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547B1 -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547B1
KR101452547B1 KR1020100126835A KR20100126835A KR101452547B1 KR 101452547 B1 KR101452547 B1 KR 101452547B1 KR 1020100126835 A KR1020100126835 A KR 1020100126835A KR 20100126835 A KR20100126835 A KR 20100126835A KR 101452547 B1 KR101452547 B1 KR 10145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ight
vibration
weight plate
plat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616A (ko
Inventor
임홍일
이순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5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성 증대 수단은 덧대어 중량판 세트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타입의 구조를 제공하여 셋팅된 진동수를 벗어나는 진동수에 대해서는 기동이 멈추도록 함으로써 진동 저감을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Cover a Combined Stiffness Increasing Device for Dynamic Vibration Absorber}
본 발명은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 하게는 강성 증대수단이 중량판 세트에 덧대어지는 고정 타입을 통해 기진원 진동수보다 현저히 높임으로써, 셋팅된 진동수를 벗어나는 진동수 영역에서는 동흡진기의 기동이 멈추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에 대한 규제 강화와 함께 진동 감소가 특히 요구되는 선박의 경우, 진동이 유발되는 부위, 또는 진동을 억제해야하는 부위에 직접적으로 동흡진기를 부가하여 진동 감쇄를 하고 있다.
특히, 선박의 경우 주로 브리지 윙(Bridbe Wing)이나, 레이더 마스트(Rader Mast), 포어 마스트(Fore Mast) 등과 같은 진동제어대상 구조물은 진동을 유발하는 기진원과 공진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예컨대 공진을 하게 될 경우 진동제어대상 구조물의 균열, 파손 등이 발생하게 되어 운항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로 빠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진동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써, 특히 선박에서는 동흡진기(Dynamic Vibration Absorber)를 진동제어대상 구조물에 직접 부착 설치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흡진기는, 진동수 셋팅시에 웨이트(Weight)와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진동제어대상 구조물의 가진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로 진동하도록 만들어 진동을 감쇄시키는 원리가 적용되고 있다.
도 1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흡진기를 보여주고 있다. 동흡진기(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판(3)과, 상부에 배치되는 중량판 세트(5)와, 상기 받침판(3)과 중량판 세트(5)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판스프링(7)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7)이 압축과 이완을 반복하고 질량체인 중량판 세트(5)가 탄성적으로 진동하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동흡진기(1)의 받침판(3)은 사각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베이스로 사용된다. 중량판 세트(5)는, 여러개의 철판이 적층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셋팅하고자는 진동수에 맞추어 중량판 세트(5)의 중량이 정해지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동흡진기(1)는 해체되지 않는 이상 지속적인 기동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진동제어대상 구조물의 가진 진동수와 동일한 진동수를 벗어나는 진동에 대해서도 동흡진기(1)는 계속적으로 기동을 하게 된다.
그에 따라 셋팅된 진동수를 벗어나는 동흡진기(1)의 진동이 진동제어대상 구조물과 인접 구조물로 계속 전달되게 됨으로써 진동을 감소시킬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셋팅된 진동수를 벗어나는 진동수에 대해서는 기동이 멈추도록 하여 동흡진기의 자체 진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진동 저감을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상부에 배치되는 중량판 세트와, 상기 받침판과 중량판 세트의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동흡진기의 양측 면에 강성 증대 수단이 중량판 세트와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중량판 세트의 강성을 높이는 강성증대장치로서, 상기 강성 증대 수단은 중량판 세트의 양측 면에는 배치되는 상태로 바닥판에 고정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체결되는 조임력으로 중량판 세트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의 양측 면에 연결되는 상태로 동흡진기의 정면과 배면을 가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상태로 바닥판과 고정되는 정면 날개판 및 배면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량판 세트의 상면에 닿지 않는 상태로 상부를 덮는 상판이 배치되며, 이 상판은 측면판, 정면 날개판, 배면 날개판의 상단과 연결 고정되는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중량판 세트에는 체결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 증대수단이 덧대어지는 구조로 중량판 세트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통해 셋팅된 진동수를 벗어나는 진동수에 대해서는 동흡진기의 자체 진동이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써, 진동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동흡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겸용 동흡진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는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는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겸용 동흡진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2a에서는 일부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서는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종래기술로 설명된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흡진기(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판(3)과, 상부에 배치되는 중량판 세트(5)와, 상기 받침판(3)과 중량판 세트(5)의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판스프링(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동흡진기(1)의 양측면에 강성증대수단(10)이 덧대어지는 배치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때 강성증대수단(10)은, 측면판(12)과, 이 측면판(12)의 양측 선단에 연결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정면 날개판(14)과, 배면날개판(16)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성증대수단(10)이 동흡진기(1)의 양측 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태로 바닥판(3)에 용접 고정되는데, 이때 정면 날개판(14)과 배면 날개판(16)은 동흡진기(1)의 정면과 배면에 각각 배치되고, 측면판(12)은 동흡진기(1)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정면 날개판(14)과 배면 날개판(16)은 동흡진기(1)의 양측 일부만을 가릴 수 있도록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판(12)은 동흡진기(1)의 측면을 모두 가릴 수 있도록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배치된 강성증대수단(10)에서, 측면판(12)과 중량판 세트(5)간에는 볼트인 체결구(P)를 통해 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결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중량판 세트(5)의 양 측면과 측면판(12)에는 체결홈(S1)과 체결공(S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강성증대수단(10)의 측면판(12)과 중량판 세트(5)가 체결구(P)의 체결을 통해 서로 고정되게 되면, 외부에서 변형을 가할 때 중량판 세트(5)가 주어진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 즉, 강성이 증가하게 되고, 강성이 증가하게 되면 동흡진기(1) 자체의 진동수도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셋팅된 진동수를 벗어나는 진동수에 대해서는 동흡진기(1)가 기동을 정지하게 되고, 기동이 멈춘 동안에는 인접 구조물에 진동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진동 저감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강성증대수단(10)의 정면 날개판(14)과 배면 날개판(16)이 삼각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증대수단(20)의 측면판(22)과 연결되는 정면 날개판(24) 및 배면 날개판(26)은 각각 대응하는 동흡진기(1)의 정면 및 배면 내부를 모두 가릴 수 있는 모양이 제시된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7)이 강성증대수단(20)에 의해 모두 가려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증대수단(20)의 측면판(22), 정면 날개판(24), 배면 날개판(26)을 모두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중량판 세트(5)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상판(28)이 더 포함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판(28)은 중량판 세트(5)의 상면에 닿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며 측면판(22), 정면 날개판(24), 배면 날개판(26)의 상단과 용접으로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판(22), 정면 날개판(24), 배면 날개판(26), 상판(28)으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커버 구조가 적용되게 되면 방수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3b 참조)
위와 같이 도 2a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는 중량판 세트(5)에 체결홈(S1)을 형성하고 체결구(P)가 체결홈(S1)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할 뿐 이로 한정하고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체결홈(S1) 없이 체결구(P)가 중량판 세트(5)의 면에 닿는 체결 조임력만으로 중량판 세트(5)와 측면판(12) 간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 동흡진기 3 : 받침판
5 : 중량판 세트 7 : 판스프링
10, 20 : 강성증대수단 12, 22 : 측면판
14, 24 : 정면 날개판 16, 26 : 배면 날개판
28 : 상판

Claims (4)

  1. 바닥에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으로부터 상부에 배치되는 중량판 세트와, 상기 받침판과 중량판 세트의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동흡진기의 양측 면에 강성 증대 수단이 중량판 세트와 고정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중량판 세트의 강성을 높이는 강성증대장치로서,
    상기 강성 증대 수단은 중량판 세트의 양측 면에는 배치되는 상태로 바닥판에 고정 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에 체결되는 조임력으로 중량판 세트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판의 양측 면에 연결되는 상태로 동흡진기의 정면과 배면을 가릴 수 있도록 배치되는 상태로 바닥판과 고정되는 정면 날개판 및 배면 날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중량판 세트의 상면에 닿지 않는 상태로 상부를 덮는 상판이 배치되며, 이 상판은 측면판, 정면 날개판, 배면 날개판의 상단과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판 세트에는 체결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증대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00126835A 2010-12-13 2010-12-13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KR10145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835A KR101452547B1 (ko) 2010-12-13 2010-12-13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835A KR101452547B1 (ko) 2010-12-13 2010-12-13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16A KR20120065616A (ko) 2012-06-21
KR101452547B1 true KR101452547B1 (ko) 2014-10-21

Family

ID=4668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835A KR101452547B1 (ko) 2010-12-13 2010-12-13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6176A (zh) * 2013-08-12 2014-01-01 上海卫星工程研究所 卫星飞轮用微振动一体化动力吸振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0050U (ko) * 1987-10-14 1989-04-17
JPH01266335A (ja) * 1988-04-14 1989-10-24 Shimizu Corp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20040021087A (ko) * 2002-09-02 2004-03-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동흡진기
KR20100081475A (ko) * 2009-01-06 2010-07-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동흡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0050U (ko) * 1987-10-14 1989-04-17
JPH01266335A (ja) * 1988-04-14 1989-10-24 Shimizu Corp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
KR20040021087A (ko) * 2002-09-02 2004-03-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동흡진기
KR20100081475A (ko) * 2009-01-06 2010-07-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동흡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16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2598B2 (ja) 床支持具及び床構造
CN105790541B (zh) 一种线性振动马达
JP5044010B2 (ja) デバイスケージ及び壁
KR101452547B1 (ko) 커버 겸용 동흡진기의 강성 증대장치
JP6742936B2 (ja) 防振架台
KR101467012B1 (ko) 탄성마운트를 이용한 펌프용 동흡진기
US20160030978A1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JP3898528B2 (ja) 遮音床構造
JP6027061B2 (ja) 床構造および床パネル
JP6467161B2 (ja) 床パネル
JP5128969B2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JP5649528B2 (ja) キャビネットラックの制震構造
RU2361133C1 (ru) Резинов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арочного типа
KR101613567B1 (ko) 방진 마운트
JP3155810U (ja) 振動吸収構造体
JP5445862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5810857B2 (ja) 車体制振構造
JP4188791B2 (ja) 千鳥間柱の間仕切り壁の構造
JP6332724B2 (ja) 車両の騒音低減構造
JP5758839B2 (ja) 床構造及び床構造の施工方法
JP3207745U (ja) 防振装置
JP2013237983A (ja) 床構造および板ばね式制振装置
JP5824445B2 (ja) 床構造
JP2010203145A (ja)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JP2016108744A (ja) 床下用ダンパ及び床下ダン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