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966B1 -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 Google Patents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966B1
KR101458966B1 KR20140087274A KR20140087274A KR101458966B1 KR 101458966 B1 KR101458966 B1 KR 101458966B1 KR 20140087274 A KR20140087274 A KR 20140087274A KR 20140087274 A KR20140087274 A KR 20140087274A KR 101458966 B1 KR101458966 B1 KR 101458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water jet
arcuate
nozzle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명헌
최창훈
김장성
고종민
정영철
한범정
이현신
김상재
김병호
권현정
Original Assignee
(주) 티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오피에스 filed Critical (주) 티오피에스
Priority to KR2014008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966B1/ko
Priority to PCT/KR2014/010056 priority patent/WO201600676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9/00Appurtenances of 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e.g. working chambers, arrangements for handling used abra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대 ; 상기 기대에 대하여 3차원 이동하는 메인 이동체 ; 상기 메인 이동체를 3차원 이동 구동하는 구동원 ; 상기 메인 이동체에 마련되는 제1모터부 ;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하우징 ;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되되 워터제트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노즐 장착대 ; 일단이 상기 회전 하우징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노즐 장착대에 연결되어 양단간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 ;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원호 형태를 가진 원호형 이동바 ; 상기 회전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형 안내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형 이동바는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며,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의 연장선은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지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WATERJET APPARATUS}
본 발명은 워터제트 가공을 위한 워터제트 가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퍼(taper)와 래그(lag)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는 워터제트 가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터제트 가공은 고압의 유체에 연마재를 혼합하여 고압으로 대상물에 분사시키면서 가공을 하게 되는 가공방법이다.
워터제트 가공은 작업시 열이 발생되지 않아 대상물에 열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가공 완료후 버어가 거의 남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고, 어떠한 재질의 대상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워터제트 가공을 통해 골판지, 종이귀저기, 샌드페이퍼, 고무제품, 우레탄제품, 타이어, 피혁제품(천연, 합성), 직물, 나이론, 비닐, 기타 플라스틱, FRP, 케블러, 프린트 기판, 기타 복합재료, 유리, 섬유질 유리, 세라믹, 목재, 합판, 석면, 석고보드, 타일, 기타 건축재료, 콘크리트, 시멘트, 아스팔트, 철, 비철금속, 스텐레스, 기타 특수금속, 냉동육류 등을 절단 가공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절삭 장비들과는 다르게 워터제트 절단에서는 절삭 도구인 스트림(stream, 고압수+연마재)이 굴절되거나 형상이 변화되면서 소재를 관통하여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워터제트 절단에서는 아래와 같은 절단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이 소재에 대하여 정확한 수직방향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소재의 절단면이 수직이 아닌 현상이 나타나며, 이를 테이퍼(taper)라 칭한다. 테이퍼는 소재의 두께 및 절단 속도 등 절단 과정에서의 변수들에 영향을 받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의 절단에 있어서 스트림(stream)이 소재의 입구(위쪽)보다 소재의 출구(아래쪽)에서 뒤처지는 현상인 래그(lag)가 나타나다.
이와 같이 테이퍼와 래그에 대한 보상를 수행하기 위하여, 소재에 대하여 분사노즐을 정확한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지 않고, 소재의 두께, 절단 속도, 절단 방향 등에 따라 분사노즐의 경사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852호 "워터제트 절단장치"(2013.8.6.등록)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중공 모터들과 탑재대의 기하학적인 배치에 의하여 분사노즐의 경사도를 제어하여 테이퍼를 보상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2축 회전을 위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며, 구성요소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크게 되며, 분사노즐의 경사도 변경 과정에서 최단 거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재의 배면에 스트림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852호 "워터제트 절단장치"(2013.8.6.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비교적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의 경사도 변경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 경로를 최소화할 있는 2축 회전 구조를 가진 워터제트 가공 장비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대 ; 상기 기대에 대하여 3차원 이동하는 메인 이동체 ; 상기 메인 이동체를 3차원 이동 구동하는 구동원 ; 상기 메인 이동체에 마련되는 제1모터부 ;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하우징 ;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되되 워터제트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노즐 장착대 ; 일단이 상기 회전 하우징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노즐 장착대에 연결되어 양단간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 ;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원호 형태를 가진 원호형 이동바 ; 상기 회전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형 안내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형 이동바는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며,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의 연장선은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지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3차원 이동이란 X축, Y축, Z축와 같이 직교좌표계을 따라 이동하는 것은 물론이며, 로봇팔과 같은 임의의 좌표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부는, 볼스크류용 너트부재와, 상기 볼스크류용 너트부재에 볼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모터부는 전기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안내장치는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일단은 상기 길이 가변부와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 사이에서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메인 이동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은 한 쌍의 측판이 수평지지바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 컴팩트할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의 경사도 변경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동 경로를 최소화할 있어 소재 배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워터제트 가공 장비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워터제트 절단에 있어서 테이퍼 현상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워터제트 절단에 있어서 래그 현상을 보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 단면 개념도,
도 4는 도 3의 정면 개념도,
도 5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 기준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단면도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 길이 가변부를 제외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념 사시도,
도 9는 도 3의 실시예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4에 대응되는 도면,
도 10은 도 3의 실시예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3에 대응되는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워터제트 가공 장비는 갠트리 구조를 가진다.
즉 기대의 상부에 상부 이동 기구가 설치된다.
상부 이동 기구는 크게, 기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Y축을 따라 이동되는 Y축 이동체와, Y축 이동체에 마련되어 X축을 따라 이동되는 X축 이동체와, X축 이동체에 마련되어 Z축을 따라 이동되는 Z축 이동체(메인 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기대 및 상부 이동 기구를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종래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852호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도면의 부호는 종래의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852호의 도 3 내지 도 6에 기재된 부호이다.
기대(110)의 상부에 상부 이동 기구(120)가 설치된다.
상부 이동 기구(120)는 크게, 기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Y축을 따라 이동되는 Y축 이동체(121)와, Y축 이동체(121)에 마련되어 X축을 따라 이동되는 X축 이동체(122)와, X축 이동체(122)에 마련되어 제1탑재대(130)(본 실시예의 메인 이동체에 해당함.)를 Z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Z축 이동 기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Y축 이동체(121)와 관련된 구성으로는, 기대(110)의 상부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Y축 볼스크류와, 상기 Y축 볼스크류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Y축 이동체(121)와, 상기 Y축 볼스크류를 정ㆍ역회전시키는 Y축 서보모터 및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기대 위에 설치되어 Y축 이동체(121)를 직선운동(왕복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LM가이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Y축 이동체(121)는 "┌┐"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아울러, X축 이동체(122)와 관련된 구성으로는, Y축 이동체(121)에 설치되는 X축 볼스크류와, X축 볼스크류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고정되는 X축 이동체(122)와, 상기 X축 볼스크류를 정ㆍ역회전시키는 X축 서보모터 및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Y축 이동체(121) 위에 설치되어 X축 이동체를 직선운동(왕복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LM가이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1탑재대(130)(Z축 이동체, 본 실시예의 메인 이동체에 해당함.)와 관련된 구성으로는, X축 이동체(122)에 설치되는 Z축 볼스크류와, Z축 볼스크류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에 고정되는 제1탑재대(130)(Z축 이동체, 본 실시예의 메인 이동체에 해당함.)와, 상기 Z축 볼스크류를 정ㆍ역회전시키는 Z축 서보모터 및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X축 이동체(122) 위에 설치되어 제1탑재대(130)(Z축 이동체, 본 실시예의 메인 이동체에 해당함.)를 직선운동(왕복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봉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상부 이동 기구에 의하여 제1탑재대(130)(Z축 이동체, 본 실시예의 메인 이동체에 해당함.)는 기대(110)에 대하여 X축, Y축, Z축을 따라 삼차원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Z축 이동체는, Y축 서보모터, X축 서보모터, 및 Z축 서보모터에 의하여 Y축, X축, Z축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Y축 서보모터, X축 서보모터, 및 Z축 서보모터는 Z축 이동체의 삼차원 이동을 위한 구동원이라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Z축 이동체(메인 이동체)의 3차원 이동은 워터제트 가공 장비에 있어서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주요부 구성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측면 단면 개념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면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단면도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3에서 길이 가변부를 제외한 상태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념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3의 실시예가 제1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4에 대응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3의 실시예가 제2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 3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의 부호는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기재된 부호이다.
본 실시예의 메인 이동체(100)는 서로 마주보게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 측판(110)과, 상기 메인 측판(110)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이동체(100)의 복수의 연결부재(120) 중 하나는 모터고정용 연결부재(120a)이며, 모터고정용 연결부재(120a)에 제1모터부(130)가 마련된다. 물론 제1모터부(130)는 감속부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측판(110)의 상부에는 상부 연결용 연결판(120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메인 이동체(100)의 내부에 회전 하우징(200)이 마련된다.
회전 하우징(20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210)과, 상기 측판(210)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바(220)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한 쌍의 측판(210) 사이에는 구동축 결합용 연결판(230)이 마련되며, 구동축 결합용 연결판(230)은 제1모터부(130)의 구동축에 고정된다.
따라서 회전 하우징(200)은 제1모터부(130)의 구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모터부의 구동축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모터부(130)의 구동축의 연장선은 후술하는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의 선단을 지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 하우징(200)은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의 선단을 지나는 가상의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하우징(200)의 전방에 노즐 장착대(300)가 배치된다.
노즐 장착대(300)의 하부 전방에는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노즐 장착대(300)가 회전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노즐 장착대(300)의 후방에 원호 형태를 가진 원호형 이동바(320)가 마련된다.
아울러 노즐 장착대(300)의 후방 하부에는 원호형 이동바(320)를 지지하기 위한 이동바 지지대(32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원호형 이동바(320)에 대응하여 회전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원호형 이동바(320)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복수의 가이드롤러(240)가 마련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240)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원호형 이동바(32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원호형 이동바(320)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복수의 가이드롤러(240)는 원호형 이동바(320)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형 안내장치의 하나의 예로서, 원호형 안내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원호형 이동바(320)는 원터제트 분사노즐(310)의 선단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며, 또한 원호형 이동바(320)는 원호형 이동바(320)가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 장착대(300)는, 원터제트 분사노즐(310)의 선단과 원호형 이동바(320)가 이루는 원호에 의하여 규정되는 평면에 대하여 직각이면서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의 선단을 지나는 가상의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노즐 장착대(300)가 가상의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 길이 가변부(400)가 마련된다.
길이 가변부(400)는 일단이 회전 하우징(200)에 연결되며 타단이 노즐 장착대(300)에 연결되어 양단간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 가변부(400)는, 회전 하우징(200)의 베어링(250)에 장착되는 일단 연결부(410)와, 상기 일단 연결부(410)에 마련되는 볼스크류용 너트부재(420)와, 볼스크류용 너트부재(420)에 볼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부재(430)와, 스크류부재(430)를 회전구동하는 제2모터부(440)와, 상기 제2모터부(440)가 탑재되면서 노즐 장착대(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타단 연결부(4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2모터부(440)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기술은 매우 다양한 기술이 널리 알려져 있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 길이 가변부(400)는 유압 내지 공압 실린더와 같이 직선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요소를 채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단 연결부(450)에 탑재된 제2모터부(440)가 회전 구동하면 스크류부재(430)가 회전되며, 이에 의하여 볼스크류용 너트부재(420)에 대하여 스크류부재(43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일단 연결부(410)와 타단 연결부(450)간의 길이가 변경된다.
아울러 타단 연결부(450)는 노즐 장착대(300)의 상부에 연결되며, 원호형 이동바(320)의 일단은 타단 연결부(450)와 워터제트 분사노즐(310) 사이에서 노즐 장착대(3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길이 가변부(400)가 가급적 워터제트 분사노즐(31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노즐 장착대(30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길이 가변부(400)에 의한 노즐 장착대(300)의 회전각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은, 가상의 제1축과, 가상의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경사도를 변경할 수 있다.
가상의 제1축은 제1모터부(130)의 구동축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며, 가상의 제1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인하여 회전하우징(200) 및 노즐 장착대(200)가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이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상의 제2축은 원호형 이동바(320)의 이동 궤적에 따른 회전으로서, 가상의 제2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인하여 노즐 장착대(200)가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이 제2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제1,2축을 중심으로 한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의 회전(즉 경사도 변경)은 매우 간단한 구조이면서, 아울러 어느 하나의 경사진 자세에서 다른 경사진 자세로의 변환 동작이 최단 지점을 따라 수행되므로 경사도 변경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퍼 및 래그에 대한 보상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워터제트 분사노즐(310)의 경사도 변경 과정에서, 불필요한 경로를 거치지 않으므로, 스트림에 의한 소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메인 이동체 110 : 메인 측판
120 : 연결부재 120a : 모터고정용 연결부재
120b: 상부 연결용 연결판 130 : 제1모터부
200 : 회전 하우징 210 : 측판
220 : 수평지지바 230 : 구동축 결합용 연결판
240 : 가이드롤러
300 : 노즐 장착대 310 : 워터제트 분사노즐
320 : 원호형 이동바 321 : 이동바 지지대
400 : 길이 가변부 410 : 일단 연결부
420 : 볼스크류용 너트부재 430 : 스크류부재
440 : 제2모터부 450 : 타단 연결부

Claims (6)

  1. 기대 ;
    상기 기대에 대하여 X축, Y축, Z축으로 이동하는 메인 이동체 ;
    상기 메인 이동체를 X축, Y축, Z축으로 이동 구동하는 구동원 ;
    상기 메인 이동체에 마련되는 제1모터부 ;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하우징 ;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되되 워터제트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노즐 장착대 ;
    일단이 상기 회전 하우징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노즐 장착대에 연결되어 양단간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 ;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게 마련되며, 원호 형태를 가지며,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는 일단은 상기 길이 가변부와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 사이에서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는 원호형 이동바 ;
    상기 회전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형 안내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형 이동바는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며,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의 연장선은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지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2. 기대 ;
    상기 기대에 대하여 3차원 이동하는 메인 이동체 ;
    상기 메인 이동체를 3차원 이동 구동하는 구동원 ;
    상기 메인 이동체에 마련되는 제1모터부 ;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 하우징 ;
    상기 회전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되되 워터제트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노즐 장착대 ;
    일단이 상기 회전 하우징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노즐 장착대에 연결되어 양단간의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 ;
    일단이 상기 노즐 장착대에 고정되게 마련되는 원호형 이동바 ;
    상기 회전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는 원호형 안내장치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원호형 이동바는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중심으로 원호형을 이루며,
    상기 제1모터부의 구동축의 연장선은 상기 워터제트 분사노즐의 선단을 지나도록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부는, 볼스크류용 너트부재와, 상기 볼스크류용 너트부재에 볼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부재와,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안내장치는 상기 원호형 이동바의 원호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하우징은 상기 메인 이동체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 하우징은 한 쌍의 측판이 수평지지바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KR20140087274A 2014-07-11 2014-07-11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KR101458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274A KR101458966B1 (ko) 2014-07-11 2014-07-11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PCT/KR2014/010056 WO2016006766A1 (ko) 2014-07-11 2014-10-24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7274A KR101458966B1 (ko) 2014-07-11 2014-07-11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966B1 true KR101458966B1 (ko) 2014-11-10

Family

ID=5228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7274A KR101458966B1 (ko) 2014-07-11 2014-07-11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58966B1 (ko)
WO (1) WO20160067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778A (ko) 2015-09-10 2017-03-20 (주) 티오피에스 로봇형 워터제트 가공장비용 커팅헤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902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Sanso Kk 流体噴射装置
KR100637001B1 (ko) 2005-11-01 2006-10-23 (주) 티오피에스 선각부재 자동 마킹 및 절단 장치
KR100899116B1 (ko) 2007-12-27 2009-05-25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워터제트를 이용한 유리섬유단열재 절단장치
KR101336960B1 (ko) * 2011-09-26 2013-12-04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워터제트를 이용한 유리섬유단열재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902A (ja) * 1996-07-16 1998-02-03 Nippon Sanso Kk 流体噴射装置
KR100637001B1 (ko) 2005-11-01 2006-10-23 (주) 티오피에스 선각부재 자동 마킹 및 절단 장치
KR100899116B1 (ko) 2007-12-27 2009-05-25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워터제트를 이용한 유리섬유단열재 절단장치
KR101336960B1 (ko) * 2011-09-26 2013-12-04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워터제트를 이용한 유리섬유단열재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778A (ko) 2015-09-10 2017-03-20 (주) 티오피에스 로봇형 워터제트 가공장비용 커팅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6766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960B1 (ko) 워터제트를 이용한 유리섬유단열재 절단장치
US9370871B2 (en) Fluid jet cutting systems
CN103752967B (zh) 一种用于加工复杂曲面的线切割机器人
CN112351858B (zh) (超高速)激光熔覆的装置和方法
CN102259226B (zh) 半自动短距切割机及其切割方法
EP2397286A2 (en) Hydrojet cutting head comprising five infinitely rotating axes
US20160074946A1 (en) Multi-axis machin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6928711B2 (ja) レーザ加工機のレーザビームに対して工作物を整列させて位置決めする装置
CN107327130A (zh) 墙面抹平、喷涂机
KR101458966B1 (ko) 테이퍼 보상용 워터제트 가공 장비
KR101539740B1 (ko) 워터젯용 지그 장치
CN114851559A (zh) 自由度冗余加工系统、轮廓线高精度加工方法及工件
CN104210104A (zh) 一种位姿可调节的3d打印机装置
KR101590410B1 (ko) 자동차 부품용 실란트 도포장치
KR101784477B1 (ko) 포터블 밀링머신
CN207013877U (zh) 激光切割机
JP5577159B2 (ja) ワークの表面の加工方法
US20050118928A1 (en) Machine tool with 5 machining axes with a continuous grinding tool profilling system
CN102133593B (zh) 一种金属板材旋压装置
JPWO2018146728A1 (ja) 工作機械
KR101295852B1 (ko) 워터제트 절단장치
KR101180901B1 (ko) 파이프 절단기
CN110565089A (zh) 一种激光熔覆设备
RU146445U1 (ru) Устройство с чпу для фрезерования и 3d обработки
CN216399641U (zh) 一种可以旋转调节的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