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2022B1 -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22B1
KR101772022B1 KR1020160050332A KR20160050332A KR101772022B1 KR 101772022 B1 KR101772022 B1 KR 101772022B1 KR 1020160050332 A KR1020160050332 A KR 1020160050332A KR 20160050332 A KR20160050332 A KR 20160050332A KR 101772022 B1 KR101772022 B1 KR 10177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wire
weight
fixing mechanism
steel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지웅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5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가공 송전선 및 가공 송전선에 연결된 부분의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켜 설비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한편, 가공 송전선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기구의 이동에 따라 철탑으로부터 고정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TENSION RELAXATION APPARATUS FO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OWER OF OVERHEAD WIRE}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해 가공 송전선 및 가공 송전선에 연결된 부분의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켜 설비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한편, 가공 송배전선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기구의 이동에 따라 철탑으로부터 고정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철탑의 완철에 애자를 설치하고, 애자를 매개로 가공 송전선 또는 가공 배전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하에서 가공 송전선과 가공 배전선을 모두 가공 송전선으로 기재하여 설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가공 송전선은 특별 고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전기가 땅에 떨어지는 지락시 도전성 재질로 구성된 철탑을 통해 누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철탑과 가공 송전선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연결체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한다.
이러한 절연체를 애자라고 하며, 애자는 철탑과 가공 송전선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가공 송전선의 무게를 감당한다.
한편, 가공 송전선은 강한 바람으로 인하여 흔들리기 쉽고, 이로 인하여 가공 송전선과 애자를 연결하는 부분에 피로가 누적되어 결과적으로 파단될 수 있는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철탑은 산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철탑에 설치되는 가공 송전선은 바람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전술한 위험성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
바람으로 인하여 가공 송전선이 흔들리는 경우, 가공 송전선과 애자를 연결하는 부분이 파단되지 않고 유지되더라도, 가공 송전선은 바람으로 인한 허용 인장력을 초과하여 신장 변형될 수 있고, 원래 의도한 강성을 가지지 못하게 되므로 파단될 수 있는 위험성 또한 가지고 있다.
비단, 바람뿐만 아니라 인위적으로 가공 송전선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도 전술한 위험들이 도사리고 있고, 이에 따라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에 대한 장력을 완화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99520호(2012.11.02.)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에는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장치는 가공 송전선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기구의 이동에 따라 철탑으로부터 고정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99520호(2012.11.02.)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해 가공 송전선 및 가공 송전선에 연결된 부분의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충시켜 설비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한편, 가공 송전선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기구의 이동에 따라 철탑으로부터 고정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탑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일측이 고정볼트를 매개로 상기 철탑의 지지대에 설치되고 둘레가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전기 절연체인 애자본체; 상기 애자본체에 형성되고, 병목 형태의 개구부를 가지는 개방된 수용부; 상기 애자본체의 수용부의 개구부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일단을 상기 수용부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부 안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는 제1링크; 상기 애자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애자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제1링크의 일단에 바깥 방향으로의 탄성 반발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지지대와 축으로 일단이 연결되고, 탄성 휨 또는 탄성 펼침 변형할 수 있는 탄성바; 상기 제1링크의 나머지 타단과 축으로 일단을 연결하고, 나머지 타단은 상기 탄성바의 나머지 타단과 축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 및 상기 축에 돌출된 내부의 링크 연결구가 설치되어 가공 송전선을 지지하는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제2링크와 상기 탄성바를 연결하는 축에 연결되는 링크연결구; 상기 링크연결구의 말단부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밀착편; 상기 링크연결구와 밀착편 사이로 인입된 가공 송전선 및 점퍼선을 체결부재를 매개로 가압 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클램프;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프와 가공 송전선 및 점퍼선을 감싸 보호하는 클램프커버를 포함하는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로써, 상기 철탑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철탑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 일단부는 상기 고정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를 하방향을 향하며, 그 양단부 사이는 상기 롤러에 거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무게추; 및 상기 철탑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상기 무게추가 수용되면서 그 무게추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에 의해 가공 송전선 및 가공 송전선과의 연결부의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여 설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 송전선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기구의 이동에 따라 철탑으로부터 고정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에서 가이드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99520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99520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99520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장치는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로 대체하고, 가공 송전선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기구의 이동에 따라 철탑으로부터 고정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99520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는 지지대(110), 애자(120), 제1링크(130), 제2링크(140), 탄성바(150) 및 고정기구(1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10)는 금속재질의 사각바로써, 철탑(1)의 상단부 외면에 밴드부재(미도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애자(120)를 매개로 고정된 가공 송전선(L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애자(120)는 애자본체(121)와, 탄성스프링(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애자본체(121)는 전기 절연체이고, 외주면(123)에는 자바라 형태의 주름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다.
상기 애자본체(121)의 기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10)에 관통결합되는 고정볼트(B)가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130)가 설치된다.
상기 애자본체(121)는 개방된 용기 형태의 수용부(124)를 형성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122)은 이 수용부(124)에 수용된다.
상기 제1링크(130)는 상기 수용부(124)에 단속되도록 끼워지고, 상기 스프링(122)으로부터 탄성 반발력을 받으면서 직선 왕복 운동가능하다.
상기 수용부(124)의 개구부(1241)는 병목 형태이고, 상기 제1링크(130)의 일단(131)은 상기 수용부(124)에서 이동 가능하나, 상기 개구부(1241)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너비를 가진다.
상기 스프링(122)은 상기 제1링크(130)의 일단(131)에 탄성 반발력을 가하고, 상기 제1링크(130)는 상기 스프링(122)으로부터 탄성 반발력을 받으면서 상기 애자본체(121) 안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2링크(130,140)는 일반적인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130)의 타단(132)은 상기 제2링크(140)와 축(134)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140)는 상기 축(134)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축(134)은 일반적인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140)의 중심 위치에는 피봇(P)이 설치되고, 상기 피봇(P)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절연성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링크(140)의 일단(141)은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축(134)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140)의 타단(142)은 상기 탄성바(150)와 축(1456)으로 연결되어 피봇(P)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축(1456)의 위치는 탄성바(150)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바(150)의 일단(151)은 상기 지지대(110)와 축(115)으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바(150)의 타단(152)으로부터 연장된 끝부분은 고정기구(160)의 내부에 도시된 절연애자(도면부호 미도시)와 기계적으로 결합하면서 전기적으로는 절연상태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기구(160)는 절연체로 구성되면서 가공 송전선(L1)과 점퍼선(J)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클램프(161)와 클램프커버(162)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61)는 링크연결구(1611)와 링크연결구(1611) 말단부의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밀착편(1612)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연결구(1611)는 절연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연체가 아닌 경우에도 절연애자(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10)와의 절연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클램프(161)와 상기 밀착편(1612)은 필요에 의하여 도전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절연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공 송전선(L1)과 점퍼선(J)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다른 부분과는 절연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링크연결구(1611)는 절연애자(도면부호 미도시)를 통하여 탄성바(150)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이면서 기계적으로 연결된 구성이다.
즉, 상기 링크연결구(1611), 상기 제2링크(140) 및 상기 탄성바(150)는 하나의 축(1456)을 통해 기계적인 회동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2링크(140)는 피봇(P)를 중심으로 회동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피봇(P)을 고정하는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도면에 상세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피봇(P)은 절연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기구(160)의 클램프(161)는 상기 링크연결구(1611)와 상기 밀착편(1612) 사이에 인입된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을 체결부재를 매개로 가압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면서 다른 부분과는 절연성을 유지한다.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의 외면을 상기 링크연결구(1611)와 상기 밀착편(1612)을 이용하여 감싸준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가압고정한다.
이러한 체결부재는 공지된 고정수단이 될 수 있고 절연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으로 U자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밀착편(1612)의 저면 둘레를 감싸 지지하고, 너트를 매개로 상기 링크연결구(1611)와 상기 밀착편(1612)이 상호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체결함으로써 가공 송전선(L1)과 점퍼선(J)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시키고 다른 구성과는 절연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의 구리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키고 상기 링크연결구(1611)와 상기 탄성바(150)는 절연애자(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절연상태를 완벽하게 형성한다.
상기 클램프커버(162)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프(161)와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을 감싸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161)와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이 상기 클램프커버(162)에 의해 감싸져 보호되므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절연성을 유지하면서 이물질과 접촉으로 인한 전기합선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고정기구(160)가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고정 기구(160)에 연결된 가공 송전선(L1)의 움직임, 예컨대, 흔들림 등에 대한 상황을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기구(160)와 상기 탄성바(150)를 연결하는 축(1456)은 상기 탄성바(150)를 가압하고, 상기 탄성바(150)는 상기 지지대(110)에 연결된 타단(151)에 지지되어 탄성휨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링크(130)는 상기 애자본체(121) 안으로 직선 이동하지 않고, 상기 제2링크(140)는 상기 피봇(P)를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축(134)은 도면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고정기구(160)가 가공 송전선(L1)에 인가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고정기구(160)에 연결된 상기 탄성바(150)의 일단(152) 또한 상기 지지대(110)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바(150)는 상기 지지대(110)에 연결된 타단(151)에 지지되어 탄성 펼침 변형된다.
상기 탄성바(150) 및 상기 고정기구(160)에 절연성의 축(1456)을 통하여 연결된 상기 제2링크(140)는 상기 피봇(P)를 중심으로 도면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기울어지고, 상기 제1링크(130)와 축(134)은 도면에서의 왼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상당히 커지는 경우, 상기 제2링크(140)는 오른쪽 방향으로 더욱 기울어지고,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제2링크(140)를 연결하는 축(134)은 상기 제1링크(130)를 왼쪽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링크(130)는 상기 스프링(122)의 탄성 반발을 받으면서 상기 애자본체(121) 안으로 들어간다.
도 3 내지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공 송전선(L1)이 연결된 상기 고정기구(160)가 움직이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130), 상기 제2링크(140) 및 상기 탄성바(150)가 상호 영향을 주면서 움직여 가공 송전선(L1)에 인가된 장력을 완화한다.
이는 상기 지지대(110)와 상기 애자(120), 상기 애자(120)와 상기 고정기구(160) 간의 연결 부분에 송전선(L1)으로부터 인가된 장력을 완충시킬 수 있고, 송전탑 설비의 파손을 줄이며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1)으로부터 고정기구(160)를 지지하는 지지부(17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가공 송전선(L1)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기구(160)가 이동하는 경우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 방향 또는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정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철탑(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171), 일단부는 상기 고정기구(16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을 향하며 그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171)에 거치되는 와이어(172) 및 상기 와이어(172)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무게추(173)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71)는 둘레에 거치되는 상기 와이어(172)가 이탈되지 않도록 내주면이 'V'자 형태의 홈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철탑(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지지바(174)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바(174) 사이에 상기 롤러(17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17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172)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커버(162)에 고정되고, 타단부에 상기 무게추(173)가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와이어(172)는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커버(162)의 타단 상측에 고정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게추(173)는 일정 무게를 가지면서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를 상방향으로 당겨 하방향으로의 처짐없이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안정된 자세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무게추(173)가 갖는 하중은 상기 탄성바(150)와 상기 가공 송전선(L1) 사이에서 상기 고정기구(160)가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어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무게추(173)는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와이어(172)의 당김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무게추(173)는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하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와이어(172)를 당겨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가공 송전선(L1)의 움직임 등에 따라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 방향 또는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어느 한 쪽으로 편심되어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무게추(17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176)은 상기 철탑(1)에 고정되며, 내측으로 상기 무게추(173)가 수용되어 승,하강하면서 외부로부터의 가압 등에 의한 흔들림 등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176)은 하부가 밀폐되면서 상기 무게추(173)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172)로부터의 이탈에 따른 낙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무게추(173)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롤러(171)와 인접하기 전에 승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77)는 상기 가이드관(176)의 상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172)가 통과하는 중공(178a)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7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무게추(173)는 승강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178)와 접하면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의 승강이 차단되면서 상기 롤러(171)와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110 : 지지대 120 : 애자
121 : 애자본체 122 : 스프링
123 : 외주면 124 : 수용부
130 : 제1링크 140 : 제2링크
150 : 탄성바 160 : 고정기구
161 : 클램프 1611 : 링크연결구
162 : 클램프커버 1612 : 밀착편
170 : 지지부 171 : 롤러
172 : 와이어 173 : 무게추
174 : 지지바 175 : 연결축
176 : 가이드관 177 : 스토퍼
178 : 플레이트 178a : 중공
115,134,1456 : 축

Claims (1)

  1. 철탑(1)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10);
    일측이 고정볼트(B)를 매개로 상기 철탑(1)의 지지대(110)에 설치되고 둘레가 다수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의 전기 절연체인 애자본체(121);
    상기 애자본체(121)에 형성되고, 병목 형태의 개구부(1241)를 가지는 개방된 수용부(124);
    상기 애자본체(121)의 수용부(124)의 개구부(1241)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일단(131)을 상기 수용부(124)에 수용하고, 상기 수용부(124) 안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는 제1링크(130);
    상기 애자본체(121)의 수용부(124)에 수용되고, 상기 애자본체(121)의 수용부(124)에 수용된 제1링크(130)의 일단(131)에 바깥 방향으로의 탄성 반발력을 가하는 스프링(122);
    상기 지지대(110)와 축(115)으로 일단(151)이 연결되고, 탄성 휨 또는 탄성 펼침 변형할 수 있는 탄성바(150);
    상기 제1링크(130)의 나머지 타단(132)과 축(134)으로 일단(141)을 연결하고, 나머지 타단(142)은 상기 탄성바(150)의 나머지 타단(152)과 축(1456)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140); 및
    상기 축(1456)에 돌출된 내부의 링크 연결구(1611)가 설치되어 가공 송전선을 지지하는 고정기구(16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구(160)는,
    상기 제2링크(140)와 상기 탄성바(150)를 연결하는 축(1456)에 연결되는 링크연결구(1611);
    상기 링크연결구(1611)의 말단부 하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밀착편(1612);
    상기 링크연결구(1611)와 밀착편(1612) 사이로 인입된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을 체결부재를 매개로 가압 고정하여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클램프(161); 및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클램프(161)와 가공 송전선(L1) 및 점퍼선(J)을 감싸 보호하는 클램프커버(162)를 포함하는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로써,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를 지지하여 상기 가공 송전선(L1)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 방향 또는 상기 지지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처지는 현상 없이 안정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70)는,
    상기 철탑(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롤러(171);
    일단부는 상기 고정기구(16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을 향하는 한편,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171)에 거치되는 와이어(172);
    상기 와이어(172)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일정 무게를 가지면서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를 상방향으로 당겨 하방향으로의 처짐없이 안정적인 자세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안정된 자세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무게추(173);
    상기 철탑(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지지바(174);
    상기 한 쌍의 지지바(174) 사이에 상기 롤러(17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175);
    상기 철탑(1)에 연결되며, 내측으로 상기 무게추(173)가 수용되면서 그 무게추(173)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관(176); 및
    상기 무게추(173)의 승강에 따라 상기 롤러(171)와 인접하기 전에 승강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177)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77)는,
    상기 가이드관(176)의 상부를 차단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172)가 통과하는 중공(178a)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78)로 이루어지며,
    상기 무게추(173)는,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와이어(172)의 당김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기구(160)가 상기 지지대(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하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와이어(172)를 당겨 상기 철탑(1)으로부터 상기 고정기구(1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이드관(176)은,
    하부가 밀폐되면서 상기 무게추(173)가 일정 높이 이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172)로부터의 이탈에 따른 낙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20160050332A 2016-04-25 2016-04-25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77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332A KR101772022B1 (ko) 2016-04-25 2016-04-25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332A KR101772022B1 (ko) 2016-04-25 2016-04-25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22B1 true KR101772022B1 (ko) 2017-08-29

Family

ID=5975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332A KR101772022B1 (ko) 2016-04-25 2016-04-25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14B1 (ko) * 2020-03-23 2020-09-01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감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520B1 (ko) * 2012-09-06 2012-11-09 (주)한신콘설탄트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KR101450734B1 (ko) * 2014-03-11 2014-10-22 김기동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520B1 (ko) * 2012-09-06 2012-11-09 (주)한신콘설탄트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KR101450734B1 (ko) * 2014-03-11 2014-10-22 김기동 특고압 송배전선의 안정된 고정을 유지하는 완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714B1 (ko) * 2020-03-23 2020-09-01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처짐 방지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520B1 (ko) 송전 철탑용 가공 송전선 장력 완화 장치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1746372B1 (ko)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KR102381232B1 (ko)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1537085B1 (ko)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KR101772022B1 (ko) 송배전 가공전선의 송배전 철탑용 장력완화장치
US4523054A (en) Line-past insulator support system, method of assembly thereof, and clamp for use therein
CN108448521A (zh) 一种线路防舞动装置
KR102461766B1 (ko) 가공송전 현수애자 장력 밸런스 장치
US8618414B2 (en)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configuration
KR102491958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20170122904A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KR102248999B1 (ko) 배전선로의 조류 퇴치장치
KR101018673B1 (ko) 송전케이블의 위치변동제한 및 안내용 완철
KR100515970B1 (ko) 송전 가공 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1732567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JPS6047810B2 (ja) 導体支持装置
KR101812728B1 (ko) 가공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CN107528278A (zh) 一种复合相间间隔棒
KR102373900B1 (ko) 전선 간의 충돌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US3664620A (en) Vibration dampening clamp for electric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US3296358A (en) Strut-suspension conductor support
ES2084926T3 (es) Instalacion de conmutacion encapsulada en metal, aisladas con gas, con una carcasa de conexion de cables.
EP0273290B1 (en) Electric line with bundle conductors associated to metal or dielectric cables incorporating optic fibres for tele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