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473B1 - 농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473B1
KR101460473B1 KR1020140058419A KR20140058419A KR101460473B1 KR 101460473 B1 KR101460473 B1 KR 101460473B1 KR 1020140058419 A KR1020140058419 A KR 1020140058419A KR 20140058419 A KR20140058419 A KR 20140058419A KR 101460473 B1 KR101460473 B1 KR 10146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body frame
guide
discharge passag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계훈
Original Assignee
노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계훈 filed Critical 노계훈
Priority to KR1020140058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5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using material mover cooperating with retainer, deflector or dischar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0Screens in the form of endless mov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지므로써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작업장에서 직접 배출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선별대상물의 형상을 고려한 선별부재을 작업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장치{Agricultural grader}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확한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지므로써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고,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작업장에서 직접 배출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선별대상물의 형상을 고려한 선별부재을 작업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확된 농산물은 크기나 무게에 따라 선별하여 그 등급을 정하는 선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래 통상적인 농산물의 크기를 선별하는 선별작업은 여러 작업자의 수작업에서 이루어지거나 기계화된 선별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농산물이라 함은 통상의 과일, 채소 및 뿌리작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서, 본원에서는 농산물 중 통마늘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인 종래의 통마늘 선별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62537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칭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별하고자 하는 마늘이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면서 복수의 칸막이가 설치되어 칸칸으로 나뉘어져 있는 선별부재 사이를 통과하면서 마늘을 선별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1의 경우 고정되어 있는 선별부재의 폭에 따라 작은 폭을 가지는 전방으로 크기가 큰 마늘이 유입될 경우,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4681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칭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송되는 통마늘에 진동을 주어 고르게 펴주면서 통마늘의 진행방향으로 칸칸이 나누어진 진동판을 통하여 이송되는 통마늘을 촬영과 함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통마늘을 선별하는 선별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선별장치의 구조가 상당히 복작함은 물론 제작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됨과 아울러 제어부에서 약간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 선별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1184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칭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선별스프링 상에서 통마늘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별스프링의 설정된 간격에 따라 선별하는 기술 또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선별스프링의 셋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와, 선별스프링의 셋팅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선별스프링의 간격 유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선별작업이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와 투자의 결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65158호(이하 선행특허문헌 4라 칭함)의 발명을 완성하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선행특허문헌 4의 경우도 다음과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선별부재에 놓여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마늘이 배출통로(26)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선별부재의 경사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그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26)까지 도달해야 하나, 선별부재의 경사가 완만하여 배출통로에 까지 도달하는 속도가 배출통로의 크기가 커지는 속도보다 느려 마늘의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를 지나 마늘의 직경보다 큰 배출통로에서야 비로소 배출통로에 도달하므로 마늘이 정확한 직경에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상이한 선별대상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이에 따라 배출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나 이에 대한 구성이 없어 상기 장치가 범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셋째,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상이한 선별대상물의 형상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선별부재의 구조를 달리하여야 하나 이에 대한 구성이 없어 상기 장치가 범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넷째, 상기 다양한 형태의 선별부재을 구비한 하더라도 상기 선별부재을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상기 장치가 범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62537호 선행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46818호 선행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91184호 선행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651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있다.
첫째, 선별부재에 놓여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선별대상물이 그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26)가 형성되기 전에 그 배출통로에 까지 도달해 있을 수 있도록 선별부재에서의 이동속도를 향상시켜 정확한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둘째,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작업장에서 직접 배출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셋째,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서로 상이한 선별대상물의 형상을 고려한 선별부재을 제안함으로써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넷째, 아울러 다양한 형태의 선별부재을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작업장에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00);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상단이 힌지연결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선별부재(300);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선별가이드(400);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선별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의 폭을 조절하는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가이드(400)는 상기 선별부재가 이송되는 방향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고,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는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510);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수직나사봉(520); 상기 수직나사봉 일단에 형성된 핸들(530); 상기 수직나사봉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가이드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봉(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봉(540)은 상기 선별가이드(400)의 결합홀(410)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5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나사봉(520)이 상기 수평봉(540)을 승하강시키고, 수평봉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선별가이드(400)도 승하강하게 되어 상기 선별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선별가이드는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면에 단을 형성하여 되고, 상기 단은 계단형 또는 요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선별부재는 중앙에 선별판연결부 및 양단에 각각 삽입단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연결되는 힌지봉; 및 상기 일측이 상기 선별판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선별가이드에 얹혀지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선별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단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의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길게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지닌다.
첫째, 선별부재에 놓여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선별대상물이 그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26)가 형성되기 전에 그 배출통로에 까지 도달해 있을 수 있도록 선별부재에서의 이동속도를 향상시켜 정확한 크기별 선별이 이루어지므로써 사용자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작업장에서 직접 배출통로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서로 상이한 선별대상물의 형상을 고려한 선별부재을 제안함으로써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아울러 다양한 형태의 선별부재을 작업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작업장에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선별장치로 다종의 선별대상물에 적용이 가능하게 하여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 전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재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본체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재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재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가이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배출통로폭조절부재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별장치는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00),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상단이 힌지연결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선별부재(300),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선별가이드(400)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상기 배출통로(600)의 폭을 조절하는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가이드는 통상의 축이나 좁은 폭의 조절판인 선별가이드를 상기 선별부재의 하부자유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경사지게 장착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와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선별부재는 상기 선별가이드에 의해 서로 덮혀지는 면적이 넓은 상태에서 점점 좁은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그 선별부재 사이의 배출통로의 폭이 이송과 함께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선별부재가 눕혀진 상태에서 이송과 함께 상기 선별가이드의 경사도에 따라 점점 세워지는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배출통로의 폭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선별부재의 상부로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대상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회전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선별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의 폭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선별대상물은 그에 해당되는 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되어지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선별가이드의 경사는 배출통로폭조절부재에 의해 조절되어 상기 배출통록의 폭이 결정된다.
이로서, 상기 선별부재 사이의 배출통로로 배출되는 선별대상물은 그 선별부재의 본체 프레임 하부 에 장착된 가이드부재(130)에 의해 선별장치의 외부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프레임은(1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상 직사각형 형태로 일정 높이와 폭 및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선별부재가 눕혀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의 폭 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지지대(110) 또는 복수의 지지대를 구비한다. 아울러 후술할 개폐구(120)를 상단 스프로켓(230)이 설치된 위치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대상물을 공급하는 공급호퍼와 그 선별대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을 털어 내기 위한 통상의 브러쉬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선별부재를 이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어, 공지의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통상의 엔드리스체인일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의 회전동작은 통상적으로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통상의 모터(210)와, 그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이나 스프로킷(230) 등이 동력전달수단(2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루어진다. 상기 휠이나 스프로킷은 본체 프레임의 내측 양 끝단 상,하부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선별부재(300)는, 도 3을 참조하면, 선별대상물을 지지하면서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판 형태로 상단이 공지의 핀 결합이나 축 결합 등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하단은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하게 되어 결국 회전부재 상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선별부재는 통상적인 방식의 브래킷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선별부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서
상기 선별부재는 중앙에 선별판연결부(311) 및 양단에 각각 삽입단(31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연결되는 힌지봉(310) 및 상기 일측이 상기 선별판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선별가이드에 얹혀지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선별판(320)을 포함하되, 상기 양단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의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길게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선별부재의 선별판 하단을 자유단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교체의 용이성을 상기 선별부재의 조립과정을 상기 구조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재를 통상의 체인으로 볼때, 일측 체인에 형성된 결합공에 일측 삽입단(312-a)을 끼우고 타측 체인에 형성된 결합공에 타측 삽입단(312-b)을 끼워 각각을 너트로 조립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때, 선별판연결부에는 상기 선별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 삽입단(312-a)의 길이가 타측 삽입단(312-b)의 길이 보다 약 두배 정도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측 삽입단을 상기 선별판연결부의 선별판이 결합공에 닿을 때까지 밀어 넣으면 타측 결합공에 타측 삽입단을 끼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상기 선별부재를 상기 반대방향으로 빼면서 다시 타측 결합공에 타측 삽입단을 끼운 후 너트 조립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서 상기 체인을 모두 풀러 상기 선별부재를 결합하는 기존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의 사용 중에 수리 또는 다른 대상물의 선별을 위해 상기 선별부재를 교체하고자할 때 상기 구조는 매우 유용할 것이나, 좀더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선별장치의 상단 스포로켓(230)이 위치하는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선별부재 교체용 개폐구(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개폐구가 형성된 위치는 상기 체인이 상기 스프로켓에 의해 곡선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간으로서, 상기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고 있다.
아울러 선별대상물의 크기 및 형상을 고려하여 상기 선별부재의 선별판 구조를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농산물 중 마늘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육쪽 마늘로 명명되는 국산 마늘의 경우 스페인산 마늘에 비하여 마늘대가 단단하여 절단이 쉬운 윗쪽 부분을 절단함에 따라 마늘대의 길이가 매우 길게 남아 있는 상태로 선별장치에 투입된다. 따라서 선별 대상 마늘이 그 크기에 맞는 배출통로에 도달했다 할지라도 상기 마늘대로 인해 낙하하지 못하고 다음 크기의 배출통로로 낙하하여 신뢰성에 큰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은, 도 6을 참조하면, 일정 깊이의 홈을 복수개 형성하여 요철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마늘은 항상 홈, 즉 요부(321)에 위치하게 되고 마늘대는 돌출부, 즉 철부(322) 또는 앞쪽 선별판연결부(311)에 놓이게 되어 배출통로가 마늘의 직경으로 형성되면 마늘대를 중심으로 무거운 마늘쪽이 회전하면서 낙하하기 때문에 가능해진다. 이러한 구조는 비단 마늘을 일례로 들었지만 형상이 다른 선별대상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선별가이드(400)는,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받치고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하기할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받칠 수 있는 위치라면 반드시 본체프레임 내부에 있을 필요는 없다.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선별가이드에는 결합홀(4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선별부재의 경우, 선별대상물은 상기 선별판 위에 얹혀져 이송되면서, 이러한 선별판의 자유단이 선별가이드의 경사를 따라 앞쪽 선별부재와의 폭을 넓히면, 즉 배출통로를 형성하면 상기 선별대상물은 그 배출통로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구조로서, 이 경우 선별부재에 놓여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선별대상물이 배출통로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선별부재의 경사방향으로 자중에 의해 미끄러져 그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까지 도달해야 하나, 선별부재의 경사가 완만하여 배출통로에 까지 도달하는 속도가 배출통로의 크기가 커지는 속도보다 느려 선별대상물의 직경에 맞는 배출통로를 지나 선별대상물의 직경보다 큰 배출통로에서야 비로소 배출통로에 도달하므로 선별대상물이 정확한 직경에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선별가이드는 선별부재가 이송되는 방향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면에 단을 형성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의 선별가이드는 단순히 선별부재가 이송되는 방향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완만한 직선부로 형성되었으나, 본원에서는 이러한 경사를 단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선별판의 자유단이 상기 단을 지나면서 상기 선별판에 충격을 주어 상기 선별판에 얹혀있는 마늘이 상기 선별판의 경사를 타고 더 빨리 배출통로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단의 실시형태는 단순히 계단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면을 앞쪽면(g) 보다 일정깊이(약 15mmm) 낮게 형성하여 다음면(h)을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상기 단의 실시형태는 요철형으로 하향 경사지게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앞쪽면(c)에서 1.5mm 낮게 형성하여 면(d)을 만들고 여기서 다시 2mm 높게 형성하여 면(e)를 만들고 여기서 다시 3.5mm 낮게 면(f)을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여 형성한다.
상기 요철형 테이퍼는 계단형 테이퍼에 비해 상기 선별판에 주는 충격이 훨씬 커서 선별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효과가 훨씬 크다. 그 이유는 계단형의 경우 상기 선별판이 면(g)에서 수평형태로 이동하다가 계단의 단을 지날때 아래로 떨어져서 다시 면(h)를 수평형태로 지나는 것을 반복하므로 단을 지날때만 아래로 떨어지는 충격을 주는 반면, 요철형의 경우 면(c)에서 수평형태로 이동하다가 요부를 지날때 아래로 떨어져서 다시 면(d)를 수평형태로 지나다가 철부를 만나 위로 튕겨진 후 다시 면(e)에서 수평형태를 지나다가 다시 상기 면(d) 보다 훨씬 깊은 요부를 만나 더 큰 충격으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반복하므로 그 충격량은 훨씬 커서 배출통로에 까지 도달하는 속도가 훨씬 빠르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선별이 끝나는 부분, 즉 상기 선별가이드의 끝부분에는 가장 큰 낙차를 두고 단을 형성하므로써, 선별 중 선별대상물의 크기가 매우 커서 정상적인배출통로로 배출되지 못한 경우 한꺼번에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서 선별대상물이 선별장치 내부로 들어가 내부의 장치를 훼손시키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는,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선별가이드에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선별가이드가 자체적으로 경사를 이루고 있기는 하나, 상기 선별가이드의 경사이 외에 경사도를 더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크기 및 형상이 다른 여러종류의 선별대상물에 전용 선별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는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510),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수직나사봉(530), 상기 수직나사봉 일단에 형성된 핸들(520), 상기 수직나사봉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가이드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봉(5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봉은 상기 선별가이드의 결합홀(410)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수직나사봉이 상기 브라켓과 결합하면서 상기 수평봉을 승하강시키고, 수평봉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선별가이드도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당연히 상기 선별가이드이 승하강은 상기 배출통로의 폭을 결정하는 함수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할 있다. 여기서 본체프레임의 일단은 시작측일 수 있고, 타단은 종료측일 수 있다. 이로서 상기 본체 프레임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된 배출통로폭조절부재의 각각의 조작을 통해 상기 선별가이드의 경사는 시이소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가 선별대상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측에 각각 형성된 배출통로폭조절부재를 조절하여 선별 시작측과 선별 종료측의 배출통로의 폭을 설정할 수 있게 되어 크기가 작은 선별대상물 역시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프레임
110: 지지대 120: 개폐구 130: 신축식 지지부
200: 회전부재
210: 모터 220: 동력전달수단 230: 상단 스프로켓
300: 선별부재
310: 힌지봉 320: 선별판
330: 안착체 331: 이송돌기
400: 선별가이드 410: 결합홀
500: 배출통로폭조절부재
510: 브라켓 520: 핸들
530: 수직나사봉 540: 수평봉

Claims (8)

  1. 본체 프레임(100); 상기 본체 프레임의 양측에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00);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상단이 힌지연결되어 이송되는 복수의 선별부재(300);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선별가이드(400);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선별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의 폭을 조절하는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를 포함하되,
    상기 선별가이드(400)는 상기 선별부재가 이송되는 방향의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고,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500)는 상기 본체프레임 일측에 부착되는 브라켓(510);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는 수직나사봉(520); 상기 수직나사봉 일단에 형성된 핸들(530); 상기 수직나사봉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선별가이드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봉(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봉(540)은 상기 선별가이드(400)의 결합홀(410)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5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직나사봉(520)이 상기 수평봉(540)을 승하강시키고, 수평봉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선별가이드(400)도 승하강하게 되어 상기 선별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의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폭조절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가이드는 상기 선별부재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면에 단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은 계단형 또는 요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재는 중앙에 선별판연결부 및 양단에 각각 삽입단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단이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연결되는 힌지봉; 및
    상기 일측이 상기 선별판연결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선별가이드에 얹혀지는 자유단을 형성하는 선별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단에 각각 형성된 삽입단의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길게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KR1020140058419A 2014-05-15 2014-05-15 농산물 선별장치 KR10146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19A KR101460473B1 (ko) 2014-05-15 2014-05-15 농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419A KR101460473B1 (ko) 2014-05-15 2014-05-15 농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0473B1 true KR101460473B1 (ko) 2014-11-10

Family

ID=5228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419A KR101460473B1 (ko) 2014-05-15 2014-05-15 농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4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130A (ja) * 1990-09-19 1993-06-01 Koninkl Ptt Nederland Nv 偏移装置
JPH0619878U (ja) * 1992-04-03 1994-03-15 ウワヰ産業株式会社 選果機
KR200257388Y1 (ko) * 2001-09-05 2001-12-24 주식회사 세한테크 과일 선별기
KR101365158B1 (ko) * 2013-11-25 2014-02-20 윤석숙 뿌리작물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130A (ja) * 1990-09-19 1993-06-01 Koninkl Ptt Nederland Nv 偏移装置
JPH0619878U (ja) * 1992-04-03 1994-03-15 ウワヰ産業株式会社 選果機
KR200257388Y1 (ko) * 2001-09-05 2001-12-24 주식회사 세한테크 과일 선별기
KR101365158B1 (ko) * 2013-11-25 2014-02-20 윤석숙 뿌리작물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960B1 (ko) 유충 선별기
JP5777560B2 (ja) 養殖貝の自動選別装置
US20170164649A1 (en) Method for separating the shell from seeds or fruit, sift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CN108993855B (zh) 筛分装置
KR101365158B1 (ko) 뿌리작물 선별장치
CN107115925B (zh) 一种集样品破碎与筛选于一体的装置
JP2020028820A (ja) 養殖貝の選別装置 以上
CN110732486A (zh) 一种贝壳筛选装置
CN106076813A (zh) 肠形动物自动筛选上料装置
KR101460473B1 (ko) 농산물 선별장치
KR101804507B1 (ko) 선별장치
KR101448430B1 (ko)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US2728455A (en) Grading machine for shrimps
CN109909149A (zh) 核桃摇晃筛分机
KR101460474B1 (ko) 마늘 선별장치용 선별판
KR101768551B1 (ko) 브러쉬 헤드 자동 분리선별기
CN108968120B (zh) 大蒜加工系统
KR101302907B1 (ko) 농산물 선별장치
JPH07213267A (ja) なめこ茸の茎切り機における被切断なめこ茸の選別方法と選別装置
JPH07213269A (ja) なめこ茸の茎切り機
KR101539062B1 (ko) 콩 선별장치
US2376128A (en) Pocket trommel
KR20120140507A (ko) 피잣 선별장치
CN208213603U (zh) 核桃摇晃筛分机
CN117461427A (zh) 百合种球鳞茎播种线及其播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