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82B1 -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82B1
KR101454382B1 KR1020130005483A KR20130005483A KR101454382B1 KR 101454382 B1 KR101454382 B1 KR 101454382B1 KR 1020130005483 A KR1020130005483 A KR 1020130005483A KR 20130005483 A KR20130005483 A KR 20130005483A KR 101454382 B1 KR101454382 B1 KR 101454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nt
wall
coupled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102A (ko
Inventor
지상기
김승현
김세웅
김병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01B11/3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for measuring even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는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롤 스크린부; 상기 롤 스크린부에 결합되고, 착탈 가능한 투명패널을 갖는 관찰창; 상기 관찰창의 창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거치대; 및 상기 롤 스크린부가 설치된 일 측과 다른 측에 위치하는 제 2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APPARATUS FOR EVALUATING ATOMIZATION OF SPRAY PAINTING}
본 발명은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료 사용처에 도료를 적용하기 전 실험실에서 도료에 대한 작업성 평가를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철판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선박의 철판표면을 부식으로부터 혹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스프레이 방식의 도장 작업이 이루어진다.
도장 작업의 종류에는 에어 스프레이 방식(air atomization),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airless atomization, hydraulic spraying), 에어어시스트에어레스 방식(air assisted airless atomization), 정전도장방식(electrostatic spraying) 등이 있다.
예컨대, 선박의 도장 작업에는 중방식 도료가 적용되고 있고,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은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에어레스 스프레이 노즐 또는 스프레이 건에 페인트를 공급하는 페인트 펌프를 사용한다. 이송된 도료는 작은 노즐 구멍으로 고속으로 분사되어, 무화가 이루어진다. 에어레스 스프레이 방식은 많은 영역을 단시간에 커버해야 하는 작업에 최적의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재도장에 이용될 경우에는 완벽한 무화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열장치를 이용한다.
이때, 적용되는 도료가 도장 작업 대상 표면(예: 철판표면)에 평활하게 표면결함 없이 균일한 두께로 적용하기 위한 기본조건에는 스프레이 건에서의 도료의 퍼짐성이 있다.
퍼짐성은 무화도(atomization)라 정의할 수 있다. 무화도는 도료의 작업성 평가시 기본으로 확인되는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즉, 선박에 적용되는 모든 도료는 현업에 적용되기 전에 실험실에서 작업성 평가를 실시하여 적용 가능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선박 적용 가능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무화도는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특허문헌의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의 기술은 레이저 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도료의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포함한 영상처리 분석시스템에 중점을 둔 내용만을 포함하면서, 단순히 밀폐형 박스 형태의 측정하우징만을 언급하고 있을 뿐, 무화도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등의 촬영장비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거나, 촬영장비를 정밀하게 이동시키면서 무화도를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의 기술은 단순한 밀폐형 박스 형태이므로, 이동 및 보관이 불편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의 기술은 도료의 색상에 따라 측정하우징의 내표면의 배경색을 변경시킬 수 없으므로, 도료의 퍼짐성을 좀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의 기술의 측정하우징은 외부광원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있어서, 일반적인 촬영장비를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인 무화도 평가방법은 특허문헌의 레이저 비전센서도 없이 스프레이 건이 도료를 토출하고, 그 옆에서 작업자가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토출된 도료의 퍼짐성 또는 분무 형상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때, 에어레스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도료는 최소 219bar이상의 압력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적용되는 도료가 뿌려지는 작업대 표면뿐만 아니라 작업대 주위에 더스트(dust) 형태의 도료입자가 날리게 된다.
이러한 도료입자로 인하여 무화도를 촬영하는 카메라뿐만 아니라, 촬영하는 작업자까지 도료에 의한 오염이 유발된다.
이러한 이유로, 촬영하는 사람은 거의 모든 부위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카메라의 경우는 무화도 측정 후에 신너를 사용하여 도료입자에 의한 카메라 렌즈의 얼룩을 제거하여야 하고, 그로 인하여 카메라 렌즈의 오염 및 각종 고장을 유발시키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의 레이저 비전센서는 스프레이부가 병렬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분무되는 도료입자를 측면에서 촬영하기 어렵고, 특히, 측정하우징 내부에서 비산되는 도료입자에 의해 레이저 비전센서의 렌즈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측정하우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 카메라를 들고 있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멀리서 촬영을 하게 되어 정확한 무화도를 사진으로 남기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도료가 토출된 이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므로, 가끔은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으로 인하여 재평가를 실시하기도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료 제품별 비교 평가에 있어서도, 스프레이 건과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명확한 비교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4541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저프레임, 본체프레임, 롤 스크린부, 관찰창, 제 1, 2 거치대를 포함하여서 앞서 언급한 불편함과 문제를 해결하면서 정확한 무화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롤 스크린부; 상기 롤 스크린부에 결합되고, 착탈 가능한 투명패널을 갖는 관찰창; 상기 관찰창의 창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 1 거치대; 및 상기 롤 스크린부가 설치된 일 측과 다른 측에 위치하는 제 2 거치대를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고, 직사각형 패널의 상하부에 보조 패널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 정면벽; 상기 정면벽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정면벽과 이격되어서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벽; 및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을 연결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 사이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측벽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도료받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측벽의 상부에서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의 위쪽으로 연장된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끝단에 결합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스크린부는, 상기 정면벽의 벽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된 롤 공급 케이싱; 상기 롤 공급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롤 공급 케이싱 사이에 결합된 복원스프링; 및 상기 회전샤프트에 감겨져 있고, 창틀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벽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벽개구부를 막는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거치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블록을 갖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U자 형상의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장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되고, 촬영장비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거치대는, 상기 배면벽과 상기 정면벽 사이에 결합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스프레이 건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배면벽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경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는 수평 이동 가능한 관찰창을 갖는 본체프레임의 내부의 제 2 거치대에 스프레이 건을 안착 및 고정시킨 후 무화도 평가를 수행하고, 이때, 촬영장비가 설치되는 제 1 거치대의 받침판이 관찰창에 연결되고 관찰창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촬영장비 및 촬영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는 관찰창의 투명패널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투명패널이 본체프레임의 안쪽에서 비산되는 도료에 의해 오염되더라도 용이하게 투명패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무화도 평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찰창이 본체프레임의 롤 스크린부에 결합되고, 관찰창과 촬영장비용 제 1 거치대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거치대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정밀하게 수평이동 할 수 있음에 따라, 촬영장비, 제 1 거치대 및 관찰창이 동시에 수평 이동될 수 있고, 도료의 비산 분무 형상을 다수의 위치에서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프레임을 기저프레임 위에 결합시키고 있음에 따라, 무화도 평가장치의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탈 가능한 도료받이를 구비하고, 스프레이 건의 토출 방향쪽에 해당하는 본체프레임의 측벽 내측면에 보호 시트를 더 설치할 수 있고, 보호 시트의 하단이 도료받이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스프레이 건으로부터 분사된 도료가 보호 시트에 도착한 후 도료받이 쪽으로 수거될 수 있음에 따라, 도료의 회수가 가능하고, 도료가 건조되더라도 보호 시트만 본체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장치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거치대의 촬영장비 및 제 2 거치대의 스프레이 건이 일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도료 제품별 비교 평가 결과도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작용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는 실질적으로 촬영장비(10) 및 스프레이 건(20)과 연동하는 도료 공급 시스템 및 무화도 평가 시스템(미 도시)에 사용되는 구조물로 이해될 수 있다.
무화도 평가 방법이나 평가를 위한 도료를 공급하는 작동이나, 촬영된 화상정보, 이미지파일 내지 영상정보는 일반적인 무화도 평가 시스템의 것을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기저프레임(100), 본체프레임(200), 롤 스크린부(300), 관찰창(400), 제 1 거치대(500), 제 2 거치대(600), 도료받이(700), 배경 시트(800), 보호 시트(9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저프레임(100)은 스토퍼(101)를 구비한 바퀴(102)와, 바퀴(10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프레임저부(103)와, 프레임저부(103)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프레임기둥(104, 105)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102)는 스토퍼(101) 뿐만 아니라 레벨(level)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상용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바퀴(102)의 수평 회전축은 바퀴(102)의 케이싱 안쪽의 롤러와 결합되어 있고, 바퀴(102)의 수직 회전축은 기저프레임(100)의 프레임저부(103)의 저면에 결합되어, 프레임저부(103)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기저프레임(100)의 운반시, 이동 및 방향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프레임(200)은 기저프레임(1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프레임(200)은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을 갖는다. 즉, 본체프레임(200)은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의 정면, 배면 및 우측면을 커버링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패널이나 판재로 이루어진 정면벽(210), 배면벽(220) 및 측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프레임(200)은 정면벽(210), 배면벽(220) 및 측벽(230)을 제외하고,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의 상면, 저면, 좌측면은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개방되어 있으므로, 대기 온도 중 상온 조건 하에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실제 촬영이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200)의 정면쪽과, 스프레이 건에서 토출되는 도료가 도달하는 본체프레임(200)의 측면쪽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있는 외부 위치와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경우,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의 상면, 저면, 좌측면도 투명패널(미도시)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고, 조명장치(250)의 불빛이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 쪽으로 전달되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200)은 기저프레임(100)에 지지된, 예컨대 기저프레임(100)의 정면측 2개의 프레임기둥(104)에 지지된 정면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면벽(210)은 직사각형 패널(211)의 상하부에 보조 패널(212, 213)이 연결된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조 패널(212, 213)은 삼각형 형상을 가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거치대(600)가 위치한 측의 정면벽 세로 길이보다 반대측 측변이 위치하는 정면벽 세로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거치대(600)에 거치된 스프레이 건(20)에서 도료가 분사될 때, 분사된 도료가 정면벽 너머로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사된 도료의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 패널(212, 213)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직사각형 패널에 부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보조 패널(212, 213)이 삼각형 형상을 가진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체프레임(200)은 정면벽(2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기저프레임(100)에 지지된, 예컨대 기저프레임(100)의 배면측 나머지 2개의 프레임기둥(105)에 지지된 배면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면벽(220)은 정면벽(210)과 이격되어서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200)은 정면벽(210)과 배면벽(220)을 연결되는 측벽(2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230)은 배면벽(220) 및 정면벽(210)에 해당하는 직사각형 패널(211)의 측변과, 직사각형 패널(211)의 측변과 경사진 보조 패널(212, 213)의 경사변에 연결되어 활 형상 또는 다단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 스크린부(300)는 본체프레임(200)에 설치되고, 예컨대, 본체프레임(200)의 정면벽(210)에 설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롤 스크린부(300)의 스크린(340)은 정면벽(210)의 벽개구부(214)를 따라 이동하면서 가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관찰창(400)은 롤 스크린부(3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착탈 가능한 투명패널(420)(도 4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거치대(500)는 관찰창(400)의 창틀에 연결되고, 본체프레임(200)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거치대(600)는 본체프레임(200)의 측벽(230) 반대쪽에 위치하고 본체프레임(200)의 배면벽(220)과 정면벽(21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거치대(600)는 롤 스크린부(300)가 설치된 일 측과 다른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체프레임(200)은 정면벽(210)과 배면벽(220) 사이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측벽(230)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도료받이(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료받이(700)는 상부가 개방된 보관함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도료받이(700)의 걸쇠 구멍 또는 착탈 구멍(미 도시)과, 측벽(230)의 저부의 걸쇠 구멍 또는 착탈 구멍(미 도시)을 연결하는 착탈 수단(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프레임(200)은 측벽(230)의 상부에서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W)의 위쪽으로 연장된 홀더(240)과, 홀더(240)의 끝단에 결합된 조명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50)는 빛이 조사되는 조명 갓의 개구된 저부를 감싸는 비닐커버(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닐커버는 점착 또는 접착 방식, 비닐커버의 테두리에 조임용 고무줄이 구비된 임시 고정 방식을 통해서 조명장치(250)에 결합되고, 도료의 비산 더스트가 조명장치(250)의 램프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무화도 평가 이후에는 제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2 거치대(600)는 배면벽(220)과 정면벽(210) 사이에 결합된 보 또는 빔 구조를 갖는 수평부(610)와, 수평부(610)의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스프레이 건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예: 2개)의 돌기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 건(20)(도 5 참조)은 돌기부(620) 사이에 끼워지고 수평부(6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200)은 배면벽(22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경 시트(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경 시트(800)는 배면벽(220)의 내측면에 대응한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배경 시트(800)는 시트 형태 또는 패널 형태일 수 있다. 배경 시트(800)는 점착테이프 또는 후크 및 후크 구멍을 이용하여 본체프레임(200)의 배면벽(220)에 취부될 수 있다.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에 사용되는 도료는 흰색, 검정색 등과 같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이때, 도료가 흰색일 경우, 그에 배색이 되는 검정색의 배경이 본체프레임(200)의 내표면에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배경 시트(800)의 사용에 따라 촬영장비가 더욱더 명확하게 도료의 무화도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배경 시트(800)는 도료 색상에 대응하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배경 시트(800)는 걸쇠 및 구멍을 이용하거나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배면벽(20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 시트(900)는 본체프레임(2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보호 시트(900)는 본체프레임(200)의 측벽(23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호 시트(900)는 일종의 비닐시트 등과 같은 상용품이 될 수 있고, 고정수단(910)에 의해 본체프레임(200)의 내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런 보호 시트(900)는 본체프레임(200)의 내표면을 커버링 할 수 있고, 도료의 분무가 보호 시트(900)에 응결되어 도료받이(700) 쪽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게 한다.
또한, 보호 시트(900)는 본체프레임(200)의 측벽(230)에 임시로 덧대어 사용되는 것이므로, 필요 없을 때 본체프레임(200)의 측벽(2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점착테이프 또는 후크 및 후크 구멍을 이용하여 본체프레임(200)의 측벽(230) 상단 취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프레임(200)의 내표면이 도료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보호 시트(900)는 본체프레임(200)의 측벽(230) 상단에서 도료받이(700)의 내부 공간까지 장막처럼 걸려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 건(20)으로부터 분사된 도료가 보호 시트(900)에 도착한 후 도료받이(700) 쪽으로 수거될 수 있음에 따라, 도료의 깔끔한 회수가 가능하고, 도료가 건조되더라도 보호 시트(900)만 본체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장치 유지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해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거치대는, 본체프레임(20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6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블록(511)을 갖는 이동프레임(510)과, 이동프레임(510)으로부터 연장된 U자 형상의 연장프레임(520)과, 연장프레임(520)의 끝단에 설치되고, 촬영장비(10)(도 5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530)은 카메라 삼각대의 상부 홀더와 같은 클램프, 고정구멍 등을더 포함할 수 있고, 촬영장비(10)를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스크린부(300)는 정면벽(210)의 벽개구부(214)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된 롤 공급 케이싱(310, 310a)과, 롤 공급 케이싱(310, 310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샤프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320)의 양단부는 롤 공급 케이싱(310, 310a)의 상하부에 위치한 베어링(미 도시)에 의해서, 롤 공급 케이싱(310, 310a)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롤 스크린부(300)는 회전샤프트(320)와 롤 공급 케이싱(310, 310a) 사이에 결합된 복원스프링(330)과, 회전샤프트(320)에 롤 형태로 풀리거나 복원될 수 있도록 감겨져 있는 스크린(3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원스프링(330)은 시계 태엽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다.
스크린(340)에는 창틀 설치 구멍(34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창틀 설치 구멍(341)에는 관찰창(400)의 창틀(410)이 끼워져 있다.
이때, 제 1 거치대(500)는 스크린(340)의 창틀 설치 구멍(341)의 창틀(4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 1 거치대(500)를 좌우로 밀면, 창틀(410) 및 스크린(340)도 이동될 수 있다.
그런데, 스크린(340)의 이동 및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스크린(340)의 일부가 일측(예: 좌측)의 롤 공급 케이싱(310)에 말리는 방향(A)으로 수납되는 경우, 스크린(340)의 타부가 풀리는 방향(B)으로 타측(예: 우측)의 롤 공급 케이싱(31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롤 스크린부(300)는 정면벽(210) 쪽으로 돌출된 놉(knob)과, 놉에 연결된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고정 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350)의 조절나사는 정면벽(210) 및 롤 공급 케이싱(310, 310a)을 관통하여 회전샤프트(320) 쪽으로 형성된 나사 구멍에 결합되어 있다.
사용자가 고정 수단(350)의 놉을 회전시킬 경우, 나사 회전에 따른 전진 또는 역회전에 따른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수단(350)의 조절나사의 끝단이 선택적으로 회전샤프트(320)와 접촉 또는 비접촉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340)이 록킹 또는 언록킹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 수단(350)은 롤 스크린부(3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고정 수단(350)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경우, 스크린(340)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위해서, 가이드레일(260)과 가이드블록(511)이 서로 고정 또는 해제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런 스크린(340)은 벽개구부(214)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벽개구부(214)를 항상 막을 수 있다. 또한, 관찰창(400)은 스크린(340) 및 제 1 거치대(5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관찰창(400)은 스크린(340)의 창틀 설치 구멍(341)의 창틀(410)에 끼워지는 투명 플라스틱창, 투명시트, 또는 유리창 등에 해당하는 투명패널(420)과, 투명패널(420)의 테두리를 덮을 수 있도록, 창틀(4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 형상의 창틀덮개(430)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410) 및 창틀덮개(430)는 고정나사 및 나사 구멍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장비(10)와,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 시험용 도료(P)가 공급되는 스프레이 건(20)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고, 관리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사용자는 촬영장비(10)를 제 1 거치대(500)의 받침판(530)에 세팅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촬영장비(10), 제 1 거치대(500) 및 관찰창(400)은 롤 스크린부(3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배경 시트(800)는 도료(P)의 색상에 따라 무화도를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도료(P)의 색상에 대응하여 정해진 배색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도료(P)의 색상에 맞게 배경 시트(800)를 골라서 적용할 경우, 촬영장비(10)가 무화도, 즉 도료(P)의 퍼짐성을 좀더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정보로부터 무화도를 더욱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의 조명장치(250)에 의해, 무화도 촬영 시 좀더 좋은 품질의 사진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의 세팅시, 보호 시트(900)도 고정수단(910)에 의해 본체프레임의 측벽의 내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세팅될 수 있다.
관찰창(400)은 투명 재질로 되어 있으며, 오염 시, 신너를 사용하여 세척이 가능하고 주기적인 교체가 가능하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고정나사를 풀어서 링 형상의 창틀덮개(430)가 창틀(4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이후 관찰창(400)의 투명패널(420)을 분리하고, 새로이 교체할 투명패널(미 도시)를 창틀(410)에 끼운 후, 창틀덮개(430)와 창틀(410)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 1 거치대(500), 관찰창(400) 및 롤 스크린부(300)의 스크린(340)은 함께 이동이 가능하며, 이동시 스크린(340)은 일측 롤 공급 케이싱(310)에 회수될 때, 타측 롤 공급 케이싱(310a)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프레이 건(20)을 제 2 거치대(600)의 돌기부(620) 사이에 끼워 세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레이 건(20)은 언제나 동일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촬영장비(10), 스프레이 건(20), 조명장치(250)의 작동을 온(ON)하고, 스프레이 건(20)으로부터 분무되는 도료의 무화도를 촬영장비(10)로 촬영하는 것을 도료 제품별로 반복함으로써, 도료 제품별 비교평가 시 동일한 세팅 조건을 갖는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무화도 측정시 토출된 도료(P)는 보호 시트(900)에 묻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며, 흘러내린 도료(P)는 도료받이(700)에 모이게 된다. 여기서, 도료받이(700)는 착탈 방식으로 본체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료받이(700)의 내부는 보호 시트(9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화도 평가 작업 전에, 별도의 접착비닐로 도료받이(700)를 덮어서, 도료가 건조된 후, 도료받이(700)로부터 보호 시트(900) 및 별도의 접착비닐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료받이(700) 자체가 본체프레임(200)으로부터 착탈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본체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된 후 신너를 사용하여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200)은 기저프레임(100)의 바퀴(102)에 의해 사용처 또는 보관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통하여, 카메라 등과 같은 촬영장비(10) 및 촬영자의 오염을 배제할 수 있으며, 정확한 무화도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제품 종류별 비교평가도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촬영장비 20 : 스프레이 건
100 : 기저프레임 200 : 본체프레임
300 : 롤 스크린부 400 : 관찰창
500 : 제 1 거치대 600 : 제 2 거치대
700 : 도료받이 800 : 배경 시트
900 : 보호 시트

Claims (9)

  1. 기저프레임;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롤 스크린부;
    상기 롤 스크린부에 결합되고, 착탈 가능한 투명패널을 갖는 관찰창;
    상기 관찰창의 창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촬영장비가 거치되는 제 1 거치대; 및
    상기 롤 스크린부가 설치된 일 측과 다른 측에 위치하고, 스프레이 건이 거치되는 제 2 거치대를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고, 직사각형 패널의 상하부에 보조 패널이 연결된 형상을 갖는 정면벽;
    상기 정면벽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기저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정면벽과 이격되어서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을 형성하는 배면벽; 및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을 연결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 사이 길이에 대응한 길이를 갖고, 상기 측벽의 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도료받이를 더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측벽의 상부에서 도장 스프레이 분무 작업 공간의 위쪽으로 연장된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끝단에 결합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 스크린부는,
    상기 정면벽의 벽개구부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된 롤 공급 케이싱;
    상기 롤 공급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롤 공급 케이싱 사이에 결합된 복원스프링; 및
    상기 회전샤프트에 감겨져 있고, 창틀 설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벽개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벽개구부를 막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거치대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블록을 갖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U자 형상의 연장프레임; 및
    상기 연장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장비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판을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거치대는,
    상기 배면벽과 상기 정면벽 사이에 결합된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중간 위치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스프레이 건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배면벽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경 시트를 더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상기 측벽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시트를 더 포함하는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KR1020130005483A 2013-01-17 2013-01-17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KR101454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83A KR101454382B1 (ko) 2013-01-17 2013-01-17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483A KR101454382B1 (ko) 2013-01-17 2013-01-17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02A KR20140093102A (ko) 2014-07-25
KR101454382B1 true KR101454382B1 (ko) 2014-10-23

Family

ID=5173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483A KR101454382B1 (ko) 2013-01-17 2013-01-17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834A (ko) 2021-01-07 2022-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도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스프레이 도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료 공급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324B1 (ko) * 2016-03-02 2016-09-07 유진하이테크(주) 프레스용 소재의 오일 도포장치
CN108855683A (zh) * 2018-06-06 2018-11-23 滁州博昊门业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防盗门喷漆装置
CN111013869B (zh) * 2019-12-16 2021-04-06 咸阳恒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显示器边框的自动喷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314A (ja) 2003-11-14 2005-06-09 Kanto Auto Works Ltd 塗着効率評価方法及び装置
KR20090054541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KR20090055081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표면조도를 이용한 비접촉식 도막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KR20090070633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용 도장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314A (ja) 2003-11-14 2005-06-09 Kanto Auto Works Ltd 塗着効率評価方法及び装置
KR20090054541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KR20090055081A (ko) * 2007-11-28 2009-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표면조도를 이용한 비접촉식 도막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KR20090070633A (ko) * 2007-12-27 2009-07-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 작업용 도장기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834A (ko) 2021-01-07 2022-07-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도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스프레이 도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료 공급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02A (ko) 201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382B1 (ko)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JP2015531061A5 (ko)
CN203920030U (zh) 墨滴观测仪
FI116946B (fi) Laitteisto solujen kuvaamiseksi
JPH04138337A (ja) 防錆・防食試験装置
WO2014205942A1 (zh) 封框胶涂布设备及其检测系统和检测方法
JP2023140336A (ja) コーティング欠陥のためコーティング表面を検査する方法
JP3216521U (ja) 特に自動車の塗装修理作業の過程において、塗装面を検査するためのポータブル型昼光ランプ
CN103226280A (zh) 视频头防污保护装置
JP5925725B2 (ja) 積分球、および、反射光の測定方法
CN108941061A (zh) 光学元件的定量化清洁装置及方法
US20220326624A1 (en) Inspection system for extreme ultraviolet (euv) light source
EP2151281A1 (en) Mobile painting cabin
KR20170055339A (ko) 도장 시편 촬영 장치
JP2007279716A5 (ko)
US20130012103A1 (en) Mobile cleaning and blasting cubicle
CN209980593U (zh) 一种便于携带的杨氏双缝干涉演示装置
KR101249138B1 (ko) 차량의 도색상태 검사장치
CN110702382A (zh) 一种显示面板检修机构
CN113853447A (zh) 沉积装置系统
EP3605187B1 (en)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leaning apparatus
US4379647A (en) Optical comparator and inspection apparatus
JP2016200498A (ja) 光学特性測定用の遮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光学特性測定システム
US735697A (en) Sketching-camera.
US20080230005A1 (en) Enclosures for and Installations Comprising Cur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