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12B1 -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 Google Patents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312B1
KR102188312B1 KR1020180139276A KR20180139276A KR102188312B1 KR 102188312 B1 KR102188312 B1 KR 102188312B1 KR 1020180139276 A KR1020180139276 A KR 1020180139276A KR 20180139276 A KR20180139276 A KR 20180139276A KR 102188312 B1 KR102188312 B1 KR 102188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receiving
vegetables
pai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531A (ko
Inventor
조한희
Original Assignee
조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희 filed Critical 조한희
Priority to KR1020180139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48Driving means for the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 풀리 및 제2 구동 풀리;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들 사이의 개구부와 동일 수직 선상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개구부에 꼭지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채류의 꼭지를 커팅시키는 커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Apparatus for cutting of fruit vegetable stem}
본 발명은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나 고추 등 수확된 과채류의 꼭지를 자동으로 커팅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채류는 다른 과일류와는 달리 수확 후 일정 시일이 지나면 쉽게 변질될 우려가 크고, 단 기간에 집중적으로 수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직접 판매가 이루어지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수확 후 꼭지를 제거한 다음 가공식품용으로 별도 보관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쨈이나 주스 또는 케이크 등의 데코(deco) 용도로 사용되기 위한 과채류는 수확 후에 꼭지를 제거시킨 후, 질소 등에 의해 급속 냉동시킨 다음 냉동 창고 등에 보관하게 된다.
따라서, 단 기간에 수확된 다량의 과채류들은 작업자가 일일이 커터 등을 이용하여 꼭지를 커팅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게 되는데, 이의 경우 짧은 수확 기간 내에 많은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시켜 꼭지의 커팅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바, 인건비 등의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 작업 속도에 한계가 있어 생산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1995-0026294호(1995.10.16.) 한국공개실용 제1996-0009531호(1996.01.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 기간에 집중적으로 수확된 과채류의 꼭지를 자동으로 커팅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과채류가 커팅되기 위하여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과채류들의 꼭지를 모두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는, 중앙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 풀리 및 제2 구동 풀리;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들 사이의 개구부와 동일 수직 선상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개구부에 꼭지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채류의 꼭지를 커팅시키는 커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에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용벽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용벽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용벽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벽과 상기 제2 수용벽들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상부 쪽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획된 과채류의 수용 공간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커팅부는, 상기 회전 롤러의 원주 면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팅 날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수용벽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벽과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이송 벨트부의 상면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지지벽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벽의 수평부에는 상기 제1 수용벽의 수평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벽의 수직부는 상기 이송 벨트부의 상면과 이격되어 길이 방향의 인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벽은 상기 지지벽에 대하여 간격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부의 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용벽은, 저부에 양쪽 방향으로 연장된 인입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 돌기들이 상기 인입 홈에 인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간격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부의 체적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에 의하면, 단 기간에 집중적으로 수확된 과채류의 꼭지를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에 의하면, 과채류가 커팅되기 위하여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과채류들의 꼭지를 모두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꼭지가 붙어 있는 과채류와, 이 과채류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에 의해 꼭지가 커팅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가 다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는, 중앙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102)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와, 이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를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 풀리(140) 및 제2 구동 풀리(150)와,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 사이의 개구부(102)와 동일 수직 선상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개구부(102)에 꼭지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채류의 꼭지를 커팅시키는 커터(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에서, 개구부(102)와 인접한 위치에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용벽(112,122)과, 이 한 쌍의 제1 수용벽(112,122)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용벽(124)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벽(112,122)과 제2 수용벽(124)들에 의해 개구부(102)의 상부 쪽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획된 과채류의 수용 공간부(20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의 일측 상부 쪽에 배치되어 수확된 과채류(10) 즉, 꼭지(12)가 붙어 있는 상태의 과채류(10)들을 투입함에 따라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들에 순차적으로 과채류(10)가 수용되도록 하는 호퍼(104)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호퍼(104)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량의 과채류(10)를 한꺼번에 투입할 수 있으며, 점차 좁아지는 하단부를 통해 꼭지(12)를 갖는 과채류(10)는 낱개씩 수용 공간부(200)들에 순차적으로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호퍼(104)로 투입되어 수용 공간부(200)로 투입되는 과채류(10)에서, 꼭지(12)가 하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상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작업자가 호퍼(104)와 인접한 위치에서 꼭지(12)가 하방향을 이루도록 바꾸어주도록 할 수 있다.
즉, 커터(130)에 의해 꼭지(12)가 커팅되기 전에 꼭지(12)가 하 방향을 이루도록 배치를 바꾸어주도록 한다.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 풀리(140) 및 제2 구동 풀리(15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을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제1 수용벽(112,122)들과 이 한 쌍의 제1 수용벽(112,122)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용벽(124)들 또한 연동하여 한 쪽 방향으로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제1 구동 풀리(140) 및 제2 구동 풀리(150)는 각각 연결 축에 의해 양쪽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터(130) 또한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회전 롤러(132)와, 이 회전 롤러(132)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부(13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커팅부(134)는 회전 롤러(132)의 원주 면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36)와, 이 지지부(136)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팅 날(138)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130)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질 때, 복수의 커팅부(134)들이 회전됨에 따라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 상에 안착된 과채류(10)들의 꼭지(12)를 순차적으로 커팅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작동을 온(On) 시키게 되면, 제1 구동 풀리(140) 및 제2 구동 풀리(150)가 구동됨에 따라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는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커터(130) 또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에 대하여 각각 종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용벽(112,122)들과, 이 제1 수용벽(112,122)들의 내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수용벽(124)들도 연동하여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제1 수용벽(112,122)과 제2 수용벽(124)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들 또한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호퍼(104)를 통해 수확된 과채류(10) 즉, 꼭지(12)가 붙어 있는 상태의 과채류(10)들을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되는 과채류(10)는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부(20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수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들에 각각 과채류(10)들이 투입되되, 꼭지(12)가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꼭지(12)가 개구부(102)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의 이송 및 회전에 따라 복수의 과채류(10)들 또한 한 쪽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이송되는 과채류(10)의 꼭지(12)가 커터(1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되는 커터(130)의 커팅부(134)에 의해 꼭지(12)가 커팅된 후 계속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꼭지(12)가 붙어 있던 과채류(10)는 커터(130)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꼭지(12)가 커팅된 상태로 계속해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꼭지(12)가 커팅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채류(10)들은 해당 수용 공간부(200)가 제2 구동 풀리(150)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자유 낙하되어 별도의 포집 통(미도시됨)에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터(130)의 하부에는 커팅된 꼭지(12)들이 커터(130)의 하부 쪽에서 이송되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로 낙하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수거 플레이트가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에 의하면, 과채류(10)들 꼭지(12)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작업 인력을 줄일 수 있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C-C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D-D선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경우, 제1 수용벽(112,122)과 제2 수용벽(124)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됨에 따라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들은 모두 일정한 체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수확된 과채류(10)들의 크기가 다를 경우 꼭지(12)의 커팅 작업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부(200)들의 체적보다 크기가 큰 과채류의 경우, 수용 공간부(200)에 인입이 수월하지 않아 꼭지의 커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수용 공간부(200)들의 체적보다 크기가 작은 과채류의 경우 수용 공간부(200)에 인입된 상태에서 꼭지가 아래를 향하도록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꼭지 외의 다른 부위가 커팅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 공간부(200)를 형성하는 제1 수용벽과 제2 수용벽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용 공간부(200)의 체적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과채류들 꼭지를 커팅시킬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춘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를 제공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는, 앞선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와 제1 수용벽(112,122)과 제2 수용벽(124)의 구성만 상이할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그에 따른 작동 관계는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에서, 개구부(102)와 인접한 위치에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이 제1 수용벽(310,320)들은, 수직부(312,322)와, 이 수직부(312,322)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314,3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벽(310,320)들은 대략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에서, 제1 수용벽(310,320)들과 이격된 위치에는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벽(316,326)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한 쌍의 지지벽(316,326)들 또한 수직부(317,327)와, 이 수직부(317,327)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318,3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벽(310,320)의 수평부(314,324)와 지지벽(316,326)의 수평부(318,328)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1 수용벽(310,320)의 수평부(314,324)는 지지벽(316,326)의 수평부(318,328)에 삽입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벽(316,326)의 수평부(318,328)에는 삽입 홈(319,329)이 형성되되, 이 삽입 홈(319,329)에 제1 수용벽(310,320)의 수평부(314,324)가 삽입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경우, 지지벽(316,326)의 수직부(317,327)는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으로부터 고정되게 연결되는 반면, 제1 수용벽(310,320)의 수직부(312,322)는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수용벽(310,320)과 수직부(312,322)와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 사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인입 홈(350)이 형성되며, 이 인입 홈(350)에는 제2 수용벽(330)의 인입 돌기(332)가 인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구성 및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제1 수용벽(310,320)은 그 수직부(312,322)가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과 인입 홈(350)을 사이에 두고 떠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되나, 수평부(314,324)가 지지벽(316,326)의 수평부(318,328)에 형성된 삽입 홈(319,329)에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수용벽(310,3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수평부(314,324)가 지지벽(316,326)의 수평부(318,328)에 형성된 삽입 홈(319,329)에 삽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삽입 길이에 따라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짐이 가능하게 된다.
참고로, 제1 수용벽(310,320)의 수평부(314,324)는 지지벽(316,326)의 수평부(318,328)에 형성된 삽입 홈(319,329)에 삽입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빠지게 될 때, 설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자유 이동에 따라 간격이 임의로 조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 쌍의 제1 수용벽(310,320)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용벽(330)들은 그 저부에 양쪽 방향으로 연장된 인입 돌기(332)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인입 돌기(332)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벽(310,320)의 수직부(312,322)와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입 홈(350)에 인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2 수용벽(330)들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입 홈(35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간격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제2 수용벽(330)들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또는 좁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의 작동을 온(On) 시키게 되면, 제1 구동 풀리(140) 및 제2 구동 풀리(150)가 구동됨에 따라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는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동시에 커터(130) 또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에 대하여 각각 종 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용벽(310,320)과, 이 제1 수용벽(310,320)의 내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 수용벽(330)들도 연동하여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제1 수용벽(310,320)과 제2 수용벽(33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들 또한 회전 방향을 따라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호퍼(104)를 통해 수확된 과채류(10) 즉, 꼭지(12)가 붙어 있는 상태의 딸기나 고추 등과 같은 과채류(10)들을 순차적으로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되는 과채류(10)는 이송 및 회전이 이루어지는 수용 공간부(200)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수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수용 공간부(200)들에 각각 과채류(10)들이 투입되되, 꼭지(12)가 아래를 향하도록 투입되어 꼭지(12)가 개구부(102)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이송 벨트부(110,120)들의 이송 및 회전에 따라 복수의 과채류(10)들 또한 한 쪽 방향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송되는 과채류(10)의 꼭지(12)가 커터(1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회전되는 커터(130)의 커팅부(134)에 의해 꼭지(12)가 커팅된 상태로 계속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꼭지(12)가 붙어 있던 과채류(10)는 커터(130)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꼭지(12)가 커팅된 상태로 계속해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꼭지(12)가 커팅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채류(10)들은 해당 수용 공간부(200)가 제2 구동 풀리(150)를 통과하는 시점에서 자유 낙하되어 별도의 포집 통에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때, 꼭지(12)를 커팅하고자 하는 과채류(10)들의 크기가 크거나 또는 작은 경우, 과채류(10)의 크기에 따라 수용 공간부(200)의 체적을 조절한 후, 꼭지(12)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과채류(12)의 크기가 큰 경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벽(310,320)들의 수평부(314,324)들을 지지벽(316,326)들의 수평부(318,328)들에 형성된 삽입 홈(319,329)들에 더 깊게 삽입시킴에 따라 한 쌍의 제1 수용벽(310,320)들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고, 또한 제2 수용벽(330)들의 간격을 벌려서 수용 공간부(200)의 체적을 늘린 후 꼭지(12)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2 수용벽(330)들은 저부의 양 측에 형성된 인입 돌기(332)들이 제1 수용벽(310,320)의 저부와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인입 홈(350)을 따라 슬라이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간격이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과채류의 크기가 작은 경우,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벽(310,320)들의 수평부(314,324)들을 지지벽(316,326)들의 수평부(318,328)들에 형성된 삽입 홈(319,329)들로부터 빼냄에 따라 한 쌍의 제1 수용벽(310,320)들 간격을 좁히도록 하고, 또한 제2 수용벽(330)들의 간격을 줄여서 수용 공간부(200)의 체적을 줄인 후 꼭지(12)의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2 수용벽(330)들은 저부의 양 측에 형성된 인입 돌기(332)들이 제1 수용벽(310,320)의 저부와 이송 벨트부(110,12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인입 홈(350)을 따라 슬라이드가 이루어지게 되는바, 간격이 좁혀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100)에 의하면, 과채류(10)들의 꼭지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작업 인력을 줄일 수 있어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과채류(10)의 꼭지(12)가 커팅되기 위하여 과채류(1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200)의 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과채류들 꼭지를 모두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가 다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는 횡 방향으로 다열로 배치되고, 다열로 배치되는 과채류 커팅장치에 보다 많은 양의 과채를 투입하기 위하여 체적이 큰 호퍼(104-1)를 구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과채류 꼭지를 커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과채류 12 : 꼭지
100 : 커팅장치 102 : 개구부
110,120 : 이송 벨트부 112,122 : 제1 수용벽
124 : 제2 수용벽 130 : 커터
132 : 회전 롤러 134 : 커팅부
136 : 지지부 138 : 커팅 날
140 : 제1 구동 풀리 150 : 제2 구동 풀리
200 : 수용 공간부 310,320 : 제1 수용벽
312,322 : 수직부 314,324 : 수평부
316,326 : 지지벽 317,327 : 수직부
318,328 : 수평부 319,329 : 삽입 홈
330 : 제2 수용벽 332 : 인입 돌기
350 : 인입 홈

Claims (5)

  1. 중앙 부위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벨트부;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구동 풀리 및 제2 구동 풀리;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들 사이의 개구부와 동일 수직 선상에 배치되고 회전됨에 따라 개구부에 꼭지가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과채류의 꼭지를 커팅시키는 커터를 포함하되,
    상기 커터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팅부는, 상기 회전 롤러의 원주 면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커팅 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송 벨트부에서,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수용벽과,
    상기 한 쌍의 제1 수용벽들 사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수용벽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벽과 상기 제2 수용벽들에 의해 상기 개구부의 상부 쪽으로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획된 과채류의 수용 공간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벽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용벽과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이송 벨트부의 상면으로부터 종 방향으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직부와, 이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지지벽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벽의 수평부에는 상기 제1 수용벽의 수평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벽의 수직부는 상기 이송 벨트부의 상면과 이격되어 길이 방향의 인입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용벽은 상기 지지벽에 대하여 간격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부의 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벽은,
    저부에 양쪽 방향으로 연장된 인입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 돌기들이 상기 인입 홈에 인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간격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부의 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KR1020180139276A 2018-11-13 2018-11-13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KR10218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76A KR102188312B1 (ko) 2018-11-13 2018-11-13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276A KR102188312B1 (ko) 2018-11-13 2018-11-13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31A KR20200055531A (ko) 2020-05-21
KR102188312B1 true KR102188312B1 (ko) 2020-12-08

Family

ID=7091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276A KR102188312B1 (ko) 2018-11-13 2018-11-13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2679B (zh) * 2021-04-01 2022-12-13 崇义龙润果业有限公司 一种方便脐橙包装用脐橙枝叶去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6916B1 (ko) 1994-02-14 1999-05-01 모리시다 요이치 신호처리장치
KR0143024B1 (ko) 1994-08-12 1998-08-01 김광호 무선전화기의 대기상태 전환 장치 및 방법
JPH10229864A (ja) * 1997-02-19 1998-09-02 San Techno:Kk へた取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531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33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helical spiral food product and food product
CN108993855B (zh) 筛分装置
KR102188312B1 (ko) 과채류 꼭지 커팅장치
US9668493B2 (en) Shashlyk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shashlyks
JP5366165B1 (ja) 苺のヘタ取り装置
KR101849858B1 (ko) 과실 씨 분리장치
JP2016078135A (ja) 豆腐の切断装置及び豆腐のパック詰め装置
CN103798915B (zh) 一种大枣去核切片一体机
KR200480081Y1 (ko) 농산물 선별기
JP5818671B2 (ja) 選別搬送装置
JP5009578B2 (ja) 選別装置
US20210309446A1 (en) Fruit Processing, Packaging and Retail Display System
JP2008285328A (ja) 果菜自動選別方法及び果菜自動選別装置
CN110682342B (zh) 西兰花差速分选及二次均匀切块装置与方法
KR101283096B1 (ko) 수평형 야채 절단장치
US2961023A (en) Vegetable trimming machine
JP2016190725A (ja) 野菜搬送装置
KR200326135Y1 (ko) 육류 세절기
CN108652030A (zh) 用于香蕉剥皮加工的机器
CN111133886B (zh) 一种高秆作物立姿输送机
JP3162470U (ja) 選別装置
JP3915023B2 (ja) 食品用容器
KR20090125625A (ko) 마늘대 절단기
US20060163124A1 (en) Two-slat design for a small piece remover
US3478863A (en) Corn ear orie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