 2013-04-08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KR10146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072A KR101462636B1 (ko) 2013-04-08 2013-04-08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072A KR101462636B1 (ko) 2013-04-08 2013-04-08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42A KR20140121942A (ko) 2014-10-17
KR101462636B1 true KR101462636B1 (ko) 2014-11-19

Family

ID=5199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072A KR101462636B1 (ko) 2013-04-08 2013-04-08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6315A (zh) * 2019-09-06 2019-11-12 成都新潮传媒集团有限公司 一种整体式安装电梯多媒体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28A (ja) * 1995-07-24 1997-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かご内操作盤
JP2004203616A (ja) 2002-10-31 2004-07-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操作盤
JP2011111282A (ja) 2009-11-26 2011-06-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副操作盤
KR20130000522U (ko) * 2011-07-13 2013-01-23 김길홍 개폐식 광고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28A (ja) * 1995-07-24 1997-02-10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かご内操作盤
JP2004203616A (ja) 2002-10-31 2004-07-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操作盤
JP2011111282A (ja) 2009-11-26 2011-06-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副操作盤
KR20130000522U (ko) * 2011-07-13 2013-01-23 김길홍 개폐식 광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42A (ko)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8869A (en) Puddle and footwell lighting integrated into a speaker grille
JP2014175199A (ja)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のリアパネル
US20210062993A1 (en) Signa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13048448A (zh) 车辆照明系统和照明方法
DE112014000694T5 (de) Schminkbeleuchtungs- und Betätigungsanordnung für Sonnenblenden von Fahrzeugen
JP6279394B2 (ja) 車両用発光装置
ES2693586B2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para un vehículo, y portón trasero asociado.
JP2010229693A (ja) 面発光機能付き建築用壁パネル
JP2019075283A (ja) グリルイルミネーション
JP6755246B2 (ja) 自動車室内用照明装置
JP5907143B2 (ja) 照明装置
KR101462636B1 (ko) 간접조명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작 패널
JP2015209105A (ja) 車両用発光装置
JP2014094656A (ja) 加飾照明装置
KR20140015580A (ko) 차량 인테리어용 조명 장치
JP2008094317A (ja) 自動車用照明装置
TWM549174U (zh) 汽車尾燈
JP6973273B2 (ja) 乗物用照明装置
US20180335194A1 (en) Light-emit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US10595650B2 (en) Hidden Lighting for a display space
JP2020138712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ランプ設置構造および車両用バックドア
JP6109912B2 (ja) 光装飾装置
JP5818119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7164229B1 (ja) 建物外壁の照明構造
CN216734181U (zh) 格栅灯、前格栅、前保险杠和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