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388Y1 - 과일 선별기 - Google Patents

과일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388Y1
KR200257388Y1 KR2020010027149U KR20010027149U KR200257388Y1 KR 200257388 Y1 KR200257388 Y1 KR 200257388Y1 KR 2020010027149 U KR2020010027149 U KR 2020010027149U KR 20010027149 U KR20010027149 U KR 20010027149U KR 200257388 Y1 KR200257388 Y1 KR 200257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fruit
front case
rear cas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한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7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388Y1/ko

Link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체인스프로킷에 의해서 무한 회전하는 체인에 다수의 선별대를 선회가능하게 장착하고, 선별대의 하부에는 선별대의 끝단이 슬라이딩 되는 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경사판에 슬라이딩 되는 선별대과 또 다른 선별대의 간격에 따라서 투입되는 과일을 크기에 맞게 선별할 수 있는 과일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는 다수의 연결바아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면케이스 및 배면케이스를 구비하고, 전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의 사이에는 배면케이스의 내측면 상에서부터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전면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다수의 배출플레이트가 형성된 하우징; 전면케이스 및 배면케이스의 내측 상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체인스프로킷, 제 2 체인스프로킷 및 내측 하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3 체인스프로킷, 제 4 체인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체인스프로킷에는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내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 1 체인 및 제 2 체인이 감겨지며, 제 1 체인 및 상기 제 2 체인의 하부에는 각각의 경사판이 배치된 이송부; 및 결합공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삽입되어 투입되는 과일을 안내하는 고정축을 구비하고, 고정축에는 끝단 양측이 경사판을 따라서 안내되는 안내판이 형성된 선별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일 선별기{Fruit grader}
본 고안은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스프로킷에의해서 무한 회전하는 체인에 다수의 선별대를 선회가능하게 장착하고, 선별대의 하부에는 선별대의 끝단이 슬라이딩 되는 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경사판에 슬라이딩 되는 선별대과 또 다른 선별대의 간격에 따라서 투입되는 과일을 크기에 맞게 선별할 수 있는 과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선별기는 생산된 과일의 상품성울 증대시키기 위하여 포장시에 과일의 크기나 중량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선별하는 장치이다. 과수농가에서 생산된 과일은 각기 중량이나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출하전 포장시에 크기나중량에 따라 선별하는 작업을 통하여 상품의 등급을 정해야 한다. 소규모의 과수농가에서는 사람의 시각적인 판단에 따라 생산된 과일을 선별하였으나, 과수농가의 인력난 및 농가가 대규모 단위영농화되고 있는 현재의 추세에는 과일을 자동으로 선별하는 과일 선별기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과일 선별기들은 투입되는 과일의 무게에 따라서 선별하기 때문에 작은 예를 들어 방울토마토 등과 같은 크기가 작은 과일들은 선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체인스프로킷에 의해서 무한 회전하는 체인에 다수의 선별대를 선회가능하게 장착하고, 선별대의 하부에는 선별대의 끝단이 슬라이딩 되는 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경사판에 슬라이딩 되는 선별대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투입되는 과일을 크기에 맞게 선별할 수 있는 과일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 케이스를 분리하여 선별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별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과일 선별기 110 : 하우징
114a : 전면케이스 114b : 배면케이스
116 ; 배출플레이트 130 : 이송부
142a : 제 1 체인 142b : 제 2 체인
160 : 선별대 162 : 고정축
164 : 회전통 166 : 안내판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다수의 연결바아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면케이스 및 배면케이스를 구비하고, 전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의 사이에는 배면케이스의 내측면 상에서부터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전면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다수의 배출플레이트가 형성된 하우징;
전면케이스 및 배면케이스의 내측 상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체인스프로킷, 제 2 체인스프로킷 및 내측 하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3 체인스프로킷, 제 4 체인스프로킷을 구비하고, 체인스프로킷에는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내측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 1 체인 및 제 2 체인이 감겨지며, 제 1 체인 및 상기 제 2 체인의 하부에는 각각의 경사판이 배치된 이송부; 및
결합공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삽입되어 투입되는 과일을 안내하는 고정축을 구비하고, 고정축에는 끝단 양측이 경사판을 따라서 안내되는 안내판이 형성된 선별대를 포함하는 과일 선별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체인스프로킷에 의해서 무한 회전하는 체인에 다수의 선별대를 선회가능하게 장착하고, 선별대의 하부에는 선별대의 끝단이 슬라이딩 되는 경사판을 구비함으로써, 경사판에 슬라이딩 되는 선별대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투입되는 과일을 크기에 맞게 선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선별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전면 케이스를 분리하여 선별기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100)는 하우징(110), 이송부(130) 및 선별대(16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다수의 연결바아(112)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면케이스(114a)와 배면케이스(114b)의 사이에는 배면케이스(114b)의 내측면 상에서부터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전면케이스(114a)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다수의 배출플레이트(116)가 형성되며,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의 상단 인접위치에는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를 수직하게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 1 간격조절공(118a) 및 제 2 간격조절공(도시되지않음)이 형성된다.
한편,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의 상부에는 전면케이스(114a)의 상부에서 배면케이스(114b)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1 상판(120a) 및 배면케이스(114b)의 상부에서 전면케이스(114a)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2 상판(120b)이 배치된다. 이때, 제 1 상판(120a) 및 제 2 상판(120b)의 어느 하나의 연장부에는 수직하게 하우징(1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플레이트(122)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이송부(130)가 배치된다.
이송부(130)(도 2참조)는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의 내측 상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 제 2 체인스프로킷(134a, 134b) 및 내측 하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3 체인스프로킷(136a, 136b), 제 4 체인스프로킷(138a, 138b)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서로 대응하게 배치된 각각의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 제 2 체인스프로킷(134a, 134b), 제 3 체인스프로킷(136a, 136b) 및 제 4 체인스프로킷(138a, 138b)은 각각의 회전축(140a, 140b, 140c, 140d)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배치된 각각의 체인스프로킷(132a, 132b, 134a, 134b, 136a, 136b, 138a, 138b)에는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이 감겨지게 된다.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내측에는 결합공(144a, 144b)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편(146a, 146b)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경사판(148a, 148b)은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의 일측에서 제 2 스프로킷(134a, 134b)의 인접위치까지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연장된다. 이러한 경사판(148a, 148b)의 하부면 상에는 높이조절플레이트(150a, 150b)가 각각 배치되며, 높이조절플레이트(150a, 150b)의 일측에는 제 1 간격조절공(118a) 및 제 2 간격조절공을 관통하여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의 외부로 연장되는 환형돌기(152a, 152b)가 형성된다. 이때, 환형돌기(152a, 152b)의 원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렇게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의 외부로 돌출된 환형돌기(152a, 152b)는 암나사와 결합하여 제 1 간격조절공(118a) 및 제 2 간격조절공을 따라서 경사판(148a,148b)을 상하로 안내한다. 한편, 경사판(148a, 148b)의 일단에는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측으로 연장되고 경사판(148a, 148b)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는 위치보정편(154a, 154b)(도 4참조)이 배치된다.
한편, 선별대(160)(도 3참조)는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에 형성된 결합편(146a, 146b)의 결합공(144a, 144b)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축(162)을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축(162)의 외주면상에는 고정축(162)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회전통(164)이 배치된다. 이때, 회전통(164)은 제 1 상판(120a) 또는 제 2 상판(120b)에 고정된 회전플레이트(122)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고정축(162)의 하부에는 안내판(166)이 배치된다. 안내판(166)은 고정축(162)의 양단 인접위치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편(168a), 제 2 돌출편(168b) 및 제 1 돌출편(168a)과 제 2 돌출편(168b)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편(168c)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연결편(168c)의 하부 양단은 경사판(148a, 148b)의 상부면을 따라서 안내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과일 선별기(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100)는 선별기(100)의 일측에 과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별도의 투입장치를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작업자는 선별기(100)의 동력전달장치(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켜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 제 2 체인스프로킷(134a, 134b), 제 3 스프로킷(136a, 136b) 및 제 4 체인스프로킷(138a, 138b)을 회전시킨다. 그 결과, 제 1 체인(142a)및 제 2 체인(142b)은 이송하게 되고,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의 다수의 결합편(146a, 146b)에 선회가능 하게 결합된 다수의 선별대(160) 역시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을 따라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별기(100)가 작동하면, 작업자는 투입장치의 과일을 선별기(100)에 투입한다. 투입된 과일은 선별기(100)의 상부 일단를 지나는 선별대(160)와 또 따른 선별대(160) 사이에 계속적으로 안치되며 이송된다. 이때, 안치된 과일과 함께 이송되는 선별대(160)와 또 따른 선별대(160)의 각각의 연결편(168c)은 경사판(148a, 148b)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경사판(148a, 148b)에 의해 간격이 차츰 넓어지게 벌어진다. 이와 같이 선별대(160)와 또 따른 선별대(160)의 각각의 연결편(168c)이 벌어지게되면 간격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과일은 배출플레이트(116)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경사판(148a, 148b)의 끝단을 이탈된 각각의 선별대(160)의 각각의 연결편은 자중에 의해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선별대(160)와 함께 경사판(148a, 148b)의 끝단을 이탈한 과일은 모두 배출플레이트(116)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각각의 선별대(160)의 각각의 회전통(164)은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을 따라서 이송될 때, 회전플레이트(122)의 하부에 밀착되어 회전하게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회전통(164)은 투입되는 과일을 선별대(160)의 양측으로 분포하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일 선별기(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 및 경사판(148a, 148b)를 가지는 이송부(130)를 구비하고, 이송부(13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사판(148a, 148b)를 따라서 이송되는 선별대(160)를 구비함으로써, 경사판(148a, 148b)에 슬라이딩 되는 선별대(160)과 또 다른 선별대(160)의 간격에 맞추어 투입되는 과일을 선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연결바아(112)에 의해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전면케이스(114a) 및 배면케이스(114b)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케이스(114a)와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사이에는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내측면 상에서부터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전면케이스(114a)의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다수의 배출플레이트(116)가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전면케이스(114a) 및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내측 상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 제 2 체인스프로킷(134a, 134b) 및 내측 하부면 모서리 인접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제 3 체인스프로킷(136a, 136b), 제 4 체인스프로킷(138a, 138b)을 구비하고, 상기 체인스프로킷(132a, 132b, 134a, 134b, 136a, 136b, 138a, 138b)에는 일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내측에는 결합공(144a, 144b)이 형성된 다수의 결합편(146a, 146b)이 돌출되게 형성된 제 1 체인(142a) 및 제 2 체인(142b)이 감겨지며, 상기 제 1 체인(142a) 및 상기 제 2 체인(142b)의 하부에 각각의 경사판(148a, 148b)이 배치된 이송부(130); 및
    상기 결합공(144a, 144b)에 각각 선회가능하게 삽입되어 투입되는 과일을 안내하는 고정축(162)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축(162)에는 상기 끝단 양측이 상기 경사판(148a, 148b)을 따라서 안내되는 안내판(166)이 형성된 다수의 선별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케이스(114a) 및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상단 인접위치에는 상기 전면케이스(114a) 및 상기 배면케이스(114b)를 수직하게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제 1 간격조절공(118a) 및 제 2 간격조절공(도시되지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케이스(114a) 및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상부에는 상기 전면케이스(114a)의 상부에서 상기 배면케이스(114b)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1 상판(120a) 및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상부에서 상기 전면케이스(114a)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 2 상판(120b)이 배치되며, 상기 제 1 상판(120a) 또는 상기 제 2 상판(120b)의 어느 하나의 연장부에는 수직하게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플레이트(122)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62)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고정축(162)의 외부를 감싸는 원통형상의 회전통(164)이 배치되며, 상기 회전통(164)은 상기 회전플레이트(122)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투입된 상기 과일을 상기 고정축(162)의 양측으로 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48a, 148b)은 상기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의 일측에서 상기 제 2 스프로킷(134a, 134b)의 인접위치까지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연장되며, 상기 경사판(148a, 148b)의 하부면 상에는일측면에 상기 제 1 간격조절공(118a) 및 상기 제 2 간격조절공을 관통하여 상기 전면케이스(114a) 및 상기 배면케이스(114b)의 외부로 연장되고 원주면 상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판(148a, 148b)의 높이를 조절하는 환형돌기(152a, 152b)가 형성된 높이조절플레이트(150a, 150b)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48a, 148b)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체인스프로킷(132a, 132b)의 연장되고 상기 경사판(148a, 148b)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는 위치보정편(154a, 154b)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66)은 상기 고정축(162)의 양단 인접위치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편(168a), 제 2 돌출편(168b) 및 상기 제 1 돌출편(168a)과 상기 제 2 돌출편(168b)의 연장부를 연결하며 상기 경사판(148a, 148b)의 상부면을 따라서 안내되는 연결편(168c)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판(148a, 148b)의 경사에 의해서 차츰 간격이 넓어지게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선별기.
KR2020010027149U 2001-09-05 2001-09-05 과일 선별기 KR200257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49U KR200257388Y1 (ko) 2001-09-05 2001-09-05 과일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49U KR200257388Y1 (ko) 2001-09-05 2001-09-05 과일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388Y1 true KR200257388Y1 (ko) 2001-12-24

Family

ID=7306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49U KR200257388Y1 (ko) 2001-09-05 2001-09-05 과일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3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58B1 (ko) 2013-11-25 2014-02-20 윤석숙 뿌리작물 선별장치
KR101448430B1 (ko) * 2014-05-15 2014-10-07 노계훈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KR101460473B1 (ko) * 2014-05-15 2014-11-10 노계훈 농산물 선별장치
KR101460474B1 (ko) * 2014-05-15 2014-11-10 노계훈 마늘 선별장치용 선별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158B1 (ko) 2013-11-25 2014-02-20 윤석숙 뿌리작물 선별장치
KR101448430B1 (ko) * 2014-05-15 2014-10-07 노계훈 농산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선별판가이드
KR101460473B1 (ko) * 2014-05-15 2014-11-10 노계훈 농산물 선별장치
KR101460474B1 (ko) * 2014-05-15 2014-11-10 노계훈 마늘 선별장치용 선별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7456A1 (en) Conveyor belt and method of assembly
CN206824200U (zh) 一种建筑垃圾分选装置
KR200257388Y1 (ko) 과일 선별기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US7195114B2 (en) Transfer units
CN211359650U (zh) 一种农产品智能分拣装置
KR101302871B1 (ko) 피잣 선별장치
KR200436900Y1 (ko) 스크류 선별장치
KR102188312B1 (ko)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CN106552763B (zh) 用于辣椒的多功能筛分装置
KR20210112585A (ko) 김치제조장치
US3799338A (en) Leaf separator
CN104289442B (zh) 香菇分选机
CN208850597U (zh) 一种油炸食品除水机
KR20180043714A (ko) 버섯선별기
CN110236429A (zh) 一种萝卜刨丝机
CN218925389U (zh) 一种茶叶加工房
CN217392905U (zh) 一种食品厂用的水果分选机
KR200284467Y1 (ko) 캘린더 고정클립 제조장치
CN220590780U (zh) 一种蔬菜分选装置
CN220607235U (zh) 一种油柑子去核机
KR100455757B1 (ko) 캘린더 고정클립 제조장치
CN218639749U (zh) 一种新式齿切机
US20060000689A1 (en) Conveying units
CN108813661B (zh) 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