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752B1 - 사판식 컴프레서 - Google Patents

사판식 컴프레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752B1
KR101452752B1 KR1020137015053A KR20137015053A KR101452752B1 KR 101452752 B1 KR101452752 B1 KR 101452752B1 KR 1020137015053 A KR1020137015053 A KR 1020137015053A KR 20137015053 A KR20137015053 A KR 20137015053A KR 101452752 B1 KR101452752 B1 KR 101452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flat portion
shoe
annula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6240A (ko
Inventor
사토시 노무라
마사노리 아키즈키
히로시 카네미츠
Original Assignee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7/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having positively-driven val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6Piston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65Grooves on a bearing surface for distributing or collecting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사판식 컴프레서(1)는 회전축(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3)과, 이 사판(3)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형상의 오목부(4a)가 형성된 피스톤(4)과, 상기 사판(3)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부(5a) 및 상기 피스톤(4)의 오목부(4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5b)가 형성된 슈(5)를 구비하고, 상기 사판(3)의 표면에 코팅층(3b)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코팅층(3b)의 표면에 사판(3)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의 환상홈(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의 직경을 10.5mm 미만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평탄부(5a)에 접촉하는 상기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 이상이 되도록, 상기 환상 돌기(3d)의 피치를 설정한다. 슈의 평탄부의 소직경화에 의해 사판과의 마찰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그때에 있어서의 코팅층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판식 컴프레서{SWASH PLATE COMPRESSOR}
본 발명은 사판식(斜板式) 컴프레서에 관한 것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부 및 상기 피스톤에 형성한 반구 형상의 오목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부 및 상기 피스톤의 오목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상기 특허문헌 1의 사판식 컴프레서에 있어서의 사판의 표면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코팅층의 표면에는 이 사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의 환상 홈이 형성되어, 슈와 컴프레서의 슬라이딩 특성을 높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는 종래의 사판식 컴프레서의 슈는 그 평탄부의 직경이 11∼12mm 정도인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되어 있다.
국제공개 WO2002/075172호 공보
여기에서, 상기 슈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기 사판에 눌려지기 때문에, 슈의 평탄부의 직경이 클수록 사판과의 마찰력이 커져, 사판식 컴프레서를 구동하는 엔진의 연비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슈의 평탄부를 소직경으로 하면, 슈와 사판의 마찰력이 작아져 사판식 컴프레서를 구동하는 엔진의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슈의 평탄부를 소직경으로 하면, 상기 환상 돌기에 있어서의 평탄부와의 접촉 부분으로의 하중이 집중하여 환상 돌기가 탄성 변형되어 버려, 슈가 사판에 대하여 슬라이딩할 때에, 슈와 환상 돌기 사이에 발생하는 전단 저항에 의해 코팅층이 마모되고, 또한 상기 환상 돌기가 소멸되면, 슈와 사판과의 친화성이나 윤활유 유지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슈의 평탄부의 소직경에 의해 사판과의 마찰력을 작게 함과 아울러, 코팅층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사판식 컴프레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청구항 1에 따른 사판식 컴프레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부 및 상기 피스톤의 오목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하고,
상기 사판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코팅층의 표면에 사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의 환상 홈을 형성한 사판식 컴프레서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직경을 10.5mm 이하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환상홈과 환상홈 사이에 형성된 환상 돌기의 피치가
[수식 1]
Figure 112013051961011-pct00001
(L=슈의 평탄부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의 길이(mm) N=슈의 평탄부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의 개수)
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슈의 평탄부의 직경을 종래의 슈에 비해 소직경으로 하여, 슈와 사판의 마찰력을 작게 했다고 해도, 상기 수식 1에 의해, 평탄부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평탄부의 면압이 다수의 환상 돌기로 분산되게 되어, 환상 돌기의 탄성 변형이 작아져 슈와 환상 돌기 사이의 전단 저항이 감소하여, 코팅층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사판식 컴프레서의 단면도,
도 2는 슈 및 사판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슈의 평탄부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수식 1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슈 및 사판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다른 형상을 갖는 슈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사판식 컴프레서(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축지지된 회전축(2)과, 이 회전축(2)에 부착된 사판(3)과, 하우징의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보어 내를 진퇴 운동하는 복수의 피스톤(4)과, 각 피스톤(4)의 내부에 마주 향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사판(3)을 협지하는 복수의 슈(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사판(3)은 회전축(2)에 대하여 비스듬히 고정되어 있거나, 혹은 사판(3)의 경사각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피스톤(4)마다 2개의 슈(5)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4)에는, 서로 마주 향하도록 반구 형상의 오목부(4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슈(5)는 이 오목부(4a)에 대하여 요동하면서, 상기 사판(3)의 회전을 피스톤(4)의 진퇴운동으로 변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사판식 컴프레서(1)는 종래 공지이며, 이것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슈(5)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슈(5)는 철계, 구리계, 알루미늄계 재료 이외에, 소결 재료나 수지 재료 등으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SUJ2를 단조나 전조에 의해 제조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슈(5) 근방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슈(5)는 상기 사판(3)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부(5a)와, 상기 피스톤(4)의 오목부(4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5b)와, 상기 구면부(5b)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부(5c)와, 상기 평탄부(5a)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평탄한 테이퍼부(5d)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모식도이며, 실제의 형상에 대하여 일부의 축척을 과장하여 기재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평탄부(5a)와 테이퍼부(5d) 사이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평탄부(5a)는 상기 매끄러운 곡면을 포함하지 않는 대략 평탄면으로 구성되고, 또한, 직경(d)<10.5mm로 설정된 원형을 가지고 있다. 이 직경(d)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3.5≤d≤9.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5≤d≤8.5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슈의 평탄부(5a)는 종래 공지의 슈에 있어서의 평탄부의 직경 11∼12mm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평탄부의 직경(d), 즉 상기 평탄부(5a)와 상기 매끄러운 곡면과의 경계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평탄부(5a)를, 세로배율(슈의 높이 방향의 배율)을 가로배율(슈의 반경방향의 배율)의 100배(세로배율:가로배율=1000:10)의 축척으로 측정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구면부(5b) 및 상기 릴리프부(5c)는 각각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릴리프부(5c)와 평탄부(5a) 사이에 형성된 테이퍼부(5d)는 상기 평탄부(5a)에 대하여 사판(3)으로부터 격리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슈(5)의 평탄부(5a)의 중앙이나 그 밖의 부분에 딤플을 형성해도 되고, 또한 상기 평탄부(5a)를 중앙이 높아진 중고(中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사판(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사판(3)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3a)와, 이 기재(3a)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3b)으로 구성되고, 이 코팅층(3b)의 표면에는 상기 회전축(22)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소용돌이 형상의 환상홈(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재(3a)는 철계, 구리계, 알루미늄계 재료 등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코팅층(3b)과의 사이에 중간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리 소결, 구리 용사, 알루미늄 용사, 구리-알루미늄 용사 등의 수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b)은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에 고체 윤활재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계 수지(PI)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PAI),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 폴리아미드(나일론),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윤활재로서는 이황화몰리브덴(MoS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이황화텅스텐(WS2), 육방정 질화붕소(h-BN), 불화흑연(CF), 불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그 입경은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2∼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배합비는 5∼80wt%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3b)에는 경질 입자를 첨가해도 되고, 이 경질 입자로서는 알루미나나 실리카 등의 산화물, 질화실리콘(SiN) 등의 질화물, 탄화실리콘(SiC) 등의 탄화물, 유화아연(ZnS) 등의 황화물을 들 수 있고, 그 입경은 0.01∼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배합비는 0.2∼7wt%로 되어 있다.
상기 환상홈(3c)은, 상기 기재(3a)의 표면에 상기 코팅층(3b)을 형성한 후에, 기계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소용돌이 형상 이외에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슈(5)의 평탄부(5a)에는, 인접하는 환상홈(3c)과 환상홈(3c) 사이에 형성된 환상 돌기(3d)가 줄무늬 형상으로 접촉하게 된다. 또한 도 3도 모식도로 되어 있고, 실제의 축척과는 상이한 기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사판식 컴프레서(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소직경의 슈(5)에 대하여, 상기 환상 돌기(3d)의 피치가 이하의 관계식을 충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식 1]
Figure 112013051961011-pct00002
(L: 평탄부(5a)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 N: 평탄부(5a)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개수)
상기 수식 1의 좌변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하는 평탄부(5a)의 도시 좌측 방향에서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를 L1, 이것에 인접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를 L2로 하고, 도시된 우단에 위치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를 Ln으로 한 경우, 수식 1의 좌변측은 L1+L2…+Ln으로 기재할 수 있다.
즉 수식 1은 평탄부(5a)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 이상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슈(5)의 평탄부(5a)의 직경(d)을 5.5mm로 하면, 상기 평탄부(5a)에는 69개 이상의 환상 돌기(3d)가 접촉함과 아울러, 이 환상 돌기(3d)의 피치는 0.079mm 이하로 설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직경의 슈(5)를 구비한 사판식 컴프레서(1)에 있어서, 상기 수식 1의 조건을 충족시킴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상기 사판식 컴프레서(1)를 작동시키면, 상기 사판(3)이 회전함과 아울러 이 사판(3)을 사이에 끼도록 하여 설치한 슈(5)가 이 사판(3)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피스톤(4)의 오목부(4a)에서 요동하고, 이것에 의해 피스톤(4)이 왕복운동한다.
피스톤(4)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슈(5)는 사판(3)의 표면에 눌려지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슈(5)는 평탄부(5a)의 직경(d)이 10.5mm 미만으로 설정되어, 종래의 슈(5)보다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슈(5)와 사판(3)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져, 상기 사판(3)을 작은 구동력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사판식 컴프레서(1)를 구동하는 엔진의 연비(연료 소비율)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4)의 왕복운동에 의해 슈(5)가 사판(3)의 표면의 코팅층(3b)을 누르면, 이 슈(5)의 평탄부(5a)의 면압에 의해 환상 돌기(3d)가 탄성 변형 하여, 슈(5)가 사판(3)의 표면에 대하여 탄성 변형 깊이(H)만큼 내려앉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판식 컴프레서(1)는 상기 수식 1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으므로, 이 평탄부(5a)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은 300mm 이상으로 되어 있어, 평탄부(5a)의 직경(d)을 5.5mm로 한 경우, 69개 이상의 환상 돌기(3d)가 평탄부(5a)에 접촉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평탄부(5a)의 면압이 이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복수 개의 환상 돌기(3d)에 분산되게 되어, 본 실시예와 같이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을 길게 함으로써, 상기 탄성 변형 깊이(H)를 얕게 할 수 있다.
탄성 변형 깊이(H)가 얕으면, 상기 슈(5)가 사판(3)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때에 있어서, 상기 슈(5)가 환상 돌기(3d)를 탄성 변형시킬 때에 발생하는 전단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어, 코팅층(3b)의 마모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b) 참조).
이에 반해, 도 4는 상기 슈(5)와 동일한 슈(5)를 구비하지만, 상기 수식 1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지 않은 사판식 컴프레서(1)의 슈(5) 및 사판(3)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a)는 사판(3)의 반경방향의 단면도를, 도 4(b)는 사판(3)의 원주방향을 따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 4도 실제의 축척과는 상이한 기재로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사판식 컴프레서(1)는 상기 평탄부(5a)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 미만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환상 돌기(3d)에 분산되는 면압이 커져, 환상 돌기(3d)가 크게 탄성 변형하여 상기 탄성 변형 깊이(H)가 깊어지므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슈(5)가 사판(3)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 상기 환상 돌기(3d)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 저항이 커져, 코팅층(3b)의 마모량이 커져 버린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컴프레서(1)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가로축에 수식 1의 좌변, 즉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을 나타내고, 세로축에 사판(3)의 눌어붙음 하중 및 사판(3)의 코팅층(3b)의 마모 깊이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로축에는, 참고로서 슈(5)의 평탄부(5a)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3d)의 개수도 표시하고 있다.
상기 실험에서는, 모두 평탄부(5a)의 직경이 5.5mm의 슈(5)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사판(3)에 있어서의 코팅층(3b)은 열경화성 수지 바인더가 45%, 고체 윤활재가 55%의 혼합비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두께는 25㎛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판(3)은 슈(5)의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160mm, 240mm, 320mm가 되는 것과 같은 3종류의 사판(3)을 준비하고, 그때 환상 돌기(3d)의 피치는 0.15mm, 0.10mm, 0.075mm가 된다.
그리고 상기 실험에서는, 사판(3)을 950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슈(5)에 대하여 519∼1735N으로 하중을 점증시키면서 누르고, 이것들을 냉매/냉동기유 혼합 컴프레서 흡입 분위기 내에서 행했다. 또한 본 실험조건은 이하의 도 6, 도 7에 도시하는 실험에서도 적용했다.
우선,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과, 눌어붙음 하중과의 관계에 관한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 이상이 되는 경우, 1700N 이상의 하중을 걸어도 눌어붙음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240mm일 때는 약 700N 정도에서 눌어붙음이 발생했다.
다음에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과, 사판(3)의 코팅층(3b)의 마모 깊이와의 관계에 관한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 이상이 되는 경우, 마모 깊이는 약 3㎛로 억제되지만, 160mm일 때 마모 깊이는 약 6㎛가 되었다.
도 6은 상기 도 5와 동일한 실험을 평탄부(5a)의 직경을 9.5mm로 한 슈(5)에 대하여 행한 경우의 실험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사판(3)은 슈(5)의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280mm, 470mm, 710mm가 되는 것과 같은 3종류의 사판(3)을 준비하고, 그 때 환상 돌기(3d)의 피치는 0.10mm, 0.15mm, 0.25mm가 된다.
우선,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과, 눌어붙음 하중과의 관계에 관한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를 초과하고 있는 2개의 사판(3)에서는, 1700N 이상의 하중을 걸어도 눌어붙음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280mm일 때는 약 1400N 정도에서 눌어붙음이 발생했다.
다음에,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과, 사판(3)의 코팅층(3b)의 마모 깊이와의 관계에 관한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평탄부(5a)에 접촉하고 있는 환상 돌기(3d)의 길이의 합이 300mm를 초과하고 있는 2개의 사판에서는 마모 깊이는 약 2㎛로 억제되지만, 280mm일 때 마모 깊이는 약 4㎛가 되었다.
도 7은 슈(5)의 평탄부(5a)의 직경과 마찰계수와의 관계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가로축에 슈(5)의 평탄부의 직경을, 세로축에 상기 사판(3)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사판(3)의 환상 돌기(3d)의 피치는 0.15mm로 되어 있고, 또한 평탄부(5a)의 직경이 각각 5.5mm, 7.5mm, 9.5mm, 11.5mm의 슈(5)를 사용하여 실험을 행했다.
상기 슈(5) 중, 평탄부(5a)의 직경이 각각 5.5mm, 7.5mm, 9.5mm의 슈(5)는 상기 수식 1의 요건을 충족시킨 발명품에 해당하고, 11.5mm의 슈(5)는 일반적인 크기의 종래품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실험에 의하면, 평탄부(5a)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서 마찰계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5)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이외의 형상을 갖는 슈(5)를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면부(5b)와 평탄부(5a) 사이에 주상부(5e)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주상부(5e)와 구면부(5b)의 경계 부분에,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함과 아울러 상기 구면부(5b)를 구성하는 구면부측 플랜지(5f)를 설치한 슈(5)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구면부를 종래와 동일한 크기로 하면서도 평탄부의 직경만을 작게 할 수 있어, 슈(5)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 사판식 컴프레서
3 사판
3b 코팅층
3c 환상홈
3d 환상 돌기
4 피스톤
5 슈
5a 평탄부

Claims (3)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사판과, 이 사판의 회전에 따라 진퇴 운동함과 아울러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사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평탄부 및 상기 피스톤의 오목부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구면부가 형성된 슈를 구비하고,
    상기 사판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코팅층의 표면에 사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용돌이 형상 또는 동심원 형상의 환상홈을 형성한 사판식 컴프레서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직경을 10.5mm 미만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상기 환상홈과 환상홈 사이에 형성된 환상 돌기의 피치가
    [수식 1]
    Figure 112013051961011-pct00003

    (L=슈의 평탄부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의 길이(mm) N=슈의 평탄부에 접촉하는 환상 돌기의 개수)
    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를 둘러싸도록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평탄부와 테이퍼부를 매끄러운 곡면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직경이 9.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컴프레서.
KR1020137015053A 2010-11-24 2011-11-24 사판식 컴프레서 KR101452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0967 2010-11-24
JP2010260967 2010-11-24
PCT/JP2011/077043 WO2012070615A1 (ja) 2010-11-24 2011-11-24 斜板式コンプレッ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240A KR20130086240A (ko) 2013-07-31
KR101452752B1 true KR101452752B1 (ko) 2014-10-22

Family

ID=4614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053A KR101452752B1 (ko) 2010-11-24 2011-11-24 사판식 컴프레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43617A1 (ko)
EP (1) EP2631482B1 (ko)
JP (1) JP5607754B2 (ko)
KR (1) KR101452752B1 (ko)
CN (1) CN103228913B (ko)
WO (1) WO2012070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7852B2 (ja) * 2015-10-01 2017-08-09 大豊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用斜板及びそれを具備するコンプレッ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40A (ja) * 1997-07-08 1999-01-26 Riken Corp 斜板式圧縮機用シュー
JP4376519B2 (ja) * 2001-03-16 2009-12-02 大豊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ー用斜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8252A (en) * 1980-03-07 1986-02-0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plate type compressor
JPS61135990A (ja) * 1984-12-04 1986-06-23 Taiho Kogyo Co Ltd シユ−
JPS61167180A (ja) * 1985-01-19 1986-07-28 Taiho Kogyo Co Ltd 斜板式コンプレツサ
JPS6241980A (ja) * 1985-08-16 1987-02-23 Taiho Kogyo Co Ltd 斜板式コンプレツサ用シユ−
US5495789A (en) * 1993-03-10 1996-03-05 Sanden Corporatio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with lubricating mechanism between the shoe and swash plate
JP4023872B2 (ja) * 1997-06-26 2007-12-19 大豊工業株式会社 斜板式コンプレッサー用斜板
JP4731756B2 (ja) * 2001-07-31 2011-07-27 サンデン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
JP2006070838A (ja) * 2004-09-03 2006-03-16 Taiho Kogyo Co Ltd 摺動部材
WO2006075520A1 (ja) * 2005-01-17 2006-07-20 Taiho Kogyo Co., Ltd. 摺動部材の製造方法
WO2007091564A1 (ja) * 2006-02-06 2007-08-16 Ntn Corporation 斜板式コンプレッサの斜板および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5298838B2 (ja) * 2008-12-25 2013-09-25 大豊工業株式会社 斜板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640A (ja) * 1997-07-08 1999-01-26 Riken Corp 斜板式圧縮機用シュー
JP4376519B2 (ja) * 2001-03-16 2009-12-02 大豊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ー用斜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07754B2 (ja) 2014-10-15
CN103228913A (zh) 2013-07-31
WO2012070615A1 (ja) 2012-05-31
KR20130086240A (ko) 2013-07-31
JPWO2012070615A1 (ja) 2014-05-19
EP2631482A1 (en) 2013-08-28
EP2631482A4 (en) 2018-01-24
EP2631482B1 (en) 2018-12-05
US20130243617A1 (en) 2013-09-19
CN103228913B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620B2 (en) Swash plate of swash-plate type compressor
JP5298838B2 (ja) 斜板とその製造方法
CN1417251A (zh) 滑动件和滑动装置
KR101501277B1 (ko) 슬라이딩 부재
KR101452752B1 (ko) 사판식 컴프레서
KR101867261B1 (ko) 컴프레서용 사판 및 그것을 구비하는 컴프레서
EP3543322B1 (en) Sliding member
JP6317965B2 (ja) 軸受
US11352581B2 (en) Resin composition and sliding member
JP2017141709A (ja) コンプレッサー用斜板および斜板式コンプレッサー
WO2017094810A1 (ja) 摺動部材および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6654056B2 (ja) コンプレッサー用斜板および斜板式コンプレッサー
WO2020202687A1 (ja) コンプレッサ用斜板
JP2017096398A (ja) 摺動部材
JP2019082216A (ja) 摺動部材
JP6283238B2 (ja) 軸受
JP2009257202A (ja) シュ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