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7532B1 -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532B1
KR101457532B1 KR1020130141486A KR20130141486A KR101457532B1 KR 101457532 B1 KR101457532 B1 KR 101457532B1 KR 1020130141486 A KR1020130141486 A KR 1020130141486A KR 20130141486 A KR20130141486 A KR 20130141486A KR 101457532 B1 KR101457532 B1 KR 10145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digital door
electronic key
upper bar
lock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유상우
이성민
양일영
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30141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 또는 락킹버튼이 원활하게 동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에서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도어락(200)과; 디지털 도어락(200)를 락킹시키거나 또는 락킹을 해제시키는 구동부재(300)와; 디지털 도어락(200)의 걸쇠(240)를 검출하는 센서부재(400)와; 구동부재(300)를 제어하고 디지털 도어락(200)의 고장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Testing device for door lock of front for durability}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 또는 락킹버튼이 원활하게 동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문(door)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문을 문틀에 고정하거나 문틀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보안용 장치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된다.
상기 도어락은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또는 전자식(디지털)으로 구별될 수 있다. 근래에 기계식 도어락은 보안과 방범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사용의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점차 디지털 도어락으로 교체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통상 문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본체에 구비된 숫자 키패드를 통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나 지문 스캔을 통한 지문 입력 방식 또는 전자키를 이용한 코드 입력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문을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의 고정본체에 구비된 숫자 키패드나 지문 스캔부 등이 외부에 직접 노출될 경우 이물질 등이 끼거나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숫자 키패드나 지문 스캔부 등을 보호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보호용 슬라이더를 상기 고정본체의 전면에 설치하여 고정본체의 숫자 키패드 또는 지문 스캔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디지털 도어락의 경우 출고되기 전 전자키의 접촉을 통한 디지털 도어락의 동작 등과 같은 다양한 시험을 거쳐 불량률을 파악하여야 되며, 이러한 시험장치의 보급을 통하여 양질의 디지털 도어락 유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 또는 락킹버튼이 원활하게 동작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다수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에 반복적으로 전자키를 접촉시키면서 걸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자키 접촉부의 정상작동 횟수에 대한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다수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락킹버튼을 반복적으로 접촉시키면서 걸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락킹버튼의 정상작동 횟수에 대한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에서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도어락(200)과;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220) 또는 락킹버튼(230)을 작동시켜 디지털 도어락(200)을 락킹시키거나 또는 락킹을 해제시키는 구동부재(300)와; 디지털 도어락(200)의 걸쇠(240)를 검출하는 센서부재(400)와; 구동부재(300)를 제어하고 디지털 도어락(200)의 고장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판(100)은 평행하게 다수의 디지털 도어락(200)이 장착되도록 삽입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구동부재(300)는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면에서 반복적인 전후진 운동으로 전자키(312)를 전자키 접촉부(220)에 접촉시키는 전자키 구동부(310) 또는 반복적인 전후진 운동으로 락킹버튼(230)에 접촉시키는 락킹버튼 구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자키 구동부(310)는 바형상으로 전자키 접촉부(2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상부바(311)와, 일단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자키 접촉부(220)의 전면으로 연장되며 타단에 전자키(312)가 체결되는 전자키 고정부(313)와,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되어 제1 상부바(311)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제1 구동부(3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자키 고정부(313)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제1 상부바(311)를 관통되도록 연장되고, 제1 상부바(311)와 전자키(312) 사이의 표면에는 탄성스프링(3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바형상으로 락킹버튼(2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상부바(321)와, 일단이 제2 상부바(321)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락킹버튼(23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락킹버튼 누른부(323)와,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상부바(321)에 결합되어 제2 상부바(321)를 락킹버튼(230)에 밀착되도록 전후진 운동시키는 제2 구동부(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자키 구동부(310)는 제1 구동부(315)에 의해 전후진 시에 제1 상부바(31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가이드봉(319)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제2 구동부(325)에 의해 전후진될 시에 제2 상부바(32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가이드봉(329)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센서부재(400)는 디지털 도어락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내부로 이동하면 걸쇠(240) 불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고,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에서 외부로 돌출되면 검쇠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재(500)는 제1 구동부(315) 또는 제2 구동부(325)를 동작시키는 구동부 선택부(510)와, 제1 구동부(315) 및 제2 구동부(325)의 동작횟수를 제어하는 구동횟수 관리부(520)와, 센서부재(400)와 통신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고장확인부(530) 및 이들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에 의하면,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 또는 락킹버튼을 반복적으로 작동시키면서 걸쇠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어 디지털 도어락의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디지털 도어락을 설치한 후에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 또는 락킹버튼을 반복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여러종류의 디지털 도어락도 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재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에서 구동부재의 전자키 구동부가 전자키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구동부재의 전자키 구동부가 원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는,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에서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도어락(200)과,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220) 또는 락킹버튼(230)을 작동시켜 디지털 도어락(200)을 락킹시키거나 또는 락킹을 해제시키는 구동부재(300)와, 디지털 도어락(200)의 걸쇠(240)를 검출하는 센서부재(400)와, 구동부재(300)를 제어하고, 디지털 도어락(200)의 고장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판(100)은 디지털 도어락을 문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하게 수직하게 위치한다. 이때, 베이스판(100)은 제1열, 제2열, 제3열 등과 같이 평행하게 다수의 디지털 도어락(200)이 장착되도록 삽입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도어락(200)은 일반적으로 전면부에 숫자가 구비되는 키패드(210), 전자키가 접촉되거나 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면 도어락을 해제시키는 전자키 접촉부(220)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압에 의하여 도어락을 해제시키거나 또는 락킹시키는 락킹버튼(23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락(200)의 측면에는 도어락의 도어락이 락킹되면 돌출되고, 해제되면 내부로 이동하는 걸쇠(240)가 형성된다. 디지털 도어락(200)에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키 접촉부(220)는 전자키가 접촉되거나 또는 근접하게 위치하면 도어락이 해제되고, 락킹버튼(230)은 눌러지면 디지털 도어락(200)이 해제되거나 또는 락킹된다.
구동부재(300)는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면에서 반복적인 전후진 운동으로 전자키(312)를 전자키 접촉부(220)에 접촉시키는 전자키 구동부(310)와, 반복적인 전후진 운동으로 락킹버튼(230)에 접촉시키는 락킹버튼 구동부(320)로 이루어진다.
전자키 구동부(310)는 바형상으로 전자키 접촉부(2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상부바(311)와, 일단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자키 접촉부(220)의 전면으로 연장되며 타단에 전자키(312)가 체결되는 전자키 고정부(313)와,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되어 제1 상부바(311)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제1 구동부(3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구동부(315)는 에어 실린더이고, 실린더로드가 제1 상부바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자키 구동부(310)에 의하여 제1 구동부(315)가 제1 상부바(311)를 후진시키면 제1 상부바(311)의 후면에 체결된 전자키 고정부(313)도 함께 후진하게 되고, 전자키 고정부(313)의 단부에 체결된 전자키(312)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자키 접촉부(220)에 접촉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의 락킹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전자키 고정부(313)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제1 상부바(311)를 관통되도록 연장되고, 제1 상부바(311)와 전자키(312) 사이의 표면에는 탄성스프링(31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상부바(311)가 후진하면서 전자키(312)가 전자키 접촉부(220)에 밀착되더라도 전자키 고정부(313)의 일단이 제1 상부바(311)를 관통하면서 이동할 수 있어 전자키 접촉부(2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키 고정부(313)가 제1 상부바(311)의 전방으로 밀리게 되더라도 탄성스프링(317)에 의하여 원위치하게 된다.
또한, 전자키 구동부(310)는 제1 구동부(315)에 의해 전후진 시에 제1 상부바(31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가이드봉(319)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제1 가이드봉(319)은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상부바(311)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바형상으로 락킹버튼(2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상부바(321)와, 일단이 제2 상부바(321)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락킹버튼(23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락킹버튼 누른부(323)와,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상부바(321)에 결합되어 제2 상부바(321)를 락킹버튼(230)에 밀착되도록 전후진 운동시키는 제2 구동부(32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락킹버튼 구동부(320)에 의하여 제2 구동부(325)가 제2 상부바(321)를 후진시키면 제2 상부바(321)에 결합된 락킹버튼 누른부(323)가 락킹버튼(230)에 접촉되면서 누르면 락킹버튼(230)이 작동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의 락킹이 해제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 구동부(325)는 제2 상부바(321)를 전진시켜 최초 위치에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락킹버튼(230)이 락킹과 해제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제2 상부바(321)를 관통되도록 연장되고, 제2 상부바(331)와 락킹버튼 누른부(323) 사이에는 탄성스프링(32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상부바(311)가 후진하면서 락킹버튼 누른부(323)가 락킹버튼(230)에 밀착되더라도 락킹버튼 누른부(323)의 일단이 제2 상부바(321)를 관통하면서 이동할 수 있어 락킹버튼(2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락킹버튼 누른부(323)가 제2 상부바(321)의 전방으로 밀리게 되더라도 탄성스프링(327)에 의하여 원위치하게 된다.
또한,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제2 구동부(325)에 의해 전후진될 시에 제2 상부바(32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가이드봉(329)이 더 구성된다. 이러한 제2 가이드봉(329)은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상부바(321)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한편, 센서부재(400)는 베이스판(100)에 설치되어 디지털 도어락(200)의 걸쇠(240)를 검출한다. 센서부재(400)는 디지털 도어락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내부로 이동하면 걸쇠(240) 불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고,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에서 외부로 돌출되면 검쇠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315) 또는 제2 구동부(325)를 동작시키는 구동부 선택부(510)와, 제1 구동부(315) 및 제2 구동부(325)의 동작횟수를 제어하는 구동횟수 관리부(520)와, 센서부재(400)와 통신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고장확인부(530) 및 이들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재(500)는 디지털 도어락(200)의 불량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눈에 뜨일 수 있는 경광등 또는 스피커가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는, 복수의 디지털 도어락(200)이 상기 베이스판(100)에 설치되되, 베이스판(100)의 표면에 디지털 도어락(200)의 외측몸체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도 5와 같이 전자키 접촉부(220)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 제1 상부바(311)가 전자키 구동부(310)의 제1 구동부(315)에 의해 디지털 도어락의 몸체 방향으로 전진하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된 전자키(312)가 전자키 접촉부(220)에 접촉되거나 근접한 위치까지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자키 접촉부(220)는 전자키(312)를 인식하면서 락킹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재(400)는 락킹이 해제되면서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내부로 이동하면 걸쇠(240) 불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고, 제어부재(500)의 고장확인부(530)는 제공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정상작동으로 판정하게 된다.
그 후, 도 6과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 구동부(315)는 제1 상부바(311)를 후진시켜 최초 위치에 되돌아오게 된다. 그러면 디지털 도어락(200)은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다시 락킹상태가 된다. 이때, 센서부재(400)는 락킹되면서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외부로 이동되면 이를 확인하여 걸쇠(240)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고, 고장확인부(530)는 제공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정상작동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전자키 접촉부(220)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200)의 내구성을 시험하게 되며, 혹 불량한 디지털 도어락(200)이 발견될 경우 상기 제어부재(500)가 이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한편, 락킹버튼(230)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제2 상부바(321)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락킹버튼(230)에 근접하도록 제2 구동부(325)를 후진시키면 제2 상부바(321)에 결합된 락킹버튼 누른부(323)가 락킹버튼(230)을 누르게 되고, 락킹버튼(230)이 작동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의 락킹이 해제된다. 그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 구동부(325)는 제2 상부바(321)를 전진시켜 최초 위치에 되돌아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제2 구동부(325)를 후진시키면 제2 상부바(321)에 결합된 락킹버튼 누른부(323)가 락킹버튼(230)을 누르게 되고, 락킹버튼(230)이 작동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이 락킹된다. 그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제2 구동부(325)는 제2 상부바(321)를 전진시켜 최초 위치에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락킹버튼(230)의 작동에 의해서 락킹이 해제되거나 또는 락킹되는 경우에 센서부재(400)는 걸쇠(240) 불검출신호 또는 걸쇠(240)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고, 제어부재(500)의 고장확인부(530)는 제공받은 신호를 바탕으로 정상작동으로 판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락킹버튼(230)에 의한 디지털 도어락(200)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베이스판 200 : 디지털 도어락
210 : 키패드 220 : 전자키 접촉부
230 : 락킹버튼 240 : 걸쇠
300 : 구동부재 310 : 전자키 구동부
311 : 제1 상부바 312 : 전자키
313 : 전자키 고정부 315 : 제1 구동부
317,327 : 탄성스프링 319 : 제1 가이드봉
320 : 락킹버튼 구동부 321 : 제2 상부바
323 : 락킹버튼 누른부 325 : 제2 구동부
329 : 제2 가이드봉 400 : 센서부재
500 : 제어부재 510 : 구동부 선택부
520 : 구동횟수 관리부 530 : 고장확인부
54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판 형상의 베이스판(100)과,
    베이스판(100)에서 전면부가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도어락(200)과,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전자키 접촉부(220) 또는 락킹버튼(230)을 작동시켜 디지털 도어락(200)을 락킹시키거나 또는 락킹을 해제시키는 구동부재(300)와,
    디지털 도어락(200)의 걸쇠(240)를 검출하는 센서부재(400)와,
    구동부재(300)를 제어하고 디지털 도어락(200)의 고장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판(100)은 평행하게 다수의 디지털 도어락(200)이 장착되도록 삽입홈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재(300)는 디지털 도어락(200)의 전면에서 반복적인 전후진 운동으로 전자키(312)를 전자키 접촉부(220)에 접촉시키는 전자키 구동부(310) 또는 반복적인 전후진 운동으로 락킹버튼(230)에 접촉시키는 락킹버튼 구동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전자키 구동부(310)는,
    바형상으로 전자키 접촉부(22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상부바(311)와,
    일단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자키 접촉부(220)의 전면으로 연장되며 타단에 전자키(312)가 체결되는 전자키 고정부(313)와,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상부바(311)에 결합되어 제1 상부바(311)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제1 구동부(3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자키 고정부(313)는 원통형상으로 일단이 제1 상부바(311)를 관통되도록 연장되고, 제1 상부바(311)와 전자키(312) 사이의 표면에는 탄성스프링(3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자키 구동부(310)는 제1 구동부(315)에 의해 전후진 시에 제1 상부바(31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 가이드봉(319)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바형상으로 락킹버튼(2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상부바(321)와,
    일단이 제2 상부바(321)의 후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락킹버튼(230)의 전면으로 연장되는 락킹버튼 누른부(323)와,
    일단이 베이스판(1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상부바(321)에 결합되어 제2 상부바(321)를 락킹버튼(230)에 밀착되도록 전후진 운동시키는 제2 구동부(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락킹버튼 구동부(320)는 제2 구동부(325)에 의해 전후진될 시에 제2 상부바(321)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 가이드봉(329)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센서부재(400)는 디지털 도어락의 락킹이 해제되면서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의 내부로 이동하면 걸쇠(240) 불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고, 걸쇠(240)가 디지털 도어락(200)에서 외부로 돌출되면 검쇠검출신호를 제어부재(5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재(500)는
    구동부재(30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 선택부(510)와,
    구동부재(300)의 동작횟수를 제어하는 구동횟수 관리부(520)와,
    센서부재(400)와 통신하면서 디지털 도어락(20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고장확인부(530), 및
    이들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KR1020130141486A 2013-11-20 2013-11-20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KR101457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486A KR101457532B1 (ko) 2013-11-20 2013-11-20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486A KR101457532B1 (ko) 2013-11-20 2013-11-20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532B1 true KR101457532B1 (ko) 2014-11-03

Family

ID=5228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486A KR101457532B1 (ko) 2013-11-20 2013-11-20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5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7774A (zh) * 2015-03-16 2015-06-10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扣具耐疲劳度测试仪及测试方法
WO2017024743A1 (zh) * 2015-08-10 2017-02-16 张泽 电子锁的测试装置及系统
WO2017031935A1 (zh) * 2015-08-25 2017-03-02 张泽 电子锁测试装置及系统
CN110763498A (zh) * 2019-10-30 2020-02-07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智能门锁寿命耐久性测试系统及方法
CN110793761A (zh) * 2019-09-17 2020-02-14 威凯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耐久性检测系统
CN110907206A (zh) * 2019-11-07 2020-03-24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测试装置
CN114383826A (zh) * 2021-11-22 2022-04-22 威凯检测技术有限公司 智能门锁寿命检测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266A (ko) * 1996-08-27 1998-05-25 양재신 자동차 도어록실린더 내구시험장치
KR0120844Y1 (ko) * 1995-05-15 1998-08-01 김태구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내구성 시험용 브라켓
KR0131828Y1 (ko) * 1996-08-27 1999-05-15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록실린더 내구시험장치의 스토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44Y1 (ko) * 1995-05-15 1998-08-01 김태구 자동차의 도어록장치 내구성 시험용 브라켓
KR19980016266A (ko) * 1996-08-27 1998-05-25 양재신 자동차 도어록실린더 내구시험장치
KR0131828Y1 (ko) * 1996-08-27 1999-05-15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록실린더 내구시험장치의 스토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7774A (zh) * 2015-03-16 2015-06-10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扣具耐疲劳度测试仪及测试方法
WO2017024743A1 (zh) * 2015-08-10 2017-02-16 张泽 电子锁的测试装置及系统
WO2017031935A1 (zh) * 2015-08-25 2017-03-02 张泽 电子锁测试装置及系统
CN110793761A (zh) * 2019-09-17 2020-02-14 威凯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耐久性检测系统
CN110763498A (zh) * 2019-10-30 2020-02-07 公安部第三研究所 一种智能门锁寿命耐久性测试系统及方法
CN110907206A (zh) * 2019-11-07 2020-03-24 珠海格力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测试装置
CN114383826A (zh) * 2021-11-22 2022-04-22 威凯检测技术有限公司 智能门锁寿命检测系统
CN114383826B (zh) * 2021-11-22 2023-09-12 威凯检测技术有限公司 智能门锁寿命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532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US9424700B2 (en) Electronic lock having usage and wear leveling of a touch surface through randomized code entry
CN109885194A (zh) 用于滑动/敲击进入验证系统的触摸和手势板
KR101457530B1 (ko) 디지털 도어락의 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JP4104208B2 (ja) スライダーセンサー付き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CN105089383A (zh) 包含用于打开车门的组件的车辆
DE112015005852T5 (de) Multifunktionale integrierte Prüfmaschine eines Kofferschlosses
US7958647B2 (en) Lock-bumping and lock-picking detection
CN114383826B (zh) 智能门锁寿命检测系统
KR101608662B1 (ko)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WO2018077529A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schliesszylinders
CN201417209Y (zh) 汽车安全带插锁装配质量检测机
JP2020021624A (ja) ロック機構付き安全スイッチ
CN111622608A (zh) 一种钥匙的在位监测装置、在位监测方法及钥匙管理柜
CN206290102U (zh) 一种电控门锁的触发机构以及电控门锁
CN205875971U (zh) 枪锁
DE102010025734B4 (de) Verfahren zur Generierung eines Eingabebefehls für einen optischen Sensor
CN210056051U (zh) 滤线栅固定弹出装置及医疗影像设备
JP4363627B2 (ja) 扉用電気錠の防犯システム
CN217975765U (zh) 锁具
KR101273954B1 (ko) 차량용 케이블의 클립 누락검사를 위한 지그
CN212460624U (zh) 一种智能锁自动测试设备
CN112985876B (zh) 锁定设备、采样设备和采样装置
JP4932442B2 (ja) 錠装置、錠装置の使用方法及び錠付格納装置
CN109124740A (zh) 乳腺机及其穿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