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541A -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 Google Patents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541A
KR20090054541A KR1020070121246A KR20070121246A KR20090054541A KR 20090054541 A KR20090054541 A KR 20090054541A KR 1020070121246 A KR1020070121246 A KR 1020070121246A KR 20070121246 A KR20070121246 A KR 20070121246A KR 20090054541 A KR20090054541 A KR 20090054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nalysis
paint
spr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휘
김준길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1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541A/ko
Publication of KR2009005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01N21/57Measuring glo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의 불투명성과 스프레이의 직진성 및 LVS(Laser Vision Sensor)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고,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포함한 영상처리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도료의 무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표시하여 비정상적 도료 분사 상태에 대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선체블록 내부도장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는 컴퓨터시스템(100)에 연결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슬롯 레이저(170), 스프레이부(10)에 설치된 비전센서(180), 비전센서(180)에 연결된 영상처리부(110),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진행하는 영상분석부(120),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무화판단부(130), 데이터의 기록 및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부(140), 판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 외부광원을 차단하는 측정하우징(160)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부, 영상분석부, 무화판단부, 디스플레이부

Description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PRAY PAINT}
본 발명은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의 무화 상태 확인은 도장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주요 작업 요소 중 하나이다.
도료의 무화 상태는 도막 두께와 표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화가 제대로 되지 않은 채 작업을 하면 많은 도막 품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도료 분사 상태의 확인방법에서는 공중에 스프레이를 뿌린 후 작업자가 육안으로 무화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과, 시편에 스프레이를 뿌린 후 습도막두께(Wet Film Thickness, WFT) 게이지, 즉 습도막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도막 두께를 통해 무화 상태를 유추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들은 작업 숙련도 또는 기준에 따라 무화 상태를 판단하 는 것이 달라지므로, 무화 상태에 대한 정확도를 전혀 보장하지 못하며, 표준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특히, 무화 상태 확인의 중요성은 도장 공정의 자동화가 진행됨에 따라 훨씬 높아졌다.
특히, 피도물(substrate)과 스프레이 건 사이의 최적 이격 거리(예 : 스프레이 건 거리), 이동속도, 각도 등을 얻기 위해서는 무화 상태 측정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화 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계통적 장치와 무화 상태 정확도를 표준화하기 위한 기준 마련이 시급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료의 불투명성과 스프레이의 직진성 및 LVS(Laser Vision Sensor)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고,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포함한 영상처리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도료의 무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표시하여 비정상적 도료 분사 상태에 대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선체블록 내부도장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스프레이부 및 도료 펌프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컴퓨터시스템을 갖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슬롯 레이저; 상기 레이저 빔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료를 분사하는 상기 스프레이부에 설치되어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는 비전센서; 상기 비전센서의 촬영에 따라 생성된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에서 임계값을 분석하고 기하 변환을 수행 함에 따라 영상처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진행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영상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분석결과와 뉴럴네트워크 수단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의 특성을 분석하고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무화판단부; 상기 출력한 판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롯 레이저, 비전센서, 스프레이부 및 도료 펌프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한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부팅을 시작하는 제1단계; 상기 비전센서에 의해 스프레이부의 도료 분사와 슬롯 레이저의 레이저 빔 투과에 따른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여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로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영상처리부에 입력시키는 제2단계; 상기 영상처리부로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임계값을 분석하고 기하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한 영상처리데이터를 영상분석부 쪽으로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영상분석부로 상기 영상처리데이터의 형상 분석 및 명암도 분석을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생성한 분석결과와 뉴럴네트워크 수단을 이용하여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제5단계; 상기 출력된 오류 카테고리 형식의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에 따르면, 도장 작업 시작전에 스프레이부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의 무화 상태, 즉 도료 분사 상태를 스프레이 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작업자에게 확인시킴에 따라 도료 분사 상태 확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도장 품질 향상 및 균일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은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비정상적 도료 분사 상태에 대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선체블록 내부도장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은 외부 광원을 차단하는 암상자와 같은 측정하우징 내에서 슬롯 레이저와 비전센서를 이용하고, 관심영역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대역투과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이용함에 따라, 스프레이 단면의 촬영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무화 상태의 정확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장치에 의한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스프레이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무화판단부의 뉴럴네트워크 수단의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의 실시예는 스프레이부(10)와 그의 도료 펌프(20)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컴퓨터시스템(100)으로서 이해 된다.
본 실시예는 도료의 불투명성과 스프레이의 직진성을 이용한다.
본 실시예는 도료의 무화 상태에 따라 스프레이 패턴의 모양, 입자 밀도, 크기 등에서 변화가 생기는 것과, 무화가 잘 될수록 입자가 작고 밀도가 높으며 타원형과 같이 길고 가는 모양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료의 분사에 따라 무화된 입자의 입자 밀도 및 크기는 색의 강도(intensity)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화 정도를 비교적 신속하게 확인하도록, 스프레이 패턴과 같은 타원의 곡률, 횡축 종축의 비를 이용한다.
횡축은 도 1의 좌표계 상에서 Z축이 될 수 있고, 스프레이 패턴의 높이 또는 타원의 장축길이에 대응한 세로측 기준 방향을 의미한다.
종축은 도 1의 좌표계 상에서 Y축이 될 수 있고, 스프레이 패턴의 폭 또는 타원의 단축길이에 대응한 가로측 기준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는 실험실에서 도료의 무화 상태 또는 조건에 변화를 주면서 기준 영상을 측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도료 분사 상태(도 3참조)에 상응한 스프레이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준비하고, 이후, 실제 도장 작업을 시작하기 전 도료의 무화 상태를 체크할 때, 무화판단부(130)에게 임의의 스프레이 단면(P)의 관련 정보(예 : 영상처리데이터 또는 그의 분석결과)를 제시하여 뉴럴네트워크 수단(131)(도 4참조)을 통해 상기 준비한 스프레이 패턴을 학습시킴에 따라, 스프레이 단면(P)이 도료 분사 상태 중 어디에 속하는지 정확하게 검별함과 함께,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기술적 원리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스프레이부(10)는 공기를 이용하여 도료를 무(霧)화시켜 노즐팁을 통해 분사하는 압력 분사 건, 스프레이 건, 도장 로봇의 최 종단에 결합된 스프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스프레이부(10)는 연결 호스를 통해 도료 펌프(20)와 연결되어 있다.
도료 펌프(20)는 미리 설정된 펌프 작동압(예 : 압력비 68:1)을 갖는 산업용 도료 공급 장치로서, 아날로그 압력 제어 방식, 또는 구비된 디지털 밸브개폐 컨트롤러(29)에 의한 디지털 압력 제어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밸브개폐 컨트롤러(29)는 도료 펌프(20)의 솔레노이드 타입의 압력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컴퓨터시스템(100)은 적어도 중앙처리장치(101)를 구비하고, 이와 함께 시스템버스, 메모리, 입출력수단을 갖는다.
본 실시예는 중앙처리장치(101)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게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영상처리부(110), 영상분석부(120), 무화판단부(130) 및 데이터베이스부(140)와; 컴퓨터시스템(100)의 입출력수단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컴퓨터시스템(100)의 외부에 배치된 측정하우징(160)과, 상기 중앙처리장치(101)에 회로적으로 결합되고 측정하우징(160)에 설치된 슬롯 레이저(170)와, 스프레이부(10)에 설치된 비전센서(180)를 갖는다.
영상처리부(110)는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영역 서술의 내용을 수량화하여 주기성을 검출하고, 특징을 식별하며, 스프레이 단면(P)에 대응한 스프레이 패턴을 추출하도록, 통계적, 구조적, 스펙트럼적 기법들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기본적으로 비전센서(180)로부터 전달되어 온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에서 임계값을 분석하고 기하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영상처리데이터를 영상분석부(120) 쪽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영상분석부(120)는 상기 영상처리부(110)로부터 영상처리데이터를 입력 받아 분석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영상분석부(120)의 분석 기능은 크게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한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포함한다.
형상 분석은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과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P)의 면적, 폭(예 : 타원의 단축길이), 높이(예 : 타원의 장축길이), 관성모멘트값 등과 같은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명암도 분석은 가로방향 5픽셀 단위를 기준으로 평균분석법과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영상처리데이터의 명암도(gray level)를 분석함에 따라, 픽셀 평균값, 픽셀 분산값과 같은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성된 모든 분석결과는 무화판단부(130) 쪽의 입력 데이터로서 이용된다.
무화판단부(130)는 뉴럴네트워크 수단(131)(도 4참조)과 상기 분석결과를 이용하되, 분석결과에 해당하는 스프레이 단면(P)의 면적, 폭(예 : 타원의 단축길이), 높이(예 : 타원의 장축길이), 관성모멘트값, 픽셀 평균값, 픽셀 분산값의 입력 처리를 수행하되, 허용오차 한계치, 가중치 변화량, 학습 반복 회수를 미리 설정한 상태에서, 입력 데이터의 특성 또는 경향에 상응하게 실험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함에 따라,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무화판단부(130)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얻은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뉴럴네트워크 수단(131)의 세부 레이어(예 : 입력 레이어, 미들 레이어, 출력 레이어 등)를 구성하는 과정과, 해당 영상에 관련된 영상처리데이터의 분석결과를 뉴럴네트워크 수단(131)에 입력하는 과정과, 뉴럴네트워크 수단(131)으로부터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가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오류 카테고리 형식의 판단 데이터는 적어도, 우수 패턴, 펌프 압력 불균형, 노즐팁 오염 발생, 노즐팁 마모도 불량, 노즐팁 형상 불량, 재 측정 요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무화판단부(130)는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결과 중에서, 스프레이 단면(P)이 도료 펌프(20)의 가동 압력의 낮고 높음에 따라 영향을 받아 펌프 압력 불균형으로 판단 데이터를 출력할 때, 해당 스프레이 단면(P) 을 도 3의 도막작성 충분(G) 상태로 보정(compensation)할 수 있는 보정압력값을 연산 및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데이터베이스부(140)는 영상처리부(110), 영상분석부(120), 무화판단부(130) 각각에서 이용하거나, 처리하거나, 업데이트되거나, 사용되거나, 공유되는 데이터를 DB화 하여 기록,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오류별 카테고리 형식의 상기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도료 분사 상태(도 3참조)를 도막작성 안됨(B), 도막작성 불충분(N), 도막작성 충분(G), 도막작성 과다(E) 중 어느 하나와 같거나 유사한 형식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갖는다.
도 3에 보이는 도료 분사 상태에 상응한 각각의 기준 영상들은 사전 테스트를 통해 얻은 스프레이 패턴에 대한 실험 데이터로서, 도 1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140)에서 패턴DB 항목과 같이 기록 저장되고, 영상분석부(120) 및 무화판단부(130)에 의해 사용된다.
도 1에 보이는 측정하우징(160)은 외부 광원을 차단하는 암상자와 같은 구조물이다.
측정하우징(160)의 일측에는 슬롯 레이저(170)가 설치되고, 슬롯 레이저(170)의 중심선 연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프레이부(10)가 설치된다.
슬롯 레이저(170)는 측정하우징(160)의 내부 공간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물리적으로 설치되고, 영상처리부(110)에 작동회로적으로 연결된다.
비전센서(180)는 스프레이부(10)의 중심선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각을 유지하면서 스프레이부(10)의 옆에 설치된다.
비전센서(180)는 스프레이 단면(P)을 촬영하는 CCD 카메라 형식의 카메라 또는 센서규격을 만족하는 해상도를 갖는 촬영 장치로서, 해당 기술 규격에 따른 수평방향 가시각 또는 시야, 즉 FOV(Field Of View)와, FOV 안에서 스프레이 단면(P)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촬영할 수 있도록 맞춰진 초점을 갖는다.
이때, 비전센서(180)는 관심영역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대역투과필터(Band Pass Filter, BPF)를 구비하여, 측정하우징(160)의 내부 공간 상에서 분사되는 도료에 대한 레이저 빔의 투과에 따라 맺힌 스프레이 단면(P)을 촬영하여 무화 상태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비전센서(180)는 비전센서용 컨트롤러(181) 및 연결케이블을 통해 영상처리부(110)에 연결된다. 여기서, 비전센서용 컨트롤러는 비전센서(180)에서 촬영한 영상을 컴퓨터시스템(100)에서 이용 가능한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영상처리부(110)에게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컴퓨터시스템(100)은 무화판단부(130)에 결합되어 도료 펌프(20)를 구동시키는 펌프구동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구동부(190)는 무화판단부(130)에서 출력되는 보정압력값을 입력 받아서 압력밸브 제어신호로 변경한 후, 도료 펌프(20)의 디지털 밸브개폐 컨트롤러(29)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하여, 정보 표시 및 사용자 명령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서 도료 분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펌프구동부(190), 디지털 밸브개폐 컨트롤러(29)를 제어하여, 결국 도료 펌프(20)로 하여금 도막작성 충분 상태의 압력으로 도료를 분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에 의한 측정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펌프, 슬롯 레이저, 비전센서, 컴퓨터시스템 등의 전원을 온(ON)하여 시스템 부팅이 시작되는 제1단계(S10)가 진행된다.
그런 경우, 슬롯 레이저는 레이저 빔을 측정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조사한다.
스프레이부는 도료 펌프에서 제공된 압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우징의 내부에 도료를 상기 레이저 빔과 수직하게 분사한다.
스프레이되어 무화된 도료 상에는 투과된 레이저 빔에 의해 스프레이 단면이 맺히게 된다.
비전센서는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여 획득한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를 컴퓨터시스템의 영상처리부 쪽으로 입력시키는 제2단계(S20)를 진행한다.
영상처리부는 영상데이터에서 임계값을 분석하고 기하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영상처리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영상처리부 쪽으로 출력하는 제3단계(S30)를 진행한다.
영상분석부는 앞서 언급한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에 대응한 제4단계(S40)를 진행한다.
형상 분석에서는 면적, 폭, 높이, 관성모멘트값이 생성되고, 명암도 분석에서는 픽셀 평균값, 픽셀 분산값이 생성되며, 이들은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 관리된다.
무화판단부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록 관리되는 상기 면적, 폭, 높이, 관성모멘트값, 픽셀 평균값, 픽셀 분산값을 도 4에 보이는 뉴럴네트워크 수단(131)에 대입시켜, 해당 스프레이 단면의 경향을 분석함에 따라,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제5단계(S50)를 진행한다.
이후 디스플레이부는 출력된 오류 카테고리 형식의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6단계(S60)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무화판단부는 판단 데이터로서 펌프 압력 불균형을 출력할 때, 해당 스프레이 단면을 도막작성 충분 상태로 보정할 수 있는 보정압력값을 연산 및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구동부는 무화판단부에서 출력되는 보정압력값을 입력 받아서 압력밸브 제어신호로 변경한 후, 도료 펌프의 디지털 밸브개폐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도료 펌프로 하여금 도막작성 충분 상태의 압력으로 도료를 분사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정장치에 의한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스프레이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무화판단부의 뉴럴네트워크 수단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스프레이부 20 : 도료 펌프
100 : 컴퓨터시스템 101 : 중앙처리장치
110 : 영상처리부 120 : 영상분석부
130 : 무화판단부 140 : 데이터베이스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측정하우징
170 : 슬롯 레이저 180 : 비전센서

Claims (9)

  1. 스프레이부 및 도료 펌프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컴퓨터시스템을 갖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에 연결되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슬롯 레이저;
    상기 레이저 빔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료를 분사하는 상기 스프레이부에 설치되어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는 비전센서;
    상기 비전센서의 촬영에 따라 생성된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에서 임계값을 분석하고 기하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영상처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입력 받은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상 분석과 명암도 분석을 진행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영상분석부에 의해 생성된 분석결과와 뉴럴네트워크 수단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의 특성을 분석하고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무화판단부;
    상기 출력한 판단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슬롯 레이저를 일측에 설치시키 고, 상기 슬롯 레이저의 중심선 연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레이부를 설치시킨 측정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부는
    상기 형상 분석을 통해 상기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의 면적, 폭, 높이, 관성모멘트값을 생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분석부는
    상기 명암도 분석을 통해 상기 영상처리데이터를 이용하여 픽셀 평균값, 픽셀 분산값을 생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판단부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얻은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뉴럴네트워크 수단의 세부 레이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처리데이터의 분석결과를 상기 뉴럴네트워크 수단에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뉴럴네트워크 수단으로부터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진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6. 슬롯 레이저, 비전센서, 스프레이부 및 도료 펌프와 병행하여 사용되는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한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부팅을 시작하는 제1단계;
    상기 비전센서에 의해 스프레이부의 도료 분사와 슬롯 레이저의 레이저 빔 투과에 따른 스프레이 단면을 촬영하여 원시 비트맵 영상데이터로서 상기 컴퓨터시스템의 영상처리부에 입력시키는 제2단계;
    상기 영상처리부로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임계값을 분석하고 기하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한 영상처리데이터를 영상분석부 쪽으로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영상분석부로 상기 영상처리데이터의 형상 분석 및 명암도 분석을 진행하는 제4단계;
    상기 영상분석부에서 생성한 분석결과와 뉴럴네트워크 수단을 이용하여 도료 분사 상태의 판단 데이터를 오류 카테고리 형식으로 출력하는 제5단계;
    상기 출력된 오류 카테고리 형식의 판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하 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분석에서는
    상기 영상처리데이터와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스프레이 단면에 대응한 면적, 폭, 높이, 관성모멘트값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도 분석에서는
    가로방향 5픽셀 단위를 기준으로 평균분석법과 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처리데이터의 명암도를 분석함에 따라, 픽셀 평균값, 픽셀 분산값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데이터는 우수 패턴, 펌프 압력 불균형, 노즐팁 오염 발생, 노즐 팁 마모도 불량, 노즐팁 형상 불량, 재 측정 요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분사 상태 측정방법.
KR1020070121246A 2007-11-27 2007-11-27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KR20090054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46A KR20090054541A (ko) 2007-11-27 2007-11-27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246A KR20090054541A (ko) 2007-11-27 2007-11-27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541A true KR20090054541A (ko) 2009-06-01

Family

ID=4098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246A KR20090054541A (ko) 2007-11-27 2007-11-27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54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82B1 (ko) * 2013-01-17 2014-10-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KR101868905B1 (ko) * 2017-05-25 2018-06-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도장 오류 검출 방법 및 전자장치
KR20210035975A (ko) *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코아칩스 열화상을 이용한 도장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57207A (ko) 2021-10-21 2023-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프레이 도료의 분사유량 감시 장치 및 방법
CN116442190A (zh) * 2023-06-20 2023-07-18 中数智科(杭州)科技有限公司 机器人列车巡检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82B1 (ko) * 2013-01-17 2014-10-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장 스프레이 무화도 평가장치
KR101868905B1 (ko) * 2017-05-25 2018-06-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도장 오류 검출 방법 및 전자장치
KR20210035975A (ko) * 2019-09-25 2021-04-02 주식회사 코아칩스 열화상을 이용한 도장 품질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057207A (ko) 2021-10-21 2023-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스프레이 도료의 분사유량 감시 장치 및 방법
CN116442190A (zh) * 2023-06-20 2023-07-18 中数智科(杭州)科技有限公司 机器人列车巡检系统
CN116442190B (zh) * 2023-06-20 2023-09-05 中数智科(杭州)科技有限公司 机器人列车巡检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61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alant coating inspection
US202100121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 point of interest in a depth measurement on a viewed object
US9279662B2 (en) Laser scanner
US7738694B2 (en) Calibration of optical patternator spray parameter measurements
WO2023092690A1 (zh) 检验胶路状态的装置及其检验方法
US7792611B2 (en) Spray pattern characterization and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JP5176014B2 (ja) ディスプレーの多角度計測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90054541A (ko) 도료 분사 상태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US11092432B2 (en) Reference plate and method for calibrating and/or checking a deflectometry sensor system
WO2020079694A1 (en) Optimizing defect detection in an automatic visual inspection process
KR102189951B1 (ko) 이미지 분석을 이용한 선박 도장상태 검사 시스템 및 방법
DE102018126655A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visuellen ausrichtung eines terahertz-strahlenbündels
US200802261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arbonaceous pastes used in the production of carbon electrodes
KR102585478B1 (ko) 딥러닝을 이용한 스핀 코터의 포토레지스트 도포 상태 검사 시스템
JP3211681B2 (ja) 塗装欠陥検査装置
JP6884077B2 (ja) 表面検査装置及び表面検査方法
KR101059502B1 (ko) 선체 도장 균일 도포와 비접촉 도막 두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N106123808B (zh) 一种用于汽车后视镜镜面角度偏转测量的方法
KR20090055081A (ko) 표면조도를 이용한 비접촉식 도막 측정장치 및 그의 방법
KR10218856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방법
JP2021006810A (ja) 保護シースを備えたケーブル、特に電気ケーブルの生産品質を検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5384128B2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プログラム
JP3661466B2 (ja) 塗装ムラ検査装置および方法
JP2005144314A (ja) 塗着効率評価方法及び装置
CN115760856B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零件间距测量方法、系统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