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715B1 -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715B1
KR101454715B1 KR1020120131134A KR20120131134A KR101454715B1 KR 101454715 B1 KR101454715 B1 KR 101454715B1 KR 1020120131134 A KR1020120131134 A KR 1020120131134A KR 20120131134 A KR20120131134 A KR 20120131134A KR 101454715 B1 KR101454715 B1 KR 10145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assembly
shroud
air conditioner
inner cov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656A (ko
Inventor
조근제
Original Assignee
갑을오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갑을오토텍(주) filed Critical 갑을오토텍(주)
Priority to KR102012013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7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16Roof and ceiling located 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의 지붕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과 송풍팬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상면에 조립되고, 열교환기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공기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부를 측면에서 지지해주는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기 측벽부측에 배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 주는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를 전체를 감싸며,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공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THE AIR CONDITIONER CASE HOUSING AND TH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의 지붕에 설치되고, 내부에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과 송풍팬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그 내부의 냉방을 위하여 버스용 에어컨이 설치된다. 버스에 설치되는 에어컨은 대부분 지붕형(Rooftop Type)으로 버스의 지붕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붕형 에어컨의 케이스는 대부분 FRP(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로 제작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구조의 일반적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1)은 크게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2)로 구성되며, 상부 케이스(3)에는 복수개의 토출구멍(4)들과 복수개의 공기 유입공(5)들이 배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에는 스틸 슈라우드(6)가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틸슈라우드(6)의 내부에는 송풍팬 어셈블리(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열교환기부(9)가 지지부(8)에 의하여 바닥면에서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유입공(5)에 의해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지지부(8)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을 이동하여 열교환기부(9)의 하부로 이동한다. 이동된 차가운 공기는 열교환기부(9)를 냉각시키고, 송풍팬 어셈블리(7)에 의해서 토출구멍(4)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1)은 FRP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 내부에 들어가는 스틸 슈라우드(6)와 재질이 동일하지 않아 조립상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또한, 스틸재질의 슈라우드를 오랜 기간 사용시 스틸 슈라우드(6)의 부식문제로 인해서 에어컨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틸 슈라우드(6)를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의 중량 증가와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과 송풍팬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도입하여 비용절감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상면에 조립되고 냉난방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며, 열교환기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공기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부를 측면에서 지지해주는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기 측벽부측에 배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 주는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를 전체를 감싸고 대기중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공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멍에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 방향으로 송풍팬 날개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가 설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에서 나오는 바람을 원활하게 배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송풍팬 날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의 내측면이 송풍팬 날개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상부에 상기 열교환기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와 상응하는 지점에 내부 토출구멍이 배치되는 내부커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토출구멍에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 방향으로 송풍팬 날개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가 설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에서 나오는 바람을 원활하게 배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송풍팬 날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의 내측면이 송풍팬 날개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주는 두 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타입의 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상면에 조립되고 냉난방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며, 열교환기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공기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부를 측면에서 지지해주는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기 측벽부측에 배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 주는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를 전체를 감싸고 대기중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공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증발기 및 송풍기로 구성되는 증발유닛; 및 상기 증발유닛에 연결되는 응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은 내부에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과 송풍팬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도입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품인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서, 비용절감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였을 때의 내구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수명 증대에 도움이 된다.
또한,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과 송풍팬 어셈블리를 장착할 수 있어, 종래의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보다 조립성이 향상되며, 전체 중량면에서도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구조의 일반적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하부 케이스에 내부커버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와 송풍팬 날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100)은 크게 상부 케이스(101)와 하부 케이스(미도시)로 구성되는데, 상부 케이스(101)에는 상면에 송풍기 어셈블리의 개수에 해당하는 토출구멍(10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멍(102)에는 외부에서 불순물 등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금속제 그릴을 부착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101)의 측면에는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유입공(10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공(103)은 상부 케이스(101)의 각 측면에 6개 내지 20개 정도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로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 시킬 수 있도록 그 개수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상부 케이스(3)는 측면부에만 공기 유입공(5)을 배치하고, 전면부의 공기 유입공은 하부 케이스(2)에 배치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부 케이스(101)의 삼면에 공기 유입공(103)을 배치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공기 유입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하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종래의 스틸 슈라우드를 제거하는 대신에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105)를 배치하고, 상기 측벽부(105)에 측벽부측 유입공(106)을 삼면에 배치하였다.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106)의 개수는 3개 내지 6개 정도가 적당하며, 공기의 순환 및 구조의 건전성을 고려해 볼 때 각 면에 3개가 바람직하다.
하부 케이스에는 냉난방을 위한 냉난방용 부품이 장착되는데, 리시버탱크(121), 드라이어(122), 콘덴서 코일, 배관 등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리시버탱크(121)는 외부의 콘덴서와 연결되어서 액상을 남겨두고 기상을 열교환기부(107)로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 드라이어(122)는 기상을 공급해주고 액상을 필터로 내보내 주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스틸슈라우드부에 각각 상기 냉난방용 부품을 개별적으로 부착하여 부품의 수와 조립이 곤란하였으나, 이를 하나로 통합하여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었고 조립편의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열교환기부(107)은 하부 케이스(104)의 지지부(미도시)에 의해서 바닥면으로부터 어느정도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부(107)의 상부에는 송풍팬 어셈블리(108)가 위치한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108)는 측벽부(10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는 송풍팬 어셈블리 고정부재(109)에 의해서 고정된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 고정부재(109)는 끝단이 절곡된 형상이고, 열교환기부(107)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송풍팬 어셈블리(108)를 고정시켜준다.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109)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송풍팬 어셈블리(108)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통상 2개의 고정부재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여 장시간 사용시 금속재질의 부식문제가 발생되었는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105)와 송풍팬 어셈블리(108)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송풍팬 어셈블리 고정부재(109)를 도입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100)은 크게 상부 케이스(101)와 하부 케이스(104)로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101)에는 토출구멍(102)과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111), 공기 유입공(103)이 배치되어 있다.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111)는 송풍기 어셈블리(108)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111)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송풍팬 날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111)의 내측면이 송풍팬 날개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서 열교환기부(107)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효과가 상승되고, 소음이 감소되며, 송풍이 원활하게 된다.
도출구멍(102)에는 외부에서 불순물 등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금속제 그릴(미도시)을 부착하고 있다.
하부 케이스(104)는 크게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105), 상기 측벽부(105)의 하부에 배치되어 열교환기부(107)로 외부 공기를 공급해주는 측벽부측 유입공(106), 열교환기부(107)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110), 송풍기 어셈블리(108)를 고정시켜주는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109)로 구성된다.
상기 측벽부(105)는 슈라우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열교환기부(107)를 양쪽에서 지지해줄 수 있도록 지지홈을 가지고 있으며, 열교환기부(107)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서 측벽부측 유입공(106)을 가지고 있다.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106)은 상부 케이스(101)의 공기 유입공(103)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부(107)로 원활하게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개수는 3개 내지 6개 정도가 적당하며, 공기의 순환 및 구조의 건전성을 고려해 볼 때 각 면에 3개가 바람직하다.
열교환기부(107)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110)에는 별도의 지지부측 유입공을 가질 수도 있으며, 열교환기부(107)와 맞닿는 부분에서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 어셈블리 고정부재(109)는 끝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측벽부(10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며, 열교환기부(107)방향으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송풍팬 어셈블리(108)를 고정시켜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 하부 케이스에 내부커버부가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사시도이다. 하부 케이스(104)에 형성된 내부커버 지지부(115)상에 내부커버부(112)를 배치하여 보다 원활한 공기 배출을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내부커버부(112)는 각각의 내부 토출구멍(113)을 가지고 있으며, 송풍기 어셈블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기능도 하고, 상부 케이스에 있는 토출구멍에 정확하게 조립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8은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와 송풍팬 날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단면도이다.
내부커버부(112)의 끝단에는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203)가 배치된다. 상기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203)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108)의 송풍팬 날개(201)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203)의 내측면(203a)이 송풍팬 날개끝단(202)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서 열교환기부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 효과가 상승되고, 소음이 감소되며, 송풍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도면에서 송풍기 어셈블리(108)의 송풍팬 날개(201)는 아랫방향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띈다. 송풍팬 날개끝단(202)은 상기 내부터버부측 슈라우드부(203)의 내측면(203a)보다 길게 배치되며,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203)와 접촉되지 않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내부커버부(112)가 있는 구성에서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111)가 생략된다.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111)의 역할을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203)가 담당하기 때문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공기 유입공(103)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고, 측벽부측 유입공(106)을 통해서 열교환기부(107)의 하부로 이동한다. 이동한 외부 공기는 바로 열교환기부(107)를 냉각시킬 수도 있고, 지지부(110)의 지지부측 유입공(114)를 통해서 이동하여 열교환기부(107)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열교환기부(107)를 냉각시킨 후 공기는 송풍팬 어셈블리(108)에 의해서 토출구멍(102)로 이동하게 되고, 토출구멍(102)에서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은 상기 기술한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과, 상기 케이스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압축기와, 증발기 및 송풍기로 구성되는 증발유닛, 상기 증발유닛에 연결되는 응축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은 별도의 스틸 슈라우드를 사용하지 않고, FRP 케이스 자체에서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를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순환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 제품에 비해서 부품수 감소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종래의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2: 하부 케이스
3: 상부 케이스 4: 토출구멍
5: 공기 유입공 6: 스틸 슈라우드
7: 송풍팬 어셈블리 8: 지지부
9: 열교환기부 100: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101: 상부 케이스 102: 토출구멍
103: 공기 유입공 104: 하부 케이스
105: 측벽부 106: 측벽부측 유입공
107: 열교환기부 108: 송풍팬 어셈블리
109: 송풍팬 어셈블리 고정부재 110: 지지부
111: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 112: 내부커버부
113: 내부 토출구멍 114: 지지부측 유입공
201: 송풍팬 날개 202: 송풍팬 날개끝단
203: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

Claims (8)

  1. 차량의 상면에 조립되고 냉난방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며, 열교환기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공기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부를 측면에서 지지해주는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기 측벽부측에 배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 주는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를 전체를 감싸고 대기중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공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상부에 상기 열교환기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와 상응하는 지점에 내부 토출구멍이 배치되는 내부커버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커버부 토출구멍의 중심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내부커버부를 고정하는 내부커버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토출구멍에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 방향으로 송풍팬 날개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가 설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에서 나오는 바람을 원활하게 배출해 주며,
    상기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송풍팬 날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의 내측면이 송풍팬 날개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에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 방향으로 송풍팬 날개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가 설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에서 나오는 바람을 원활하게 배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송풍팬 날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토출구멍측 슈라우드부의 내측면이 송풍팬 날개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는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주는 두 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타입의 고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8. 차량의 상면에 조립되고 냉난방을 위한 부품이 장착되며, 열교환기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와, 공기 흐름을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기부를 측면에서 지지해주는 슈라우드 형상의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기 측벽부측에 배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를 지지해 주는 송풍기 어셈블리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를 전체를 감싸고 대기중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상기 측벽부측 유입공과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공기 유입공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멍을 가지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증발기 및 송풍기로 구성되는 증발유닛; 및
    상기 증발유닛에 연결되는 응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상부에 상기 열교환기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와 상응하는 지점에 내부 토출구멍이 배치되는 내부커버부가 설치되되,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상기 내부커버부 토출구멍의 중심과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내부커버부를 고정하는 내부커버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토출구멍에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 방향으로 송풍팬 날개의 절곡된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가 설치되어, 송풍기 어셈블리에서 나오는 바람을 원활하게 배출해 주며,
    상기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는 상기 송풍기 어셈블리의 송풍팬 날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내부커버부측 슈라우드부의 내측면이 송풍팬 날개끝단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에어컨.
KR1020120131134A 2012-11-19 2012-11-19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KR101454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134A KR101454715B1 (ko) 2012-11-19 2012-11-19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134A KR101454715B1 (ko) 2012-11-19 2012-11-19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56A KR20140065656A (ko) 2014-05-30
KR101454715B1 true KR101454715B1 (ko) 2014-10-28

Family

ID=5089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134A KR101454715B1 (ko) 2012-11-19 2012-11-19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528A (ko) * 2020-06-18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듈화된 버스 천정부착형 에어컨의 응축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039A (ja) * 1994-05-27 1995-12-05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整備カバー
KR19980019801U (ko) * 1996-10-07 1998-07-15 이진환 천정 장착형 버스에어컨의 응축기 케이스 조립구조.
JP2003320841A (ja) * 2002-02-28 2003-11-1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75009A (ko) * 2008-01-03 2009-07-08 덴소풍성(주)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039A (ja) * 1994-05-27 1995-12-05 Zexel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整備カバー
KR19980019801U (ko) * 1996-10-07 1998-07-15 이진환 천정 장착형 버스에어컨의 응축기 케이스 조립구조.
JP2003320841A (ja) * 2002-02-28 2003-11-11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075009A (ko) * 2008-01-03 2009-07-08 덴소풍성(주)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56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427B1 (ko) 팬 가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실외기
JP61125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1109545A (zh) 一种空调器
CN207702616U (zh) 立式空调室内机
JP201300264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1454715B1 (ko)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EP2436996B1 (en) Ventilating apparatus
US20090113915A1 (en) Air conditioner
CN215062424U (zh) 空调室内机
JP589140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US11624515B2 (en) Chassis for window air conditioner, chassis 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KR20190066217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4867847B2 (ja) 電動ファン装置
CN104296263A (zh) 一种变频移动空调
CN213300287U (zh) 窗式空调器
CN107726451B (zh) 立式空调室内机
CN202040941U (zh) 窗式空调器
CN217235835U (zh) 立式空调室内机及立式空调
CN214275970U (zh) 窗式空调器
CN213178598U (zh) 一种空调室外机
CN215863768U (zh) 出风网罩及空调器
KR100805985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프레임 그릴 구조
CN213810882U (zh) 换热结构
CN212408849U (zh) 空调室内机
CN220038625U (zh) 窗式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