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059B1 - 출제 장치 - Google Patents

출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059B1
KR101451059B1 KR1020137025327A KR20137025327A KR101451059B1 KR 101451059 B1 KR101451059 B1 KR 101451059B1 KR 1020137025327 A KR1020137025327 A KR 1020137025327A KR 20137025327 A KR20137025327 A KR 20137025327A KR 101451059 B1 KR101451059 B1 KR 10145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solution
answer
tim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620A (ko
Inventor
히데히꼬 마유미
도시오 다나까
다께아끼 고바야시
마사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7/073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ll stud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the same questions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출제 장치는 기억부에 저장되고, 학생 단말기에 송신되는 특정 시험에 포함되는 문제와 그 문제의 정답을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고, 상기 문제에 대한 학생의 해답인 해답 데이터와 그 해답의 정오 판정 결과를 관리하는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학생 단말기에 상기 문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시험의 제한 시간 내에 그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해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해답 데이터를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실시 처리부와, 상기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상기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해답 데이터의 정오 판정에 기초하는 상기 문제 데이터의 해답 상황인 진척 상황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고, 그 표시된 진척 상황에 기초하여 입력된 그 특정 시험을 종료하는 취지의 표시 지시를 상기 복수의 학생 단말기에 송신하는 진척 표시 처리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출제 장치{PROBLEM-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학생 단말기에 문제를 출제하고, 학생 단말기로부터 학생의 해답을 수집하는 출제 장치 및 출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공립 초등학교에서 정보 단말기 배비의 실증 실험이 개시되고, 전체 초중학교에서는 디지털 교과서가 배치되는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금후, 휴대형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차세대형 교육이 전국적으로 침투해 간다고 생각되고 있다. 또한, 종래부터 학습 시스템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서 학습자에게 문제를 출제하고, 그 채점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익숙도에 따른 다음 출제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학습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학습자의 해답 결과를 수신하여, 학습자마다 오답이었던 문제 및 정해 해답 시간이 표준 이상이었던 문제의 패턴을 학습 결과적으로 열람 가능하게 하고, 교사 및 보호자가 학습자의 약점을 알 수 있게 한 기술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070465호 공보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테스트 종료 후에 그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익숙도를 판정하거나, 학습자가 오답한 문제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게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었다. 이 종래 기술은, 테스트 종료 후에 정보 제공을 행한다.
그러나, 시험에는, 정기 시험과 같은 정식 혹은 본격적인 시험이 아닌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수업으로 일상 행해지는 드릴과 같은 시험(소위 연습 문제)이 있다. 드릴이란, 예를 들어, 특정 사항에 관련되는 복수의 문제를 실시하는 형식의 시험을 상정한다. 그로 인해, 시험 도중에 중지시켜도, 실시하지 않았던 문제를 반드시 나중에 행할 필요는 없다.
그런데, 이러한 드릴 형식의 시험인 경우에는, 학생의 정답률의 정확함을 구하는 것보다도, 문제를 해답하는 과정에서 학생에게 학습 내용을 이해시키는 것에 중점이 놓인다. 따라서, 시험 중이라도, 학생의 해답 상황을 보면서 교사가 해답을 생각하는 어드바이스를 부여할 필요가 생긴다.
교사는, 실시하고 있는 시험에 있어서 학생의 오답이나 해답 시간이 소요되는 이유가, 학생의 수업 이해도에 기인하는 것인지, 혹은, 수업의 설명 부족에 의해 수업 내용과 문제 내용 사이에 생긴 부정합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그 이유에 따라서 대처 방법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만약 학생의 이해도에 기인한다면, 교사는 시험 시간을 최대한 주어 생각하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업의 설명 부족에 기인하면, 교사는 수업의 보충으로서 가능한 한 빨리 부족을 보충하는 설명을 학생에게 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업 중에 부족한 점을 보충 설명하게 되면, 원래 그 수업에서는 예정되지 않았던 내용을 설명할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그러면, 원래 예정된 학습 내용을 모두 그 수업 중에 진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생긴다. 수업 운영에 있어서, 원래 예정된 설명을 최대한 생략하지 않고, 또는, 다음 회에 미루지 않고, 그 보충 설명의 시간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문제가 된다.
개시된 기술은, 기억부에 저장되고, 학생 단말기에 송신되는 특정 시험에 포함되는 문제와 그 문제의 정답을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고, 상기 문제에 대한 학생의 해답인 해답 데이터와 그 해답의 정오 판정 결과를 관리하는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학생 단말기에 상기 문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시험의 제한 시간 내에 그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해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해답 데이터를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실시 처리부와, 상기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상기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해답 데이터의 정오 판정에 기초하는 상기 문제 데이터의 해답 상황인 진척 상황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고, 그 표시된 진척 상황에 기초하여 입력된 그 특정 시험을 종료하는 취지의 표시 지시를 상기 복수의 학생 단말기에 송신하는 진척 표시 처리부를 갖는 출제 장치와 같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출제 방법, 컴퓨터에 상기출제 장치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 할 수도 있다.
개시된 기술에서는, 실시 중인 시험에 포함되는 문제에 대해서 보충 설명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검지하면, 시험 시간 내라도 시험을 종료할 수 있으므로, 예정된 수업 내용의 설명 시간을 최대한 압박하지 않고, 시험 문제의 보충 설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교사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학생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교사 단말기의 학생 DB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교사 단말기의 드릴 DB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교사 단말기의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교사 단말기의 학생 해답 DB(34)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교사 단말기의 경고 해답 시간 DB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교사 단말기의 경고 정답률 DB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교사 단말기의 경고 조건 DB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교사 단말기의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교사 단말기의 조건 일치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학생 단말기의 수신 문제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학생 단말기의 해답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교사 단말기의 드릴 실시 처리부에 의한 드릴 실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1)이다.
도 16은 교사 단말기의 드릴 실시 처리부에 의한 드릴 실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2)이다.
도 17은 학생 단말기의 학생용 처리부에 의한 학생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1)이다.
도 18은 학생 단말기의 학생용 처리부에 의한 학생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2)이다.
도 19는 학생 단말기의 학생용 처리부에 의한 학생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3)이다.
도 20은 도 19의 스텝 S222의 전문 해답 완료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교사 단말기의 진척 표시 처리부에 의한 진척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1)이다.
도 22는 교사 단말기의 진척 표시 처리부에 의한 진척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그 2)이다.
도 23은 도 21의 스텝 S137로 표시되는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1의 스텝 S141로 표시되는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스텝 S144로 표시되는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도 22의 스텝 S145로 표시되는 전체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각 수업 시간 내에서 행해지는 학생들의 수업 내용의 이해도를 확인하기 위한 드릴 등의 시험에 관해서, 테스트 중에 교사에 의한 수업의 설명 부족이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상황을 파악하고, 그 시점에서 신속하게 교사에 의한 설명이 이루어지도록, 교사를 지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시스템(1000)은 교사 단말기(100)와, 복수의 학생 단말기(9)를 갖고, 교사 단말기(100)는 네트워크(9)를 통해서 학생 단말기(9)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시스템(1000)은 교육 기관에 있어서, 교실마다 도입되고, 네트워크(6)를 통해서, 교실 내의 복수의 학생 단말기(9)에 드릴을 출제하고, 각 학생 단말기(9)로부터 학생의 해답을 수집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는, 교실마다의 도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교사 단말기(100)에 상당하는 서버를 교실 밖에 설치하고, 교실마다 복수의 학생 단말기(9)에의 출제를 관리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교사가 사용하는 복수의 단말기와, 각 교사가 담당하는 복수의 학생이 사용하는 복수의 학생 단말기(9)가 네트워크(6)를 통해서 서버에 접속되도록, 시스템(1000)을 구성하면 된다.
교사 단말기(100)는 교사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이며, 드릴 실시 처리부(40)와, 진척 표시 처리부(50)를 갖는다. 또한, 교사 단말기(100)는 기억부(30)에, 학생 DB(DataBase)(31)와, 드릴 DB(32)와,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33)과, 학생 해답 DB(34)와, 경고 해답 시간 DB(35)와, 경고 정답률 DB(36)와, 경고 조건 DB(37)와,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과, 조건 일치 테이블(39)을 저장한다. 각 DB(31 내지 39)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교사 단말기(100)는 네트워크(6)를 통해서, 학생 단말기에 문제를 출제하고, 학생 단말기로부터 학생의 해답을 수집하는 출제 장치이다. 또한, 교사 단말기(100)는 학생의 진척 상황을 감시하고, 현재 행해지고 있는 테스트 중 문제의 정답률, 문제의 해답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비율 등에 기초하여, 수업의 설명 부족이 기인한다고 생각되는 문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제 장치인 교사 단말기(100)는 수업의 설명 부족에 기인한다고 판단한 경우, 진척 상황을 표시해서 교사에게 통지한다. 교사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교사 단말기(100)는 학생 단말기(9)에 드릴 중지의 표시를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드릴 중지란, 드릴의 제한 시간의 종료 전에 드릴을 종료하는 것이며, 드릴 종료란, 드릴의 제한 시간의 종료 시각에서 드릴을 종료하는 것이다.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인증된 학생의 학생 단말기(9)에, 드릴 DB(32)로부터 문제와 선택지와 정답을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4p)를 송신하고, 학생 단말기(9)로부터 학생의 해답과 해답 시간을 포함하는 해답 데이터(7p)를 수신하여 학생 해답 DB(34)에 기록하는 처리부이다.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해답 DB(34)를 사용해서 얻은 해답 시간을 초과한 학생 비율 및/또는 정답률에 기초하여, 드릴의 진척을 교사 단말기(100)에 표시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교사로부터 드릴 중지 지시를 받으면, 학생 단말기(9)에 드릴 중지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를 송신한다. 학생 단말기(9)에 드릴을 중지시키는 취지의 메시지가 표시되고, 교사는 드릴 중지가 원인으로 된 문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진척 표시 처리부(50)에서는, 드릴을 중지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경고 해답 시간 DB(35)와, 경고 정답률 DB(36)와, 경고 조건 DB(37)와,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과, 조건 일치 테이블(39)이 적절히 사용된다.
학생 DB(31)는 학생 인증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드릴 DB(32)는 문제 및 정답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문제 데이터(4p)가 저장되어 있다.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33)은 드릴이 개시될 때에 드릴 실시 처리부(40)에 의해 현재 일시가 기록되는 테이블이다. 학생 해답 DB(34)는 학생마다 각 문제의 해답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해답 데이터(7p)가 관리된다.
경고 해답 시간 DB(35)는, 문제마다, 드릴 중지에 상당하는 정도, 학생이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고 해답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경고 정답률 DB(36)는 문제마다, 지금까지 수강한 수업 내용으로 볼 때는 정답으로 할 수 없어 드릴을 중지시켜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고 정답률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경고 조건 DB(37)는 문제마다, 경고 해답 시간과 경고 정답률과의 조합에 의한 경고 조건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은 진척 표시 처리부(50)에 의한 진척 표시 처리를 행하기 위한 해답률의 임계값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조건 일치 테이블(39)은 진척 표시를 행하기 위한 조건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학생 단말기(9)는 학생에 의해 사용되는 단말기이며, 학생용 처리부(70)를 갖는다. 또한, 기억부(60)에, 수신 문제 테이블(61)과, 해답 테이블(62)을 저장한다. 각 테이블(61, 62)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 인증 후에 문제 데이터(4p)를 수신하고, 문제마다 필요로 한 해답 시간을 계측하고, 학생의 해답과 해답 시간을 포함하는 해답 데이터(7p)를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학생 단말기(9)는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를 수신하면, 드릴 중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교사는 학생의 드릴의 진척 상황에 따라서, 드릴을 중지시킴으로써, 드릴의 시간을 이용하여, 직전의 수업에서는 충분히 설명되지 않았던 문제에 대해서 보충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 부족이었던 문제에 대해서, 다음 수업의 시간의 일부를 사용하게 되는 일은 없다.
수신 문제 테이블(61)은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문제 데이터(4p)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해답 테이블(62)은 학생이 선택한 해답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며, 각 문제의 해답은 해답 데이터(7p)에 의해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된다.
도 2는, 교사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교사 단말기(100)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기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메모리 유닛(12)과, 표시 유닛(13)과, 입력 유닛(15)과, 통신 유닛(16)과, 기억 장치(17)와, 드라이버(18)를 갖고, 시스템 버스(B1)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
CPU(11)는 메모리 유닛(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교사 단말기(100)를 제어한다. 메모리 유닛(12)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Only Memory) 등이 사용되고, CPU(1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CPU(11)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CPU(11)에서의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유닛(12)의 일부의 영역이, CPU(11)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할당되어 있다.
표시 유닛(13)은 CPU(11)의 제어 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유닛(15)은 마우스, 키보드 등을 갖고, 교사가 교사 단말기(100)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 유닛(16)은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6)에 접속하고, 각 학생 단말기(9)와의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기억 장치(17)에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유닛이 사용되고,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 유닛(12) 및/또는 기억 장치(17)의 일부가 도 1에 도시하는 기억부(30)에 상당한다.
교사 단말기(100)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등의 기억 매체(19)에 의해 교사 단말기(100)에 제공된다. 즉, 교사 단말기(100)에 관한 프로그램이 보존된 기억 매체(19)가 드라이버(18)에 세트되면, 드라이버(18)가 기억 매체(19)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그 읽어내어진 프로그램이 시스템 버스(B)를 통해서 기억 장치(17)에 인스톨된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기억 장치(17)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그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로서 CD-ROM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이면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CD-ROM 이외에, DVD 디스크, USB 메모리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이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드릴 실시 처리부(40)와, 진척 표시 처리부(50)와, 학생 DB(DataBase)(31)와, 드릴 DB(32)와,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33)과, 학생 해답 DB(34)와, 경고 해답 시간 DB(35)와, 경고 정답률 DB(36)와, 경고 조건 DB(37)와,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과, 조건 일치 테이블(39)은 CPU(11)가 인스톨된 교사 단말기(100)에 관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지는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도 3은, 학생 단말기(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학생 단말기(9)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기이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91)와, 메모리 유닛(92)과, 표시 유닛(93)과, 입력 유닛(95)과, 통신 유닛(96)과, 기억 장치(97)와, 드라이버(98)를 갖고, 시스템 버스(B2)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다.
CPU(91)는 메모리 유닛(9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학생 단말기(9)를 제어한다. 메모리 유닛(92)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Only Memory) 등이 사용되고, CPU(91)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CPU(91)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CPU(91)에서의 처리에서 얻어진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 유닛(92)의 일부의 영역이, CPU(91)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워크 에어리어로서 할당되어 있다.
표시 유닛(93)은 CPU(11)의 제어 하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 유닛(95)은 마우스, 키보드 등을 갖고, 학생 단말기(9)가 처리를 행하기 위한 필요한 각종 정보를 학생이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 유닛(96)은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6)에 접속하고, 교사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기억 장치(97)에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유닛이 사용되고,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 유닛(92) 및/또는 기억 장치(97)의 일부가 도 1에 도시하는 기억부(60)에 상당한다.
학생 단말기(9)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등의 기억 매체(99)에 의해 학생 단말기(9)에 제공된다. 즉, 학생 단말기(9)에 관한 프로그램이 보존된 기억 매체(99)가 드라이버(98)에 세트되면, 드라이버(98)가 기억 매체(99)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그 읽어내어진 프로그램이 시스템 버스(B2)를 통해서 기억 장치(97)에 인스톨된다.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동되면, 기억 장치(97)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1)가 그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매체로서 CD-ROM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이면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CD-ROM 이외에, DVD 디스크, USB 메모리 등의 가반형 기록 매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이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학생용 처리부(70)와, 수신 문제 테이블(61)과, 해답 테이블(62)은 CPU(91)가 인스톨된 학생 단말기(9)에 관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지는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다음으로, 교사 단말기(100)의 기억부(30)에 저장되는 각 DB(31 내지 39)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다.
도 4는, 교사 단말기(100)의 학생 DB(31)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학생 DB(31)는 드릴 실시 처리부(40)에 의해 참조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학생 ID, 패스워드, 학생명 등의 항목을 갖는다. 학생 ID의 항목은 학생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내고, 패스워드의 항목은 학생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증 정보를 나타내고, 학생명의 항목은 학생의 이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학생 ID 「1001」의 학생의 패스워드는 「sjhgpeut87」이며, 학생명은 「아오키 타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학생 전원의 학생 ID와, 패스워드와, 학생명이 관리되어 있다.
도 5는, 교사 단말기(100)의 드릴 DB(32)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는 문제 ID, 문제문, 선택지 1로부터 4, 정답 등의 항목을 갖는다. 문제 ID의 항목은 문제를 특정하기 위한 문제 번호를 나타내고, 문제문의 항목은 문제 내용을 나타낸다. 선택지 1 내지 4의 항목에는 문제문에 대한 해답의 선택지가 기재되고, 정답이 하나 포함되어 있다. 정해의 항목은 정답을 나타내는 선택지의 번호(1 내지 4 중 하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문제 ID 「10111」의 문제문은, 「가마쿠라 막부가 성립된 것은 언제인가?」이며, 선택지 1, 2, 3 및 4에는, 각각, 「1182」, 「1192」, 「1197」 및 「1199」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문제의 정답은, 선택지 2인 것이, 정해의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번호 「2」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릴 DB(32)에 저장된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4p)가,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학생 단말기(9)에 송신된다.
도 6은, 교사 단말기(100)의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33)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33)은 연월일 개시 시각 등의 항목을 갖고, 드릴의 개시시에 기록되는 드릴 개시 시각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연월일 「2010/1/31」의 개시 시각 「10:00:05」에 드릴이 개시된 것이 도시된다.
도 7은, 교사 단말기(100)의 학생 해답 DB(34)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학생 해답 DB(34)는, 각 학생 단말기(9)로부터 송신되는 해답 데이터(7p)에 기초하여, 학생마다 각 문제의 해답, 정오, 해답 시간을 대응시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학생 ID, 문제 ID, 해답, 정오, 해답 시간(m) 등의 항목을 갖는다.
학생 ID의 항목은, 도 4에 도시하는 학생 DB(31)로 관리되는 학생 ID이다. 문제 ID의 항목은,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로 관리되는 문제 ID이다.
해답의 항목은, 학생이 선택한 선택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정오의 항목은, 정오 판정 결과를 나타내고,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의 정답과 학생이 선택한 선택지의 번호와의 일치(정답) 또는 불일치(오답)를 나타낸다. 일치(정답)인 경우에는 「○」로 표시되고, 불일치(오답)인 경우에는 「×」로 표시된다. 「○」, 「×」 등의 마크가 아니라, 「1」, 「0」 등의 수치로 표시되어도 좋다.
도 8은, 교사 단말기(100)의 경고 해답 시간 DB(35)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경고 해답 시간 DB(35)는 문제마다, 드릴을 중지시키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해답 시간의 기준값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문제 ID, 경고 해답 시간(m) 등의 항목을 갖는다.
문제 ID의 항목은,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로 관리되는 문제 ID이다. 경고 해답 시간(m)의 항목은, 문제를 해답할 때까지의 시간이 소요되어 드릴을 중지시키고, 교사가 문제에 대해서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한 해답 시간의 기준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문제 ID 「11」의 문제는, 해답할 때까지의 시간이 경고 해답 시간 「3(분) 이상」인 경우, 드릴을 중지시키는 상황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문제 I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고 해답 시간(m)의 항목에 설정되는 값에 의해, 드릴 중지를 판단하기 위한 해답 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초(s)로 관리해도 좋다.
도 9는, 교사 단말기(100)의 경고 정답률 DB(36)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하는 경고 정답률 DB(36)는 문제마다, 드릴을 중지시키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정답률의 기준값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문제 ID, 경고 정답률 등의 항목을 갖는다.
문제 ID의 항목은,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로 관리되는 문제 ID이다. 경고 정답률의 항목은, 학생의 정답률이 낮아 드릴을 중지시키고, 교사가 문제에 대해서 설명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기 위한 정답률의 기준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문제 ID 「11」의 문제는, 경고 정답률 「20% 이하」인 경우, 드릴을 중지시키는 상황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른 문제 I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경고 정답률의 항목에 설정되는 값에 의해, 드릴 중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답률이 표시되어 있다.
도 10은, 교사 단말기(100)의 경고 조건 DB(37)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경고 조건 DB(37)는 문제마다, 드릴을 중지시키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해답 시간과 정답률의 조합에 의한 조건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며, 문제 ID, 경고 해답 시간(m)과 경고 정답률에 의한 경고 조건 등의 항목을 갖는다.
문제 ID의 항목은,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로 관리되는 문제 ID이다. 경고 조건의 항목은, 또한, 경고 해답 시간(m)과 경고 정답률의 항목을 갖는다. 경고 조건은 드릴을 중지시키는 상황을, 경고 해답 시간(m)의 값과 경고 정답률의 값과의 조합에 의한 조건에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문제 ID 「11」의 문제에 대해서, 드릴을 중지시키는 조건이, 학생의 해답 시간이 경고 해답 시간(m) 「2 이상」이며 , 또한, 학생의 정답률이 경고 정답률 「25 이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교사 단말기(100)의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은 드릴 중지를 판단하는데 충분한 해답률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학생의 해답률이 해답률 임계값 「60%」를 초과하면, 드릴 중지의 판단을 개시한다. 학생의 해답률이 해답률 임계값 「60%」 이하인 경우는, 드릴 중지의 판단을 행하지 않는다.
도 12는, 교사 단말기(100)의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조건 일치 테이블(39)은 드릴 중지를 판단하기 위한, 해답 완료 학생수에 대한, 도 8에 도시하는 경고 해답 시간에 일치하는 학생수의 비율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어, 해답 완료 학생수에 대한, 도 8에 도시하는 경고 해답 시간에 일치하는 학생수의 비율이, 조건 일치율 「50%」보다 큰 경우, 드릴 중지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진척 표시를 행한다. 진척 표시 후, 교사의 지시에 따라서, 드릴이 중지된다. 이 비율이 조건 일치율 「50%」 이하인 경우, 경고 해답 시간에 기초하는 드릴 중지는 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학생 단말기(9)의 기억부(60)에 저장되는 각 테이블(61, 62)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해서, 도 13 및 도 14에서 설명한다.
도 13은, 학생 단말기(9)의 수신 문제 테이블(61)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수신 문제 테이블(61)은 학생 인증 후에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되는 문제 데이터(4p)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이며, 문제 ID, 문제문, 선택지 1 내지 4 등의 항목을 갖는다. 문제 ID의 항목은 문제를 특정하기 위한 문제 번호를 나타내고, 문제문은 문제 내용을 나타낸다. 선택지 1 내지 4의 항목에는, 문제문에 대한 해답의 선택지가 기재되고, 선택지 1 내지 4 중에 정답이 하나 포함되어 있다.
도 14는, 학생 단말기(9)의 해답 테이블(62)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해답 테이블(62)은 문제 ID, 해답, 해답 시간(m), 정오 등의 항목을 갖고, 학생이 푼 문제에 관한 데이터가 기록된다.
문제 ID의 항목은, 도 5에 도시하는 드릴 DB(32)로 관리되는 문제 ID를 나타낸다. 해답의 항목은, 학생이 학생 단말기(9)에서 선택한 선택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학생이 해답할 때마다, 문제 ID, 해답, 계측한 해답 시간(m)에 학생 ID를 부가한 해답 데이터(7p)가, 학생 단말기(9)로부터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교사 단말기(100) 및 학생 단말기(9)에서 행해지는 각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교사 단말기(100)의 드릴 실시 처리부(40)에 의한 드릴 실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는 스텝 S101 내지 S120에 의해, 일련의 드릴 실시 처리가 도시된다.
교사 단말기(100)의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교사로부터 학생 총수와, 소요 시간과, 학생 인증 요구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1). 교사로부터 학생 총수와, 소요 시간과, 학생 인증 요구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접수할 때까지 스텝 S101을 반복한다. 한편, 교사로부터 학생 총수와, 소요 시간과, 학생 인증 요구를 접수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학생 총수와, 소요 시간을 기억부(30)의 작업 영역에 저장한다.
학생 인증 요구에 따라서,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학생 단말기(9)에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02). 그리고,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학생 ID와 패스워드를 학생 단말기(9)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3). 학생 ID와 패스워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03을 반복한다. 한편, 학생 ID와 패스워드를 수신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학생 DB(31)를 사용해서 학생을 인증한다(스텝 S104).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인증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 인증이 실패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인증 에러를 학생 단말기(9)에 송신하고(스텝 S106), 스텝 S103으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로 학생 인증을 행한다.
한편, 인증이 성공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또한, 학생 전원의 인증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7). 학생 전원의 인증이 성공되지 않은 경우, 스텝 S103으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학생 전원의 인증이 성공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드릴 DB(32)로부터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와 선택지 1 내지 4를 취득하여, 학생 단말기(9)에 문제 데이터(4p)로서 송신하고,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33)에 현재 일시를 기록한다(스텝 S108).
그 후,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교사로부터 드릴 개시 요구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9). 드릴 개시 요구를 접수하지 않은 경우, 접수할 때까지 스텝 S109를 반복한다. 한편, 드릴 개시 요구를 접수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학생 단말기(9)에 드릴 개시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10).
테스트 개시 후,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적어도 학생 ID와, 문제 ID와, 해답 시간을 포함하는 해답 데이터(7p)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1). 해답 데이터(7p)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수신할 때까지 스텝 S111을 반복한다. 한편, 해답 데이터(7p)를 수신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는 학생 ID, 문제 ID 및 해답 시간을 학생 해답 DB(34)에 기록한다(스텝 S112).
다음에,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해답도 동시에 송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3). 해답이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해답이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스텝 S119로 진행한다. 해답이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란, 학생은 문제에 착수하였지만(해답 시간을 소비하였지만) 해답할 일이 없었던 미해답의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스텝 S113에 있어서, 해답이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학생 해답 DB(34)를 참조하여,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는 학생 ID와 문제 ID가 일치하는 레코드에 해답이 이미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4). 해답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는 해답을 학생 해답 DB(117)에 있어서 스텝 S112에서 기록한 레코드 내에 기록하고(스텝 S115), 스텝 S118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114에서, 해답이 이미 기록되어 있는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기록 완료의 해답 시간과, 수신한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는 해답 시간을 가산한다(스텝 S116). 그리고,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산출한 값과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는 해답을, 학생 해답 DB(117)에 있어서 스텝 S112에서 기록한 레코드 내에 기록하여 갱신한다(스텝 S117). 그 후,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스텝 S118로 진행한다.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드릴 DB(32)의 정해의 항목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취득하고, 해답 데이터(7p)에 포함되어 있는 해답과 비교함으로써, 학생의 해답 정오를 판정하고, 이 정오 판정 결과를 학생 해답 DB(34)에 기록한다(스텝 S118).
그 후,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테스트의 소요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9). 드릴의 소요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스텝 S110으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드릴의 소요 시간이 경과된 경우, 드릴 실시 처리부(40)는 드릴 종료 통지를 학생 단말기에 송신하고(스텝 S120), 이 드릴 실시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학생 단말기(9)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해서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학생 단말기(9)의 학생용 처리부(70)에 의한 학생용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의 스텝 S201 내지 S240에 의해, 일련의 학생용 처리가 도시된다.
학생 단말기(9)의 학생용 처리부(70)는 교사 단말기(9)로부터,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1).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스텝 S201을 반복한다. 한편, 요구를 수신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 단말기(9)의 표시 유닛(93)에,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스텝 S202).
입력 화면의 표시 후,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에 의해 학생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3). 학생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이 학생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까지 스텝 S203을 반복한다. 한편, 학생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 ID 및 패스워드를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하고(스텝 S204),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스텝 S205).
학생용 처리부(70)는 인증 결과가 학생 인증이 성공된 것을 나타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6). 인증 결과가 학생 인증이 실패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에러 통지를 표시 유닛(93)에 표시하고,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 화면을 재표시한다(스텝 S207). 그리고, 학생용 처리부(70)는, 스텝 S203으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206에서, 인증 결과가 학생 인증이 성공된 것을 나타내는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와, 선택지 1 내지 4를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4p)를,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고(스텝 S208), 수신 문제 테이블(61)에 기록한다(스텝 S209).
학생용 처리부(70)는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드릴 개시 요구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0). 드릴 개시 요구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수신할 때까지 스텝 S210을 반복한다. 한편, 드릴 개시 요구를 수신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도 18의 스텝 S211로 진행한다.
도 18에 있어서, 학생용 처리부(70)는 수신한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와, 선택지 1 내지 4를 표시 유닛(93)에 표시하고(스텝 S211), 해답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스텝 S212).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에 의해 선택지 1 내지 4 중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3). 선택지 1 내지 4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해답 시간의 계측을 종료하고(스텝 S214), 학생 ID와, 문제 ID와, 해답(학생이 선택한 선택지의 번호)과, 해답 시간을 포함하는 해답 데이터(7p)를,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한다(스텝 S215). 또한,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 ID와, 문제 ID와, 해답(학생이 선택한 선택지의 번호)을, 해답 테이블(62)에 기록한다(스텝 S216). 그리고, 학생용 처리부(70)는, 도 19의 스텝 S222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 S213에 있어서, 학생이 선택하지 않은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다른 문제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7). 만약에 표시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학생용 처리부(70)는, 스텝 S213을 실시한다.
한편, 스텝 S217에 있어서, 다른 문제의 표시 요구를 접수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해답 시간의 측정을 종료하고(스텝 S218), 학생 ID와, 문제 ID와, 해답 시간을 포함하는 해답 데이터(7p)를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한다(스텝 S219). 그리고, 학생용 처리부(70)는 문제 ID와, 해답을 해답 테이블에 기록하고(스텝 S220), 스텝 S21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도 19에 있어서, 학생용 처리부(70)는 드릴 종료 표시 지시를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1). 드릴 종료 표시 지시를 수신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드릴 종료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 유닛(93)에 표시하고(스텝 S222), 이 학생용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21에 있어서, 드릴 종료 표시 지시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또한,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를 교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3).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를 수신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드릴 중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 유닛(93)에 표시하고(스텝 S224), 이 학생용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23에 있어서,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를 수신하지 않았던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미해답의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5). 학생용 처리부(70)는 수신 문제 테이블(61)로 관리되는 문제 ID 중, 해답 테이블(62)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문제 ID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해답의 문제가 있는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도 18의 스텝 S211로 진행하고,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25에서, 미해답의 문제가 없는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전문 해답 완료 처리를 실행한 후, 이 학생용 처리를 종료한다.
도 20은, 도 19의 스텝 S226의 전문 해답 완료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학생용 처리부(70)는 소요 시간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1). 소요 시간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이 전문 해답 완료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31에 있어서, 소요 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으로부터 문제의 선택을 접수한다(스텝 S232).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이 선택한 문제의 문제 ID(69)를 기억부(60)의 작업 영역에 저장한다.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으로부터의 문제를 접수한 후, 문제(문제 ID와 문제문)와 선택지 1 내지 4를 표시하고(스텝 S233), 선택된 문제의 해답 시간의 측정을 개시한다(스텝 S234).
학생용 처리부(70)는 해답(선택지 1 내지 4 중 하나)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5). 학생용 처리부(70)는 해답(선택지 1 내지 4 중 하나)이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또한, 다른 문제의 선택을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6). 다른 문제의 선택을 접수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스텝 S23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다른 문제의 선택을 접수하지 않았던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학생이 선택한 문제의 문제 ID(69)를 기억부(60)의 작업 영역에 저장한 후, 스텝 S235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35에 있어서, 해답(선택지 1 내지 4 중 하나)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면, 학생용 처리부(70)는 해답 테이블(62)에 기초하여, 해답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37). 학생용 처리부(70)는 문제 ID(69)를 사용해서 해답 테이블(62)을 참조하고, 해답 테이블(62)에 있어서의 문제 ID(69)의 해답의 항목에 기록되어 있는 선택지의 번호와, 스텝 S236에서 판단된 선택지의 번호가 불일치한 경우에, 해답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학생용 처리부(70)는 해답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8). 해답이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스텝 S23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해답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학생용 처리부(70)는 문제 ID와, 해답과, 현해답 시간에 학생 ID를 부가한 문제 데이터(4p)를 교사 단말기(100)에 송신한다(스텝 S239).
또한, 학생용 처리부(70)는 문제 ID와, 해답(선택지 1 내지 4 중 하나)을 해답 테이블(26)에 기록하고(스텝 S240), 스텝 S23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교사 단말기(100)에서 드릴 개시 후에 행해지는, 진척 표시 처리부(50)에 의한 진척 표시 처리에 대해서 도 21 및 도 22에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는 교사 단말기(100)의 진척 표시 처리부(50)에 의한 진척 표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 및 도 22의 스텝 S131 내지 S148에 의해, 일련의 진척 표시 처리가 도시된다.
교사 단말기(100)의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교사로부터 진척 표시 요구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1). 접수하지 않은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진척 표시 요구를 접수할 때까지 스텝 S131을 반복한다.
한편, 진척 표시 요구를 접수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해답 DB(34)를 사용해서, 문제마다의 해답률을 취득하고(스텝 S132),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38)의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3).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의 해답 완료 학생의 해답 시간을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34). 또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의 해답 완료 학생의 해답 시간을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35).
그리고,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 완료 학생에 대한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 경고 해답 시간에 일치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6).
스텝 S136에 있어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다고 판단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율이 된 문제의 해답 시간과 해답과 정오 판정 결과를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하고, 드릴 DB로부터 그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를 취득하여, 학생마다의 해답 시간과 정오 판정 결과를 대응시킨 일람을 포함하는 진척 표시 화면(도 23)을 교사 단말기(100)의 표시 유닛(13)에 표시한다(스텝 S137). 그 후,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도 22의 스텝 S1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7에 있어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의 문제 ID를 나타내는 레코드를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함으로써, 학생 ID마다 해답 시간과 해답과 정오 판정 결과를 취득한다. 다음에,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의 문제 ID를 나타내는 레코드를 드릴 DB(34)로부터 취득함으로써,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를 취득한다. 그리고,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와, 학생 ID마다 해답 시간과 정오 판정 결과를 대응시킨 일람을 표시 유닛(13)에 표시하고, 도 22의 스텝 S146으로 진행한다. 이때,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경고 해답 시간 DB(35)로부터 문제 ID에 대응하는 경고 해답 시간(m)을 취득하고, 문제(문제 ID 및 문제문)와 함께 표시 유닛(13)에 표시해도 좋다.
한편, 스텝 S136에 있어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의 해답 완료 학생의 정오 판정 결과를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38). 또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경고 정답률 DB(36)로부터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에 대응하는 경고 정답률을 취득한다(스텝 S139).
그리고,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에 대한 해답 완료 학생에 의한 정답률이, 경고 정답률에 일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0).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해답 DB(34)에 있어서, 해답률을 초과한 문제의 문제 ID에 대응하는 정오 판정 결과가 정답인 레코드수(정답 맞춘 학생수)를 카운트하고, 해답 완료 학생수에 대한 정답 맞춘 학생수의 비율(정답률)을 계산한다.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계산한 정답률이 스텝 S139에서 취득한 경고 정답률에 일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해답 완료 학생에 의한 정답률이 경고 정답률에 일치하고 있는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경고 정답률에 일치한 문제에 대한 해답 완료 학생의 정오 판정 결과와 해답 시간을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하고, 드릴 DB(32)로부터 그 문제를 취득하여, 학생마다의 정오 판정 결과와 해답 시간을 대응시킨 일람을 포함하는 진척 표시 화면(도 24)을 교사 단말기(100)의 표시 유닛(13)에 표시한다(스텝 S141). 일람을 표시할 때, 스텝 S140에서 계산된 정답률도 표시된다. 그 후,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도 22의 스텝 S146으로 진행한다.
도 22에 있어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40에 있어서 경고 정답률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문제에 대해서, 경고 조건 DB(37)로부터 경고 조건[경고 해답 시간(m) 및 경고 정답률]을 취득한다(스텝 S142). 그리고,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해답 완료 학생에 대한 경고 조건에 일치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3).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40에 있어서 경고 정답률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스텝 S140에서 대상 외가 된) 문제의 문제 ID를 사용해서, 경고 조건 DB(37)로부터 문제 ID에 대응하는 경고 조건[경고 해답 시간(m) 및 경고 정답률]을 취득한다.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40에서 대상 외가 된 문제의 문제 ID를 사용해서 학생 해답 DB(34)를 참조하고, 레코드수(해답 완료 학생수)를 카운트한다. 또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해답 DB(34)에 있어서, 스텝 S140에서 대상 외가 된 문제의 문제 ID에 대응하는 해답 시간이 경고 조건 DB(37)로부터 취득한 경고 해답 시간(m)에 일치하는 레코드수(시간을 필요로 한 학생수)를 카운트하고, 해답 완료 학생수에 대한 시간을 필요로 한 학생수의 비율을 계산한다.
해답 완료 학생수에 대한 시간을 필요로 한 학생수의 비율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은 경우에,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또한, 학생 해답 DB(34)에 있어서, 스텝 S140에서 대상 외가 된 문제의 문제 ID에 대응하는 정오 판정 결과가 정답인 레코드수(정답 맞춘 학생수)를 카운트하고, 해답 완료 학생수에 대한 정답 맞춘 학생수의 비율(정답률)을 계산한다.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또한, 정답률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답률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은 경우, 해답 완료 학생에 대한 경고 조건에 일치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다고 판단한다.
스텝 S143에 있어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보다도 높다고 판단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경고 조건에 일치한 문제의 정오 판정 결과와 해답 시간을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하고, 드릴 DB(32)로부터 그 문제를 취득하여, 학생마다 정오 판정 결과와 해답 시간을 대응시킨 일람을 포함하는 진척 표시 화면(도 25)을 교사 단말기(100)의 표시 유닛(13)에 표시한다(스텝 S144). 일람을 표시할 때, 스텝 S143에서 계산된 정답률도 표시된다. 그 후,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4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7(도 21), 스텝 S141(도 21), 또는, 스텝 S144(도 22)에 계속해서,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교사로부터 드릴 중지 지시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6). 교사로부터 드릴 중지 지시를 받지 않은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32(도 2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146에 있어서, 교사로부터 드릴 중지 지시를 받은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단말기(9)에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를 송신한다(스텝 S147).
그리고,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드릴이 중지 또는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8). 드릴이 중지도 종료도 되지 않은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32(도 2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드릴이 중지 또는 종료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이 진척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43에 있어서, 학생 비율이 조건 일치 테이블(39)의 조건 일치율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학생 해답 DB(34)를 사용해서, 학생마다, 문제마다 해답 시간과 정오 판정 결과를 포함하는 전체 진척 표시 화면(도 26)을 교사 단말기(100)에 표시한다(스텝 S145). 그 후,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48로 진행한다. 드릴이 중지 또는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8). 드릴이 중지도 종료도 되지 않은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32(도 21)로 되돌아가서, 상술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드릴이 중지 또는 종료된 경우,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이 진척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교사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화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도 21의 스텝 S137로 표시되는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진척 표시 화면(G70)은, 메시지 표시 영역(71)과, 문제 표시 영역(72)과, 경고 해답 시간 표시 영역(73)과, 일람 표시 영역(74)과, 드릴 중지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75)과, 드릴 중지를 행하기 위한 버튼(76)을 갖는다.
메시지 표시 영역(71)에서는, 해답 시간이 예상 이상으로 소요되는 것을 교사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문제 표시 영역(72)에서는, 문제 ID와 대응시켜 문제문이 표시된다. 경고 해답 시간 표시 영역(73)에서는, 경고 해답 시간 DB(35)로부터 취득한 문제 ID에 대한 경고 해답 시간이 표시된다.
일람 표시 영역(74)에서는, 문제 ID에서 특정되는 문제에 해답 완료의 학생 ID에 대응시켜,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 해답 시간과 정오 판정 결과가 표시된다. 학생 해답 DB(34)에 있어서, 해답 시간(m)의 항목에 값이 존재하고, 또한, 정오 판정 결과의 값이 공란인 경우, 「미해답」이 학생 ID에 대응시켜 표시된다.
버튼(75)은 드릴 중지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교사가 버튼(75)을 누르면 진척 표시 처리부(50)에 의해 학생 단말기(9)에 드릴 중지 표시 지시(9p)가 송신된다(도 22의 스텝 S147). 버튼(76)은 드릴 중지를 행하지 않기 위한 버튼이다. 교사가 버튼(76)을 누르면 진척 표시 처리부(50)는, 스텝 S132(도 21)로부터 상술한 처리를 행한다.
도 24는, 도 21의 스텝 S141로 표시되는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진척 표시 화면(G80)은, 메시지 표시 영역(81)과, 문제 표시 영역(82)과, 경고 해답 시간 표시 영역(83)과, 일람 표시 영역(84)과, 드릴 중지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85)과, 드릴 중지를 행하지 않기 위한 버튼(86)을 갖는다.
메시지 표시 영역(81)에서는, 정답률이 예상 이상으로 좋지 않은 것을 교사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문제 표시 영역(82)에서는, 문제 ID와 대응시켜 문제문이 표시된다. 경고 해답 시간 표시 영역(83)에서는, 경고 해답 시간 DB(35)로부터 취득한 문제 ID에 대한 경고 해답 시간이 표시된다.
일람 표시 영역(84)에서는, 문제 ID에서 특정되는 문제에 해답 완료의 학생 ID에 대응시켜,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 정오 판정 결과와 해답 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이 문제의 정답률(84-2)이 표시된다.
버튼(85, 86)은, 도 23에 도시하는 진척 표시 화면(G70)의 버튼(75, 76)과 마찬가지이다.
도 25는, 도 22의 스텝 S144로 표시되는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진척 표시 화면(G90)은, 메시지 표시 영역(91)과, 문제 표시 영역(92)과, 경고 조건 표시 영역(93)과, 일람 표시 영역(94)과, 드릴 중지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95)과, 드릴 중지를 행하지 않기 위한 버튼(96)을 갖는다.
메시지 표시 영역(91)에서는 해답 시간도 소요되고, 정답률도 예상 이상으로 좋지 않은 것을 교사에게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문제 표시 영역(92)에서는, 문제 ID와 대응시켜 문제문이 표시된다. 경고 조건 표시 영역(93)에서는, 경고 해답 시간 DB(35)로부터 취득한 문제 ID에 대한 경고 조건(경고 해답 시간 및 경고 정답률)이 표시된다.
일람 표시 영역(94)에서는, 문제 ID에서 특정되는 문제에 해답 완료의 학생 ID에 대응시켜, 학생 해답 DB(34)로부터 취득한 정오 판정 결과와 해답 시간이 표시된다. 또한, 이 문제의 정답률(94-2)이 표시된다.
버튼(95, 96)은, 도 23에 도시하는 진척 표시 화면(G70)의 버튼(75, 76)과 마찬가지이다.
도 26은, 도 22의 스텝 S145로 표시되는 전체 진척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전체 진척 표시 화면(G300)은, 그래프(310)와, 드릴 중지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95)과, 드릴 중지를 행하지 않기 위한 버튼(96)을 갖는다.
그래프(310)는 학생마다 드릴의 진척 상황을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학생마다의 막대 그래프는, 막대 그래프 전체의 길이를 드릴의 제한 시간(312)(예를 들어, 10분)으로 나타내고 있다. 각 막대 그래프는, 드릴에 포함되는 각 문제의 해답 시간의 길이를 세로로 적층하여 나타내고, 또한, 각 문제는 문제 번호(문제 ID에 상당)로 표시된다. 다른 색으로 문제 번호를 나타내는 또는 다른 배경색 등으로 나타냄으로써, 정해 문제, 부정해 문제 및 미해답의 문제를 시각적으로 알 수 있게 해도 좋다.
이 예에서는, 10분의 제한 시간(312)에서, 드릴 개시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314)에 의해, 8분 경과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 학생 번호 「1001」의 학생은, 시간을 소비하였지만 문제 번호 「12」 및 「14」가 부정해였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학생 번호 「1002」의 학생은, 문제 번호 「14」의 문제에 시간을 소비하였지만 해답할 수 없었던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학생 번호 「1005」의 학생은, 부호 316의 개소에 문제 번호 「12」가 표시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이 문제를 뒤로 미룬 것을 알 수 있다.
버튼(317, 318)은, 도 23에 도시하는 진척 표시 화면(G70)의 버튼(75, 76)과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0)에서는, 드릴 실시 중에, 복수의 학생의 진척 상황에 기초하여, 학생의 수업 이해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0)에 의해, 오답하기 쉬운 문제 및 해답까지 시간이 관계되는 문제를 드릴 실시 중에 특정하고, 교사에게 통지할 수 있으므로, 교사는 드릴을 중지시키고, 드릴 실시 시간을 이용해서 학생들에게 문제의 설명을 바로 행할 수 있다. 교사는, 직전의 수업에서는 불충분한 설명을 적절히 보충할 수 있으므로, 학생들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드릴이 중지되고, 드릴의 시간을 이용해서 교사로부터 설명을 받음으로써, 학생은 수업 시간 내에,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하게 되어, 정답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6 : 네트워크
9 : 학생 단말기
11 : CPU
12 : 메모리 유닛
13 : 표시 유닛
14 : 출력 유닛
15 : 입력 유닛
16 : 통신 유닛
16a : 국 종단 장치
16b : 네트워크 통신부
17 : 기억 장치
18 : 드라이버
19 : 기억 매체
30 : 기억부
31 : 학생 DB
32 : 드릴 DB
33 :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
34 : 학생 해답 DB
35 : 경고 해답 시간 DB
36 : 경고 정답률 DB
37 : 경고 조건 DB
38 : 해답률 임계값 테이블
39 : 조건 일치 테이블
91 : CPU
92 : 메모리 유닛
93 : 표시 유닛
94 : 출력 유닛
95 : 입력 유닛
96 : 통신 유닛
97 : 기억 장치
98 : 드라이버
99 : 기억 매체
100 : 교사 단말기

Claims (9)

  1. 기억부에 저장되는, 학생 단말기에 송신되는 특정 시험에 포함되는 문제와 그 문제의 정답을 포함하는 문제 데이터를 관리하는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는, 상기 문제에 대한 학생의 해답인 해답 데이터와 그 해답의 정오(正誤) 판정 결과를 관리하는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학생 단말기에 상기 문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시험의 제한 시간 내에 그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해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해답 데이터를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실시 처리부와,
    상기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서 상기 복수의 학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해답 데이터의 정오 판정에 기초하는 상기 문제 데이터의 해답 상황인 진척 상황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고, 그 표시된 진척 상황에 기초하여 입력된 그 특정 시험을 종료하는 취지의 표시 지시를 상기 복수의 학생 단말기에 송신하는 진척 표시 처리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답 데이터는, 상기 학생의 해답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진척 표시 처리부는,
    상기 해답 시간이 상기 시험 종료의 경고를 행하기 위한 경고 해답 시간으로 되어 있는 학생 비율이 소정값보다도 높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판단부와,
    상기 제1 판단부에 의해 상기 학생 비율이 소정값보다도 높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해답 시간이 상기 경고 해답 시간으로 된 문제에 대한 학생마다의 그 해답 시간과 상기 정오 판정 결과를 취득하고, 그 학생마다 그 해답 시간과 그 정오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진척 상황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제1 진척 상황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척 표시 처리부는,
    상기 제1 판단부에 의해 상기 학생 비율이 소정값보다도 높다고 판단되지 않았던 경우, 정답률이 상기 시험 종료의 경고를 행하기 위한 경고 정답률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판단부와,
    상기 제2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정답률이 상기 경고 정답률로 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정답률이 상기 경고 정답률로 된 문제에 대한 학생마다의 상기 정오 판정 결과와 상기 해답 시간을 취득하고, 그 학생마다 그 정오 판정 결과와 그 해답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진척 상황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제2 진척 상황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척 표시 처리부는,
    상기 제2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정답률이 상기 경고 정답률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경고 해답 시간과 상기 경고 정답률의 조합에 의한 경고 조건에 일치하는 문제에 관해서, 그 경고 해답 시간으로 되는 해답 시간을 소요한 학생 비율과 그 경고 정답률로 되는 정답률이 소정 조건값을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 판단부와,
    상기 제3 판단부에 의해 상기 소정 조건값을 만족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소정 조건값을 만족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학생마다의 상기 정오 판정 결과와 상기 해답 시간을 취득하고, 그 학생마다 그 정오 판정 결과와 그 해답 시간을 나타내는 상기 진척 상황을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제3 진척 상황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 처리부는,
    상기 시험의 제한 시간 내에 상기 해답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에 그 해답 데이터에 포함되는 문제에 대하여 이미 해답이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록 판단부와,
    상기 기록 판단부에 의해 상기 문제에 대한 해답이 이미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그 기록되어 있는 해답 시간과 상기 해답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해답 시간을 가산하는 가산부와,
    상기 가산된 해답 시간이 상기 학생 해답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도록 상기 해답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7025327A 2011-03-30 2011-03-30 출제 장치 KR101451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8085 WO2012131948A1 (ja) 2011-03-30 2011-03-30 出題装置及び出題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620A KR20130132620A (ko) 2013-12-04
KR101451059B1 true KR101451059B1 (ko) 2014-10-15

Family

ID=4692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327A KR101451059B1 (ko) 2011-03-30 2011-03-30 출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11057B2 (ko)
JP (1) JP5686183B2 (ko)
KR (1) KR101451059B1 (ko)
WO (1) WO2012131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4066A1 (en) * 2014-05-06 2015-11-12 Macmillan New Ventures, LLC Remote Response System With Multiple Responses
JP6484980B2 (ja) * 2014-09-30 2019-03-20 富士通株式会社 評価支援プログラム、評価支援方法及び評価支援装置
CN105528931B (zh) * 2016-01-18 2018-02-16 浙江工商大学 Spoc平台中基于同学参与的分段累加式习题数据库构建方法及系统
JP6777999B2 (ja) * 2016-02-22 2020-10-28 株式会社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サーバ装置
JP6182780B1 (ja) * 2017-05-16 2017-08-23 株式会社なるほどゼミナール 解説情報提供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9064810A (zh) * 2018-08-22 2018-12-21 深圳点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教育操作系统的作业通知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1231A (ja) 2001-09-19 2003-03-28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受験処理方法、受験処理プログラム及び受験システム
JP2005070465A (ja) 2003-08-25 2005-03-17 Hitoshi Kimura 学習ドリル配信システム
JP2010262248A (ja) 2009-04-30 2010-11-18 Hisatomo Koketsu 小テスト学習装置
JP2013255818A (ja) 2013-07-31 2013-12-26 Daio Paper Corp 多機能複層吸収体、多機能複層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吸収体製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074A (ja) * 1993-12-28 1995-08-11 Kano Densan Hongkong Yugenkoshi 学習機
AU2002361082A1 (en) * 2001-12-12 2003-06-23 Hogakukan Co., Ltd. Exercise setting system
JP2003255818A (ja) * 2002-03-01 2003-09-10 Nippon Yunishisu Kk 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学習支援装置、並びに学習支援プログラム
US20070122788A1 (en) * 2005-11-28 2007-05-31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teaching assistant
JP4137134B2 (ja) * 2006-03-15 2008-08-20 株式会社ジェイシー教育研究所 学習情報処理装置、学習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347148B2 (en) * 2006-07-14 2019-07-09 Dreambox Learn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lessons to student needs
US20090035733A1 (en) * 2007-08-01 2009-02-05 Shmuel Meitar Device, system, and method of adaptive teaching and learning
US20120208164A1 (en) * 2011-02-10 2012-08-16 Kansas City, Kansas Unified School District 500 Web browser based test cre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1231A (ja) 2001-09-19 2003-03-28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受験処理方法、受験処理プログラム及び受験システム
JP2005070465A (ja) 2003-08-25 2005-03-17 Hitoshi Kimura 学習ドリル配信システム
JP2010262248A (ja) 2009-04-30 2010-11-18 Hisatomo Koketsu 小テスト学習装置
JP2013255818A (ja) 2013-07-31 2013-12-26 Daio Paper Corp 多機能複層吸収体、多機能複層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吸収体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6183B2 (ja) 2015-03-18
US20140024006A1 (en) 2014-01-23
WO2012131948A1 (ja) 2012-10-04
JPWO2012131948A1 (ja) 2014-07-24
US9711057B2 (en) 2017-07-18
KR20130132620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542B1 (ko) 출제 장치 및 출제 방법
KR101451059B1 (ko) 출제 장치
Begeny et al. Teacher judgments of students' reading abilities across a continuum of rating methods and achievement measures
US9824603B2 (en) System for performing assessment without testing
KR101666264B1 (ko)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
JP2005055550A (ja) オンライン学習支援装置及び方法
CN106558257A (zh) 基于课堂教学的互动反馈方法及系统
CN110866209A (zh) 在线教育数据推送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Gvozdenko et al. Beyond test accuracy: Benefits of measuring response time in computerised testing
JP2018081191A (ja) 学習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79113A (ja) テスト出題装置、とテスト出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06889A (ko) 문제의 개념 구조 모델링을 통한 학습 장치 및 방법
JP6831551B2 (ja) 学習支援装置、プログラム、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システム
JP2020003690A (ja) 学習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RU2649550C2 (ru) Система критериально-ориентированного тестирования
US20170124899A1 (en) Electronic educational system
KR20170074083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주산 교육 방법
JP4536506B2 (ja) オンライン教育プログラムおよびオンライン教育装置
Agudo et al. Personalized computer security tasks with automatic evaluation and feedback
Beckman et al. A behaviour‐based coding tool for assessing supervisors' adherence and competence: Findings from a motivational interviewing implementation study
Vančura Research on the language barriers of students who use Khan Academy as a mathematics homework platform
KR20170074829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주산 교육 방법
Geiss et al. Automatic programming assessment system for a computer science bridge course-an experience report
JP2019117476A (ja) 審査管理サーバ、審査システム、審査管理方法
Ferreira et al. Investigation of continuous assessment of correctness in introductory progra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