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013B1 -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013B1
KR101459013B1 KR20130068938A KR20130068938A KR101459013B1 KR 101459013 B1 KR101459013 B1 KR 101459013B1 KR 20130068938 A KR20130068938 A KR 20130068938A KR 20130068938 A KR20130068938 A KR 20130068938A KR 101459013 B1 KR101459013 B1 KR 10145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unit
screw feeder
opening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규
Original Assignee
(주)재인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인정공 filed Critical (주)재인정공
Priority to KR2013006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2001/002Device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samples to an analys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관에서 추출된 대상물의 샘플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수집 유닛; 복수의 샘플컵을 위치 가변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샘플컵 유닛; 및 상기 샘플컵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샘플컵 중 어느 하나가 위치 가변되어 상기 개방구에 대응되게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FACILITY FOR OBTAINING SAMPLE OF OBJEC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가 혼합되어야 한다. 이때, 각 재료는 파쇄되고 또한 메쉬를 거쳐서 일정 크기 이하인 경우에만 혼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축용 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사료첨가제나 약품 등의 각종 입상물이 사료 제조 설비에 의해 혼합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설비의 결함에 의해 첨가제 등이 잘못 혼합된 경우, 예를 들어 기준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 사료첨가제가 혼합될 수도 있다. 이는 완제품 사료의 품질의 문제로 연결된다.
이러한 사항을 사료 제조 중에 체크하기 위하여, 위의 사료 첨가제 등의 원료 또는 완제품 사료의 일부를 샘플링하여 확인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작업은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점에서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노동력 투입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샘플을 채취할 수 있게 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는, 이송관에서 추출된 대상물의 샘플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수집 유닛; 복수의 샘플컵을 위치 가변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샘플컵 유닛; 및 상기 샘플컵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샘플컵 중 어느 하나가 위치 가변되어 상기 개방구에 대응되게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샘플컵 유닛은, 상기 복수의 샘플컵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샘플컵 유닛은, 상기 회동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샘플컵 유닛은, 상기 샘플컵에 의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샘플컵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개방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과 상기 수집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된 샘플을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해 밀어내는 스크류 피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 유닛을 통해 상기 스크류 피더에 연통되어, 상기 스크류 피더에서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유동 형성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피더와 상기 수집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피더에서 상기 수집 유닛만으로의 상기 샘플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볼 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에는 상기 샘플의 추출을 위한 추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구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관에 결합되는 댐퍼;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구를 개폐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추출구 개방 시에 상기 추출된 샘플을 상기 스크류 피더로 안내하는 호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운전 방법은, 수집 유닛과 스크류 피더 사이의 볼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샘플컵을 이동시켜 상기 수집 유닛의 개방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스크류 피더에서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유동을 형성하는 단계; 이송관에서 추출되어 상기 스크류 피더로 유입된 대상물의 샘플을, 상기 스크류 피더를 가동하여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해 밀어내는 단계; 상기 볼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밀어내진 샘플이 상기 수집 유닛으로 유동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 유닛에 수집된 샘플을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샘플컵에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집 유닛에 수집된 샘플을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샘플컵에 받는 단계는, 상기 샘플컵을 복수 개로 마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샘플컵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샘플컵이 차례로 상기 샘플을 받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에 의하면, 사람의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샘플을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류 피더를 이용하여 샘플을 수집 유닛 측으로 밀어냄에 의해, 샘플 중에서 무거운 물질이 제대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볼 밸브를 이용하여 스크류 피더의 전단을 차폐함에 의해, 유동 형성 유닛에 의한 감압 효과를 높이고, 이송관에서의 수집 유닛 측으로의 압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집 유닛(110) 및 샘플컵 유닛(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크류 피더(14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추출 유닛(16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100)는, 수집 유닛(110)과, 샘플컵 유닛(120)과, 제어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100)는, 스크류 피더(140)와, 볼 밸브(150)와, 추출 유닛(160)과, 유동 형성 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집 유닛(110)은 이송관(C)으로부터 추출된 대상물(원료 또는 제품)의 샘플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수집 유닛(110)은 종 방향으로 길쭉한 통일 수 있다.
샘플컵 유닛(120)은 수집 유닛(110)에 수집된 샘플이 샘플컵(SC, 도 2)에 받아지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샘플컵 유닛(120)은 복수의 샘플컵(SC)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130)은 샘플컵 유닛(120)을 제어하여, 위 복수의 샘플컵(SC) 중 어느 하나가 위치 가변되어 수집 유닛(110)에 대응하게 한다. 제어 유닛(130)은, 샘플컵 유닛(120)에 더하여, 수집 유닛(110)과, 스크류 피더(140)와, 볼 밸브(150)와, 추출 유닛(160), 및 유동 형성 유닛(170)을 제어하기도 한다.
스크류 피더(140)는 이송관(C)과 수집 유닛(110) 사이의 연결 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된 샘플을 수집 유닛(110)을 향해 기계적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볼 밸브(150)는 스크류 피더(140)와 수집 유닛(11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관(C)과 스크류 피더(140)를 수집 유닛(110)과 연통시키거나 그들의 연통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추출 유닛(160)은 이송관(C)과 스크류 피더(140)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관(C) 내에서 이송되는 대상물의 일부(샘플)가 추출되게 한다. 추출 유닛(160)은 또한 이러하게 추출된 샘플이 스크류 피더(140)로 보내지게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유동 형성 유닛(170)은 수집 유닛(110)을 통해 스크류 피더(140)에 연통되어, 스크류 피더(140)에서 수집 유닛(110)을 향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유동 형성 유닛(170)으로는, 예를 들어 링 타입의 진공 블로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는 스크류 피더(140)와 수집 유닛(110)을 연결하는 라인 상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유동이 형성되게 한다. 상기 블로워는 수집 유닛(110)의 상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송관(C)에서 추출되어 수집 유닛(110)으로 수집된 샘플은 샘플컵 유닛(120)의 샘플컵(SC)에 받아진다. 여기서, 이송관(C)에서 수집 유닛(110)으로의 샘플의 이동은 샘플의 자유 낙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30)은 샘플컵 유닛(120)을 제어하여, 복수의 샘플컵(SC)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샘플을 받으면, 다른 하나를 변위시켜 그것이 다음 차례로 상기 샘플을 받도록 한다. 그에 의해, 사람이 관여하지 않고서, 복수의 샘플을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수집 유닛(110)에 샘플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유동 형성 유닛(170)을 가동하여 샘플이 수집 유닛(110)으로 (상기 자유 낙하 방식)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피더(140)는 추출된 샘플을 기계적으로 수집 유닛(110)을 향한 방향으로 밀어준다. 그에 의해, 유동 형성 유닛(170)만을 가동한 경우에 샘플 중에서 무게가 무거운 물질은 수집 유닛(110)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 밸브(150)는 스크류 피더(140)의 작동 시에만 개방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스크류 피더(140)의 비 작동 시에, 이송관(C)과 수집 유닛(110) 간의 차폐를 확실히 한다. 이러한 볼 밸브(150)는 장시간 사용에도 마찰이 적어서, 압력의 누설이 거의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송관(C)에서 스크류 피더(140)로 샘플을 추출하는 과정에서는, 추출 유닛(160)이 사용된다. 추출 유닛(160)은 샘플을 추출하는 경우만 이송관(C)의 추출구를 개방하여, 이송관(C)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수집 유닛(110), 샘플컵 유닛(120), 스크류 피더(140), 및 추출 유닛(16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도 1의 수집 유닛(110) 및 샘플컵 유닛(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집 유닛(110)은, 수집통(111)과, 개방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통(111)은 상기 샘플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개방구(113)는 수집통(111)의 일 단부, 예를 들어 하단부에 형성된다. 개방구(113)는 수집통(111)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한다. 개방구(113)는 샘플컵(SC)과 접촉되어 밀폐력을 높이기 위한 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샘플컵 유닛(120)은, 지지판(121)과, 구동부(123)와, 프레임(125)과, 감지부(127)와, 이동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21)은 대체로 원판형이며, 원주 방향을 따라 샘플컵(SC)을 수용하는 수용홀이 복수 개 갖는다. 본 도면에서는 2개의 샘플컵(SC)가 180도 각도를 이루고서 배열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구동부(123)는 지지판(121)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123)는, 구체적으로, 회동축(123a)과, 모터(123b)와, 감속기(123c)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축(123a)은 지지판(121)에 연결된다. 모터(123b)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감속기(123c)는 상기 구동력에 따른 회동축(123a)의 회전 속도를 감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모터(123b)의 출력축과 감속기(123c)의 입력축은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된다.
프레임(125)은 회동축(123a)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개구부를 가진다. 이러한 프레임(125)에는 모터(123b)와 감속기(123c)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127)는 회동축(123a)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감지체(127a)는, 구체적으로 감지체(127a)와, 피감지체(127b)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체(127a)는 피감지체(127b)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 신호를 제어 유닛(130)으로 전달한다. 피감지체(127b)는 회동축(123a)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표지이다.
이동부(129)는 샘플컵(SC)을 개방구(113)를 향해 이동시켜 개방구(113)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동부(129)는 개방구(113)의 중심축선을 따라 로드가 승강 방향(V)을 따라 진퇴 되는 이동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실린더의 작동은 제어 유닛(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실린더는 프레임(125)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샘플컵(SC) 중에 어느 하나가 개방구(113)에 대응하여 샘플을 받은 후에, 제어 유닛(130)은 구동부(123)를 가동하여 다른 샘플컵(SC)이 개방구(113)에 대응하여 샘플을 받도록 한다. 이때, 샘플컵(SC)이 개방구(113)에 정확하게 대응하게 하기 위하여, 제어 유닛(130)은 감지부(127)에서 입력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부(123)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제어 유닛(130)은 이동 실린더를 작동시켜, 이동 실린더가 샘플컵(SC)을 승강 방향(V)을 따라 상승시키게 한다. 이에 의해, 유동 형성 유닛(170, 도 1)이 수집 유닛(110) 측을 감압하는 과정에서, 수집 유닛(110)의 개방구(113)가 폐쇄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3은 도 1의 스크류 피더(14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류 피더(140)는 추출 유닛(160, 도 1)에 의해 추출된 샘플을 수집 유닛(110)을 향한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밀어주는 구성이다.
스크류 피더(140)는, 구체적으로, 하우징(141)과, 유입부(142)와, 토출부(143)와, 스크류축(145)과, 스크류윙(146), 및 모터(147)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1)은 대체로 원통형인 중공체이다. 유입부(142)는 하우징(141)의 상부에 형성되며, 추출 유닛(160)의 호퍼(165, 도 4)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유입부(142)에는 플랜지가 구비되어, 호퍼(165)와 누설 없이 서로 맞물릴 수 있다. 토출부(143)는 스크류축(145)의 자유단 측에 위치하여, 토출된 샘플이 수집 유닛(110)과 연결된 라인으로 들어가게 안내한다. 스크류축(145)은 하우징(141)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모터(147)의 회전에 연동된다. 스크류윙(146)은 스크류축(145)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유입부(142)로 낙하된 상기 추출된 샘플이 기계적으로 밀려서 토출부(143)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동 형성 유닛(170, 도 1)에 의해 수집 유닛(110) 측으로 유동이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유동에 의해 샘플 중 가벼운 물질만 수집 유닛(110)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샘플 중 무거운 물질로 스크류축(145)에 의해 기계적으로 수집 유닛(110) 측으로 밀어지므로, 가벼운 물질과 함께 수집 유닛(110)을 거쳐서 샘플컵(SC)에 추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에 의해, 가벼운 물질이건 무거운 물질이건 샘플은 모두 샘플컵(SC)에 추출되므로, 샘플컵(SC)에서 얻은 샘플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도 1의 추출 유닛(16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관(C)은 유동 방향(F)을 따라 대상물이 이송되게 하는 중공 파이프체이다. 이러한 이송관(C)의 일 부분에는 추출구(CO)가 형성된다.
이러한 추출구(CO)에 대응하여서, 추출 유닛(160)은, 댐퍼(161)와, 구동 실린더(163)와, 호퍼(165)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61)는 추출구(CO)에 대응하여, 이송관(C)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댐퍼(161)는 이송관(C)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 실린더(163)는 댐퍼(161)를 구동하도록 형성된다. 호퍼(165)는 추출구(CO)를 통해 추출된 샘플을 스크류피더(140, 도 3)의 유입부(142)로 안내하는 중공체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댐퍼(161)는 제어 유닛(130)이 구동 실린더(163)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만 추출구(CO)를 개방한다. 추출구(CO)가 개방됨에 따라서는 이송관(C) 내를 유동하는 대상물의 샘플이 호퍼(165)로 추출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추출 과정 외에는 댐퍼(161)는 추출구(CO)를 폐쇄하게 된다. 그에 의해, 샘플 추출 외의 과정에서 이송관(C) 내의 압력이 불필요하게 강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의 운전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운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먼저 수집 유닛(110)과 스크류피더(140) 사이의 볼 밸브(150)를 폐쇄하게 된다(S1). 이와 더불어, 샘플컵 유닛(120)을 작동시켜 샘플컵(SC) 중 하나를 수집 유닛(110)의 개방구(113)에 대응시킨 후에, 위 샘플컵(SC)을 상승 이동시켜 수집 유닛(110)의 개방구(113)를 폐쇄하게 된다(S3).
이렇게 스크류피더(140)와 수집 유닛(110)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유동 형성 유닛(170)이 수집 유닛(110)을 향한 유동을 형성한다(S5).
다음으로, 볼 밸브(150)를 개방하고서 스크류피더(140)로서 샘플을 밀어낸다(S7). 그에 의해, 샘플은 상기 유동에 의해 수집 유닛(110)으로 딸려 가면서도 스크류피더(140)에 의해 밀려서도 수집 유닛(11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집 유닛(110)에 샘플이 수집되면(S9), 수집된 샘플은 샘플컵(SC)에 수용된다(S11). 이때, 샘플컵(SC)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샘플컵 유닛(120)의 작동에 의해 하나씩 차례로 샘플을 받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110: 수집 유닛
111: 수집통 113: 개방구
120: 샘플컵 유닛 121: 지지판
123: 구동부 125: 프레임
127: 감지부 129: 이동 실린더
130: 제어 유닛 140: 스크류피더
141: 하우징 142: 유입부
143: 토출부 145: 스크류축
146: 스크류윙 147: 모터
150: 볼 밸브 160: 추출 유닛
161: 댐퍼 163: 구동 실린더
165: 호퍼 170: 유동 형성 유닛

Claims (12)

  1. 이송관에서 추출된 대상물의 샘플을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개방구를 구비하는 수집 유닛;
    복수의 샘플컵을 위치 가변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샘플컵 유닛; 및
    상기 샘플컵 유닛을 제어하여 , 상기 복수의 샘플컵 중 어느 하나가 위치 가변되어 상기 개방구에 대응되게 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샘플컵 유닛은,
    상기 샘플컵에 의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샘플컵을 상기 개방구를 향한 방향 또는 상기 개방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컵 유닛은,
    상기 복수의 샘플컵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샘플컵 유닛은, 상기 회동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동축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개방구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 실린더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과 상기 수집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추출된 샘플을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해 밀어내는 스크류 피더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유닛을 통해 상기 스크류 피더에 연통되어, 상기 스크류 피더에서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유동 형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피더와 상기 수집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피더에서 상기 수집 유닛만으로의 상기 샘플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볼 밸브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에는 상기 샘플의 추출을 위한 추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추출구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관에 결합되는 댐퍼;
    상기 댐퍼를 구동하여, 상기 추출구를 개폐하는 구동 실린더; 및
    상기 추출구 개방 시에 상기 추출된 샘플을 상기 스크류 피더로 안내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11. 수집 유닛과 스크류 피더 사이의 볼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샘플컵을 이동시켜 상기 수집 유닛의 개방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스크류 피더에서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한 방향으로 유동을 형성하는 단계;
    이송관에서 추출되어 상기 스크류 피더로 유입된 대상물의 샘플을, 상기 스크류 피더를 가동하여 상기 수집 유닛을 향해 밀어내는 단계;
    상기 볼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밀어내진 샘플이 상기 수집 유닛으로 유동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 유닛에 수집된 샘플을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샘플컵에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운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유닛에 수집된 샘플을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샘플컵에 받는 단계는,
    상기 샘플컵을 복수 개로 마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샘플컵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 개의 샘플컵이 차례로 상기 샘플을 받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운전 방법.
KR20130068938A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KR10145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938A KR101459013B1 (ko)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8938A KR101459013B1 (ko)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013B1 true KR101459013B1 (ko) 2014-11-07

Family

ID=5228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8938A KR101459013B1 (ko) 2013-06-17 2013-06-17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5310A (zh) * 2018-08-21 2019-04-19 宁波乐惠国际工程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取样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831Y1 (ko) 1996-01-15 1999-10-01 전성민 정.오수시료채취 및 분석장치
JP2001050661A (ja) * 1999-08-11 2001-02-23 Satake Eng Co Ltd 試料穀物乾燥装置
JP2001174370A (ja) 1999-12-15 2001-06-29 Yokogawa Electric Corp サンプル供給装置
KR20040021784A (ko) * 2002-09-04 2004-03-11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 수지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831Y1 (ko) 1996-01-15 1999-10-01 전성민 정.오수시료채취 및 분석장치
JP2001050661A (ja) * 1999-08-11 2001-02-23 Satake Eng Co Ltd 試料穀物乾燥装置
JP2001174370A (ja) 1999-12-15 2001-06-29 Yokogawa Electric Corp サンプル供給装置
KR20040021784A (ko) * 2002-09-04 2004-03-11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 수지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5310A (zh) * 2018-08-21 2019-04-19 宁波乐惠国际工程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取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20520A1 (zh) 无皮带式火车全自动机械化采样系统
CN108312356B (zh) 一种自动配料的水泥料斗
KR101459013B1 (ko) 대상물의 샘플 채취 설비 및 그의 운전 방법
WO2024051781A1 (zh) 粉末物料的自动检测装置
CN105424402A (zh) 旋转式缩分装置
KR102054028B1 (ko) 공압식 재료 처리시스템에서의 재료처리방법 및 장치
CN108463706B (zh) 粒状固体取样装置
CN107966342B (zh) 新材料成分分析装置
CN105372105A (zh) 采用旋转式缩分装置的制样设备
CN110118672B (zh) 一种皮带运输机物料取样装置
US11313769B2 (en) Particulate sampl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8081460B (zh) 一种用于中子研究的防辐射混凝土浆的配置机构
CN107621227B (zh) 一种打叶复烤厂用旋转式片烟在线取样检测装置及方法
CN209446337U (zh) 一种皮带机头小空间取样装置
CN205771123U (zh) 一种气动放料器
CN211196687U (zh) 自动定量包装机
CN213107454U (zh) 一种易于取料的砂浆混料装置
CN109813577A (zh) 一种皮带机头小空间取样装置
CN208810602U (zh) 一种组合秤用的强排结构
CN109374664B (zh) 一种自动取样式水泥生料在线x荧光分析方法
WO2020098697A1 (zh) 一种空气干砂选煤系统上用排矸系统上的矸石破碎装置
JPH06273318A (ja) 粉体分析装置
CN107902617A (zh) 一种液态食品自动灌装机
CN206886048U (zh) 一种粮食输送换路接头
CN109502372B (zh) 一种适合于大量粉体染料存储称量配送的储料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