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34B1 -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 Google Patents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34B1
KR101450734B1 KR1020140028107A KR20140028107A KR101450734B1 KR 101450734 B1 KR101450734 B1 KR 101450734B1 KR 1020140028107 A KR1020140028107 A KR 1020140028107A KR 20140028107 A KR20140028107 A KR 20140028107A KR 101450734 B1 KR101450734 B1 KR 101450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sensor
center frame
insulator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김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동 filed Critical 김기동
Priority to KR102014002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6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은 전선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완충, 흡수 및 감쇠하여 완금의 손상을 방지한다.
완금은 바람 등의 기후의 변화로 전선에 요동이 발생되면, 전후좌우, 상하 방향으로 발생되는 전선의 진동 및 충격을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완충 및 흡수하여 애자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완금 상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Supporting Bar for Maintaining Stable Fixing of Distribution Line with High Voltage}
본 발명은 특고압 송배전선에 장착되는 완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 눈, 비 등의 기후의 변화로 전선에 요동과 하중이 발생되면, 상하좌우 방향으로 발생되는 전선의 진동과 충격을 유압실린더가 포함된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완충과 흡수하여 완금의 손상을 방지하는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완금의 기능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특고압의 전기를 공급하는 특고압 배전선(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애자(20)에 의해 철탑(30)에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지지된다.
이러한 배전선(10)은 산과 같이,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을 통과하도록 설치하게 되어 바람에 의해 요동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이러한 배전선(10)에 설치된 절연애자(20)는 탄성이 없는 도자재질로 구성되어 배전선(10)이 요동쳐 발생하는 진동이 흡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데 이로 인해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할 경우, 절연애자(20) 자체가 손상되거나 절연애자(20)와 배전선(10)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배전선(10)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 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에 따라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배전선(10)이 상하로 흔들리게 되어 배전선(10)의 요동을 감쇄시키지 못함에 따라 배전선(10)이 공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 및 충격이 점차 증가되어 배전선(10), 절연애자(20), 심하게는 철탑(30) 자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배전선(10)은 유동을 하게 되고 배전선(10)이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이나 진동이 절연애자(2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절연애자(20)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심하게 완금 상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000950호(등록일: 2010년 12월 7일), 발명의 명칭: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람 등의 기후의 변화로 철탑에 설치된 전선에 요동이 발생되면, 전선의 진동 및 충격을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완충 및 흡수하여 완금의 손상을 방지하는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100)은,
전신주(10)의 상면에 수평 설치되는 암부재(140, 142)와, 일단이 전선(111)에 장착되고 타단이 쇄클(132)에 설치되는 애자(122)와, 상기 암부재(140, 142)의 상면에 장착되어 기온 및 풍력 변환에 따른 전선(110, 111)의 수축 또는 팽창되는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200)와, 상기 각 애자(120, 122)에 고정된 전선(110, 111) 간에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가 이송될 수 있게 연결되는 통전선(2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20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의 중공부가 형성된 중심프레임(210)과,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좌측에 제1 유압실린더(300)와 우측에 제2 유압실린더(310)가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텐셔너폴리(222)가 형성되고, 상기 텐셔너폴리(222)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텐셔너폴리(222)가 외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내부스프링(224)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프레임(210)에 형성된 텐션너(220)와, 상기 중심프레임(210)가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중심프레임(21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가 관통하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의 지지대(321, 331)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230)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의 프레임(322, 332)은 상기 쇄클(130, 132)를 통해 상기 애자(120, 1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의 프레임(322)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1 유압실린더(300)의 제1 축(302)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직선 방향으로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의 제3 축(324)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4 유압실린더(330)의 프레임(332)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2 유압실린더(310)의 제2 축(312)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직선 방향으로 상기 제4 유압실린더(330)의 제4 축(334)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1 암부재(140)의 상부면 일측에는 랙기어(150)가 피니언기어(152)와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52)에 구동모터(15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150)의 끝단에 연장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슬라이딩 관체(155)에 삽설된 타격봉(156)을 결합되며, 상기 타격봉(156)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타격봉(156)의 타격에 의해 음파를 발생하는 울림통(157)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암부재(142)의 상부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엘이디소자(160)가 구비되고, 일측에 빛의 유무를 판단하는 감광센서(162)가 구비된 엘이디 발광부(163)가 형성되며,
상기 암부재(140, 142)의 일측에 감광센서(162), 압력센서(170), 센서신호수신부(172)와, 상기 센서신호수신부(172)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이디 발광부(163)와 상기 구동모터(158)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광센서(162)로부터 빛의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그 신호를 전달받아 빛의 유무를 판단하고, 주간이고 상기 압력센서(170)에 의해 압력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158)를 작동시켜 상기 타격봉(156)이 상기 울림통(158)을 타격하여 음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야간인 경우 상기 엘이디 발광부(163)의 작동을 수행하여 빛을 발광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바람이나 기온의 변화 등으로 전선의 요동이 발생되면, 전선이 요동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쇠하거나 흡수하여 전선, 애자 및 철탑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람이 강하게 부는 경우, 전선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애자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완금 상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금의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금에 구축된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장치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센서들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전신주에 설치된 전선은 기온 또는 기후의 변화로 요동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전선에 연결된 애자, 철탑, 전신주 등에 진동 및 충격을 전달하여 애자, 전선, 철탑이 손상되거나 기능이 상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은 전선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장력조절장치에 의해 완충, 흡수 및 감쇠하여 완금의 손상을 방지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금의 장력조절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장치에 사용되는 유압실린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100)은 전신주(10)에 설치되어 전선(110, 111)을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완금은 애자(120)를 매개로 전선(110, 111)을 고정한다.
애자(120)는 전선(110, 111)을 통과하는 특고압의 전류가 전신주(10)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종 유도전류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신주(10)에 애자(120)로 고정된 전선(110)은 이웃하는 전선(111)과의 통전을 위해 전신주(10) 및 완금(100)과 접하지 않도록 바이패스되는 통전선(20)을 연결한다.
한편, 애자(120)는 쇄클(130, 132)을 매개로 완금(100)에 고정된다.
완금(100)은 전신주(10)의 상면에 수평 설치되는 암부재(140, 142)와, 일단이 전선(111)에 장착되고 타단이 쇄클(132)에 설치되는 애자(122)와, 암부재(140, 142)의 상면에 장착되어 기온 및 풍력 변환에 따른 전선(110, 111)의 수축 또는 팽창되는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200)와, 각 애자(120, 122)에 고정된 전선(110, 111) 간에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가 이송될 수 있게 연결되는 통전선(20)를 포함한다.
암부재는 금속 재질에 바(Bar)로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상태로 제1 암부재(140)와 제2 암부재(142)로 한 쌍으로 설치된다.
애자(120)와 애자(122) 사이에는 고압의 전류가 이송될 수 있도록 통전선(20)이 설치하여 연결시켜 준다.
장력조절장치(20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의 중공부가 형성된 중심프레임(210)과, 중심프레임(210)에 형성된 텐션너(220)를 포함하고, 텐션너(22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제1 유압실린더(300)와 제2 유압실린더(310)가 체결된다.
텐션너(220)는 일단이 중심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좌측과 우측에 제1 유압실린더(300)와 제2 유압실린더(310)의 지지대(301, 311)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텐셔너폴리(222)가 형성되고, 텐셔너폴리(222)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텐셔너폴리(222)가 외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내부스프링(224)이 형성된다.
지지프레임(211)은 중심프레임(210)가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중심프레임(21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가 관통하고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의 지지대(321, 331)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230)이 설치된다.
지지판(212)은 제1 암부재(140)와 제2 암부재(142)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된 판 형상으로 지지프레임(211)의 하부면에 결합하여 지지프레임(211)을 지지한다.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의 프레임(322, 332)은 쇄클(130, 132)를 통해 애자(120, 1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3 유압실린더(320)의 프레임(322)은 사선 방향으로 제1 유압실린더(300)의 제1 축(302)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직선 방향으로 제3 유압실린더(320)의 제3 축(324)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4 유압실린더(330)의 프레임(332)은 사선 방향으로 제2 유압실린더(310)의 제2 축(312)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직선 방향으로 제4 유압실린더(330)의 제4 축(334)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 유압실린더(300), 제2 유압실린더(310), 제3 유압실린더(320) 및 제4 유압실린더(330)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하나의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를 일례로 들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됨).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는 원형의 실린더 본체(340)가 구성되며, 실린더 본체(340)는 내부에 중공 형태의 유압실(341)을 형성한다.
실린더 본체(340)를 중심으로 상단측에는 오링밸브(342)를 구비한 피스톤(343)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피스톤(343)은 축(344)에 결합되어 실린더 본체(340)를 밀폐하는 오링(345)을 구비한 커버(346)에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343)의 일측에는 오일을 주입할 수 있는 오일출입구(347)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압실(341)은 오일이 저장된 상태로 오일출입구(347)를 통해서 오일이 유입되어 유압실(341)에서 피스톤(343)의 왕복 시간을 조절한다.
실린더 본체(340)의 하단측으로는 오링(345)을 구비한 커버(346)에 의해 실린더 본체(340)의 하단을 밀폐하게 된다.
실린더 본체(340)의 상단측에 위치한 커버(346)에는 오일리테이너(348)가 구비된다.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의 실린더 본체(340)는 상하부가 커버(346)로 밀폐하고 내부에 중공 형태를 갖는다.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는 오일이 충전되는 실린더 본체(340)의 내부에 유압실(341)이 형성되며, 유압실(341)의 내부에는 피스톤(343)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고, 피스톤(343)의 일측에는 오링밸브(342)가 탄력적으로 구성되고, 피스톤(343)은 축(344)에 결합된다.
실린더 본체(34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측로드(350)가 형성하되,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로 상부에는 일정한 소내경(352)을 가지면서 소내경(352)의 직경보다 소정 기울기로 증감하는 확장부(354)로 직경이 서로 다른 원통이 연통되어 형성된다.
내측로드(350)는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는 소내경(352)과 확경부(356)로 구성되며, 소내경(352)과 확경부(356)를 연결하는 확장부(354)가 존재한다.
소내경(35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유압실(341)에서 상부측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소내경(352)의 내측로드(350)를 따라 소정의 부분에서 소정 기울기로 증감하는 확장부(354)가 이어지면서 확장부(354)로부터 내측로드(350)가 확장된 확경부(356)로 형성된다. 소내경(352)과 확경부(356)는 직경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소내경(352)은 해당 공간에 스프링(349)을 형성하여 피스톤(343)이 접촉시 저항력을 발생시켜 피스톤(343)의 이동을 방해한다.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의 피스톤(343)은 내측로드(350)를 따라 왕복하고 소내경(352)에서 느린 속도로 이동하며, 확장부(354)를 진입 후 확경부(356)에서 순간 가속되어 빠르게 전진한다.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에 구성된 피스톤(343)이 후진하면 피스톤(343) 내 오일출입구(347)에서 소량의 오일이 방출되면서 피스톤(343)이 소내경(352)에서 느린 속도로 서서히 이동하다가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의 확경부(356)로 확장된다.
이때, 피스톤(343)은 내측로드(350)를 따라 이동하면서 피스톤(343)에 구성된 오링밸브(342)의 간극이 커져 오일의 양이 많이 배출되어 빠르게 이동된다.
여기서, 내측로드(350)를 따라 진행하는 유압실린더(300, 310, 320, 330)의 피스톤(343)은 오일출입구(347) 측으로 주입되는 유압 오일양에 의해 진행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선(110, 111)이 바람, 기온 등의 환경 요인으로 하방으로 늘어지는 경우, 확경부(356)로 진입하여 압축되어 있던 피스톤(343)이 피스톤(343) 내 오일출입구(347)에서 오일이 방출되면서 피스톤(343)이 확장부(354)를 거쳐 소내경(352) 측으로 서서히 이동된다.
바람, 기온 등의 환경 요인으로 전선(110, 111)에 가해졌던 압력이 없어지는 경우, 즉 유압 실린더(300, 310, 320, 330)에 가해졌던 압력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있던 피스톤(343)이 피스톤(343) 내 오일출입구(347)에서 오일이 방출되면서 소내경(352)에서 느린 속도로 이동하고 확장부(354)를 거쳐 확경부(356)로 순간 가속되어 빠르게 이동된다.
피스톤(343)이 확경부(356)로 진입하여 압축되면, 전선(110, 111)은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이다.
애자(120)에 연결된 쇄클(130)은 사선 방향으로 제1 유압실린더(300)와 직선 방향으로 제3 유압실린더(32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전선(110), 애자(120) 및 쇄클(130)이 하방으로 잡아 당겨지면, 제1 유압실린더(300)와 제3 유압실린더(320)에 의해 전선(110), 애자(120) 및 쇄클(130)의 장력이 조절되어 전선(110), 애자(120) 및 쇄클(130)이 하방으로 늘어지지 않거나 늘어지는 정도가 약하게 된다.
제1 유압실린더(300)와 제3 유압실린더(320)는 전선(110), 애자(120) 및 쇄클(130)이 하방으로 늘어진 경우, 전선(110), 애자(120) 및 쇄클(130)을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당겨지게 된다.
애자(122)에 연결된 쇄클(132)은 사선 방향으로 제2 유압실린더(310)와 직선 방향으로 제4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전선(111), 애자(122) 및 쇄클(132)이 하방으로 잡아 당겨지면, 제2 유압실린더(310)와 제4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전선(111), 애자(122) 및 쇄클(132)의 장력이 조절되어 전선(111), 애자(122) 및 쇄클(132)이 하방으로 늘어지지 않거나 늘어지는 정도가 약하게 된다.
제2 유압실린더(310)와 제4 유압실린더(330)는 전선(111), 애자(122) 및 쇄클(132)이 하방으로 늘어진 경우, 전선(111), 애자(122) 및 쇄클(132)을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당겨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금에 구축된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장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와 센서들의 동작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 암부재(140)의 상부면 일측에는 랙기어(150)가 피니언기어(152)와 맞물려 설치되고, 피니언기어(152)에 구동모터(154)가 연결되어 있으며, 랙기어(150)의 끝단에 연장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슬라이딩 관체(155)에 삽설된 타격봉(156)을 결합된다.
제1 암부재(150)의 상부면 일측에는 타격봉(156)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타격봉(156)의 타격에 의해 음파를 발생하는 울림통(157)이 설치된다.
타격봉(156)은 자체 반동 및 탄발력에 의해 수차례 타격을 반복하게 되고 점차 반동 및 탄발력이 약해지면서 울림통(157)의 외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울림통(157)의 공명음파는 타격 종료 후에 계속 발진하게 되므로 울림통(157)의 개구부를 상측으로 한 경우 공중으로 강하게 음향이 발진한다.
타격 강도나 타격 횟수는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타격음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제2 암부재(142)의 상부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엘이디소자(163)가 구비되고, 일측에 빛의 유무를 판단하는 감광센서(162)가 구비된 엘이디 발광부(160)가 형성된다.
압력센서(170)는 조류의 접근에 따라 완금(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게 되고, 압력센서(170)의 제어신호를 센서신호수신부(172)가 수신하게 된다. 압력센서(170)는 제1 암부재(140)와 제2 암부재(142)의 하부면, 장력조절장치(200), 애자(120, 122) 일측 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 설치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센서신호수신부(172)는 수신 여부를 제어부(180)로 통신하게 되며, 통신을 받은 제어부(180)는 구동모터(158)에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모터(158)를 구동한다.
이때, 구동모터(158)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기어(152)가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기어(152)가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152)가 맞물려 있는 랙기어(150)가 직선 왕복 운동하며 랙기어(150)에 연결된 슬라이딩 관체(155)에 삽설된 타격봉(156)이 울림통(157)을 타격에 의해 음파를 발생한다.
울림통(157)의 타격은 음파에 의해 조류 접근을 방지하게 된다.
제어부(180)는 감광센서(162)로부터 빛의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그 신호를 전달받아 빛의 유무를 판단하고 주간인 경우 엘이디 발광부(163)의 작동을 수행하지 않고 압력센서(17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 구동모터(158)를 작동시켜 타격봉(156)이 울림통(158)을 타격하여 음파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감광센서(162)의 빛의 감지 여부를 판단하여 야간의 경우, 구동모터(158)의 작동을 멈추고 압력센서(17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 구동모터(158)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엘이디 발광부(163)의 작동을 수행하여 조류의 접근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압력센서(170)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를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 울림통(158)의 타격으로 음파의 출력과 동시에 엘이디 발광부(163)를 작동시켜 빛을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완금 110, 111: 전선
120, 122: 애자 130, 132: 쇄클
140, 142: 암부재 150: 랙기어
152: 피니언기어 154: 구동모터
155: 슬라이딩 관체 156: 타격봉
157: 울림통 158: 구동모터
160: 엘이디 발광부 162: 감광센서
163: 엘이디소자 170: 압력센서
172: 센서신호수신부 180: 제어부
200: 장력조절장치 210: 중심프레임
211: 지지프레임 212: 지지판
220: 텐션너 222: 텐셔너폴리
224: 내부스프링 230: 회전판
300: 제1 유압실린더 302: 제1 축
310: 제2 유압실린더 312: 제2 축
320: 제3 유압실린더 322: 프레임
324: 제3 축 330: 제4 유압실린더
332: 프레임 334: 제4 축
340: 실린더 본체 341: 유압실
342: 오링밸브 343: 피스톤
344: 축 345: 오링
346: 커버 347: 오일출입구
348: 오일리테이너 350: 내측로드
352: 소내경 354: 확장부
356: 확경부

Claims (1)

  1. 전신주(10)의 상면에 수평 설치되는 암부재(140, 142)와, 일단이 전선(110, 111)에 장착되고 타단이 쇄클(130, 132)에 설치되는 애자(120, 122)와, 상기 암부재(140, 142)의 상면에 장착되어 기온 및 풍력 변환에 따른 전선(110, 111)의 수축 또는 팽창되는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력조절장치(200)와, 상기 각 애자(120, 122)에 고정된 전선(110, 111) 간에 연결되어 고압의 전류가 이송될 수 있게 연결되는 통전선(20)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조절장치(20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고, 내부의 중공부가 형성된 중심프레임(210)과, 일단이 상기 중심프레임(21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며 좌측에 제1 유압실린더(300)와 우측에 제2 유압실린더(310)가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텐셔너폴리(222)가 형성되고, 상기 텐셔너폴리(222)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상기 텐셔너폴리(222)가 외측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내부스프링(224)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프레임(210)에 형성된 텐션너(220)와, 상기 중심프레임(210)이 안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중심프레임(21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개방구를 통해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가 관통하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의 지지대(321, 331)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판(230)이 설치되며,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와 제4 유압실린더(330)의 프레임(322, 332)은 상기 쇄클(130, 132)를 통해 상기 애자(120, 12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의 프레임(322)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1 유압실린더(300)의 제1 축(302)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직선 방향으로 상기 제3 유압실린더(320)의 제3 축(324)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4 유압실린더(330)의 프레임(332)은 사선 방향으로 상기 제2 유압실린더(310)의 제2 축(312)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직선 방향으로 상기 제4 유압실린더(330)의 제4 축(334)과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일측에 위치한 상기 암부재(140)의 상부면 일측에는 랙기어(150)가 피니언기어(152)와 맞물려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52)에 구동모터(154)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랙기어(150)의 끝단에 연장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슬라이딩 관체(155)에 삽설된 타격봉(156)을 결합되며, 상기 타격봉(156)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타격봉(156)의 타격에 의해 음파를 발생하는 울림통(157)이 형성되며, 타측에 위치한 상기 암부재(142)의 상부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엘이디소자(163)가 구비되고, 일측에 빛의 유무를 판단하는 감광센서(162)가 구비된 엘이디 발광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암부재(140, 142)의 일측에 감광센서(162), 압력센서(170), 센서신호수신부(172)와, 상기 센서신호수신부(172)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이디 소자(163)와 상기 구동모터(154)를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광센서(162)로부터 빛의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센서신호수신부(172)를 통해 그 신호를 전달받아 빛의 유무를 판단하고, 주간이고 상기 압력센서(170)에 의해 압력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모터(154)를 작동시켜 상기 타격봉(156)이 상기 울림통(157)을 타격하여 음파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야간인 경우 상기 엘이디 소자(163)의 작동을 수행하여 빛을 발광하는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KR1020140028107A 2014-03-11 2014-03-11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KR10145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07A KR101450734B1 (ko) 2014-03-11 2014-03-11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07A KR101450734B1 (ko) 2014-03-11 2014-03-11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734B1 true KR101450734B1 (ko) 2014-10-22

Family

ID=5199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07A KR101450734B1 (ko) 2014-03-11 2014-03-11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73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47B1 (ko) * 2014-12-29 2015-03-09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용 진동방지장치
KR101730027B1 (ko) * 2016-03-03 2017-04-25 주식회사 이린 배전선로의 전압예측 시스템
KR101731328B1 (ko) 2016-04-12 2017-04-28 대한기술단(주)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772022B1 (ko) * 2016-04-25 2017-08-29 (주)에스엠이엔지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804113B1 (ko) 2017-06-30 2017-12-04 함문상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N111262205A (zh) * 2020-03-24 2020-06-09 温州市维同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架空线路剪力型耐张金具
KR102148305B1 (ko) * 2020-02-17 2020-08-26 주식회사 안성감리 케이블 탈선을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 고정대
KR102228197B1 (ko) * 2020-05-29 2021-03-17 주식회사 한양전설 가공 배전선로의 장력 균형유지 조절장치가 구비된 철탑
KR102270562B1 (ko) * 2020-10-30 2021-06-29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가공 송전 케이블 연결 고정장치
KR102331395B1 (ko) * 2021-04-06 2021-12-01 대한기술단(주) 장력조절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애자 링거장치
CN114256796A (zh) * 2020-09-23 2022-03-29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防止转角塔边相跳线风偏的液压减震型阻尼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74121B1 (ko) * 2022-12-08 2023-09-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인장강도 유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05Y1 (ko) 2008-08-14 2008-10-27 주식회사 백천엔지니어링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01721B1 (ko) 2009-02-02 2009-06-08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11237B1 (ko)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05Y1 (ko) 2008-08-14 2008-10-27 주식회사 백천엔지니어링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911237B1 (ko) 2008-12-2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KR100901721B1 (ko) 2009-02-02 2009-06-08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447B1 (ko) * 2014-12-29 2015-03-09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용 진동방지장치
KR101730027B1 (ko) * 2016-03-03 2017-04-25 주식회사 이린 배전선로의 전압예측 시스템
KR101731328B1 (ko) 2016-04-12 2017-04-28 대한기술단(주)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772022B1 (ko) * 2016-04-25 2017-08-29 (주)에스엠이엔지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804113B1 (ko) 2017-06-30 2017-12-04 함문상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2148305B1 (ko) * 2020-02-17 2020-08-26 주식회사 안성감리 케이블 탈선을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 고정대
CN111262205A (zh) * 2020-03-24 2020-06-09 温州市维同电力设计有限公司 一种架空线路剪力型耐张金具
KR102228197B1 (ko) * 2020-05-29 2021-03-17 주식회사 한양전설 가공 배전선로의 장력 균형유지 조절장치가 구비된 철탑
CN114256796A (zh) * 2020-09-23 2022-03-29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防止转角塔边相跳线风偏的液压减震型阻尼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70562B1 (ko) * 2020-10-30 2021-06-29 (주)우신전기기술사사무소 가공 송전 케이블 연결 고정장치
KR102331395B1 (ko) * 2021-04-06 2021-12-01 대한기술단(주) 장력조절이 가능한 배전선로의 애자 링거장치
KR102574121B1 (ko) * 2022-12-08 2023-09-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의 인장강도 유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734B1 (ko)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US202102823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 deterring birds by laser
US9121394B2 (en) Energy harvester for converting vibrational motion of a vibrating equipment into electrical energy, and a device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vibrating equipment
US20220042570A1 (en) Vibration mitigation device
CN210707868U (zh) 一种能在超视距情况下工作的电力巡检无人机
JP2007325507A (ja) 鳥害防止装置
KR101290691B1 (ko)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CN117016530A (zh) 一种多功能电力铁塔防护装置
JP2008190231A (ja) 電動作業機の給電装置
KR101545652B1 (ko) 진동저감장치를 갖는 가로등주 및 그 설계방법
KR101211555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040173B1 (ko) 특고압 배전가공전선의 연결애자
US1022332A (en) Conveying-trough.
JP4676083B2 (ja) 侵入防止装置及び侵入者の存在通知方法
KR20160036186A (ko) 가공지선 감시장치
CN203883427U (zh) 防震锤
KR102405517B1 (ko)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애자 고정장치
JP3209360U (ja) 振動発電装置
KR101171993B1 (ko) 모형물을 이용한 유해동물 퇴치장치
CN205427153U (zh) 用于监控发电机工作状态的安装机架
JP2019134672A (ja) 振動発電装置
RU1107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льда с карнизов крыш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KR102503446B1 (ko) 안전 기능을 갖춘 전신주 변압기와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구축방법
KR101650081B1 (ko) 유압브레이커의 소음 감쇄 장치
JP3698598B2 (ja) 斜張橋斜材ケーブルの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