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726B1 -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 이동국 장치, 및 계열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 이동국 장치, 및 계열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726B1
KR101457726B1 KR1020097018956A KR20097018956A KR101457726B1 KR 101457726 B1 KR101457726 B1 KR 101457726B1 KR 1020097018956 A KR1020097018956 A KR 1020097018956A KR 20097018956 A KR20097018956 A KR 20097018956A KR 101457726 B1 KR101457726 B1 KR 10145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ce
cyclic shift
index
sequences
maximum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976A (ko
Inventor
다이치 이마무라
다카시 이와이
가즈노리 이노가이
사다키 후타기
아츠시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고도 가이샤 아이피 브릿지 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753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5772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도 가이샤 아이피 브릿지 1 filed Critical 고도 가이샤 아이피 브릿지 1
Publication of KR20100014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22Allocation of codes with a zero correlation z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6GCL [generalized chirp-like] sequ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2013/0096Network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셀에 할당한 자도프-츄(Zadoff-Chu) 계열 또는 GCL 계열을 통지하는 시그널링량을 저감하는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를 개시한다. 복수의 다른 ZC 계열에 1부터 차례로 인덱스를 대응화시켜 인덱스가 연속하도록 셀에 할당한 ZC 계열을 BS로부터 UE에 통지할 때, 연속된 인덱스의 최초를 나타내는 스타트 인덱스와 할당한 계열수를 합하여 할당 계열 정보로서 통보 채널에 의해 통지한다. UE는, ZC 계열과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BS와 공유하여, 이 대응 관계와 BS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정보로부터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Description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 이동국 장치, 및 계열 생성 방법{SEQUENCE REPORT METHOD AND SEQUENCE REPORT DEVICE,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SEQUENCE CREATION METHOD}
본 발명은, 셀에 할당한 자도프-츄(Zadoff-Chu) 계열 또는 GCL(Generalized Chirp Like) 계열을 통지하는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으로 대표되는 이동체 통신 시스템,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신 영역에 랜덤 엑세스 영역이 설치된다. 이 랜덤 엑세스 영역은, 단말국(이하,「UE」라고 함)이 기지국(이하, 「BS」라고 함)에 최초로 접속 요구를 행할 경우, 또는, BS 등이 UE의 송신 시간이나 송신 대역을 할당하는 집중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새로운 대역 할당 요구를 행할 경우, 상향 회선의 송신 영역에 설치된다. 또한, 기지국은 액세스 포인트 또는 노드(Node) B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랜덤 엑세스 영역(이하,「RA 슬롯」이라고 함)으로 송신되는 랜덤 엑세스 버스트(burst)(이하, 「RA 버스트」라고 함)는, 스케줄되는 다른 채널과는 달리, 서명 계열의 충돌(복수의 UE가 동일한 RA 슬롯을 이용해 동일 서명 계열을 송신하는 것) 또는 서명 계열간의 간섭에 의해 수신 에러 및 재송(再送)이 발생한다. RA 버스트의 충돌, 수신 에러가 발생하면, RA 버스트를 포함한 상향 송신 타이밍 동기 취득 및 BS로의 접속 요구 처리의 처리 지연이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서명 계열의 충돌률의 저감, 서명 계열의 검출 특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RA 버스트의 프리앰블(이하, 「RA 프리앰블」이라고 함) 계열로서 자기 상관 특성 및 계열간의 상호 상관 특성이 낮은 자도프-츄(Zadoff-Chu) 계열(이하, 「ZC 계열」이라고 함) 또는 GCL 계열(비특허 문헌 2)을 이용한 RA 프리앰블 계열(또는, 서명 계열)이 검토되고 있다. 또, ZC 계열을 순회 쉬프트함으로써 생성되는 ZC-ZCZ (Zadoff-Chu Zero Correlation Zone) 계열을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ZC 계열 및 GCL 계열은, 그 계열 번호(r)와 계열 길이(N)가 서로 소(素)의 관계를 만족시킬 때, 자기 상관 특성이 최적이 된다. 또, 2개 계열간의 상호 상관 특성은, 계열 번호를 각각 r1 및 r2라고 하면, r1과 r2의 차(差)의 절대값과 계열 길이(N)가 서로 소의 관계를 만족시킬 경우는, 상호 상관값은 √N으로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계열 길이(N)가 소수(素數)일 경우, N-1개의 계열, 즉, 계열 번호 r=1, 2, …, N-1의 모든 계열에 대해서, 자기 상관 특성 및 상호 상관 특성이 최적인 계열의 조(組)가 얻어진다.
또,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1개의 셀에 대해서 항상 64개의 ZC-ZCZ 계열을 할당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64개의 계열은, 다 른 계열 번호인 ZC 계열, 및, 각각의 계열 번호의 ZC 계열로부터 생성되는 순회 쉬프트 계열(Cyclic Shift Sequence), 즉, ZC-ZCZ 계열을 포함한다.
1개의 ZC 계열로부터 생성할 수 있는 ZC-ZCZ 계열의 계열수는, 계열간의 순회 쉬프트량에 의존한다. 순회 쉬프트량을 Δ, 계열 길이를 N이라고 했을 때, 생성되는 ZC-ZCZ 계열수는, floor(N/Δ)라고 표시된다. 또한, floor(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최대의 정수를 나타낸다. 순회 쉬프트량(Δ)은, 순회 쉬프트량(Δ)에 대응하는 시간(Δtime)으로 생각하면, UE로부터 송신된 RA 프리앰블이 도래할 가능성이 있는 시간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구체적으로는, BS로부터 UE간의 전파 지연 시간(TPropagationDelay)의 왕복분의 최대 상정값(TRoundTripDelay)과, 전송로의 멀티 패스 지연 시간의 최대 상정값(TDelaySpread)의 합(合)보다 커지도록 순회 쉬프트량(Δtime)이 설정된다(Δtime>2×TPropagationDelay+TDelaySpread).
따라서, 셀 사이즈(셀 반경)에 비례하여, BS와 UE간의 전파 지연 시간이 증감하기 때문에, 셀 사이즈가 큰 셀일수록, 1개의 ZC 계열로부터 생성할 수 있는 ZC-ZCZ 계열이 감소한다. 이 점 때문에, 1셀에 64개의 프리앰블 계열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많은 다른 계열 번호의 ZC 계열을 셀에 할당할 필요가 있다.
BS는, 셀에서 사용하는 계열의 계열 번호를 할당 계열 정보로서 통보 채널(Broadcast Channel)을 생성하여, 셀 내에 존재하는 UE에 통지한다. 각 UE는, 통지된 계열 번호의 ZC 계열을 이용해 RA 버스트를 생성하여, 랜덤 엑세스를 행한다. 할당 계열 정보의 통지 방법으로서는, 셀에서 사용하는 계열의 계열 번호를 1 개씩 통지하는 방법이 생각되며, 이 방법에 의하면, 임의의 계열 번호를 셀에 대해서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한 계열 할당이 가능하다.
(비특허 문헌 1) TS 36.211 V1.0.0 “3GPP TSG RAN;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Release 8)”
(비특허 문헌 2) Branislav M. Popovic, “Generalized Chirp-Like Polyphase Sequences with Optimum Correlation Properties,” IEEE Transaction on Information Theory, Vol.38, No.4, July 199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렇지만, 상술한 할당 계열 정보의 통지 방법에서는, 셀 반경이 큰 셀의 경우, 최대 64의 ZC 계열을 통지할 필요가 있어, 통보 채널의 시그널링량(비트수)이 증대해버린다. 할당 계열 정보는, UE가 RA 프리앰블 송신 전에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수신 환경이 열악한 UE에서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로버스트(robust)하게 송신(즉, 전송 레이트가 낮은 변조 방식, 부호화 비율 등을 이용하여 송신)된다. 이 때문에, 시그널링량이 많으면 그만큼 무선 리소스를 소비해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셀에 할당한 자도프-츄(Zadoff-Chu) 계열 또는 GCL 계열을 통지하는 시그널링량을 저감하는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계열 통지 장치는, 복수의 다른 코드 계열에 연속된 번호의 인덱스를 대응화시키고,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도록 셀에 할당하는 계열 통지 장치이며, 복수의 다른 코드 계열에 연속된 번호의 인덱스를 대응화시킨 대응 관계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할당된 코드 계열 중 어느 1개를 나타내는 인덱스와 할당된 계열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합한 정보를 할당 계열 정보로서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계열 통지 방법은, 복수의 다른 코드 계열에 연속된 번호의 인덱스를 대응화시킨 대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도록 셀에 할당된 코드 계열을, 할당된 코드 계열 중 어느 1개를 나타내는 인덱스와 할당된 계열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합한 정보를 할당 계열 정보로서 통지하도록 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셀에 할당한 자도프-츄(Zadoff-Chu) 계열 또는 GCL 계열을 통지하는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BS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U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프리앰블 계열 검출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통보 채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나타낸 계열 할당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할당 계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분산 관리형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통보 채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할당 계열수와 통지 비트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통보 채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셀 사이즈(반경)에 대한 1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 및 소요 할당 계열수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 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통보 채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인덱스 종별과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통보 채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ZC 계열의 상관값과 순회 쉬프트량 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ZC 계열에 대해서 수학식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계열 길이 N인 ZC 계열은, N이 짝수일 경우, 식 (1)에 의해 표시되고, N이 홀수일 경우, 식 (2)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1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2
단, k=0, 1, 2, …, N-1, q는 임의의 정수, r은 계열 번호(Sequence Index)이며, r은 N과는 서로 소(素)의 관계를 가지며, 또 N보다 작은 양(+)의 정수이다.
다음에, GCL 계열에 대해서 수학식을 이용해 나타낸다. 계열 길이 N의 GCL 계열은, N이 짝수일 경우, 수학식 (3)에 의해 표시되고, N이 홀수일 경우, 수학식 (4)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3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4
단, k=0, 1, 2, …, N-1, q는 임의의 정수, r은 N과는 서로 소의 관계를 가 지며, 또 N보다 작은 정수, bi(k mod m)는, 임의의 복소수이며, i=0, 1, …, m-1이다. 또, GCL 계열간의 상호 상관을 최소로 하는 경우, bi(k mod m)는 진폭 1의 임의의 복소수를 이용한다.
GCL 계열은, ZC 계열에 bi(k mod m)를 곱한 계열이며, 수신측의 상관 연산은 ZC 계열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ZC 계열을 예로 설명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RA 버스트의 프리앰블 계열로서, 계열 길이(N)가 홀수 또한 소수(素數)의 ZC 계열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관리부(51)는, 복수의 BS(#1~#M)(100-1~100-M)에 할당하는 무선 리소스를 관리하며, 계열 할당부(52) 및 통지부(53)를 구비한다.
계열 할당부(52)는, 배하(配下)의 BS가 관리하는 셀에 ZC 계열의 계열 번호(r)를 할당하고, 할당한 계열 번호(r)를 통지부(53)에 출력한다. 통지부(53)는, 계열 할당부(52)로부터 출력된 계열 번호(r)를 나타내는 정보를 BS(100-1~100-M)에 통지한다. 또한, 계열 할당부(52) 및 통지부(53)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BS(100-1~100-M)는,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계열 번호(r)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통지 방법에 의해 할당 계열 정보를 자셀 내의 UE에 알리고, UE로부터 송신된 프리앰블 계열을 검출한다. BS(100-1~100-M)는 모두 동일 한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BS(100)로서 일괄하여 취급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BS(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통보 채널 처리부(101)는, 통보 채널 생성부(102), 부호화부(103), 변조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는, 도 1에 나타낸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번호(r)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로부터 해당하는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포함시켜 하향 제어 채널인 통보 채널(Broadcast Channel)을 생성한다. 생성된 통보 채널은 부호화부(103)에 출력된다.
부호화부(103)는, 통보 채널 생성부(102)로부터 출력된 통보 채널을 부호화하고, 변조부(104)는, 부호화된 통보 채널을 BPSK, QPSK 등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한다. 변조된 통보 채널은 다중부(108)에 출력된다.
DL 데이터 송신 처리부(105)는, 부호화부(106) 및 변조부(107)를 구비하고 DL 송신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부호화부(106)는, DL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변조부(107)는, 부호화된 DL 송신 데이터를 BPSK, QPSK 등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고, 변조한 DL 송신 데이터를 다중부(108)에 출력한다.
다중부(108)는, 변조부(104)로부터 출력된 통보 채널과 변조부(107)로부터 출력된 DL 송신 데이터를 시간 다중, 주파수 다중, 공간 다중, 또는, 부호 다중을 행하고, 다중 신호를 송신 RF부(109)에 출력한다.
송신 RF부(109)는, 다중부(108)로부터 출력된 다중 신호에 D/A 변환, 필터 링, 업 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안테나(110)로부터 송신한다.
수신 RF부(111)는, 안테나(110)를 경유하여 수신한 신호에 다운 컨버트, A/D 변환 등의 소정의 무선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 수신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분리부(112)에 출력한다.
분리부(112)는, 수신 RF부(111)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RA 슬롯과 UL 데이터 슬롯으로 분리하고, 분리한 RA 슬롯을 프리앰블 계열 검출부(114)에, UL 데이터 슬롯을 UL 데이터 수신 처리부(115)의 복조부(116)에 각각 출력한다.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는, 도 1에 나타낸 계열 할당부(52)가 할당할 수 있는 프리앰블 계열, 이 계열의 번호 및 이 계열 번호들을 나타내는 인덱스를 대응화시킨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기억하고, 도 1에 나타낸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번호(r)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프리앰블 계열을 테이블에서 판독하여, 해당하는 프리앰블 계열을 프리앰블 계열 검출부(114)에 출력한다.
프리앰블 계열 검출부(114)는, 분리부(112)로부터 출력된 RA 슬롯에 대해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에 기억된 프리앰블 계열을 이용해 상관 처리 등의 프리앰블 파형 검출 처리를 행하여, 프리앰블 계열이 UE로부터 송신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 검출 결과(RA 버스트 검출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상위층에 출력된다.
UL 데이터 수신 처리부(115)는, 복조부(116) 및 복호화부(117)를 구비하여, UL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복조부(116)는, 분리부(112)로부터 출력된 UL 데이터의 전송로 응답 왜곡 보정을 행하고, 변조 방식에 대응한 경판정 또는 연판정에 의한 신호점 판정을 행하고, 복호화부(117)는, 복조부(116)에 의한 신호점 판정의 결과에 대해서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여, UL 수신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UE(1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수신 RF부(152)는, 도 1에 나타낸 BS(10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안테나(151)를 경유해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다운 컨버트, A/D 변환 등의 소정의 무선 수신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 수신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분리부(153)에 출력한다.
분리부(153)는, 수신 RF부(15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포함된 통보 채널과 DL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고, 분리한 DL 데이터를 DL 데이터 수신 처리부(154)의 복조부(155)에, 통보 채널을 통보 채널 수신 처리부(157)의 복조부(158)에 출력한다.
DL 데이터 수신 처리부(154)는, 복조부(155) 및 복호화부(156)를 구비하여, DL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복조부(155)는, 분리부(153)로부터 출력된 DL 데이터의 전송로 응답 왜곡 보정을 행하고, 변조 방식에 대응한 경판정 또는 연판정에 의한 신호점 판정을 행하고, 복호화부(156)는, 복조부(155)에 의한 신호점 판정 결과에 대해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하여, DL 수신 데이터를 출력한다.
통보 채널 수신 처리부(157)는, 복조부(158), 복호화부(159) 및 통보 채널 처리부(160)를 구비하여 통보 채널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복조부(158)는, 분리부(153)로부터 출력된 통보 채널의 전송로 응답 왜곡 보정을 행하고, 변조 방식에 대응한 경판정 또는 연판정에 의한 신호점 판정을 행하고, 복호화부(159)는, 복조부(158)에 의한 통보 채널의 신호점 판정 결과에 대해 오류 정정 처리를 행한다. 오류 정정 처리된 통보 채널은 통보 채널 처리부(160)에 출력된다. 통보 채널 처리부(160)는, 복호화부(159)로부터 출력된 통보 채널에 포함되는 할당 계열 정보를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기타 통보 채널은 도시하지 않은 상위층에 출력한다.
프리앰블 계열 기억부(161)는, 도 2에 나타낸 BS(100)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가 가지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즉, 도 1에 나타낸 계열 할당부(52)가 할당할 수 있는 프리앰블 계열, 이 계열의 번호 및 이들의 계열 번호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대응화시킨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기억한다. 그리고, 통보 채널 처리부(160)로부터 출력된 할당 계열 정보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계열을 RA 버스트 생성부(162)에 출력한다.
RA 버스트 생성부(162)는, 도시하지 않은 상위층으로부터 RA 버스트 송신 지시를 취득하면,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로부터 이용 가능한 프리앰블 계열 1개를 선택하고, 선택한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시켜 RA 버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RA 버스트를 다중부(166)에 출력한다.
UL 데이터 송신 처리부(163)는, 부호화부(164) 및 변조부(165)를 구비하고, UL 송신 데이터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부호화부(164)는, UL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변조부(165)는, 부호화된 UL 송신 데이터를 BPSK, QPSK 등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고 변조한 UL 송신 데이터를 다중부(166)에 출력한다.
다중부(166)는, RA 버스트 생성부(162)로부터 출력된 RA 버스트와 변조부(165)로부터 출력된 UL 송신 데이터를 다중하고, 다중 신호를 송신 RF부(167)에 출력한다.
송신 RF부(167)는, 다중부(166)로부터 출력된 다중 신호에 D/A 변환, 필터링, 업 컨버트 등의 소정의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하고, 무선 송신 처리를 실시한 신호를 안테나(151)로부터 송신한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프리앰블 계열 검출부(114)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프리앰블 계열 검출부(11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계열 길이 N=11이고, 프리앰블 계열로서 계열 번호 r=a와 계열 번호 r=N-a의 ZC 계열을 조(組)로 하여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여기서, a는 계열 번호(r)가 취할 수 있는 임의의 계열 번호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지연기(D)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r(k)=ak+jbk, 계열 번호 r=a의 ZC 계열의 각 계수를 cr=a *(k)=ck+jdk라 하면, 복소곱셈부 x는, 계열 번호 r=a측의 상관에 대한 연산 결과를 akck-bkdk+j(bkck+akdk)로 한다. 한편, 계열 번호 r=N-a의 ZC 계열의 각 계수는 cr=N-a *(k)=(ar=a *(k))*=ck-jdk이며, 계열 번호 r=N-a측의 상관에 대한 연산 결과는, akck+bkdk+j(bkck-akdk)가 된다.
따라서, 계열 번호 r=a측의 상관값을 얻기 위해서 행한 곱셈 연산 결과는, akck, bkdk, bkck, akdk는, 계열 번호 r=N-a측의 상관값의 산출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열 번호 r=a와 계열 번호 r=N-a를 조(組)로 하여 할당하지 않을 경우의 수신 처리에 비해 곱셈 연산량을 저감할 수 있어, 회로 규모(곱셈기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도 4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ZC 계열은, 우(偶)대상 계열(계열의 각 요소가 cr(k)=cr(N-1-k))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상관기에서는, 곱셈 연산 전에 k와 N-1-k의 요소를 가산한 곱셈 처리를 행함으로써, 곱셈 횟수(곱셈기 수)를 다시 절반으로 삭감할 수 있다.
다음에, 할당 계열 정보의 구체적인 통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인덱스 1에 계열 번호 r=1이, 인덱스 2에 계열 번호 r=N-1이 대응화되고, 인덱스 3에 계열 번호 r=2가, 인덱스 4에 계열 번호 r=N-2가 대응화되어 있다. 인덱스 4 이후도 마찬가지로 계열 번호(r)가 대응화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계열 할당부(52)에서는, 셀에 계열 번호를 할당할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테이블에 따라, 각 셀에 필요한 계열수 K개의 ZC 계열을 인덱스가 연속하도록 할당한다. 할당된 계열의 계열 번호(r)를 나타내는 정보는 통지부(53)에 통지된다.
통지부(53)에서는, 계열 할당부(52)에 의해 할당된 ZC 계열을 할당 대상이 되는 BS(100)에 통지한다. BS(100)의 통보 채널 생성부(102)는,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정보를 포함한 통보 채널 (BCH:Broadcast Channel)을 생성한다.
도 6은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 있어서 생성되는 통보 채널(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서는, 도 5에 나타낸 테이블을 기억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연속해서 할당되는 ZC 계열의 처음의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를 나타내는 스타트 인덱스 번호(3021)와 할당된 ZC 계열수를 나타내는 할당 계열수(3022)를 합한 할당 계열 정보(302)가 생성된다. 할당 계열 정보(302)는 통보 채널(300)에 포함되어, 각 UE에 통지된다.
여기서, 스타트 인덱스 번호(3021)의 비트수 X는, ZC 계열 번호를 통지하는데 필요한 비트수이며, 계열수가 N-1일 경우는, X=ceiling(log2(N-1))이다. 또, 할당 계열수(3022)의 비트수 Y는, 1셀에 할당할 수 있는 최대 할당수(M)를 통지하는데 필요한 비트수이며, Y=ceiling(log2(M))이다. 여기서, ceiling(x)는 x가 정수일 경우는 x를 나타내고, x가 비정수일 경우는 x보다 큰 정수 중 최소(最小)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결정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 계열수는, BS(100)로부터 통보 채널에 의해 UE(150)에 통지된다. UE(150)측에서도, 도 5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구비하여, 통지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 계열수를 이용해,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UE(150)는, 특정한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 중에서 1개의 계열 번호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시켜 RA 버스트를 생성하여, RA 슬롯으로 송신한다.
또한, 도 6에서는, 할당된 계열의 선두의 인덱스 번호를 통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말미, 혹은, 무선 리소스 관리부(51), BS(100), UE(150)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특정 위치의 인덱스 번호이어도 좋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낸 계열 할당부(52)의 동작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스텝(이하,「ST」라고 약칭함) 401에서는, 카운터 a를 초기화(a=1)한다. 또, 1셀에 대한 할당수를 K라고 한다.
ST402에서는, 인덱스 번호 a부터 인덱스 번호 a+K-1까지의 연속된 K개의 계열이 1개라도 할당이 끝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할당이 끝난 상태가 아닌 경우(NO), 즉, K개 전부의 계열이 할당 가능한 경우는, 계열 할당을 행하기 위해 ST404로 이행하고, 연속된 K개의 계열 중 1개라도 할당이 끝난 계열이 있는 경우(YES)는, ST403에 있어서, 카운터 a를 인크리먼트(increment)(a=a+1로 갱신)하고, ST402로 되돌아온다.
ST404에서는, 인덱스 번호 a부터 a+K-1까지의 계열을 할당하고, 계열 할당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T401, ST402, ST404에서는, 할당하는 계열을 계열 번호가 작은 순서로 검색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지만, 검색하는 순서(카운터 a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에, ZC 계열 길이 N=839, 1개의 셀에 할당 가능한 최대 계열수를 64라고 했을 경우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및 통보 채널의 할당 계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다.
계열 길이(N)가 839인 소수(素數)이기 때문에, 할당 가능한 계열수는 838이 며, 인덱스 수도 838이다. 따라서, 인덱스 번호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10 bits가 된다. 또, 할당 계열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할당수가 1부터 64(최대)이기 때문에, 6bits가 된다. 따라서, 할당한 계열 번호 및 계열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항상 16bits가 된다.
한편, 임의의 계열 번호를 1개의 셀에 할당하는 경우는, 할당한 계열마다 인덱스 통지를 위해서 10bits를 필요로 하여, 최대 할당 계열수가 64라 하면, 최대 640bits(=10bits×64계열)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통지 방법을 적용했을 경우, 시그널링 비트수를 최대 640bits에서 16bits로 저감할 수 있어, 시그널링량을 최대 97.5% 삭감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할당 계열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사이즈가 되기 때문에, 할당 계열 정보의 비트수를 할당 계열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통보 채널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송수신 처리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지부(53)로부터 각 BS(100-1~100-M)로의 할당 계열 정보의 통지 방법도, BS(100)로부터 UE(150)로의 통지 방법과 마찬가지로 통지함으로써,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열 길이(N)가 소수(素數)(홀수)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계열 길이(N)가 비소수(홀수, 짝수 상관없음)이어도 좋다. 계열 길이(N)가 소수가 아닌 경우는, 시스템 전체에서 이용 가능한 최적의 자기 상관 특성 을 가지는 계열 번호(r)는, 계열 길이(N)에 대해서 서로 소(素)임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테이블은, (a, N-a)의 조를 랜덤하게 배열해도 좋다. 또, ZC 계열의 조의 순서(a, N-a의 순서)는, a, N-a의 순서라도, N-a, a의 순서라도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테이블은, ZC 계열 번호의 순서(계열 번호 a의 순서)는 임의라도 좋고, a=1, 2, 3, 4, …라도, a=11, (N-1)/2, 1, …과 같이 랜덤한 할당이라도 좋다. 이러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이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BS(100)와 UE(150)가 동일한 테이블을 공유하고 있으면, 테이블에 표시된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 번호와 할당 계열수를 통지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시그널링량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랜덤 엑세스에서 이용하는 프리앰블 계열을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기지(旣知) 신호로서 1개의 BS에서 복수의 ZC 계열 또는 GCL 계열을 이용할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지 신호로서는, 예를 들면, 채널 추정용 참조 신호, 하향 동기용 파일럿 신호(Synchronization Channel)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BS에 대해서 1개의 계열 할당부(52)가 존재하는 집중 관리형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S마다 계열 할당부를 구비하여, 복수의 BS간에서 서 로 다른 계열 번호 r의 ZC 계열을 할당하도록 정보 교환하는 분산 관리형 시스템 구성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부, BS 및 UE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3을 원용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는, 인덱스 1에 계열 번호 r=1, N-1이 대응화되고, 인덱스 2에 계열 번호 r=2, N-2가 대응화되어 있다. 인덱스 3 이후도 마찬가지로 계열 번호(r)가 대응화되어 있다.
계열 할당부(52)에서는, 셀에 계열 번호를 할당할 때에, 도 11에 나타내는 테이블에 따라, 각 셀에 필요한 계열수 K개의 ZC 계열을 인덱스가 연속하도록 할당한다. 할당된 계열의 인덱스는 통지부(53)에 통지된다.
통지부(53)에서는, 계열 할당부(52)에 의해 할당된 계열의 인덱스를 할당 대상이 되는 BS(100)에 통지한다. BS(100)의 통보 채널 생성부(102)는,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인덱스에 기초하여, 할당 계열 정보를 생성한다. 할당 계열 정보는, 통보 채널에 포함된다.
도 12는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 있어서 생성되는 통보 채널(3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테이블을 기억 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스타트 인덱스 번호(3121)와 할당된 ZC 계열의 인덱스 수(3122)를 합한 할당 계열 정보(312)가 생성된다. 할당 계열 정보(312)는, 통보 채널(310)에 포함되어, 각 UE에 통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인덱스에 2개의 계열 번호가 대응화되어 있기 때문에, 인덱스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X-1bit가 된다. 또, 할당을 행하는 인덱스 수는, 최대 계열 수가 M일 경우는 M/2가 되기 때문에, 할당 인덱스 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Y-1bit가 된다.
여기서, 스타트 인덱스 번호(3121)의 비트수(X-1) 및 할당 인덱스수(3122)의 비트수(Y-1)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정의한다. 즉, X는 ZC 계열 번호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비트수이며, 계열수가 N-1일 경우는, X-1=ceiling(log2(N-1))-1이다. 또, 비트수 Y는, 1셀에 할당 가능한 최대 할당수(M)를 통지하는데 필요한 비트수이며, Y-1=ceiling(log2(M))-1이다.
이와 같이 결정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 인덱스수는, BS(100)로부터 통보 채널에 의해 UE(150)에 통지된다. UE(150)측에서도, 도 11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구비하여, 통지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 인덱스수를 이용해,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UE(150)는, 특정한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 중에서 1개의 계열 번호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시켜 RA 버스트를 생성하여, RA 슬롯으로 송신한다.
또한, 도 12에서는, 할당된 계열의 선두의 인덱스 번호를 통지하는 예를 나 타냈지만, 말미, 혹은, 무선 리소스 관리부(51), BS(100), UE(150)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특정 위치의 인덱스 번호이어도 좋다.
이하, ZC 계열 길이 N=839, 계열수가 838, 1개의 셀에 할당 가능한 최대 계열수를 64로 했을 경우, 상술한 할당 계열 정보의 통지 방법에 따르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계열 길이(N)가 839인 소수(素數)이기 때문에, 할당 가능한 계열수는 838이며, 인덱스수도 838이다. 계열 번호 a, N-a의 조에 대해서 인덱스 번호를 부여하기 때문에, 인덱스 번호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9bits가 된다. 또, 할당 인덱스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인덱스수가 1에서 32(최대)이기 때문에, 5bits가 된다. 따라서, 할당한 계열 번호 및 계열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항상 14bits가 된다.
한편, 임의의 계열 번호를 1개의 셀에 할당하는 경우는, 할당한 계열마다 인덱스 통지를 위해서 10bits를 필요로 하며, 최대 할당 계열수가 64라고 하면, 최대 640bits(=10bits×64계열)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2의 통지 방법을 적용했을 경우, 시그널링 비트수를 최대 640bits에서 14bits로 저감할 수 있어, 시그널링량을 최대 97.8%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의하면, ZC 계열 상관 처리의 연산량을 저감하면서, 더욱이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계열 번호(a, N-a)의 조에 1개의 인덱스를 대응화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4개의 계열 번호(a1, N-a1, a2, N-a2)의 조, 8개의 계열 번호(a1, N-a1, a2, N-a2, a3, N-a3, a4, N-a4)의 조 등, 2 이상의 조에 대해서 1개의 인덱스를 대응화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에 기억되는 테이블은, (a, N-a)의 조를 랜덤하게 배열해도 좋다. 또, ZC 계열의 조의 순서(a, N-a의 순서)는, a, N-a의 순서여도, N-a, a의 순서여도,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a, N-a)를 페어로 하지말고 (1, 3), (2, N-4), (a, N-b) 등과 같이 ZC 계열의 랜덤한 조에 1개의 인덱스를 대응화시켜도 좋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부, BS 및 UE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3을 원용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은, 실시형태 1의 도 5에 나타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적용하지만, 셀에 할당하는 계열수를 제한하는 점이 실시형태 1과는 다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할당 계열수와 통지 비트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서는, 최대 할당 계열수를 64로 하고, 셀에 할당 가능한 계열수를 2의 누승(累乘)으로 제한했을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할 당 계열수를 제한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열 할당부(52)에서는, 셀에 ZC 계열 번호를 할당할 때에, 도 6에 나타내는 테이블에 따라, 각 셀에 필요한 계열수 K개의 ZC 계열을 인덱스가 연속하도록 할당한다(도 8과 동일). 여기서, 계열수 K가 취할 수 있는 값은, 도 13에 나타내는 값으로 제한된다. 할당된 계열의 인덱스는 통지부(53)에 통지된다.
도 14는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 있어서 생성되는 통보 채널(3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서는,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테이블을 기억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스타트 인덱스 번호(3021)와 할당한 ZC 계열의 할당 계열수(3222)를 합한 할당 계열 정보(322)가 생성된다. 할당 계열 정보(322)는 통보 채널(320)에 포함되어, 각 UE에 통지된다.
여기서, 할당 계열수(3222)의 비트수 Z는, 통지 비트에 필요한 비트수이며, 취할 수 있는 할당 계열수가 P종류인 경우, Z=ceiling(log2(P))이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할당 계열수(7종류)의 경우, 비트수 Z는 3bits가 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 계열수는, BS(100)로부터 통보 채널에 의해 UE(150)에 통지된다. UE(150)측에서도, 도 5 및 도 13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구비하고, 통지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 계열수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UE(150)는, 특정한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 중에서 1개의 계열 번호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시켜 RA 버스트를 생성하여, RA 슬롯으로 송신한다.
또한, 도 14에서는, 할당된 계열의 선두의 인덱스 번호를 통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말미, 혹은, 무선 리소스 관리부(51), BS(100), UE(150)의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특정 위치의 인덱스 번호이어도 좋다.
다음에, 할당 계열수를 제한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15는 RA 프리앰블 길이를 800us인 경우에 있어서, 셀 사이즈(셀 반경)에 대한 1개의 ZC 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 및 소요 할당 계열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소요 할당 계열수는, 다른 계열 번호의 ZC 계열수이다.
일례로서 비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는, 1개의 셀에 대해서 랜덤 엑세스용 프리앰블 계열을 항상 64계열 이용한다. 이 때, 64계열은, 1개의 ZC 계열로부터 생성되는 1 혹은 복수의 순회 쉬프트 계열 및 다른 계열 번호의 ZC 계열로 구성된다. 1개의 ZC 계열로부터 8개의 순회 쉬프트 계열이 생성 가능할 경우, 8개의 다른 계열 번호의 ZC 계열을 그 셀에 할당하고, 각 ZC 계열로부터 8개씩 순회 쉬프트 계열을 생성함으로써, 합계 64계열이 된다.
계열 길이가 홀수일 경우의 ZC 계열(수학식 (2))에 대해서, q=0로 하고, 순회 쉬프트량 Δ를 포함시킨 수학식을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5
여기서, l은 순회 쉬프트 계열 번호를 나타내며, l=0, 1, …, L-1이며, L은 순회 쉬프트 계열수를 나타낸다.
1개의 ZC 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는, 순회 쉬프트량 Δ에 의해 결정된다. Δ가 작은 경우는, 1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가 증가하고, Δ가 큰 경우는, 1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가 적어진다. 순회 쉬프트 계열수 L은 L=floor(N/Δ)에 의해 얻어진다.
또, 순회 쉬프트량 Δ는, BS(100)와 UE(150)간의 왕복분의 전파 지연(Round Trip Delay)보다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셀이 서포트하는 서비스 반경에 비례한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셀 사이즈(셀 반경)에 비례하여, 1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가 감소하고, 한편으로 소요 할당 계열수가 증가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할당 계열수는 1부터 최대 할당수 M의 임의의 수를 셀에 할당할 수 있는 구성이었지만, 큰 할당 계열수(예를 들면, 17~31, 33~63 등)는, 셀 반경이 대단히 큰 셀이어, 실제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한편, 대부분의 셀은, 그 셀 반경이 수 백 미터에서 10km 정도이며, 소요 할당 계열수가 적다.
따라서,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셀 반경이 클수록, 취할 수 있는 계열수의 간격을 확대함(지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계열 할당의 자유도를 어느 정도 유지한 채, 시그널링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ZC 계열 길이 N=839, 계열수가 838, 1개의 셀에 할당 가능한 최대 계열수를 64로 하고, 할당 계열수를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한했을 경우, 상술한 할당 계열 정보의 통지 방법에 따르는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열 길이(N)가 839인 소수이기 때문에, 할당 가능한 계열수는 838이며, 인덱스수도 838이다. 인덱스 번호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10bits가 된다. 또, 할당 계열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3bits가 된다. 따라서, 할당한 계열 번호 및 계열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항상 13bits가 된다.
여기서, 임의의 계열 번호를 1개의 셀에 할당하는 경우는, 할당한 계열마다 인덱스 통지를 위해 10bits를 필요로 해, 최대 할당 계열수가 64라고 하면, 최대 640bits(=10bits×64계열)의 통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3의 통지 방법을 적용했을 경우, 시그널링 비트수를 최대 640bits에서 13bits로 저감할 수 있어, 시그널링량을 최대 98.0%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에 의하면, ZC 계열 상관 처리의 연산량을 저감하면서, 더욱이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부, BS 및 UE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3을 원용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16에서는, 할당 계열수마다 인덱스와 계열 번호의 대응 관계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할당 계열수를 K=1, 2, 4, 8, 16, 32, 64라고 했을 경우, 7종류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준비한다.
도 16(a)는, 할당 계열수 1용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16(a)에서는, 1개의 인덱스에 대해서 1개의 계열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덱스 1에 계열 번호 r=1이, 인덱스 2에 계열 번호 r=N-1이 대응화되어 있고, 인덱스 3에 계열 번호 r=2, 인덱스 4에 계열 번호 r=N-2가 대응화되어 있다. 인덱스 5 이후도 마찬가지로 계열 번호(r)가 대응화되어 있다.
도 16(b)는, 할당 계열수 2용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16(b)에서는, 1개의 인덱스에 대해서 2개의 계열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덱스 1에 계열 번호 r=1, r=N-1이 대응화되어 있고, 인덱스 2에 계열 번호 r=2, r=N-2가 대응화되어 있다. 인덱스 3 이후도 마찬가지로 계열 번호(r)가 대응화되어 있다.
도 16(c)는, 할당 계열수 4용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16(c)에서는, 1개의 인덱스에 대해서 4개의 계열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덱스 1에 계열 번호 r=1, r=2, r=N-1, r=N-2가 대응화되고, 인덱스 2에 계열 번호 r=3, r=4, r=N-3, r=N-4가 대응화되어 있다. 인덱스 3 이후도 마찬가지로 계열 번호(r)가 대응화되어 있다. 할당 계열수 8 이후도 마찬가지로, 인덱스와 할당 계열수분의 계열 번호가 대응화된다.
계열 할당부(52)에서는, 셀에 ZC 계열 번호를 할당할 때에, 할당 계열수 K 및 할당수에 대응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도 16)에 따라, 계열을 할당하고, 할당한 계열의 인덱스를 통지부(53)에 통지한다.
통지부(53)에서는, 계열 할당부(52)로부터 통지된 인덱스를 할당 대상이 되는 BS(100)에 통지한다. BS(100)의 통보 채널 생성부(102)는,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인덱스를 포함한 통보 채널을 생성한다.
도 17은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 있어서 생성되는 통보 채널(3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테이블을 기억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할당수 K에 대응하는 인덱스 종별(3321)과 할당된 인덱스 번호(3322)를 합한 할당 계열 정보(332)가 생성된다. 할당 계열 정보(332)는 통보 채널(330)에 포함되어, 각 UE에 통지된다.
여기서, 인덱스 종별(3321)의 비트수 Z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할당수 K가 1, 2, 4, 8, …같이 증가할 때 마다, 1bit, 2bits, 3bits, 4bits, …같이 증가한다. 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할당 계열 정보의 선두 비트가 1인 경우, 할당수 1용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고, 선두의 1비트 이후의 할당 계열 정보의 비트는 인덱스 번호임을 나타낸다. 또, 할당 계열 정보의 선두 비트가 01인 경우, 할당수 2용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고, 선두의 2비트 이후의 할당 계열 정보의 비트는 인덱스 번호임을 나타낸다. 이후, 마찬가지로 할당 계열 정보의 최초로 비트 “1”이 나타난 위치가 인덱스 종별을 나타내고, 이후의 할당 계열 정보의 비트는 인덱스 번호임을 나타낸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최초로 비트 “1”이 나타난 위치가 인덱스 종별을 나타내는 예를 나타냈지만, 비트 “0” 과 “1”은 반대로 되어 있어도 좋아, 최초로 비트 “0”이 나타난 위치가 인덱스 종별을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한편, 인덱스 번호의 비트수는, 할당수 K가 1, 2, 4, …처럼 증가함에 따라, 1비트씩 감소한다. 예를 들면, 각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대해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ZC 계열수를 중복해서 할당할 경우, 계열수를 N이라고 하면, K=1, 2, 4, 8, 16, 32, 64에 대응하는 각 테이블의 인덱스수 N1, N2, N4, …, N64는, 각각, N1=N, N2=floor(N/2), N4=floor(N/4), …, N64=floor(N/64)가 되기 때문에, 인덱스 번호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K=1의 경우를 Xbit라고 하면, K=2, 4, 8, 16, 32, 64에서는 각각, X-1bit, X-2bit, X-3bit, X-4bit, X-5bit, X-6bit가 된다.
따라서, 인덱스 종별(3321)과 인덱스 번호(3322)를 합한 할당 계열 정보(332)의 비트수는, 할당수 K에 상관없이 일정(X+1bit)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인덱스 종별과, 인덱스 종별에 대응화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있어서의 1개의 인덱스 번호는, BS(100)로부터 통보 채널에 의해 UE(150)에 통지된다. UE(150)측에서도, 도 16 및 도 18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구비하고, 통지된 인덱스 종별과, 인덱스 종별에 대응화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있어서의 1개의 인덱스 번호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할 수 있다. UE(150)는, 특정한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 중에서 1개의 계열 번호를 선택하여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시켜 RA 버스트를 생성하여, RA 슬롯으로 송신한다.
이하, ZC 계열 길이 N=839, 계열수가 838, 1개의 셀에 할당 가능한 최대 계열수를 64라고 하고, 할당 계열수를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한했을 경우, 상술한 할당 계열 정보의 통지 방법에 의한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할당 계열수 K를 1, 2, 4, 8, 16, 32, 64로 제한하기 때문에, 할당 계열수 마다의 테이블수는 7개이다. 계열 길이가 839인 소수이기 때문에, 계열수는 838이며, 할당 계열수 K=1, 2, 4, 8, 16, 32, 64에 대응하는 각 테이블의 인덱스 번호에 요하는 비트수는, 각각 10bits, 9bits, 8bits, 7bits, 6bits, 5bits이다. 한편, 인덱스 종별(테이블 종별)의 통지에 요하는 비트수는, 할당 계열수 K=1, 2, 4, 8, 16, 32, 64의 각 테이블에 대해서, 1bit, 2bits, 3bits, 4bits, 5bits, 6bits가 된다. 따라서, 할당한 계열 번호 및 계열수의 통지에 필요한 비트수는 항상 11bits가 된다.
여기서, 임의의 계열 번호를 1개의 셀에 할당하는 경우는, 할당한 계열마다 인덱스 통지를 위해서 10bits를 필요로 하며, 최대 할당 계열수가 64라고 하면, 최대 640bits(=10bits×64계열)의 통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실시형태 4의 통지 방법을 적용했을 경우, 시그널링 비트수를 최대 640bits에서 11bits로 저감할 수 있어, 시그널링량을 최대 98.3%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4에 의하면, ZC 계열 상관 처리의 연산량을 저감하면서, 더욱이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각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은, ZC 계열 번호 a, N-a의 순서는 a가 오름차순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예로 나타냈지만, 내림차순이어도, 랜덤이어도 좋다. 또, 각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의 계열 번호 순서도 각각, 다른 계열 순서이어도 좋다.
(실시형태 5)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부, BS 및 UE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3을 원용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서는, 미리 설정되는 할당 계열의 각각의 조합에 대해서, 1개씩 인덱스 번호를 할당하고 있다. 예를 들면, ZC 계열수를 N-1이라고 했을 경우, 인덱스 번호 1부터 N-1에는, 각각 1부터 N-1의 어느 하나의 계열 번호를 할당한다. 인덱스 번호 N부터 i까지는, 2개의 계열 번호 조(組)를 할당한다. 인덱스 번호 i+1부터 j까지는, 4개의 계열 번호 조를 할당한다. 인덱스 번호 j+1 이후도 마찬가지로, 미리 설정된 할당 계열의 조를 할당한다. 2개 계열을 조로 하여 1개의 인덱스 번호에 대응화시키는 부분에 필요한 인덱스 번호의 수(N2)는, N2=i-N=floor(N/2)가 된다. 마찬가지로, X개의 계열을 조(組)로 하여 1개의 인덱스 번호에 대응화하는 부분에 필요한 인덱스 번호의 수(Nx)는 Nx=floor(N/X)가 된다.
계열 할당부(52)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따라, 할당수에 대응한 계열조를 할당한다. 통지부(53)에서는, 계열 할당부(52)에 의해 할당된 ZC 계열을 할당 대상이 되는 BS(100)에 통지한다. BS(100)의 통보 채널 생성부(102)는,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정보를 포함한 통보 채널을 생성한다.
도 20은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 있어서 생성되는 통보 채널(3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테이블을 기억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번호의 조(組)에 대응하는 인덱스 번호(3421)를 포함한 통보 채널(340)을 생성하여, 각 UE에 통지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5에서는, 할당 계열 번호와 인덱스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이며, 인덱스는, 1개의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 번호와, 계열 번호 r=a와 계열 번호 r=N-a를 조(組)로 하여 복수의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 번호로 구성된다. BS(100)는, 도 19에 나타내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기억한다.
여기서, 계열 길이가 N일 경우는, 단일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의 수 N1은 N-1이며, 2개의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의 수 N2는 N2=floor(N/2)이다. 마찬가지로, X개의 계열 번호에 대응화된 인덱스의 수 Nx는 Nx=floor(N/X)가 된다. 이와 같이, 도 19에 나타내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서는 1개의 인덱스 번호에 대 응화된 할당 계열수가 많은 부분일수록, 인덱스 번호의 수가 적어진다.
BS(100)는, 기억한 도 19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할당하는 계열 및 계열수로부터, 대응하는 인덱스 번호를 결정한다. 결정된 1개의 인덱스 번호는, BS(100)로부터 통보 채널에 의해 UE(150)에 통지된다. UE(150)측에서도, 도 19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구비하여, 통지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수 정보를 이용해,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5의 통지 방법에서는, 미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계열 번호의 조합만을 설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셀 사이즈가 큰, 즉, 할당 계열수가 많은 셀 수는, 셀 사이즈가 작은, 즉, 할당 계열수가 적은 셀 수만큼 많지 않기 때문에, 계열 번호의 조(組) 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예를 들면, 할당 계열수가 적은 계열 번호의 조 수는 많이 얻어지기 때문에(할당 계열수 1은 N조 얻어짐), 계열 번호의 조(組) 수가 많이 얻어지는 할당 계열수에 대해서, 계열 번호의 조(組) 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실제로 필요한 계열 번호의 조합수만을 통지하기 때문에, 인덱스 번호의 통지에 이용하는 비트수를 낭비없이 이용할 수 있어,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5에 의하면, ZC 계열 상관 처리의 연산량을 저감하면서,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실시형태 1에서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따라, 스타트 인덱스 번호와 할당 계열수를 통지하는 통지 방법을 나타냈지만, 테이블의 계열의 배열 방법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여기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UE가 존재하고, 다른 순회 쉬프트량의 순회 쉬프트 계열을 동일 셀 내에서 사용할 경우, 수신 신호에 대해서, 고속 이동시의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이나 주파수 오프셋(Frequency Offset)이 더해지기 때문에, 동일 ZC 계열로부터 생성되는 다른 순회 쉬프트 계열의 검출 범위, 즉, 잘못된 타이밍 위치에 높은 상관값이 발생한다. 한편, 기대되는 검출 범위의 상관값이 작아진다.
다른 순회 쉬프트 계열의 검출 범위에 높은 상관값이 발생하면, 다른 순회 쉬프트 계열에 대한 오류 검출 확률이 증가한다. 또, 기대하는 검출 범위의 상관값이 작아지면, 송신된 프리앰블의 검출 확률이 낮아진다.
도 21은 고속 이동시의 UE로부터 송신되는 ZC 계열의 상관값과 순회 쉬프트량 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속 이동시의 UE로부터 송신된 프리앰블에 대한 상관값은, 정지한 UE로부터 송신되는 도플러 확산이나 주파수 오프셋이 없는 경우에 검출되는 상관값의 타이밍에 비해서, 후술하는 ZC 계열의 계열 번호에 따른 x의 타이밍분, +방향 및 -방향으로 잘못된 타이밍에 상관값의 피크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상관값의 피크의 크기는, UE의 이동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오(誤)상관값의 피크가 커지는 한편, 정상적인 타이밍의 피크 값은 작아진다. 따라서 설정한 순회 쉬프트량 Δ의 값이 x보다 클 경우(Δ>x), 기지국에 있어서의 피크 검출 처리에 있어서 오류 검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순회 쉬프트량 Δ는 x보다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Δ<x).
종래의 통지 방법에서는,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범위에, 다른 순회 쉬프트 계열의 검출 범위 및 그 다른 순회 쉬프트 계열이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범위가 겹치지 않도록, 오(誤)검출 등이 일어나지 않는 계열 번호 및 순회 쉬프트량을 개별적으로 선출하여,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통지 방법에서는 개별적으로 통지할 수 없다.
그래서, 사용하는 계열이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위치와 정상적인 타이밍의 위치의 차(差)가 계열 번호에 의존한다고 하는 점, 또 상관값이 발생하는 범위가 셀 반경에 의존하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가 셀 반경에 의해 제한되는 점에 착목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설정의 예를 나타낸다.
실시형태 6에 따른 무선 리소스 관리부, BS 및 UE의 구성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3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계열 길이(N)가 37(소수)인 경우에 있어서의 계열 번호 r에 대해서, 1개씩 인덱스 번호를 할당하고 있다. 또한, 계열 길이(N)는 37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기재된 수학식 (1)~(5)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 정의되는 ZC 계열을 적용할 경우, u=1, 2, 3, …, N-1에 대해서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시키는 계열 번호(r)의 순서로 인덱스를 할당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로 한다.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6
도 22의 계열 길이(N)가 37일 경우에는, 인덱스 1에 계열 번호 r=1이, 인덱스 2에 계열 번호 r=18이 대응화되어 있다. 인덱스 3 이후도 마찬가지로 식 (6)을 만족시키는 r이 대응화되어 있다. 또한, 계열 번호 r의 순서는, u=N-1, N-2, …, 3, 2, 1에 대해서 식 (6)을 만족시키는 순서이어도 좋다.
계열 할당부(52)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따라, 할당수에 대응한 계열조의 할당을 행한다. 통지부(53)에서는, 계열 할당부(52)에 의해 할당된 ZC 계열을 할당 대상이 되는 BS(100)에 통지한다. BS(100)의 통보 채널 생성부(102)는, 통지부(53)로부터 통지된 할당 계열 정보를 포함한 통보 채널을 생성한다.
통보 채널 생성부(102)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테이블을 기억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13)를 참조하여, 스타트 인덱스 번호(3021)와 할당된 ZC 계열의 할당 계열수(3022)를 합한 할당 계열 정보(302)를 생성한다. 할당 계열 정보는, 통보 채널(300)에 포함되어, 각 UE에 통지된다.
이와 같이 결정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수는, BS(100)로부터 통보 채널에 의해 UE(150)에 통보된다. UE(150)측에서도, 도 22에 나타내는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 기억부(161)에 구비하여, 통지된 1개의 인덱스 번호 및 할당수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 가능한 계열 번호를 특정한다.
실시형태 6의 통지 방법에서는, BS(100)는 식 (6)에 의해 설정되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 기초하여, 연속하는 인덱스 번호의 계열을 동일 셀에 할당한다. 이 테이블을 이용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것처럼,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위치와 정상적인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위치의 상대차 x가 +/-1, +/-2, …, +/-18, -/+18, -/+17, …, -/+1의 순서로 배열된다.
또, 기지국(100)에 있어서, 프리앰블의 오류 검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 및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각각에 대한 순회 쉬프트량 Δ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순회 쉬프트량 Δ<상대차 x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3에 나타내는 것처럼, 적용 가능한 순회 쉬프트량 Δ도 각각, 1, 2, …, 18, 18, 17, …, 1이 된다.
한편, 소요 순회 쉬프트량 Δ는, 그 셀이 서포트하는 BS(100)와 UE(150)간의 왕복분의 전파 지연 시간(TPropagationDelay)의 최대 상정값과, 전송로의 멀티 패스 지연 시간의 최대 상정값(TDelaySpread)의 합(合)보다 크게 되도록 설정된다. 즉, 소요 순회 쉬프트량 Δ>2×TRoundTripDelay+TDelaySpread가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이 셀에 적용 가능한 계열 번호는, 상대차 x가 x>쉬프트량 Δ>2×TRoundTripDelay+TDelaySpread를 만족시키는 계열로 한정된다.
도 23의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에서는, 적용 가능한 순회 쉬프트량 Δ(<x)가 오름차순 및 내림차순으로 배열, 즉, 이용 가능한 셀 반경에 비례한 순서로 계열 번호가 배열되기 때문에, 연속으로 N개 계열을 할당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셀 반경의 제약에 의해 이용할 수 없는 계열이 포함되지 않도록 할당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위치와 정상적인 타이밍의 위치의 차(差)가 오름차순(인덱스 번호 1~floor(N/2)), 내림차순(인덱스 번호 floor(N/2)~N-1)으로 인덱스 번호에 할당되기 때문에, 상관값이 발생하는 범위가 가까운 관계에 있는 계열 번호(r)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고, 1개의 ZC 계열로부터 생성 가능한 순회 쉬프트 계열수가 최대가 되는 등의 계열 할당이 가능하며, 계열의 소비량을 경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6에 의하면, 통보 채널로 통지하는 할당 계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저감하면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UE가 존재하는 셀이라도, 이용가능한 계열 할당만을 낭비없이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은, u에 대해서 수학식 (7)을 만족시키는 r의 순서로 해도 좋다. 도 24는 계열 길이 N=37인 경우의 식 (7)을 만족시키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의 예이다. 즉, 인덱스 번호 1에 대해서, u=1에 대응하는 계열 번호 r=N-1, 인덱스 번호 2에 대해서, u=N-1에 대응하는 계열 번호 r=1, 인덱스 번호 3 이후도 마찬가지로, 식 (7)을 만족시키는 u에 대한 계열 번호 r을 할당한다.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7
이 경우, 계열 번호 r=a와 r=N-a의 조는, 대응 가능한 셀 반경 및 잘못된 타이밍에 발생하는 상관값의 위치 등이 동일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이동하는 UE(150)가 존재하는 셀이라도, 이용 가능한 계열 할당만을 더욱 낭비없이 통지할 수 있다. 또, 식 (7)에 있어서, u=b와 u=N-b의 순서는 적용 가능한 순회 쉬프트량 Δ가 동일하기 때문에 u=b, u=N-b 혹은 u=N-b, u=b의 순서의 어느 순서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 1~5에 기재한 계열 번호 a 및 N-a에 대한 a의 순서에 대해서 식 (6), 식 (7)을 적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식 (6)은 이하의 수학식 (8)이어도 좋다.
Figure 112009055838743-pct00008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ZC 계열을 이용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GCL 계열을 이용해도 좋다.
또, 식 (1)~(5)에 기재한 ZC 계열 및 GCL 계열의 exp 내의 부호는 -j이어도 +j이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통지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순회 쉬프트 계열을 병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셀에서 이용하는 RA 프리앰블수가 BS와 UE 사이에 미리 기지(旣知)인 경우,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통지하는 대신에, 순회 쉬프트 계열수를 통지하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이것은, 셀에서 이용하는 프리앰블수÷순회 쉬프트 계열수로 함으로써,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순회 쉬프트 계열을 병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셀에서 이용하는 RA 프리앰블수가 BS와 UE 사이에 미리 기지(旣知)인 경우,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통지하는 대신에, 순회 쉬프트량 Δ를 통지하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이것은, 계열 길이 N 및 순회 쉬프트량 Δ로부터 얻어지는 순회 쉬프트 계열수로부터,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순회 쉬프트 계열을 병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셀에서 이용하는 RA 프리앰블수가 BS와 UE 사이에 미리 기지(旣知)인 경우,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통지하는 대신에, 셀 사이즈(반경)를 통지하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이것은, 셀 사이즈(반경)로부터 소요 순회 쉬프트량 Δ를 얻음으로서, 할당 계열수, 혹은, 인덱스수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는 프리앰블 계열 테이블을 이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계열 번호=f(인덱스 번호)와 같이, 계열 번호와 인덱스의 대응 관계는 수학식으로 얻어지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괜찮고, 일부 또는 모두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괜찮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 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 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07년 3월 19일 출원한 특허 출원 2007-071194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 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는, 1개의 셀에 할당한 다른 ZC 계열 또는 GCL 계열을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통지하는 통보 채널의 시그널링량(비트수)을 저감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이동체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7)

  1. 계열 번호에 따른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을 할당하는 할당부와,
    할당된 상기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통지하는 통지부
    를 갖는 계열 통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은 고속 이동하는 이동국에 대한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인
    계열 통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량은 상기 계열 번호에 의존하는
    계열 통지 장치.
  4. 계열 번호에 따른 소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을 할당하는 할당부와,
    할당된 상기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통지하는 통지부
    를 갖는 계열 통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고속 이동하는 이동국에 대한 소요 순회 쉬프트량인
    계열 통지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 이하인
    계열 통지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 이하의 최대의 순회 쉬프트량인
    계열 통지 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도플러 확산에 대해, 이용 가능한 최대의 순회 쉬프트량인
    계열 통지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N을 계열 길이, a를 1 내지 N-1 사이의 정수로 하고, 상기 계열 번호가 a, N-a의 순으로,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계열 통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상기 계열 번호가 a, N-a의 순이고, 상기 정수 a가 비연속인,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계열 통지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이용 가능한 셀 반경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계열 통지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고속 이동하는 이동국에 대한 셀 반경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계열 통지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소요 순회 쉬프트량을 통지하는
    계열 통지 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은 자도프-츄(Zadoff-Chu) 계열인
    계열 통지 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로부터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이 생성되는
    계열 통지 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할당된 상기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통보 채널(broadcast channel)을 이용하여 셀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국에 통지하는
    계열 통지 장치.
  17. 계열 번호에 따른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을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통지하는
    계열 통지 방법.
  18. 계열 번호에 따른 소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을 할당하고,
    할당된 상기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통지하는
    계열 통지 방법.
  19. 계열 번호에 따른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계열로부터 생성된 프리앰블 계열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갖는 이동국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은 고속 이동하는 이동국에 대한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인
    이동국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순회 쉬프트량은 상기 계열 번호에 의존하는
    이동국 장치.
  22. 계열 번호에 따른 소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계열로부터 생성된 프리앰블 계열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갖는 이동국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고속 이동하는 이동국에 대한 소요 순회 쉬프트량인
    이동국 장치.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 이하인
    이동국 장치.
  25.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 이하의 최대의 순회 쉬프트량인
    이동국 장치.
  26.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요 순회 쉬프트량은 도플러 확산에 대해, 이용 가능한 최대의 순회 쉬프트량인
    이동국 장치.
  27.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N을 계열 길이, a를 1 내지 N-1 사이의 정수로 하고, 상기 계열 번호가 a, N-a의 순으로,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상기 계열 번호가 a, N-a의 순이고, 상기 정수 a가 비연속인,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29.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이동 가능한 셀 반경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30.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열에는, 고속 이동하는 이동국에 대한 셀 반경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상기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는
    이동국 장치.
  31.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통지된 소요 순회 쉬프트량을 수신하는
    이동국 장치.
  32.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은 자도프-츄 계열인
    이동국 장치.
  33.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수신한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을 순회 쉬프트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리앰블 계열이 생성되는
    이동국 장치.
  34.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 계열을 포함하는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이 생성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랜덤 엑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하는
    이동국 장치.
  35. 제 19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통보 채널(broadcast channel)을 이용하여 셀 내에 존재하는 각 이동국에 통지된 상기 인덱스를 수신하는
    이동국 장치.
  36. 계열 번호에 따른 도플러 확산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계열로부터 프리앰블 계열을 생성하는
    계열 생성 방법.
  37. 계열 번호에 따른 소요 순회 쉬프트량이, 전체적으로 최대값까지의 오름차순 후에 상기 최대값으로부터의 내림차순으로 되도록, 연속하는 번호의 인덱스가 부여된 복수의 계열 중, 상기 인덱스가 연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상기 인덱스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계열로부터 프리앰블 계열을 생성하는
    계열 생성 방법.
KR1020097018956A 2007-03-19 2008-03-18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 이동국 장치, 및 계열 생성 방법 KR101457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71194 2007-03-19
JP2007071194 2007-03-19
PCT/JP2008/000637 WO2008129797A1 (ja) 2007-03-19 2008-03-18 系列通知方法及び系列通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976A KR20100014976A (ko) 2010-02-11
KR101457726B1 true KR101457726B1 (ko) 2014-11-03

Family

ID=3987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956A KR101457726B1 (ko) 2007-03-19 2008-03-18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 이동국 장치, 및 계열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6) US8085724B2 (ko)
EP (6) EP2472759B8 (ko)
JP (3) JP4790062B2 (ko)
KR (1) KR101457726B1 (ko)
CN (2) CN101637058B (ko)
AU (1) AU2008242031C1 (ko)
BR (1) BRPI0809404B1 (ko)
ES (2) ES2448597T3 (ko)
MY (1) MY147231A (ko)
RU (1) RU2476002C2 (ko)
WO (1) WO2008129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809404B1 (pt) * 2007-03-19 2020-10-13 Godo Kaisha Ip Bridge 1. equipamento de usuário e método para gerar uma sequência de preâmbulo para uso em um equipamento de usuário
PT2218207E (pt) * 2007-12-14 2011-09-01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ssos e dispositivos para comunicação através de um canal de rádio
JP5129863B2 (ja) * 2008-02-25 2013-01-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実行方法
WO2010018643A1 (ja) * 2008-08-12 2010-02-18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
WO2010071561A1 (en) * 2008-12-18 2010-06-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utomatic planning and handling of random access root sequences
US8638876B2 (en) * 2009-12-29 2014-01-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eamble codes and generating preambl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5673342B2 (ja) 2011-05-16 2015-02-18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4112796A1 (en) * 2013-01-17 2014-07-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TW201434287A (zh) * 2013-02-26 2014-09-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時脈內嵌資料的產生裝置及傳輸方法
JP6466313B2 (ja) * 2015-12-16 2019-02-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Mimo無線伝送システム、mimo無線伝送方法および受信機
WO2018030418A1 (ja) * 2016-08-10 2018-02-1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973055B2 (en) 2016-10-20 2021-04-06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preamble sequenc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control network traffic
CN111587564B (zh) 2017-11-10 2021-05-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短序列信号的分组和使用
JP7322213B2 (ja) * 2019-10-17 2023-08-07 華為技術有限公司 ランダムアクセス系列生成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8673B2 (en) * 2001-11-02 2006-08-08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scalable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user access utilzing multi-bit and multi-code orthogonal multiplex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752A (en) * 1994-06-23 1997-04-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BR9808170A (pt) * 1997-03-04 2000-05-16 Qualcomm Inc Arquitetura de um sistema de comunicação para múltiplos usuários com transmissores distribuìdos
US6154101A (en) * 1998-11-23 2000-11-28 Qualcomm Incorporated Fast slewing pseudorandom noise sequence generator
EP1109326A1 (en) 1999-12-15 2001-06-20 Lucent Technologies Inc. Peamble detector for a CDMA receiver
US7248698B2 (en) 2001-04-06 2007-07-2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generating pseudorandom sequences
US20030009374A1 (en) * 2001-05-04 2003-01-09 Moodie Justin Charles Schemes employing mobile communications
JP2003198504A (ja) 2001-12-27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逆拡散処理方法、拡散符号割当方法、移動体端末および基地局
US7197537B2 (en) * 2002-03-29 2007-03-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 Remote access and retrieval of electronic files
JP2007071194A (ja) 2005-09-07 2007-03-22 Kiyoshi Konno 水車・てこによる動力発生装置
USRE44351E1 (en) * 2005-12-20 2013-07-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code sequen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using the same
JP4772122B2 (ja) * 2006-08-03 2011-09-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送信方法
US8363608B2 (en) * 2006-09-29 2013-01-29 Panasonic Corporation Sequence allocating method and sequence allocating apparatus
EP2458805B1 (en) * 2007-01-05 2018-06-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tting cyclic shift considering frequency offset
JP4934203B2 (ja) * 2007-02-12 2012-05-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高速ueアクセス方法及び手順
WO2008114967A1 (en) * 2007-03-16 2008-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random access preambl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RPI0809404B1 (pt) * 2007-03-19 2020-10-13 Godo Kaisha Ip Bridge 1. equipamento de usuário e método para gerar uma sequência de preâmbulo para uso em um equipamento de usuário
US20080233966A1 (en) * 2007-03-22 2008-09-25 Comsys Communication & Signal Processing Ltd. Resource al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2190138A4 (en) * 2007-08-14 2012-01-25 Panasonic Corp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FFECTIVE SIGNAL DISTRIBUTION
US20090073944A1 (en) * 2007-09-17 2009-03-19 Jing Jiang Restricted Cyclic Shift Configuration for Random Access Preambles in Wireless Networks
WO2009045734A2 (en) * 2007-10-01 2009-04-09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xing pucch information
US8218496B2 (en) * 2007-10-26 2012-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cyclic prefix dimensioning in wireless networks
KR101516101B1 (ko) * 2007-10-29 2015-05-04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기지국 장치, 무선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US20100232318A1 (en) * 2009-03-10 2010-09-1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channel (rach) optimization for a self-organizing network (s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8673B2 (en) * 2001-11-02 2006-08-08 Intel Corporation Dynamically-scalable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user access utilzing multi-bit and multi-code orthogonal multiplex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kia. 3GPP DRAFT, R1-070377, 2007.01.10 *
Panasonic et al. 3GPP DRAFT, R1-070189, 2007.01.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1985A1 (en) 2015-06-18
CN101637058A (zh) 2010-01-27
CN101637058B (zh) 2012-08-29
KR20100014976A (ko) 2010-02-11
EP2472759B1 (en) 2014-02-12
JP5367038B2 (ja) 2013-12-11
BRPI0809404A2 (pt) 2014-09-16
EP2124463A1 (en) 2009-11-25
MY147231A (en) 2012-11-14
US20100113046A1 (en) 2010-05-06
EP3148105A1 (en) 2017-03-29
US8085724B2 (en) 2011-12-27
EP2472759B8 (en) 2014-06-11
EP2963850B1 (en) 2017-11-08
US8977214B2 (en) 2015-03-10
US10517090B2 (en) 2019-12-24
EP2675088B1 (en) 2015-11-04
CN102752856A (zh) 2012-10-24
US9503210B2 (en) 2016-11-22
JPWO2008129797A1 (ja) 2010-07-22
ES2448821T3 (es) 2014-03-17
US20170041930A1 (en) 2017-02-09
EP2124463B8 (en) 2014-03-26
JP2011254504A (ja) 2011-12-15
EP2472759A3 (en) 2013-01-23
EP2472759A2 (en) 2012-07-04
JP2012010408A (ja) 2012-01-12
US20130100890A1 (en) 2013-04-25
WO2008129797A1 (ja) 2008-10-30
EP2675088A1 (en) 2013-12-18
EP2963850A1 (en) 2016-01-06
US20170311323A1 (en) 2017-10-26
CN102752856B (zh) 2015-02-04
RU2009135045A (ru) 2011-03-27
ES2448597T3 (es) 2014-03-14
US9736839B2 (en) 2017-08-15
EP2124463B1 (en) 2014-02-12
AU2008242031B2 (en) 2011-04-07
RU2476002C2 (ru) 2013-02-20
AU2008242031A1 (en) 2008-10-30
AU2008242031C1 (en) 2011-12-15
US20120064837A1 (en) 2012-03-15
BRPI0809404B1 (pt) 2020-10-13
EP3301836B1 (en) 2018-11-14
US8385843B2 (en) 2013-02-26
JP4790062B2 (ja) 2011-10-12
EP2124463A4 (en) 2013-03-27
EP3301836A1 (en) 2018-04-04
JP4841704B2 (ja) 2011-12-21
EP3148105B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726B1 (ko) 계열 통지 방법 및 계열 통지 장치, 이동국 장치, 및 계열 생성 방법
JP6471257B2 (ja) 端末装置、ランダムアクセス・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及び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