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374B1 -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374B1
KR101451374B1 KR1020130045613A KR20130045613A KR101451374B1 KR 101451374 B1 KR101451374 B1 KR 101451374B1 KR 1020130045613 A KR1020130045613 A KR 1020130045613A KR 20130045613 A KR20130045613 A KR 20130045613A KR 101451374 B1 KR101451374 B1 KR 10145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ne
road
golf bal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오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비레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비레포츠 filed Critical (주)에스비레포츠
Priority to KR102013004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골프공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이탈 시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야간에는 차량 운전자가 도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주, 야간 구분없이 도로를 주행시 차선을 이탈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는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신호 발생수단과;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이 도로의 차선에 근접할 시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이 도로의 차선에 근접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Lane departure prevention system using pulmonary golf ball}
본 발명은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폐골프공에 마그네틱을 삽입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이탈 시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3-0005324호 "폐골프공을 이용한 도로표시장치"를 개선하여 야간에는 차량 운전자가 도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주, 야간 구분없이 도로를 주행시 차선을 이탈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폐골프공을 이용함으로써 환경폐기물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상에 표시된 차량의 상행 및 하행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선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는 차선 침범 방지 유도 시설물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라이트의 빛의 입사에 따른 재료 자체의 빛의 반사 또는 제품자체의 발광정도, 차량 바퀴의 차선 침범시 바퀴의 마찰음 등에 의해서 운전자가 인식하여 차선을 식별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은 차량의 적소(바람직하게, 차량 전방의 좌측)에 장착되어 전방의 하측을 향하는 소정 각도로 레이저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빔 송신기와, 차량의 적소(바람직하게, 레이저빔 송신기의 우측)에 장착되어 발사된 레이저빔이 도로에 반사된 후에 되돌아오는 레이저빔을 수신하는 레이저빔 수신기와, 레이저빔 송신기 및 레이저빔 수신기를 구동하는 레이저 구동부와, 중앙선, 차선 및 노면의 상태에 따른 수신 레이저빔의 강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룩-업 테이블과,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경보하는 경보부 및 레이저 구동부로부터 수신 레이저빔의 강도 데이터를 전달받고 룩-업 테이블에서 전달받은 수신 레이저빔의 강도 데이터를 조회하여 현재 차량이 중앙선을 침범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중앙선을 침범한 경우에는 경보를 발하도록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은 이동하는 차량의 주변에는 태양광, 주변 차량의 헤드 라이트 또는 주변 조명이 존재하기 때문에 차량 주변의 환경에 따라 수광되는 배경 광의 세기가 서로 상이하며, 따라서 단순히 룩업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차선에 따른 레이저 신호의 세기만을 이용하여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였는지를 판단하기 곤란하다.
특허문헌 1 : 국내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05324호 "폐골프공을 이용한 도로표시장치" 특허문헌 2 :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50023호 "차량의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중앙선 침범 경보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폐골프공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이탈 시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야간에는 차량 운전자가 도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주, 야간 구분없이 도로를 주행시 차선을 이탈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폐골프공을 이용함으로써 환경폐기물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신호 발생수단과;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이 도로의 차선에 근접할 시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이 도로의 차선에 근접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서 상기 신호 발생수단은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폐골프공과; 상기 본체를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서 상기 폐골프공은 외주면 상에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빛을 반사하여 도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체를 갖고, 내부에 삽입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서 상기 신호 수신수단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서 상기 신호 수신수단의 센서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 의하면, 폐골프공을 이용하여 차량의 운전자가 차선을 이탈 시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야간에는 차량 운전자가 도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주, 야간 구분없이 도로를 주행시 차선을 이탈할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골프공을 이용함으로써 환경폐기물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에서 신호 발생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10)는 도로(500)의 차선(510)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신호 발생수단(20)과, 차량(600)에 설치되고, 신호 발생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600)이 도로(500)의 차선(510)에 근접할 시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신호 수신수단(30)과, 차량(600)에 설치되어 신호 수신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차량(600)이 도로(500)의 차선(510)에 근접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로(500)의 차선(510)은 중앙차선 또는 갓차선을 통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10)는 주행중인 차량(600)이 주행 차선(510)을 이탈하면 차량(600)에 설치된 경보장치(40)에서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차량(600)의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10)는 신호 발생수단(20), 신호 수신수단(30), 경보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호 발생수단(20)은 도로(500)의 차선(510)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본체(22)와, 본체(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센서(242)를 갖는 폐골프공(24)과, 본체(22)를 도로(500)의 차선(510)을 따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2)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되, 도로(500)의 차선(510)에 고정되는 고정부(222)와, 고정부(222)의 내측에 폐골프공(2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242)을 갖는 수용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부(222)는 도로(500)의 차선(510)에 고정부재(26)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홀(2222)이 형성되고, 수용부(224)는 수용공간(2242)과 연통되어 우천시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홀(2244)을 갖고, 수용부(224)의 수용공간(2242)에서 상측으로 형성되어 폐골프공(24)을 감싸 폐골프공(24)의 이탈을 방지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구(2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22)의 수용부(224)는 고정부(222)의 중심측에 형성되되, 고정부(222)보다 하측으로 형성되어 폐골프공(24)이 수용공간(2242)에 수용되었을 시 폐골프공(24)의 상측이 도로(500) 보다 상측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10)에서 본체(22)의 고정부(222)를 원형으로 구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사각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폐골프공(24)은 본체(22)의 수용공간(2242)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외주면 상에 도로(500)를 운행하는 차량(600)의 빛을 반사하여 도로(5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체(242)를 갖고, 내부에 삽입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마그네틱(2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반사체(242)가 형성되는 홈(2422)을 갖도록 이루어지되, 홈(2422)은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진다.
한편, 폐골프공(24)의 홈(2422)에 형성되는 반사체(242)는 형광물질로 구성되어 차량(600)의 불빛을 용이하게 반사되도록 한다. 이때, 반사체(242)는 폐골프공(24)의 홈(2422)에 분사시켜 형성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폐골프공(24)은 본체(22)의 수용공간(2242)에 수용되어 차량(600)이 지나갈 시 회전하게 되어 정지 상태일 때보다 마모 및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폐골프공(24)에 반사체(242)를 구비함으로써 야간에 차량(600) 운전자가 도로(500)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폐골프공(24)을 이용함으로써 환경폐기물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고정부재(26)는 본체(22)를 도로(500)의 차선(5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22)의 고정부(222)에 형성되는 고정홀(2222)에 삽입되어 도로(500)의 차선(510)에 고정되어 진다. 이때, 고정부재(26)는 고정용 못, 고정용 볼트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신호 수신수단(30)은 차량(600)에 설치되어 신호 발생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근접신호를 경보장치(40)로 출력하기 위한 센서(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32)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져 차량(600)이 도로(500)의 차선(510)에 고정 설치되는 신호 발생수단(20)의 마그네틱(244)에 근접할 시 근접신호를 생성하여 경보장치(40)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신호 수신수단(30)의 센서(32)는 바람직하게는 차량(600)의 전방 좌, 우측에 설치되어 신호 발생수단(20)의 마그네틱(244)에 근접할 시 근접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는 차량(600)이 주행 시 차선(510)을 이탈할 경우 차량(600)의 전방부터 이탈하므로 신호 발생수단(20)의 마그네틱(244)으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먼저 수신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보장치(40)는 차량(600)에 설치되되, 특히, 차량(6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신호 수신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경보음 또는 램프 등 다양하게 경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10)에 의하면, 폐골프공(24)을 이용하여 차량(600)의 운전자가 차선을 이탈 시 경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로(500)의 차선(510)을 따라 신호 발생수단(20)을 설치하고, 차량(500)에는 신호 발생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수단(30) 및 경보장치(40)를 설치하여 차량(600)이 도로(500)의 차선(510)을 이탈 시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골프공(24)을 이용함으로써 환경폐기물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설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20 : 신호 발생수단 22 : 본체
24 : 폐골프공 26 : 고정부재
30 : 신호 수신수단 32 : 센서
40 : 경보장치

Claims (5)

  1.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는 신호 발생수단과;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이 도로의 차선에 근접할 시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신호 수신수단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경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차량이 도로의 차선에 근접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발생수단은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폐골프공과;
    상기 본체를 도로의 차선을 따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폐골프공은 외주면 상에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빛을 반사하여 도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반사체를 갖고, 내부에 삽입되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수단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근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수단의 센서는 근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KR1020130045613A 2013-04-24 2013-04-24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KR10145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13A KR101451374B1 (ko) 2013-04-24 2013-04-24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613A KR101451374B1 (ko) 2013-04-24 2013-04-24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374B1 true KR101451374B1 (ko) 2014-10-22

Family

ID=5199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613A KR101451374B1 (ko) 2013-04-24 2013-04-24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94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115A (ja) * 1995-10-12 1997-04-22 Sumitomo Rubber Ind Ltd 点字ブロック
KR19980048394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교통정보를 송출하는 도로 표시판 및 수신차량
KR200357094Y1 (ko) * 2004-04-26 2004-07-21 최선용 브러시가 부착된 도로 표시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115A (ja) * 1995-10-12 1997-04-22 Sumitomo Rubber Ind Ltd 点字ブロック
KR19980048394A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교통정보를 송출하는 도로 표시판 및 수신차량
KR200357094Y1 (ko) * 2004-04-26 2004-07-21 최선용 브러시가 부착된 도로 표시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694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금부산업 발광형 차로 이탈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547807B1 (ko) 교통신호 보조안전시스템
US20150258928A1 (en) Vehicle-mounted apparatus
US20170001554A1 (en) Dynamic Warning System
US10081299B2 (en) Front end sensor for pedestrians
KR102194543B1 (ko) 복합 신호등 장치
KR101760025B1 (ko) 역방향 주행 차량 감지 경보시스템
WO2016049812A1 (en) Automatic parking warning system
US8410941B2 (en) Animal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028741A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operating procedure for the latter
CN102592475A (zh) 路口交通预警系统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20170040252A (ko) 차량에 배치되는 장치
CN109835244A (zh) 基于消息传递和传感器数据的前照灯控制
US88103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rning vehicle of low overpass height
US20200257915A1 (en) Optical sensor systems
KR102034285B1 (ko) 감지 장치와 경보 수단을 이용한 안전 보행 시스템
KR101451374B1 (ko) 폐골프공을 이용한 차선 이탈방지장치
US9865170B2 (en)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conspicuousness of vehicles
KR20110118882A (ko) 차량의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측방충돌방지 경보시스템
KR200428629Y1 (ko) 교통사고방지용 주행속도 경보시스템
KR102274056B1 (ko) 스마트 도로경계석 커버
JP2008262446A (ja) 運転支援装置
KR20160090585A (ko) 교차로용 경보 장치 및 그의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