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264B1 -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264B1
KR101666264B1 KR1020137026593A KR20137026593A KR101666264B1 KR 101666264 B1 KR101666264 B1 KR 101666264B1 KR 1020137026593 A KR1020137026593 A KR 1020137026593A KR 20137026593 A KR20137026593 A KR 20137026593A KR 101666264 B1 KR101666264 B1 KR 10166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examinee
correct answer
solution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194A (ko
Inventor
히데히꼬 마유미
도시오 다나까
다께아끼 고바야시
마사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험자의 이해도를 적절하게 파악하는 작업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이로 인해, 시험 실시 지원 장치에, 문제 데이터베이스,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 문제 출력부, 해답 취득부, 정오 판정부, 산출부 및 판정부를 구비한다. 문제 출력부는,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해답 취득부는, 수험자가 조작하는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술한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취득하고, 정오 판정부는, 이 해답의 정오를 판정한다. 산출부는, 정오 판정부에 의한 해답의 정오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그 수험자에 대한 그 소정의 분야의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한다. 판정부는,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정답률과 산출부가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여 그 변동을 판정한다.

Description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TEST EXECUTION ASSISTANCE DEVICE, TEST EXECUTION ASSISTANCE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실시 양태는, 교육의 지원을 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수험자에 대해서 동일한 문제를 출제하여 행하는 시험에서는, 그 복수의 수험자에 대해 일률적으로 미리 정해진 제한 시간 내에서의 해답 작성을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시험에 있어서는, 해답 작성이 빨리 끝나 버린 수험자가 잔여 시간을 주체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잔여 시간을 유효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전술한 잔여 시간의 유효 활용의 일례로서, 이와 같은 수험자에 대해서 문제를 나중에 추가하여 출제한다고 하는 시도가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었다. 이 시도는 수험자가 한층 더한 이해도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잔여 시간은 수험자마다 서로 다르고, 또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과제는 수험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추가될 문제가 각 수험자에게 동일한 것으로는 반드시 적절하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근거로 하여, 문제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시험 시간이나 수험자의 이해도에 따라서, 수험자마다 문제수나 문제의 내용이 다른 출제를 행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시험 시간이나 수험자의 이해도에 따른 문제수ㆍ내용의 문제 출제를 행하는 출제 장치에 관한 기술이 몇 가지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기술 중 하나는, 이수 완료된 분야의 복습이나 실력 판정 등이라고 한, 학습자의 목적에 맞춘 연습 문제를, 학습자의 제한 시간에 풀어야 할 수만큼 출제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그와 같은 기술 중 다른 하나는, 각 학생이 틀린 구체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학생마다 치밀한 출제를 행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각 학생이 틀린 문제의 이력을 기억해 두고, 2회째 이후의 출제에서는, 학생마다 틀린 문제의 출제를 행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수험자의 이해도에 따른 내용의 문제를 출제하기 위해서는, 수험자의 이해도를 적절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이해도의 파악을 위해, 수험자가 과거에 수험한 시험에 있어서 출제된 각종의 문제에 대한 정오의 상황이나 시험의 정답률 등의 정보가 이용된다.
그러나, 수험자의 이해도가 이들의 정보에 의해서 항상 올바르게 나타내어져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선택지로부터 정답지를 선택하는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해답이 정답이었다고 해도, 그 정답을 도출한 과정이, 수험자의 실력에 의한 것인지, 혹은 단순한 우연의 산물인 것인지를, 그 정답의 사실만으로부터 판단할 수는 없다. 이것은, 선택지로부터 정답지를 선택하는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해답이 부정해였다고 해도 마찬가지이다. 즉, 그 부정해의 원인이, 수험자의 실력에 의한 것인지, 혹은 경미한 부주의에 의해 생긴 것인지를, 그 부정해의 사실만으로부터 판단할 수는 없다.
수험자의 이해도를 적절하게 파악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시험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서 바뀌는 일 없이 수험자의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동시에, 효율 좋게 효과적으로 학습을 행할 수 있도록 수험자의 학습을 지원한다고 하는 학습 정보 처리 장치의 기술도 알려져 있다. 이 기술은,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이해도의 판정을, 그 시험 문제의 수험자 해답의 정오에 기초할 뿐만 아니라, 그 수험자의 시험 전체의 정답률과 시험 문제마다 미리 설정해 둔 기준 정답률에도 기초하여 행한다. 이 기술에서는,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험자의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는 동시에, 개개의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의 정오가, 수험자의 이해도에 따른 것인지, 우연히 정해한 것인지, 혹은, 경미한 부주의에 의한 것인지의 판단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03/050782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33406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48773호 공보
전술한 학습 정보 처리 장치의 기술에서는, 시험의 실시자측에서 문제의 기준 정답률을 문제마다 미리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기준 정답률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통계 이론을 이용한 계산을 문제마다 행한다고 하는, 매우 번잡한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기준 정답률과 수험자의 정답률을 비교한 것만으로는 수험자의 이해도는 판정할 수 없다. 이 비교는, 전체와 개인의 이해도의 비교이며, 개인에 한정된 이해도의 시간적인 변화를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해도의 판정에는, 시험 문제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특정한 분야에 대해서, 금회 정답률은 과거의 정답률로부터 얼만큼 변화되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는, 수험자의 이해도를 적절하게 파악하기 위한 시험의 실시자측의 작업 부담을 경감시키고, 또한 수험자의 이해도의 판정의 정밀도를 높인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의 하나로, 문제 데이터베이스와,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와, 문제 출력부와, 해답 취득부와, 정오 판정부와, 산출부와, 판정부를 구비한다고 하는 것이 있다. 여기서, 문제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다.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상기 경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되어 있다. 문제 출력부는, 이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에 출력한다. 해답 취득부는, 이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전술한 시험 문제에 대한 전술한 수험자의 해답을 취득한다. 정오 판정부는, 해답 취득부가 취득한 해답의 정오 판정을 행한다. 산출부는, 정오 판정부에 의한 해답의 정오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술한 수험자에 대해서 전술한 소정의 분야의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한다. 그리고, 판정부는,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정답률 및 산출부가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을 판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시험 실시 지원 방법의 하나는, 컴퓨터가 이하의 수순을 행한다. 우선,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그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에 송부한다. 다음에, 이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취득되는, 전술한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의 정오 판정을 행한다. 다음에, 이 해답의 정오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술한 수험자에 대한 전술한 소정의 분야의,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한다. 다음에, 이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시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된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다. 그리고, 이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정답률 및 그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을 판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기억 매체의 하나는, 컴퓨터에 수험자의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을 분석시키는 시험 실시 지원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시험 실시 지원 프로그램은 이하의 처리를 그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이 처리는, 우선,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에 송부한다. 다음에, 이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취득되는, 전술한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의 정오 판정을 행한다. 다음에, 이 해답의 정오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술한 수험자에 대한 전술한 소정의 분야의,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한다. 다음에, 이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시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된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한다. 그리고, 이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정답률 및 그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을 판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는, 수험자의 이해도를 적절하게 파악하기 위한 시험의 실시자측의 작업 부담이 경감되고, 또한 수험자의 이해도의 판정의 정밀도가 높아진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시험 실시 지원 장치의 일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이다.
도 3은 시험 실시 지원 장치의 사용예이다.
도 4a는 학생 DB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b는 드릴 DB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c는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d는 학생 해답 DB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e는 카테고리별 성적 DB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f는 조건 DB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g는 잔여 시간 드릴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4h는 수신 문제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도면이다.
도 5a는 드릴 실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그 1)이다.
도 5b는 드릴 실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그 2)이다.
도 6a는 문제 추가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그 1)이다.
도 6b는 문제 추가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그 2)이다.
도 7은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a는 드릴 참가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그 1)이다.
도 8b는 드릴 참가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그 2)이다.
도 9는 드릴 결과의 표시 화면의 화면예이다.
도 10은 문제 제시 화면의 화면예이다.
도 11은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추가 문제 제시 화면의 화면예이다.
도 13은 추가 시험 문제의 해답 결과의 표시 화면예이다.
우선, 도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시험 실시 지원 장치의 일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문제 DB(11), 해답 상황 DB(21), 문제 출력부(12), 해답 취득부(13), 정오 판정부(14), 산출부(15) 및 판정부(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로 혹은 유선 통신로를 통해서 각종의 데이터의 수수를 행할 수 있다.
문제 DB(문제 데이터베이스)(11)는,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해답 상황 DB(21)는, 상술한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시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문제 출력부(12)는, 문제 DB(11)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 단말기(2)에 출력한다.
해답 취득부(13)는, 수험자 단말기(2)로부터, 문제 출력부(12)가 출력한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수험자의 해답을 취득한다.
정오 판정부(14)는, 해답 취득부(13)가 취득한 해답의 정오 판정을 행한다.
산출부(15)는, 정오 판정부(14)에 의한, 해답 취득부(13)가 취득한 해답 정오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한 수험자에 대한, 전술한 소정의 분야의 전술의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한다.
판정부(16)는 해답 상황 DB(21)에 저장된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의 정답률 및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을 판정한다.
이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전술한 소정의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여부를, 그 수험자의 그 정답률의 변동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따라서, 시험 문제의 기준 정답률을 시험의 실시자측이 미리 준비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수험자의 그 소정의 분야의 이해도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명된다.
또한, 문제 출력부(12)는, 정답률의 변동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산출부(15)가 수험자의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문제 출력부(12)는, 특정한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수험자 단말기(2)에 출력한다.
이 문제 출력부(12)를 구비한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서는,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상기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전술한 소정의 분야에 속하는 새로운 시험 문제가, 전술한 수험자에게 추가하여 출제된다. 따라서, 추가하여 출제된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오를 가미함으로써, 수험자의 그 소정의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보다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제 출력부(12)는,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을 개시하는 개시 지시 입력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시험의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 시간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특정한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수험자 단말기(2)에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란, 그 시험의 종료 시각까지 새로운 문제를 푸는 시간이 남아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이다. 상술한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서는, 이 경우에만 추가의 시험 문제가 출제되므로, 잔여 시간이 유효하게 활용되어, 수험자의 한층 더한 이해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해답 상황 DB(21)에는, 수험자 단말기(2)로 전술한 문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시험 문제가 표시되고 나서 해답이 입력될 때까지의 해답 시간이, 그 문제 식별자에게 대응지어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해답 취득부(13)는, 수험자 단말기(2)로부터 해답 시간을 또한 취득하도록 한다. 또한, 문제 출력부(12)는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여, 전술한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 중에서 전술한 제한 시간을 나타내는 소정 시간과 전술한 경과 시간과의 차분 이하인 해답 시간이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특정한다. 그리고, 문제 출력부(12)는, 특정한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한다.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이와 같이 하여 수험자가 과거에 해답한 시험 문제를 추가의 시험 문제로서 다시 출제함으로써, 상기의 소정의 분야의 복습을 수험자에게 행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수험자의 당해 분야에 대한 과거의 이수 내용의 익숙도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그 수험자의 당해 분야에서 익숙 부족이 생기는 이수 항목의 추측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추가의 시험 문제가 과거에 출제되었을 때 수험자의 해답 시간은, 전술한 잔여 시간보다도 짧으므로, 시간 부족에 의한 추가의 시험 문제의 해답 불능으로는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해답 상황 DB(21)에는, 전술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또한, 전술의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의 실시 일시가 저장되어도 좋다.
이때, 판정부(16)는, 우선,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제1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2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의 변동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1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문제 출력부(12)는, 그 변동이 제1 변동이라고 판정부(16)가 판정한 경우에는, 우선,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전술한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오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제1 변동의 경우는, 상기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 대한 상기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의 상승의 정도가 과도함으로써,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정부(16)가 판단하는 것이다.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이 경우에는,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 중, 해답이 오답이었던 것을 추가의 시험 문제로서 출제한다.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높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전술한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낮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다고는 간주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혹은, 이때, 판정부(16)는, 우선,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제1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2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의 변동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하강하는 제2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문제 출력부(12)는, 그 변동이 제2 변동이라고 판정부(16)가 판정한 경우에는, 우선,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한다. 그리고, 전술한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전술한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정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그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제2 변동의 경우는, 상기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 대한 상기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의 하강의 정도가 과도함으로써,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정부(16)가 판단하는 것이다.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이 경우에는, 전술한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져 있는 시험 문제 중, 해답이 정답이었던 것을 추가의 시험 문제로서 출제한다.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낮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높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다고는 간주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6)는, 전술한 제1 변동인 경우는, 또한,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제2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 이전이며 그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3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 판정부(16)는, 그 특정한 제3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감소하는 제3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문제 출력부(12)는, 그 변동이 제3 변동이라고 판정부(16)가 판정한 경우에는, 우선,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한다. 그리고,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오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한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제3 변동의 경우는, 상기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이 상기 제3 실시 구분인 것으로부터 과도하게 하강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상기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은 상기 제2 실시 구분인 것으로부터 과도하게 상승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져 있는 시험 문제 중, 해답이 오답이었던 것을 추가의 시험 문제로서 출제한다.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높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낮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다고는 간주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6)는, 전술한 제2 변동인 경우는, 또한,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제2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 이전이며 그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3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하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 판정부(16)는, 그 특정한 제3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4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여기서, 문제 출력부(12)는, 그 변동이 제4 변동이라고 판정부(16)가 판정한 경우에는, 우선,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한다. 그리고,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정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한 그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의 제4 변동의 경우는, 상기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이 상기 제3 실시 구분인 것으로부터 과도하게 상승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상기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은 상기 제2 실시 구분으로부터 과도하게 하강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그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된다.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는, 이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져 있는 시험 문제 중, 해답이 정답이었던 것을 추가의 시험 문제로서 출제한다.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낮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전술한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한 수험자 해답의 정답률이 높으면, 산출부(15)가 산출한 정답률이 전술한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다고는 간주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16)는, 다음과 같은 것이어도 좋다. 즉, 판정부(16)는 해답 상황 DB(21)를 참조하고, 전술한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제1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2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한다. 이와 함께, 판정부(16)는, 그 제2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 이전이며 그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3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한다. 그리고,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 대해서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의 변동 및 그 제1 실시 구분에 대해서 정답률의 제3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의 변동을 특정한다. 이때, 문제 출력부(12)는, 이 특정된 변동에 기초하여,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된 시험 문제를 문제 DB(11)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 및 수험자 단말기(2)는, 어느 쪽도, 표준적인 구성의 컴퓨터를 사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가 도해되어 있다.
이 컴퓨터(30)는, MPU(31), ROM(32), RAM(33), 기억 장치(34), 입력 장치(35), 표시 장치(36), 인터페이스 장치(37) 및 기록 매체 구동 장치(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 요소는 버스 라인(39)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고, MPU(31)의 관리 하에서 각종의 데이터를 서로 수수할 수 있다.
MPU(Micro Processing Unit)(31)는, 이 컴퓨터(3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장치이다.
ROM(Read Only Memory)(32)은, 소정의 기본 제어 프로그램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판독 전용 반도체 메모리이다. MPU(31)는, 이 기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30)의 기동시에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이 컴퓨터(3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RAM(Random Access Memory)(33)은, MPU(31)가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필요에 따라서 작업용 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수시 기입하고 판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이다.
기억 장치(34)는, MPU(3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의 데이터를 기억해 두는 장치이다. MPU(31)는, 기억 장치(34)에 기억되어 있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각종의 제어 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억 장치(34)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장치나, 기억 매체로서 플래시 메모리가 채용되어 있는 플래시 SSD(Solid State Drive)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입력 장치(35)는, 예를 들어 키보드 장치나 마우스 장치이며, 이 컴퓨터(30)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지어져 있는 그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정보의 입력을 취득하고, 취득한 입력 정보를 MPU(31)에 송부한다.
표시 장치(36)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이며, MPU(31)로부터 송부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각종의 텍스트나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입력 장치(35)와 표시 장치(36)로서, 이 양자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의 표시면 상에 투명한 터치 패드 등의 위치 입력 장치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터치 패널을 사용해도 좋다.
인터페이스 장치(37)는, 이 컴퓨터(30)에 접속되는 각종의 기기와의 사이에서의 각종 정보의 수수의 관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와 수험자 단말기(2)를 유선 통신로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 컴퓨터(30)를 그 유선 통신로에 접속하기 위한 유선 통신 장치가 인터페이스 장치(37)로서 구비된다. 또한, 예를 들어,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와 수험자 단말기(2)를 무선 통신로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에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와 수험자 단말기(2) 사이에 무선 통신로를 구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장치가, 인터페이스 장치(37)로서 구비된다.
기록 매체 구동 장치(38)는, 가반형 기록 매체(40)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는 장치이다. MPU(31)는, 가반형 기록 매체(40)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 구동 장치(38)를 통해서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의 제어 처리를 행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가반형 기록 매체(40)로서는, 예를 들어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이나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컴퓨터(30)를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후술하는 각종의 제어 처리를 MPU(31)에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34) 혹은 가반형 기록 매체(40)에 미리 저장해 둔다. 이 제어 프로그램에서는, 기억 장치(34)를 문제 DB(11)나 해답 상황 DB(21)로서 기능시키도록 해 둔다. 그리고, MPU(31)에 소정의 지시를 부여하여 이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게 하여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의 구성 요소가 각각 갖고 있는 기능의 컴퓨터(30)에 의한 제공이 가능해지고, 컴퓨터(30)가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로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컴퓨터(30)를 수험자 단말기(2)로서 기능시키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수험자 단말기(2)에 의해 실행되는 후술하는 각종의 제어 처리를 MPU(31)에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작성한다. 작성된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34) 혹은 가반형 기록 매체(40)에 미리 저장해 둔다. 그리고, MPU(31)에 소정의 지시를 부여하여 이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게 하여 실행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컴퓨터(30)가 수험자 단말기(2)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하, 컴퓨터(30)를, 시험 실시 지원 장치(1) 혹은 수험자 단말기(2)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MPU(3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학교 교실 등의 교육 현장에 있어서, 수업의 일환으로서, 복수인의 학생을 대상으로서 교사가 시험 문제를 복수 제출하여 행해지는, 드릴(연습)의 실시에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의 사용예를 도해한 것이다.
이 사용예에서는, 교사가 사용하는 교사 단말기(50)로서, 도 1에 있어서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가 사용된다. 또한, 복수인의 학생이 각각 조작하는 학생 단말기(60)로서, 도 1에 있어서의 수험자 단말기(2)가 사용된다. 교사 단말기(50) 및 학생 단말기(60)는, 교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LAN(Local Area Network:구내 통신망)(70)에 접속되어 있고, 각종의 데이터를 서로 수수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컴퓨터(30)를 교사 단말기(50) 혹은 학생 단말기(60)로서 기능시키는 경우에, 컴퓨터(30)의 기억 장치(34)로 보유 지지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및 테이블의 일람이 도해되어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전술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34)에 미리 기억시켜 두는 것으로 하고 있다.
교사 단말기(50)측의 기억 장치(34)에는, 드릴 실시 프로그램(51)과, 학생 DB(데이터베이스)(52), 드릴 DB(53),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 학생 해답 DB(55), 카테고리별 성적 DB(56), 조건 DB(57) 및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이 보유 지지된다. 한편, 학생 단말기(60)측의 기억 장치(34)에는, 드릴 참가 프로그램(61)과 수신 문제 테이블(62)이 보유 지지된다.
다음으로, 이들의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드릴로서 출제되는 시험 문제가, 모두, 4개의 선택지 중으로부터 정답지를 1개 학생에게 선택하게 하는 다지 선택 형식의 것으로 한다.
우선, 학생 DB(52)에 대해서 설명한다. 학생 DB(52)는, 학생 단말기(60)를 조작하는 학생의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4a는, 학생 DB(52)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학생 DB(52)는, 「학생 ID」, 「패스워드」 및 「학생명」의 각 데이터가 각 레코드로 대응지어져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학생 ID」는, 학생 단말기(60)를 조작하는 학생마다 할당되어 있는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또한, 「패스워드」는, 「학생 ID」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 인증에 사용되는 데이터이며, 미리 그 학생 자신이 설정해 두는 것이다. 그리고, 「학생명」은, 「학생 ID」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의 성명의 데이터이다.
다음에 드릴 DB(53)에 대해서 설명한다. 드릴 DB(53)는, 드릴에서 출제되는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문제 DB(11)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4b는, 드릴 DB(53)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드릴 DB(53)에는, 「카테고리」, 「드릴 ID」, 「문제 ID」, 「문제」,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 「선택지 4」 및 「정답」의 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카테고리」는, 드릴 DB(53)에 저장되어 있는 시험 문제가 속해 있는 분야(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카테고리」의 데이터에 의해, 시험 문제가 속해 있는 교과(예를 들어 『역사』) 및 단원(예를 들어 『가마쿠라 시대』)이, 카테고리로서 표시되어 있다.
「드릴 ID」는, 일시를 바꿔서 복수회 실시되는 드릴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각 드릴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카테고리」 데이터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드릴 ID」 데이터가 속하고 있고,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은, 전술한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속해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동일한 드릴에서 출제되는 문제는, 모두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문제 ID」는, 드릴 DB(53)에 저장되어 있는 시험 문제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며, 각 시험 문제에 대해서 할당되어 있다. 「드릴 ID」 데이터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문제 ID」 데이터가 속해 있다.
「문제」는, 드릴 DB(53)에 저장되어 있는 시험 문제의 문제문의 데이터이다. 이 「문제」 데이터의 각각에는, 「문제 ID」 데이터가 1개씩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문제」 데이터의 각각에는,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 및 「선택지 4」의 4개의 데이터와, 「정답」의 데이터가 일대일로 대응지어져 있다. 이 중,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 및 「선택지 4」는, 「문제」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시험 문제의 해답에 대한 4개의 선택지의 데이터이다. 또한, 「정답」은, 「문제」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시험 문제의 정답이,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 및 「선택지 4」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정답」에 기재된 데이터가 1이면 선택지 1이 정답인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드릴 DB(53)에는, 카테고리마다의 시험 문제가, 드릴 ID에 의해 특정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져, 복수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에 대해서 설명한다.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은, 실시 중인 드릴의 개시 일시를 기억해 두는 테이블이다. 도 4c의 데이터 구조도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에는, 드릴의 실시일을 나타내고 있는 「연월일」 데이터와, 드릴의 개시 시각을 나타내고 있는 「개시 시각」 데이터가 저장된다.
다음에 학생 해답 DB(55)에 대해서 설명한다. 학생 해답 DB(55)는, 드릴 DB(53)에 저장되어 있는 시험 문제에 대한 학생의 해답 상황의 이력을 보유 지지해 두는 데이터베이스이며,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해답 상황 DB(21)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해답 DB(55)는, 복수인의 학생의 각각에 대해서 1개씩 준비되는 것이며, 학생마다의 학생 해답 DB(55)는, 각 학생에게 부여되어 있는 전술한 「학생 ID」 데이터를 사용해서 식별할 수 있다. 도 4d는, 학생 해답 DB(55)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학생 해답 DB(55)에는, 「학생 ID」, 「카테고리」, 「드릴 ID」, 「드릴 실시 일시」, 「문제 ID」, 「해답」, 「정오」 및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학생 단말기(60)를 조작하는 학생마다 할당되어 있는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카테고리」는, 학생이 참가한 드릴에서 출제된 시험 문제가 속해 있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드릴 ID」는, 학생이 참가한 드릴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학생 해답 DB(55)에서, 「드릴 ID」 데이터는 「카테고리」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고, 이 대응짓기에 의해,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이 속해 있는 카테고리가 표현되어 있다.
「드릴 실시 일시」는,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의 실시 일시의 데이터이다. 이에 의해, 드릴 ID의 시계열적인 실시 순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드릴 실시 일시는, 교사 단말기(50)의 입력 장치(35)로부터 드릴 개시 지시가 입력된 일시의 정보가 기록된다. 이 「드릴 실시 일시」는, 「드릴 ID」와 함께, 실시되는 시험의 실시 구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문제 ID」는, 학생이 참가한 드릴에서 출제된 시험 문제에 할당되어 있는, 그 시험 문제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학생 해답 DB(55)에서, 「문제 ID」 데이터는 「드릴 ID」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고, 이 대응짓기에 의해, 「문제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가,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에서 출제된 것이 표현되어 있다.
또한, 「문제 ID」 데이터의 각각에는, 「해답」과, 「정오」와, 「해답 시간」과의 각 데이터가 일대일로 대응지어져 있다. 여기서, 「해답」은, 「드릴 ID」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에서 출제된,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에 대한 학생의 해답(4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정오」는, 이 「해답」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학생의 해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이 도 4d의 예에서는, 해답이 정답이었던 경우에는 ○를 표시하고 있고, 해답이 오답이었던 경우에는 X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해답 시간」은, 「드릴 ID」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에서 출제된,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학생이 개시하고 나서 해답을 도출하고, 학생 단말기로 해답의 입력(선택)을 행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이 예에서는 분 단위의 시간)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학생 해답 DB(55)에는, 「드릴 ID」에 대응지어, 「문제 ID」, 「학생 ID」 및 「학생 ID」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에 의한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 상황(「해답」, 「정오」, 「해답 시간」)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테고리별 성적 DB(56)는, 실시 완료의 드릴에서의 학생의 정답률의 이력을 보유 지지해 두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또한, 카테고리별 성적 DB(56)는, 복수인의 학생의 각각에 대해서 1개씩 준비되는 것이며, 학생마다의 카테고리별 성적 DB(56)는, 각 학생에게 부여되어 있는 전술한 「학생 ID」 데이터를 사용해서 식별할 수 있다. 도 4e는, 카테고리별 성적 DB(56)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는, 「카테고리」, 「드릴 ID」, 「드릴 실시일」 및 「정답률」의 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카테고리」는, 학생이 참가한 드릴에서 출제된 시험 문제가 속해 있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드릴 ID」는, 학생이 참가한 드릴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서, 「드릴 ID」 데이터는 「카테고리」 데이터에 대응지어져 있고, 이 대응짓기에 의해,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이 속해 있는 카테고리가 표현되어 있다.
「드릴 실시일」은,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 실시일의 데이터이다. 여기서, 1개의 「드릴 ID」 데이터에 대해서 2 이상의 「드릴 실시일」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있는 경우에는, 그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동일 내용의 드릴이 반복해서 실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동일 내용의 드릴이 동일한 날에 반복되는 일은 없는 것으로 한다.
「정답률」은, 「드릴 실시일」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실시일에 실시된, 「드릴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드릴의 정답률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여기서는, 드릴의 정답률이란, 그 드릴에서의 출제수에 대한 정답수의 비율을 나타낸 백분율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조건 DB(57)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건 DB(57)는, 학생이 최신에 실시한 드릴의 정답률이, 그 드릴이 속해 있는 카테고리에 대한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의 판정 조건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4f는, 조건 DB(57)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조건 DB(57)에는, 「조건」, 「조건 보충」 및 「제시 문제」의 각 데이터가 대응지어져 저장되어 있다. 단, 이 중의 「조건 보충」 데이터는, 「조건」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조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보충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 「조건 보충」 데이터가 조건 DB(57)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조건」은, 상술한 판정 조건이 나타내어져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제시 문제」는, 「조건」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에 대한 지시를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이 도 4f에 도해되어 있는 조건 DB(57)에 있어서의 각 레코드의 구체적인 데이터 내용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떤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몇 개인가의 드릴 중 최신에 실시한 것을 「금회 드릴」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고, 이 금회 드릴의 1회 이전 및 2회 이전에 실시한 드릴을, 각각 「전회 드릴」 및 「전전회 드릴」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어떤 학생에 대한 금회 드릴에서의 정답률을 「금회 정답률」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하고, 이 학생에 대한 전회 드릴 및 전전회 드릴에서의 정답률을, 각각 「전회 정답률」 및 「전전회 정답률」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학생마다의 정답률의 이력은, 전술한 카테고리별 성적 DB(56)로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4f에 도해되어 있는 조건 DB(57)에 있어서의 제1행째의 레코드에서는, 금회 정답률이 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30%(제1 변동율) 이상 상승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을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이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금회 정답률에 대한 전회 정답률로부터의 상승의 정도가 과도하기 때문에,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오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2행째의 레코드에서는, 금회 정답률이 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30%(제2 변동율) 이상 하강하고 있다고 하는 조건을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이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금회 정답률에 대한 전회 정답률로부터의 하강의 정도가 과도하기 때문에,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정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3행째의 레코드에서는, 이하의 조건 A 및 조건 B가 모두 만족되는 경우를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조건 A는, 금회 정답률이 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20%(제3 변동율)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조건 B는, 전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20%(제4 변동율) 이상 하강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는, 전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로부터 과도하게 하강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금회 정답률은 전회 정답률로부터 과도하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오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4행째의 레코드에서는, 이하의 조건 C 및 조건 D가 모두 만족되는 경우를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조건 C는, 금회 정답률이 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20%(제5 변동율) 이상으로 하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조건 D는, 전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20%(제6 변동율) 이상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는, 전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로부터 과도하게 상승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금회 정답률은 전회 정답률로부터 과도하게 하강하고 있기 때문에,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정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제5행째의 레코드에서는, 이하의 조건 E 및 조건 F가 모두 만족되는 경우를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조건 E는, 금회 정답률에 대한, 전회 정답률에 대한 변동율이 10%(제7 변동율) 이내인 것이다. 또한, 조건 F는, 금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20%(제8 변동율) 이상 하강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는, 전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로부터 과도하게 하강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금회 정답률에 대한 전회 정답률로부터의 변동이 적기 때문에,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정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제6행째의 레코드에서는, 이하의 조건 G 및 조건 H가 모두 만족되는 경우를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조건 G는, 금회 정답률에 대한, 전회 정답률에 대한 변동율이 10%(제9 변동율) 이내인 것이다. 또한, 조건 H는, 금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에 대해서 20%(제10 변동율) 이상 상승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2개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는 경우에는, 전회 정답률이 전전회 정답률로부터 과도하게 상승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금회 정답률에 대한 전회 정답률로부터의 변동이 적기 때문에,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오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7행째의 레코드에서는, 이상까지의 제1행째로부터 제6행째까지의 각 레코드의 「조건」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조건의 모두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를, 「조건」 데이터가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레코드에서의 「제시 문제」 데이터는, 전회 드릴 혹은 전전회 드릴에서의 학생의 해답이 오답이었던 시험 문제를,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레코드는, 제1행째로부터 제6행째까지의 각 레코드의 조건의 모두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를, 금회 정답률이 전술한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한 경우로서, 학생이 과거에 해답을 틀린 시험 문제를 출제하여 복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건 DB(57)가 참조되는 경우에는, 제1행째로부터 순서대로 각 레코드가 참조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복수의 레코드의 「조건」 데이터에 합치하는 경우에는, 앞서 참조되는 레코드에서의 「조건」 데이터와의 합치가 우선된다.
다음으로,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 대해서 설명한다.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은, 학생이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또한,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은, 복수인의 학생의 각각에 대해서 1개씩 준비되는 것이며, 학생마다의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은, 각 학생에게 부여되어 있는 전술한 「학생 ID」 데이터를 사용해서 식별할 수 있다. 도 4g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는, 「카테고리」, 「드릴 ID」, 「문제 ID」, 「전회 정오」, 「전회 해답 시간」, 「금회 해답」, 「금회 정오」 및 「금회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가 저장된다.
「카테고리」는,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이 카테고리는, 실시 중인 드릴이 속해 있는 것과 동일한 카테고리이다.
「드릴 ID」는,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가 과거에 출제된 드릴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또한,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가 과거에 출제된 드릴에 대한 「드릴 ID」 데이터는, 조건 DB(57)에 도시되어 있었던 조건에 기초하여 카테고리별 성적 DB(56)로부터 추출된다.
「문제 ID」는,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에 할당되어 있는, 그 시험 문제에 대한 식별 정보 데이터이다. 또한, 추가하여 출제하는 시험 문제에 대한 「문제 ID」는, 카테고리별 성적 DB(56)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추출되는 「드릴 ID」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생 해답 DB(55)로부터 추출된다.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서, 「문제 ID」 데이터에는, 「전회 정오」, 「전회 해답 시간」, 「금회 해답」, 「금회 정오」 및 「금회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가 일대일로 대응지어져 있다.
여기서, 「전회 정오」는, 「문제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가 가장 최근의 전회에 출제되었을 때 학생의 해답이 정답이었는지 오답이었는지를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이 도 4g의 예에서는, 해답이 정답이었던 경우에는 ○를 표시하고 있고, 해답이 오답이었던 경우에는 X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전회 해답 시간」은, 「문제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가 가장 최근의 전회에 출제되었을 때에,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학생이 개시하고 나서 해답을 도출하고, 학생 단말기로 해답을 입력(선택)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이 예에서는 분 단위의 시간)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전회 정오」 및 「전회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는, 카테고리별 성적 DB(56)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추출되는 「드릴 ID」 데이터에 기초하여 학생 해답 DB(55)로부터, 전술한 「문제 ID」와 함께 추출된다.
또한, 「금회 해답」은,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된,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에 대한 학생의 해답(4개의 선택지 중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금회 정오」는, 이 「금회 해답」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학생의 해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이 도 4g의 예에서는, 해답이 정답이었던 경우에는 ○를 표시하고 있고, 해답이 오답이었던 경우에는 X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금회 해답 시간」은, 실시 중인 드릴에서 추가하여 출제된,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을 학생이 개시하고 나서 해답을 도출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이 예에서는 분 단위의 시간)을 나타내고 있는 데이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이 참조되는 경우에는, 제1행째로부터 순서대로 각 레코드가 참조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수신 문제 테이블(62)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신 문제 테이블(62)은, 드릴을 실시할 때에 교사 단말기(50)로부터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져 오는 시험 문제에 대한 데이터의 관리에 사용하는 테이블이다. 도 4h는, 수신 문제 테이블(62)의 데이터 구조를 도해한 것이다.
수신 문제 테이블(62)에는, 「드릴 ID」, 「문제 ID」, 「문제」,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 「선택지 4」 및 「정답」의 각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중, 「드릴 ID」, 「문제 ID」, 「문제」, 「선택지 1」, 「선택지 2」, 「선택지 3」, 「선택지 4」 및 「정답」은, 모두, 교사 단말기(50)로부터 송부되는 대응 데이터이다.
도 3에 제시한 각종의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테이블은, 각각, 상술한 데이터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도 3의 구성에 있어서, 교사가 조작하는 조작 단말기를 추가하여 LAN(70)에 접속하는 동시에, 교사 단말기(50)를, LAN(70)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능시켜, 교사 단말기(50)에의 각종의 지시를 그 조작 단말기로부터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서버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키는 교사 단말기(50)와 LAN(70) 사이의 각종의 데이터의 수수를, 인터넷 등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교사 단말기(50)에서 행해지는 드릴 실시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이 드릴 실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이 드릴 실시 제어 처리는, 교사 단말기(50)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30)의 MPU(31)에 의해 행해진다. MPU(31)는, 교사에 의한 교사 단말기(50)의 입력 장치(35)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실행 개시 지시가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기억 장치(34)의 드릴 실시 프로그램(51)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그러면, MPU(31)는, 이 드릴 실시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우선, S101에 있어서, 교사가 교사 단말기(50)의 입력 장치(35)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학생 인원수, 학생 인증 요구, 실시하는 드릴의 드릴 ID 및 그 드릴의 소요 시간의 각 정보를 수취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정보를 수취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정보를 수취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들의 정보의 수취를 검출할 때까지, S10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102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학생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요구를, 각 학생 단말기(6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103에서는, S102의 처리에 의해 송신된 요구에 대한 응답인, 학생 단말기(60)를 송신원으로 하는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LAN(70)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0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들의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할 때까지, S103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104에서는, 수신한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데이터에 대한 인증 처리를, MPU(31)가 학생 DB(52)를 사용해서 행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S105에 있어서, 이 인증 처리의 결과가 인증 성공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판정 처리에 의한 판정은, 수신한 학생 ID와 패스워드와의 데이터의 조합이, 학생 DB(52)에 저장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레코드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진다. MPU(31)는, 여기서, 인증 처리의 결과가 인증 성공으로 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인증 처리의 결과가 인증 실패로 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10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106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인증 실패의 인증 결과를 얻은 학생 ID와 패스워드와의 조합의 송신원인 학생 단말기(60)에 보내고, 소정의 에러 통지를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이 S106의 처리를 종료한 후에는, S103으로 처리를 복귀하여, 그 송신원의 학생 단말기(60)로부터 새롭게 송부되는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계속한다.
다음에, S107에서는, LAN(70)을 통하여 교사 단말기(50)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학생 단말기(60)에 대해서, S104의 인증 처리에 의한 인증 결과가 인증 성공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모든 학생 단말기(60)에 대한 인증 처리의 결과가 인증 성공으로 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0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인증 처리의 결과가 인증 실패인 학생 단말기(60)가 남겨져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103으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인증에 실패한 학생 단말기(60)로부터 새롭게 송부되는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를 계속한다.
다음에, S108에서는, 우선, 드릴 DB(53)를 참조하여, 교사에 의해 실시가 지시된 드릴의 드릴 ID에 속해 있는 각 시험 문제에 대한, 문제 ID 및 문제의 데이터와, 선택지 1 내지 선택지 4의 각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그 드릴 ID와 이들의 판독된 데이터를, 각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어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또한, 이 S108의 처리를 행하는 MPU(31) 및 인터페이스 장치(37)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문제 출력부(12)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S109에서는, 교사가 교사 단말기(50)의 입력 장치(35)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소정의 드릴 개시 지시를 수취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 드릴 개시 지시를 수취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10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 드릴 개시 지시를 수취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드릴 개시 지시의 수취를 검출할 때까지, S109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110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소정의 드릴 개시 지시를, 각 학생 단말기(6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111에서는, MPU(31) 자신이 갖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시계를 참조하여, 이 처리의 실행 시점의 일시 데이터를 그 시계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일시 데이터를,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의 연월일 및 개시 시각 데이터에 저장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도 5b로 처리가 진행되고, S112에서는, 어느 하나의 학생 단말기(60)를 송신원으로 하고, LAN(70)을 통해서 보내져 오는, 학생 ID, 문제 ID, 해답 및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에 수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장치(37)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해답 데이터는,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에 대한, 학생 단말기(60)의 사용자인 학생의 해답을 나타내고 있고, 해답 시간 데이터는,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그 학생이 개시하고 나서 그 해답을 도출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1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들의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할 때까지, S112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이 S112의 처리를 행하는 MPU(31) 및 인터페이스 장치(37)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해답 취득부(13)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S113에서는, 수신한 데이터 중의 학생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 해답 DB(55)에, 수신한 데이터 중의 문제 ID, 해답 및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추가하여 저장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또한, 이 레코드에 대한 「드릴 ID」에는 교사에 의해 실시가 지시된 드릴에 대한 것이 부여되고, 「드릴 실시일」에는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에 저장된 연월일 데이터와 동일한 것이 저장된다. 또한, 이 레코드에 대한 「카테고리」에는, 드릴 DB(53)에서, S108(도 5a)의 처리에서 시험 문제의 데이터를 판독한 레코드가 속해 있었던 카테고리가 부여된다.
다음에, S114에서는, 어느 하나의 학생 단말기(60)를 송신원으로 하는, 소정의 드릴 완료 통지와 학생 ID와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LAN(70)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1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11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115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우선, S114의 판정 처리에서 수신되었다고 판정된 학생 ID 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 해답 DB(55)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해답 데이터의 정오 판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정오의 판정은, 그 해답 데이터가, 드릴 DB(53)에서 그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정답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지고, 그 판정 결과는 학생 해답 DB(55)에서의 정오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MPU(31)는, 다음에, 그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문제 데이터를 드릴 DB(53)로부터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후에, MPU(31)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그 문제 ID, 그 문제, 그 해답 및 그 정답의 각 데이터 및 그 정오 판정의 결과를, 드릴 완료 통지 데이터의 송신원의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어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이들의 송신 데이터는 드릴의 결과로서, 그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지는 것이다.
MPU(31)는, S115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S115의 처리를 행하는 MPU(31)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정오 판정부(14)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S116에서는, S114의 판정 처리에서 수신되었다고 판정된 드릴 완료 통지 및 학생 ID의 데이터의 송신원인 학생 단말기(60)를 대상으로 하는 문제 추가 제어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문제 추가 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S117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전술한 드릴 완료 통지 데이터를, LAN(70)을 통해서 교사 단말기(50)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학생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모든 학생 단말기(60)로부터 드릴 완료 통지 데이터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2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인터페이스 장치(37)에의 드릴 완료 통지 데이터가 보내져 오지 않는 학생 단말기(60)가 남겨져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11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MPU(31)는, 모든 학생 단말기(60)로부터 드릴 완료 통지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S1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118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우선,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로부터 실시 중인 드릴의 개시 일시를 판독하는 동시에, 전술한 도시되지 않은 시계를 참조하여, 이 처리의 실행 시점의 일시 데이터를 그 시계로부터 취득하여 그 개시 일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이 경과 시간이, 도 5a의 S101의 처리에 의해 수취가 검출되어 있었던, 그 드릴의 소요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그 경과 시간이 그 소요 시간을 이미 경과하고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11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경과 시간이 그 소요 시간을 아직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112로 처리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MPU(31)는, 그 경과 시간이 그 소요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 S1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MPU(31)는, S118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S119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소정의 드릴 종료 지시를, 각 학생 단말기(6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120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우선, 모든 학생 해답 DB(55)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해답 데이터의 정오 판정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정오의 판정은, 그 해답 데이터가, 드릴 DB(53)에서 그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정답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지고, 그 판정 결과는, 학생 해답 DB(55)에서의 정오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MPU(31)는, 다음에, 그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문제 데이터를 드릴 DB(53)로부터 판독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후에, MPU(31)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그 정오 판정의 결과를, 학생 해답 DB(55)에 대응지어져 있는 학생 ID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이 사용하고 있는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어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때에는, 그 정오 판정의 결과의 송신과 함께, 그 문제 ID, 그 문제, 그 해답 및 그 정답의 각 데이터의 송신도 행해진다.
MPU(31)는, S120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S120의 처리를 행하는 MPU(31)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정오 판정부(14)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S121에서는, 실시된 드릴에 대한 각 학생의 정답률을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등록하는 처리인,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S121의 처리를 종료하면, 이 드릴 실시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까지의 처리가 드릴 실시 제어 처리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도 5a 및 도 5b의 드릴 실시 제어 처리에서의 S116의 처리인, 문제 추가 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문제 추가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a에 있어서, 우선, S201에서는, 드릴 DB(53)를 참조하여, 교사에 의해 실시가 지시된 드릴의 드릴 ID가 속해 있는 카테고리를 취득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202에서는, MPU(31)는, 우선, S114(도 5b)의 판정 처리에 의해 수신된 학생 ID에 의해 특정되는 학생 해답 DB(55)를 참조하여 거기서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정오 데이터를 계수하고,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출제수 및 정답수를 구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MPU(31)는, 그 정답수를 그 출제수로 제산하여,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각 학생의 정답률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서 산출되는 정답률은, 전술한 금회 정답률이다.
또한, 이 S206의 처리를 행하는 MPU(31)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산출부(15)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S203에서는, S114(도 5b)의 판정 처리에 의해 수신된 학생 ID에 의해 특정되는 카테고리별 성적 DB(56)를 참조하고, S201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것과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과거에 실시된 드릴의 정답률을 취득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처리에서 취득되는 정답률 중에서, 금회 실시보다도 1회 이전에 실시된 드릴의 것은 전술한 전회 정답률이며, 금회 실시에서도 2회 이전에 실시된 드릴의 것은 전술한 전전회 정답률이다.
다음에, S204에서는, 조건 DB(57)의 각 레코드를 전술한 순서로 참조하여, S201 및 S203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정답률의 추이에 합치하는 레코드를 취득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S204의 처리를 행하는 MPU(31)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판정부(16)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MPU(31)는, 이에 의해 설명하는 S205 내지 도 6b의 S209에 걸친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문제 출력부(12)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S205에서는, 우선, S203의 처리와 동일한 카테고리별 성적 DB(56)를 다시 참조하여, 전회 정답률 및 전전회 정답률을 얻었을 때의 드릴에 대한 드릴 ID를 취득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MPU(31)는, S202의 처리와 동일한 학생 해답 DB(55)를 다시 참조하여, 취득된 드릴 ID에 속해 있는 시험 문제 중, 정오 데이터가, S204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레코드의 제시 문제에 합치하는 것에 대한 문제 ID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S206에서는, 우선, S202의 처리와 동일한 학생 해답 DB(55)를 또한 참조하여, S204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정오 데이터 및 해답 시간 데이터와, 그 문제 ID가 속해 있는 드릴 ID를 취득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MPU(31)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을 참조하여, 취득한 드릴 ID를, S201의 처리에 의해 취득한 카테고리에 대응짓는 동시에, 취득한 문제 ID, 정오 및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를 그 드릴 ID에 대응지어 기록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들의 정오 데이터 및 해답 시간 데이터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서는, 각각, 전회 정오 데이터 및 전회 해답 시간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도 6b로 처리가 진행되고, S207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우선,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54)로부터 실시 중인 드릴의 개시 일시를 판독하는 동시에, 전술한 도시되지 않은 시계를 참조하여, 이 처리의 실행 시점의 일시 데이터를 그 시계로부터 취득하여 그 개시 일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MPU(31)는, 다음에, 도 5a의 S101의 처리에 의해 수취가 검출되어 있었던, 실시 중인 드릴의 소요 시간으로부터, 이 경과 시간의 산출값을 감산하여, 실시 중인 드릴에 대해서 남아 있는 시간(잔여 시간)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MPU(31)는, S207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S208에서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의 레코드를 전술한 순서대로 1개 참조하여, 그 레코드의 전회 해답 시간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시간이, S207의 처리에 의해 산출된 잔여 시간보다도 짧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전회 해답 시간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시간이 잔여 시간보다도 짧고, 그 레코드에 의해 특정되는 시험 문제의 해답에 시간적 여유가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20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여기서, MPU(31)는 전회 해답 시간 데이터로 나타내어져 있는 시간이 잔여 시간 이상의 길이이며, 그 레코드에 의해 특정되는 시험 문제의 해답에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21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209에서는, 우선, 드릴 DB(53)를 참조하여, S208의 처리에 의해 참조한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의 레코드의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있는 문제 데이터와 선택지 1 내지 선택지 4의 각 데이터와 정답 데이터를 판독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이 문제 ID와 함께, 이들의 판독된 데이터를, S114(도 5b)의 판정 처리에서 수신이 검출된 학생 ID의 발신원의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어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210에서는, S209의 처리에서의 각 데이터 수신인의 학생 단말기(60)로부터 LAN(70)을 통해서 보내져 오는, 학생 ID, 문제 ID, 해답 및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에 수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리고, 이들의 데이터가 인터페이스 장치(37)에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해답 데이터는, 문제 ID에 의해 특정되는 문제에 대한, 학생 단말기(60)의 사용자인 학생의 해답을 나타내고 있고, 해답 시간 데이터는, 그 문제에 대한 해결을 그 학생이 개시하고 나서 그 해답을 도출할 때까지 필요로 한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21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들의 데이터의 수신을 검출할 때까지, S2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211에서는, S210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데이터 중의 해답 및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를, S208의 처리에 의해 참조한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의 레코드(수신된 문제 ID를 포함하고 있는 레코드)에 저장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또한, 이들의 해답 데이터 및 해답 시간 데이터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서는, 각각, 금회 해답 데이터 및 금회 해답 시간 데이터로서 기록된다.
다음에, S212에서는, S210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해답 데이터의 정오 판정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또한, 이 정오의 판정은, 그 해답 데이터와, 드릴 DB(53)에서, S210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문제 ID에 대응지어져 저장되어 있는 정답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S213에서는, S212의 정오 판정 처리의 결과를,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 있어서의 금회 정오 데이터로서 저장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214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S212의 정오 판정 처리의 결과를, S210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문제 ID의 발신원의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어,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215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가, 다음 문제의 송부 요구를, S214의 처리에서 정오의 판정 처리의 결과를 송부한 학생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다음 문제의 송부 요구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21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다음 문제의 송부 요구를 아직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 S215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216에서는,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58)에, 지금까지 참조하고 있었던 레코드에 이어지는 다음 순번의 레코드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다음 순번의 레코드가 남아 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207로 처리를 복귀시키고, 그 순번의 레코드에 대한 S207의 처리를 행한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다음 순번의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21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217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잔여 시간에 추가하는 시험 문제의 실시 종료의 지시를, S114(도 5b)의 판정 처리에서 수신이 검출된 학생 ID의 발신원의 학생 단말기(60)에 보내어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처리를 종료하면, 이 문제 추가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까지의 처리가 문제 추가 제어 처리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드릴 실시 제어 처리에서의 S121의 처리인,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우선, S301에서는,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카테고리가, 각 학생의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또한,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카테고리는, 드릴 DB(53)에서, 도 5a의 S108의 처리에서 시험 문제의 데이터를 판독한 레코드가 속해 있었던 카테고리이다. 여기서, MPU(31)는, 당해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는(판정 결과가 "예"인)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대해서는, S30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그 카테고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대해서는, S3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302에서는,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카테고리를,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추가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303에서는,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드릴 ID가, 각 학생의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그 드릴 ID가 포함되어 있는(판정 결과가 "예"인)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대해서는, S3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그 드릴 I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판정 결과가 "아니오"인)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대해서는, S3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304에서는,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드릴 ID를,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서의,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드릴 ID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305에서는, 금회 실시된 드릴 실시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서의, 그 드릴에 대한 드릴 ID에 속하는 레코드로서 추가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306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우선, 각 학생에 대한 학생 해답 DB(55)를 참조하여 거기서 보유 지지되어 있는 정오 데이터를 계수하고,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출제수 및 정답수를 구하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MPU(31)는, 그 정답수를 그 출제수로 제산하여, 금회 실시된 드릴에 대한 각 학생의 정답률을 산출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 후, MPU(31)는, 각 학생에 대해서 산출된 정답률을, S305의 처리에서 추가한 레코드에서의 정답률 데이터로서, 카테고리별 성적 DB(56)에 저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MPU(31)는, S306에서는 이상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S306의 처리를 행하는 MPU(31)는, 도 1의 시험 실시 지원 장치(1)에 있어서의 산출부(15)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S306의 처리를 종료하면,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까지의 처리가 카테고리별 성적 DB 등록 제어 처리이다.
다음으로, 학생 단말기(60)에서 행해지는 드릴 참가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드릴 참가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드릴 참가 제어 처리는, 전술한 드릴 실시 제어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교사 단말기(50)에 의해 실시되는 드릴에서 출제되는 시험 문제에 대해, 학생이 도출한 해답을 교사 단말기(50)에 송부하고, 그 해답의 정오를 포함하는 그 드릴 결과를 그 학생에게 제시하는 처리이다.
이 드릴 참가 제어 처리는, 학생 단말기(60)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30)의 MPU(31)에 의해 행해진다. MPU(31)는, 학생에 의한 학생 단말기(60)의 입력 장치(35)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실행 개시 지시가 행해진 것을 검출하면, 기억 장치(34)의 드릴 참가 프로그램(61)을 판독하여 실행한다. 그러면, MPU(31)는, 이 드릴 참가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도 8a에 있어서, 우선, S401에서는, 도 5a의 S102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학생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요구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LAN(70)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 요구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 요구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 요구의 수신을 검출할 때까지, S40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402에서는, 학생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입력을 학생에 대해서 촉구하는 입력 화면을, 학생 단말기(60)의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03에서는, S402의 처리에 의한 입력 화면의 표시에 따른 학생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입력을, 학생 단말기(60)의 입력 장치(35)가 검출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들의 입력이 검출될 때까지, S403의 처리를 반복한다.
S404에서는,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입력 장치(35)에의 입력이 검출된 학생 ID 및 패스워드를, 교사 단말기(5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05에서는,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S404의 처리에 의한 학생 ID 및 패스워드의 송신에 대해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인증 처리의 결과를 LAN(70)으로부터 수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06에서는, S405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인증 처리의 결과가 인증 실패이었던 것인지 여부(즉, 전술한 에러 통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인증 결과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40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407에서는, 소정의 에러 통지의 화면을 학생 단말기(60)의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킴과 함께, 학생 ID 및 패스워드에 대한 입력을 학생에 대해서 촉구하는 전술한 입력 화면을, 그 표시 장치(36)에 다시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그 후, MPU(31)는, 이 S407의 처리를 종료하였을 때에는, S403으로 처리를 복귀시켜 상술한 처리를 다시 행한다.
다음에, S408에서는,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도 5a의 S108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각종의 데이터를 LAN(70)으로부터 수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또한, 이 처리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드릴 ID, 문제 ID 및 문제의 데이터 및 선택지 1 내지 선택지 4의 각 데이터이다.
다음에, S409에서는, S408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드릴 ID, 문제 ID 및 문제의 데이터와 선택지 1 내지 선택지 4의 각 데이터를 수신 문제 테이블(62)에 저장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10에서는,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가, 도 5a의 S110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드릴 개시 지시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드릴 개시 지시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11(도 8b)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드릴 개시 지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드릴 개시 지시의 수신이 검출될 때까지, 이 S4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8b로 처리가 진행되고, S411에서는,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가, 도 5b의 S119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드릴 종료 지시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드릴 종료 지시를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1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드릴 개시 지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41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412에서는,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가, 도 5b의 S115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술한 드릴 결과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그 드릴 결과가 수신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1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드릴 결과가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드릴 결과의 수신이 검출될 때까지, 이 S412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413에서는, S412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드릴 결과와, 수신 문제 테이블(62)을 사용하여,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드릴 결과의 표시 화면을 작성하여 학생 단말기(60)의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S413의 처리를 종료하면, 이 드릴 참가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도 9의 화면예 중, 「문제 ID」, 「문제」, 「당신의 해답」, 「정답」 및 「정오」의 데이터는, S412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드릴 결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표시 화면 중 「당신의 해답」 및 「정답」의 항목에 표시되어 있는 괄호 내의 정보는, 수신 문제 테이블(62)에 있어서의 선택지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다음에, S414에서는, 수신 문제 테이블(62)로부터, 미출제인[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지 않음]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1개 취출하고, 그 시험 문제를 학생에게 제시하기 위한 문제 제시 화면을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도 10은, 이 문제 제시 화면의 화면예이다. 이 화면예에서는,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어 있는 문제 ID, 문제 및 선택지의 각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에는 학생이 해답을 선택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이 선택지에 부여되어 있고, 또한 「해답 송신」 버튼, 「클리어」 버튼 및 「드릴 완료」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클리어」 버튼은, 라디오 버튼에 의한 선택지의 선택을 일단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에, S415에서는,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시험 문제의 해답 시간을 계측하기 위해, MPU(31) 자신이 갖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의 계시 동작을 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16에서는, S414의 처리에 의한 문제 제시 화면의 표시에 따른 선택지의 선택 조작 및 「해답 송신」 버튼의 압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학생 단말기(60)의 입력 장치(35)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그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1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입력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입력이 검출될 때까지, 이 S416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417에서는, S415의 처리에서 계시 동작을 개시시킨 타이머를 정지시켜,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시험 문제의 해답 시간의 계측을 종료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18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문제에 대해서 학생이 도출한 해답의 정보를, 교사 단말기(5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처리에서 송신되는 해답의 정보에는,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시험 문제의 문제 ID, 입력 장치(35)에의 선택 조작으로 학생이 선택한 선택지, S403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검출된 학생 ID 및 S417의 처리에 의해 계측된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해답의 정보는 교사 단말기(50)가, 도 5b의 S112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신한다.
다음에, S419에서는, S414의 처리에 의한 문제 제시 화면의 표시에 따른 「드릴 완료 버튼」의 압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학생 단말기(60)의 입력 장치(35)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그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20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입력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411로 처리를 복귀시키고, 상술한 S41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420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전술한 소정의 드릴 완료 통지와, S403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검출된 학생 ID를 교사 단말기(5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송신되는 드릴 완료 통지 및 학생 ID는, 교사 단말기(50)가, 도 5b의 S114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신한다.
다음에, S421에서는, 도 5b의 S115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전술한 드릴 결과를,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그 드릴 결과가 수신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42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드릴 결과가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드릴 결과의 수신이 검출될 때까지, 이 S42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422에서는, S421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드릴 결과와, 수신 문제 테이블(62)을 사용하여,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드릴 결과의 표시 화면을 작성하여 학생 단말기(60)의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423에서는,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는, 문제 추가 제어 처리를 행하는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추가의 시험 문제에 대해서 학생이 도출한 해답을 교사 단말기(50)에 송부하고, 그 해답의 정오를 그 학생에게 제시하는 처리이다. 이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의 상세는 다음으로 설명한다.
이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가 종료되면, 이 드릴 참가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까지의 처리가 드릴 참가 제어 처리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드릴 참가 제어 처리에서의 도 8b의 S423의 처리인,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의 처리 내용을 도해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에 있어서, 우선, S501에서는, 도 6b의 S217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잔여 시간에 추가하는 시험 문제의 실시 종료의 지시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LAN(70)으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 지시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이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를 즉시 종료한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 지시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는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S50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다음에, S502에서는, 도 6b의 S209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잔여 시간에 추가로 실시하는 시험 문제의 문제 ID, 문제 및 각 선택지의 각종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50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이들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이들의 데이터의 수신이 검출될 때까지, S502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503에서는, S502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추가의 시험 문제를 학생에게 제시하기 위한 추가 문제 제시 화면을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도 12는, 이 추가 문제 제시 화면의 화면예이다. 이 화면예에서는, S502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문제 ID, 문제 및 선택지의 각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에는, 학생이 해답을 선택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이 선택지의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고, 또한 「해답 송신」 버튼 및 「클리어」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클리어」 버튼은, 라디오 버튼에 의한 선택지의 선택을 일단 해제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에, S504에서는,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시험 문제의 해답 시간을 계측하기 위해, MPU(31) 자신이 갖고 있는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의 계시 동작을 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505에서는, S503의 처리에 의한 추가 문제 제시 화면의 표시에 따른 선택지의 선택 조작 및 「해답 송신」 버튼의 압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학생 단말기(60)의 입력 장치(35)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그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506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입력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입력이 검출될 때까지, 이 S505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506에서는, S504의 처리에서 계시 동작을 개시시킨 타이머를 정지시켜,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시험 문제의 해답 시간의 계측을 종료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다음에, S507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추가 시험 문제에 대해서 학생이 도출한 해답의 정보를, 교사 단말기(5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이 처리에서 송신되는 해답의 정보에는,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시험 문제의 문제 ID, 입력 장치(35)에의 선택 조작으로 학생이 선택한 선택지, 도 8a의 S403의 처리에 의해 입력이 검출된 학생 ID 및 S417의 처리에 의해 계측된 해답 시간의 각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해답의 정보는 교사 단말기(50)가, 도 6b의 S210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신한다.
다음에, S508에서는, 도 6b의 S214의 처리를 행한 교사 단말기(50)로부터 보내져 오는, 표시 장치(36)에서 표시 중 추가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에 대한 정오의 판정 결과를, 학생 단말기(60)의 인터페이스 장치(37)가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MPU(31)는, 여기서, 그 정오의 판정 결과가 수신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50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정오의 판정 결과가 수신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정오의 판정 결과의 수신이 검출될 때까지, 이 S508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509에서는, S508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정오의 판정 결과와, 수신 문제 테이블(62)을 사용하여, 도 1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추가 시험 문제의 해답 결과의 표시 화면을 작성하여 학생 단말기(60)의 표시 장치(36)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도 13의 화면예에서는, 도 12에 예시한 추가 문제 제시 화면으로부터, 「해답 송신」 버튼 및 「클리어」 버튼이 삭제되어 있고, 대신에, 학생이 도출한 해답, 그 해답의 정오 판정 결과 및 S502의 처리에 의해 수신이 검출된 정답의 각 데이터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예에는, 「다음 문제로」 버튼이 추가되어 있다.
다음에, S510에서는, S509의 처리에 의한 해답 결과의 표시 화면의 표시에 따른 「다음 문제로」 버튼의 압하 조작에 대응하는 입력을, 학생 단말기(60)의 입력 장치(35)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MPU(31)가 행한다. 여기서, MPU(31)는, 그 입력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예"일 때)에는, S51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MPU(31)는, 여기서, 그 입력이 검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였을 때(판정 결과가 "아니오"일 때)에는, 그 입력이 검출될 때까지, 이 S510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S511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37)를 제어하여, 다음 문제의 송부 요구를, 교사 단말기(50)를 수신인으로서 LAN(70)에 송신시키는 처리를 MPU(31)가 행하고, 그 후는, 이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이 송부 요구는 교사 단말기(50)가, 도 6b의 S215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신한다.
이상까지의 처리가 추가 문제 실시 제어 처리이다.
교사 단말기(50) 및 학생 단말기(60)가, 이상까지 설명한 각종의 제어 처리를 각각 행함으로써, 학생의 금회 정답률이, 그 학생의 어떤 카테고리에 대한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학생의 금회 정답률이 상기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당해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험 문제의, 그 학생에의 추가 출제가 행해진다.
1 : 시험 실시 지원 장치
2 : 수험자 단말기
11 : 문제 DB
12 : 문제 출력부
13 : 해답 취득부
14 : 정오 판정부
15 : 산출부
16 : 판정부
21 : 해답 상황 DB
30 : 컴퓨터
31 : MPU
32 : ROM
33 : RAM
34 : 기억 장치
35 : 입력 장치
36 : 표시 장치
37 : 인터페이스 장치
38 : 기록 매체 구동 장치
39 : 버스 라인
40 : 가반형 기록 매체
50 : 교사 단말기
51 : 드릴 실시 프로그램
52 : 학생 DB
53 : 드릴 DB
54 : 드릴 개시 시각 테이블
55 : 학생 해답 DB
56 : 카테고리별 성적 DB
57 : 조건 DB
58 : 잔여 시간 실시 드릴 테이블
60 : 학생 단말기
61 : 드릴 참가 프로그램
62 : 수신 문제 테이블
70 : LAN

Claims (19)

  1.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
    상기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시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된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상기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문제 출력부,
    상기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상기 수험자의 해답을 취득하는 해답 취득부,
    취득한 상기 해답의 정오(正誤)의 판정을 행하는 정오 판정부,
    상기 해답의 정오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험자에 대해서 상기 소정의 분야의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하는 산출부, 및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관한 상기 수험자의 상기 정답률 및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량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산출부가 산출한 정답률은 상기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또한,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의 실시 일시가 저장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정답률의 산출에 이용한 시험 문제의 제1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2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의 변동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1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문제 출력부는, 상기 정답률의 변동이 상기 제1 변동인 경우에는,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상기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오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한 그 시험 문제를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출력부는,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을 종료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이 있는 경우에만, 그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수험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수험자 단말기에서 상기 문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시험 문제가 표시되고 나서 해답이 입력될 때까지의 해답 시간이, 그 문제 식별자에게 대응지어 저장되고,
    상기 해답 취득부는, 상기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해답 시간을 또한 취득하고,
    상기 문제 출력부는, 상기 정답률의 산출에 사용한 시험 문제의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 중,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잔여 시간 이하인 해답 시간이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한 그 시험 문제를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실시 지원 장치.
  5. 컴퓨터가,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에 송부하고,
    상기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의 정오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해답의 정오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험자에 대한 상기 소정의 분야의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시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된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관한 상기 수험자의 상기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정답률 및 상기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량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산출한 정답률은 상기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정답률의 산출에 이용한 시험 문제의 제1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2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의 변동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1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답률의 변동이 상기 제1 변동인 경우에는,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상기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오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한 그 시험 문제를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고,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또한,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의 실시 일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실시 지원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을 종료할 때까지의 잔여 시간이 있는 경우에만, 그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수험자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 실시 지원 방법.
  8. 컴퓨터에 수험자의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을 분석시키는 시험 실시 지원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기억 매체로서,
    상기 시험 실시 지원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에,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되는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복수 저장되어 있는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진 시험 문제를 추출하여, 수험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험자 단말기에 송부하고,
    상기 수험자 단말기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의 정오의 판정을 행하고,
    상기 해답의 정오의 판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험자에 대한 상기 소정의 분야의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산출하고,
    상기 소정의 분야의 시험 문제가 실시된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시험 문제를 식별하는 문제 식별자, 수험자를 식별하는 수험자 식별자 및 그 수험자의 그 시험 문제의 해답 상황이 저장된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소정 분야의 특정한 실시 구분에 있어서의 시험 문제에 관한 상기 수험자의 상기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정답률 및 상기 산출한 정답률로부터 그 수험자의 정답률의 변동을 산출하고, 그 정답률의 변동량이 소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산출한 정답률은 상기 수험자의 이해도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정답률의 산출에 이용한 시험 문제의 제1 실시 구분의 실시 일시에 가장 가까운 실시 일시가 대응지어진 제2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의 정답률을 특정하고, 그 특정한 제2 실시 구분의 정답률로부터 그 제1 실시 구분의 정답률에의 변동이 소정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1 변동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정답률의 변동이 상기 제1 변동인 경우에는,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상기 제1 실시 구분과는 다른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지고, 또한, 상기 수험자의 해답 상황이 오답인 시험 문제를 특정하고, 특정한 그 시험 문제를 상기 문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실행시키고,
    상기 해답 상황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실시 구분으로 대응지어, 또한, 상기 동일한 실시 구분의 시험 문제를 포함하는 시험의 실시 일시가 저장되는 기억 매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37026593A 2011-03-16 2011-03-16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666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6316 WO2012124096A1 (ja) 2011-03-16 2011-03-16 試験実施支援装置、試験実施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194A KR20150007194A (ko) 2015-01-20
KR101666264B1 true KR101666264B1 (ko) 2016-10-13

Family

ID=4683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593A KR101666264B1 (ko) 2011-03-16 2011-03-16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3540B2 (ko)
JP (1) JP5825340B2 (ko)
KR (1) KR101666264B1 (ko)
WO (1) WO2012124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9512B1 (en) * 2015-06-30 2020-06-09 Terry Yang Online test taking and study guide system and method
US20170116870A1 (en) * 2015-10-21 2017-04-27 Duolingo, Inc. Automatic test personalization
US20170308830A1 (en) * 2016-04-21 2017-10-26 Albert Navarra Happiness indicator system
US10643488B2 (en) * 2016-06-23 2020-05-05 Lystnr, Llc System and method of assessing depth-of-understanding
CN111783855A (zh) * 2020-06-18 2020-10-16 广州以太教育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阅卷方法及装置
CN112732868B (zh) * 2020-12-30 2023-04-07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解答题的答案分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550A (ja) * 2003-08-08 2005-03-03 Hitachi Ltd オンライン学習支援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2556B2 (ja) 1994-06-09 1999-06-07 株式会社学習研究社 問題作成装置
JP2000147991A (ja) * 1998-11-18 2000-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学習支援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JP4320818B2 (ja) * 1999-02-04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装置とその記録媒体
JP2002091282A (ja) * 2000-09-20 2002-03-27 Ricoh Co Ltd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020023519A (ko) * 2000-09-22 2002-03-29 이예범 웹 자격증 시험에서 문제 은행식 평가 및 동일 난이도유지를 위한 모듈 장치 및 그 방법
AU2002361082A1 (en) 2001-12-12 2003-06-23 Hogakukan Co., Ltd. Exercise setting system
JP2007017572A (ja) 2005-07-06 2007-01-25 Rion Co Ltd 外国語学習装置、外国語学習方法、外国語学習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4137134B2 (ja) 2006-03-15 2008-08-20 株式会社ジェイシー教育研究所 学習情報処理装置、学習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123209A (ko) * 2009-05-14 2010-11-24 윤주웅 온라인 학습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그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5550A (ja) * 2003-08-08 2005-03-03 Hitachi Ltd オンライン学習支援装置及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토익 점수가 갑자기 오르면 토익위원회에서 정확하게 어떻게 조사를 한다는 건가요?. 네이버 사이트 지식iN. 2008.02.04., [2015.09.18. 검색] 인터넷 http://kin.naver.c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24096A1 (ja) 2014-07-17
WO2012124096A1 (ja) 2012-09-20
US9613540B2 (en) 2017-04-04
JP5825340B2 (ja) 2015-12-02
KR20150007194A (ko) 2015-01-20
US20140017655A1 (en)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6440B2 (en) Question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66264B1 (ko) 시험 실시 지원 장치, 시험 실시 지원 방법 및 기억 매체
Allen et al. Fidelity and its relationship to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adaptation, and dissemination
KR101451059B1 (ko) 출제 장치
Disler et al. Delivering a large cohort simulation-beginning nursing students' experience: a pre-post survey
JP6276836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Guhde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interdisciplinary critical incident verbal reports
US20140011177A1 (en) Examination conducting support device, examination conducting suppor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ith examination conducting support method program stored
JP6489723B1 (ja) 学習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31551B2 (ja) 学習支援装置、プログラム、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システム
JP20191173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839207A (zh) 一种分析学习者学习活动的设备和方法及其对应的介质
JP6644315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自己採点支援方法
JP2013076754A (ja) 試験装置、問題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RU2579725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и тренинга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 важных качеств инженерно-технических работников
JP7322915B2 (ja) 採点者評価システム、採点者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141056A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41498B2 (ja) 学習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onnolly et al. Resident physician burnout: creating an institutional system to detect, identify, and mitigate symptoms
KR100826551B1 (ko) 수험 시간관리 시계 및 이를 이용한 수험 시간관리 시스템
JP5169342B2 (ja) スキル評価システム、スキル評価方法及びスキル評価プログラム
KR20160052900A (ko) 도형을 이용한 심리상담 방법
JP599404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Cuomo et al. A Mathematical Formulation for Estimating Age Levels in the Carolina Curricul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