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91B1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0691B1 KR101290691B1 KR1020130049388A KR20130049388A KR101290691B1 KR 101290691 B1 KR101290691 B1 KR 101290691B1 KR 1020130049388 A KR1020130049388 A KR 1020130049388A KR 20130049388 A KR20130049388 A KR 20130049388A KR 101290691 B1 KR101290691 B1 KR 1012906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insulator
- extension
- optical signal
-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양측 한 쌍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돌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브라켓 및 후단이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에 결합되고 가공전선이 연결되는 현수애자가 선단에 고정지지되는 연결로드가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에 브라켓이 직접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구성이 단순화되어 보급이 용이하고, 가공전선에 의해 연결로드가 전후방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며, 가공전선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현수애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전선의 출렁임에 따른 충격 및 그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허용된 기준 이상의 출렁임 등이 발생되면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가공배전선의 애자고정형 완철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 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에 구비되어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완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지지축(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브라켓(30)과 브라켓(30)에 연결된 연결로드(40)로 구성된 것으로, 연결로드(40)의 선단에는 가공전선(3)이 연결되는 현수애자(2)가 고정된다.
브라켓(30)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후방으로 연장된 상하부 연장판(31)을 갖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면 중앙부에는 연결로드(40)가 삽입되는 결합공(32)이 형성되며 연장판(31)이 지지축(20)에 의해 지지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로드(40)는 결합공(32)의 둘레부에 걸리는 걸림부(41)가 후단부에 형성된 것으로 브라켓(30)의 결합공(32)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그 선단부에 현수애자(2)가 결합되어 현수애자(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결합공(32)은 충분히 넓게 형성되어 연결로드(40)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므로써 바람 등에 의해 가공전선(3)이 요동칠 때 연결로드(40)와 현수애자(2)가 가공전선(3)에 추종하여 회동되므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의 이러한 완철은 브라켓(30)의 결합공(32)이 넓게 형성되어 연결로드(40)가 상하 및 수평방향으로 회동될 뿐 아니라 가공전선(3)에 의해 밀리거나 당겨져 연결로드(40)가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하기도 한다.
이때, 연결로드(40)가 가공전선(3)에 의해 밀려 길이방향으로 빠르게 전후진되면서 걸림부(41)가 브라켓(30)에 반복적으로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로드(40)와 현수애자(2)에 충격이 가해져 현수애자(2)와 각 연결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8114호(2008.09.04.자 등록) "가공배전선의 애자 고정형 완철" 등 현수애자(2)와 각 연결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에 의한 종래기술의 등록 특허들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부품 수가 더욱 늘어나게 되고 복잡한 구성에 의해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보급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공전선의 흔들림에 의한 현수애자와 각 연결부에 인가되는 손상의 크기를 예측할 수 없어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가공전선에 의해 연결로드가 전후방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전선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현수애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의 보급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을 단순화한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가공배전선의 허용된 소정의 규격보다 더 크게 흔들리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발생하도록 하는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양측 한 쌍의 지지돌기(111)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돌기(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결합공(121)이 형성되는 브라켓(120); 및 후단이 상기 브라켓(120)의 결합공(121)에 결합되고 가공전선(3)이 연결되는 현수애자(2)가 선단에 고정지지되는 연결로드(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브라켓(120)의 전방에 제1연장부(122b)가 하향연장되고 후방에 상기 지지돌기(111)와 결합되는 제1장공(122a)이 형성되는 제1지지대(122), 상기 브라켓(120)의 전방으로 상기 제1연장부(122b)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겹쳐지는 제2연장부(123b)가 상향연장되고 후방에는 상기 제1장공(12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돌기(111)와 결합되는 제2장공(123a)이 형성되는 제2지지대(123), 상호 겹쳐진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전면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24a)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블록(124) 및 상기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12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에는 상기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측방향에는 상호 반대방향의 제1개구부(122ba) 및 제2개구부(123ba)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121)을 이루는 제1통공(122bb) 및 제2통공(123b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드(130)는 상기 결합공(121) 보다 지름이 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결합공(121)의 전후 둘레면에 걸리도록 상기 결합공(121)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133)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로드(130)는 상기 연결로드(130)의 출렁임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댐퍼부(134)가 설치되고, 상기 제1장공(122a)의 후방에 제어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로드(130)의 댐퍼부(134)와 현수애자 사이의 위치에 광신호타겟(135)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광송수신부(141)를 제어하여 상기 광신호타겟(135)으로 광신호를 송신시키며 상기 광신호타겟(135)에서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고 광송수신부(141)가 수신한 광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광송수신부(141)와 상기 광신호타겟(135) 사이의 거리가 소정 단위 시간 동안 허용된 소정 값 이상과 소정 횟수 이상으로 신축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경보 메시지를 무선부(143)에 출력하여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지지부(12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태양전지(122c)는 발전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광송수신부(14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은 가공전선에 의해 연결로드가 전후방으로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전선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현수애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은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의 보급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을 단순화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이 허용된 범위를 넘어 흔들리는 경우를 감지하여 해당 경고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므로 사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가공배전선의 애자고정형 완철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대해 나타내는 측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A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B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브라켓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대해 나타내는 측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A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B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브라켓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에 대해 나타내는 측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A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B에 대해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브라켓에 대해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도 6은 도 2의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형 완철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은 지지프레임(110), 브라켓(120) 및 연결로드(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은 가공전선(3)의 출렁임에 따른 충격 및 그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여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에 관한 것이다.
지지프레임(110)은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양측 한 쌍의 지지돌기(111)가 형성된다. 지지돌기(111)는 후술되는 브라켓(120)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1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하좌우로 회동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마찰을 줄여줄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111)의 형상은 후술되는 브라켓(12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브라켓(120)은 지지돌기(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결합공(121)이 형성된다. 결합공(121)에는 후술되는 연결로드(130)가 결합된다. 연결로드(130)가 결합되는 브라켓(120)이 지지프레임(110)에서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한 출렁임에 용이하게 대응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20)은 브라켓(120)의 전방에 제1연장부(122b)가 하향연장되고 후방에 지지돌기(111)와 결합되는 제1장공(122a)이 형성되는 제1지지대(122), 브라켓(120)의 전방으로 제1연장부(122b)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겹쳐지는 제2연장부(123b)가 상향연장되고 후방에는 제1장공(122a)과 대응되어 지지돌기(111)와 결합되는 제2장공(123a)이 형성되는 제2지지대(123), 겹쳐진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전면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24a)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블록(124) 및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12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고정블록(124)은 좌우방향으로 긴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24a)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연장부(122b)의 전면에 끼워지는 것으로,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양측을 가압하여 제1지지대(122) 및 제2지지대(123)가 바람에 의해 회동되어 벌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고정부재(125)는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제2연장부(123b)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로 구성되어 고정블록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상호 고정함으로써, 브라켓(120)의 전체 형태가 디긋자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지지대(122) 및 제2지지대(123)가 회동되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에는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측방향에는 상호 반대방향의 제1개구부(122ba) 및 제2개구부(123ba)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겹쳐져 결합공(121)을 이루는 제1통공(122bb) 및 제2통공(123bb)이 각각 형성된다.
연결로드(130)는 후단이 상기 브라켓(120)의 결합공(121)에 결합되고 가공전선(3)이 연결되는 현수애자(2)가 선단에 고정지지된다.
또한, 연결로드(130)는 결합공(121) 보다 지름이 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후단에 형성되어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결합공(121)의 전후 둘레면에 걸리도록 결합공(121)에 삽입설치되고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133)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로드(130)는 연결로드(130)의 출렁임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댐퍼부(134)가 형성되고 댐퍼부(134)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가스식 댐퍼(에어 댐퍼 포함), 오일식 댐퍼(유압댐퍼 포함), 스프링식 댐퍼, 혼합식 댐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로드(130)의 댐퍼부(134)가 설치된 위치와 현수애자(2)가 연결된 사이에는 레이저 등의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광신호타겟(135)이 소정 높이로 설치된다. 광신호타겟(135)은 은박지, 거울, 프리즘, 깨끗한 스테인리스 강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링(133)에 의해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결합공(121)에 삽입설치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고 전후진이 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133)은 필요에 따라 유압댐퍼(미도시) 또는 에어댐퍼(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스프링(133)은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은 제1장공(122a)의 후방(전주 방향)에 제어부(140), 광송수신부(141), 무선부(143)를 설치하고, 제1장공(122a)의 전방(현수애자 방향)에는 태양전지(122c)를 각각 설치한다.
광송수신부(141)는 제어부(14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광신호타겟(135)을 향하여 레이저 광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레이저 광신호가 광신호타겟(135)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광송수신부(141)가 송신하고 수신하는 광신호는 적외선, 자외선, X-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광신호의 송신과 수신 방식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레이저 광신호를 출력한 시간과 반사되어 수신된 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레이저 신호가 단위 시간에 진행하는 거리와 함께 연산하는 경우, 가공전선의 출렁임에 의하여 흔들리는 크기(측정된 거리), 횟수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설계자의 의도 및 반복된 실험 등에 의하여 출렁임이 허용된 크기와 단위 시간당 허용 횟수를 임의 값으로 결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측정된 값을 해당 시간과 함께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단위 시간당 흔들리는 거리가 설정된 소정 값 이상이고, 단위 시간당 설정된 소정 횟수 이상 연속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한 상황으로 분류하여 해당 경고신호, 측정된 거리, 단위시간당 측정된 횟수, 측정된 시간, 위치 정보가 포함된 문자메시지 및 음성메시지를 무선부(143)에 출력하여 지정된 담당자 또는 해당 기관에 무선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지정된 담당자 또는 기관은 전화번호로 지정될 수 있으며 무선접속된 원격조정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무선부(143)는 이동통신용 단말기, 전용주파수를 사용하는 쌍방향의 무전기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이때, 광송수신부(141)는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고 현수애자(2), 가공전선(3)이 설치된 주변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제어부(140)에 전송하므로 제어부(140)에 의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동시에 경고신호에 포함시켜 무선부(143)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별도의 센서에 의하여 스프링(133)이 신축하면서 변화되는 탄성력의 크기 및 단위 시간당 허용된 크기 이상으로 탄성력이 변화하는 횟수를 각각 측정하여 분석하고 허용된 소정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경보신호를 무선부(143)를 통하여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송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광신호타겟(135)에서 반사된 신호와 허용된 스프링(133)의 신축 수치를 비교하거나 모두 이용하여 소정의 허용된 값을 넘어설 경우 경보신호, 메시지 및 영상 이미지를 지정된 관리자, 기관 등으로 전송시켜 유지보수 및 대형 사고 발생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예방할 수 있다.
제1지지대(122)의 상측 일부에는 태양전지(122c)가 설치되어 제어부(140), 광송수신부(141), 무선부(143)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야간 및 흐린 일기를 대비하여 충전기능이 포함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은 가공전선(3)에 의해 연결로드(130)가 전후방으로 요동치는 것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가공전선(3)의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현수애자(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허용된 소정 크기와 횟수 이상으로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경고신호를 지정된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유지보를 원활하게 하고 대형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은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100)의 보급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을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을 자명하다.
2 : 현수애자 3 : 가공전선
100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110 : 지지프레임 111 : 지지돌기
120 : 브라켓 121 : 결합공
122 : 제1지지대 122a : 제1장공
122b : 제1연장부 122ba : 제1개구부
122bb : 제1통공 122c : 태양전지
123 : 제2지지대 123a : 제2장공
123b : 제2연장부 123ba : 제2개구부
123bb : 제2통공 124 : 고정블록
124a : 지지부 125 : 고정부재
130 : 연결로드 131 : 제1걸림부
132 : 제2걸림부 133 : 스프링
134 : 댐퍼부 135 : 광신호타겟
140 : 제어부 141 : 광송수신부
143 : 무선부
100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110 : 지지프레임 111 : 지지돌기
120 : 브라켓 121 : 결합공
122 : 제1지지대 122a : 제1장공
122b : 제1연장부 122ba : 제1개구부
122bb : 제1통공 122c : 태양전지
123 : 제2지지대 123a : 제2장공
123b : 제2연장부 123ba : 제2개구부
123bb : 제2통공 124 : 고정블록
124a : 지지부 125 : 고정부재
130 : 연결로드 131 : 제1걸림부
132 : 제2걸림부 133 : 스프링
134 : 댐퍼부 135 : 광신호타겟
140 : 제어부 141 : 광송수신부
143 : 무선부
Claims (1)
-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되고 양측 한 쌍의 지지돌기(111)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돌기(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결합공(121)이 형성되는 브라켓(120); 및
후단이 상기 브라켓(120)의 결합공(121)에 결합되고 가공전선(3)이 연결되는 현수애자(2)가 선단에 고정지지되는 연결로드(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브라켓(120)의 전방에 제1연장부(122b)가 하향연장되고 후방에 상기 지지돌기(111)와 결합되는 제1장공(122a)이 형성되는 제1지지대(122), 상기 브라켓(120)의 전방으로 상기 제1연장부(122b)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겹쳐지는 제2연장부(123b)가 상향연장되고 후방에는 상기 제1장공(122a)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돌기(111)와 결합되는 제2장공(123a)이 형성되는 제2지지대(123), 상호 겹쳐진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전면에 결합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24a)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블록(124) 및 상기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록(124)과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12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에는 상기 제1연장부(122b) 및 제2연장부(123b)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고 측방향에는 상호 반대방향의 제1개구부(122ba) 및 제2개구부(123ba)가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겹쳐져 상기 결합공(121)을 이루는 제1통공(122bb) 및 제2통공(123b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결로드(130)는 상기 결합공(121) 보다 지름이 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가 결합공(121)의 전후 둘레면에 걸리도록 상기 결합공(121)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걸림부(131) 및 제2걸림부(1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133)이 설치되며,
상기 연결로드(130)는 상기 연결로드(130)의 출렁임에 따른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기 위해 댐퍼부(134)가 설치되고,
상기 제1장공(122a)의 후방에 제어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로드(130)의 댐퍼부(134)와 현수애자 사이의 위치에 광신호타겟(135)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광송수신부(141)를 제어하여 상기 광신호타겟(135)으로 광신호를 송신시키며 상기 광신호타겟(135)에서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하고 광송수신부(141)가 수신한 광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광송수신부(141)와 상기 광신호타겟(135) 사이의 거리가 소정 단위 시간 동안 허용된 소정 값 이상과 소정 횟수 이상으로 신축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경보 메시지를 무선부(143)에 출력하여 무선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지지대(12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태양전지(122c)는 발전된 전력을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광송수신부(141)에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9388A KR101290691B1 (ko) | 2013-05-02 | 2013-05-02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9388A KR101290691B1 (ko) | 2013-05-02 | 2013-05-02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0691B1 true KR101290691B1 (ko) | 2013-07-31 |
Family
ID=4899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9388A KR101290691B1 (ko) | 2013-05-02 | 2013-05-02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0691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4113B1 (ko) | 2017-06-30 | 2017-12-04 | 함문상 |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KR101804159B1 (ko) * | 2016-09-28 | 2017-12-05 | (주)서전종합전기 |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 완화장치 |
KR101947749B1 (ko) * | 2018-10-01 | 2019-02-13 | (주)하나엔지니어링 |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 완철 |
KR102027222B1 (ko) * | 2019-04-23 | 2019-10-01 | 대한기술단(주) | 전신주와 배전선로의 애자 연결장치 |
CN116979438A (zh) * | 2023-09-20 | 2023-10-31 | 江苏迈道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自紧功能的馈线卡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7754B1 (ko) * | 2007-11-27 | 2008-05-07 | 주식회사 신흥산전 | 배전용 가공전선의 완철 연결구조 |
KR100858114B1 (ko) * | 2008-03-05 | 2008-09-10 | 미래컨설턴트(주) | 가공배전선의 애자 고정형 완철 |
KR100932209B1 (ko) * | 2009-09-11 | 2009-12-16 | 이삼종 | 가공송전선의 길이변화에 따른 장력조절 완철 |
-
2013
- 2013-05-02 KR KR1020130049388A patent/KR1012906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7754B1 (ko) * | 2007-11-27 | 2008-05-07 | 주식회사 신흥산전 | 배전용 가공전선의 완철 연결구조 |
KR100858114B1 (ko) * | 2008-03-05 | 2008-09-10 | 미래컨설턴트(주) | 가공배전선의 애자 고정형 완철 |
KR100932209B1 (ko) * | 2009-09-11 | 2009-12-16 | 이삼종 | 가공송전선의 길이변화에 따른 장력조절 완철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4159B1 (ko) * | 2016-09-28 | 2017-12-05 | (주)서전종합전기 |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 완화장치 |
KR101804113B1 (ko) | 2017-06-30 | 2017-12-04 | 함문상 |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KR101947749B1 (ko) * | 2018-10-01 | 2019-02-13 | (주)하나엔지니어링 |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 완철 |
KR102027222B1 (ko) * | 2019-04-23 | 2019-10-01 | 대한기술단(주) | 전신주와 배전선로의 애자 연결장치 |
CN116979438A (zh) * | 2023-09-20 | 2023-10-31 | 江苏迈道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自紧功能的馈线卡 |
CN116979438B (zh) * | 2023-09-20 | 2023-12-15 | 江苏迈道通信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自紧功能的馈线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0691B1 (ko) |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 |
US6549139B2 (en) | Crane safety device and methods | |
CN205049335U (zh) | 调谐阻尼器减振效果监测装置 | |
CN205845326U (zh) | 一种可移动led警示牌 | |
KR101793718B1 (ko) | 설치가 용이한 송배전용 피뢰침 고정 프레임 | |
CN210396327U (zh) | 一种缓冲减震通信塔 | |
CN106174834A (zh) | 多功能智能安全帽 | |
KR101573033B1 (ko) | 다기능 스마트 헬멧 | |
KR101975947B1 (ko) | 가공 배전선로의 애자 고정장치 | |
CN210380085U (zh) | 一种电力系统用电缆抗震支架 | |
CN106817661A (zh) | 听力辅助系统及电子装置 | |
KR101432062B1 (ko) |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 |
KR101697618B1 (ko) | 감시경계용 소형로봇 | |
CN208280050U (zh) | 一种道路安装使用的限高架 | |
KR20170069689A (ko) | 스위핑 초음파 신호를 이용한 동물사고 방지 장치 | |
KR101296337B1 (ko) | 유리창 파손방지 장치 | |
CN212423516U (zh) | 一种多旋翼无人机三轴自稳光学吊舱云台装置 | |
CN210326927U (zh) | 一种便携式伸缩间隔棒 | |
KR101659450B1 (ko) | 통신장비용 폴대의 전도 방지장치 | |
CN210580672U (zh) | 一种驱鸟装置 | |
US20210177084A1 (en) | Intelligent hard hat | |
CN209894047U (zh) | 特种车载声光像驱散器系统 | |
CN208707809U (zh) | 一种户外监控设备 | |
CN221399932U (zh) | 一种建筑工程的防护网 | |
KR20120066694A (ko) | 송배전선용 가공지지대 연결부 완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