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208B1 -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208B1
KR101450208B1 KR1020130092328A KR20130092328A KR101450208B1 KR 101450208 B1 KR101450208 B1 KR 101450208B1 KR 1020130092328 A KR1020130092328 A KR 1020130092328A KR 20130092328 A KR20130092328 A KR 20130092328A KR 101450208 B1 KR101450208 B1 KR 10145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eccentric rotational
band cable
strip
strap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3009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01R4/40Pivotable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부재, 이 설치부재에 각각 편심 회전되게 구비되고 회전시 점차적으로 외접되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당기는 편심회전부재, 및 이 스트랩부를 당기기 위해 편심회전부재를 강제로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WIRING BRACKET}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고, 자동차의 각 전장품은 전력 구동력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하게 된다. 그래서, 와이어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밴드케이블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밴드케이블은 각각의 상황에 맞게 와이어 하네스의 많고 적음에 따라 얇게 묶어서 고정시키거나 굵게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트랩부를 여유 있게 제작하기 때문에 벤드 케이블을 체결한 뒤에는 잔여 부분의 스트랩부를 절단하여야 한다.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자를 때는 칼을 사용하거나 밴드케이블 절단기를 사용하게 된다.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237호(등록일 : 2010.03.18.)인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밴드케이블은 스트랩부를 헤드에 삽입 후 손으로 당김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를 죄게 되는데, 반복적으로 스트랩부를 손가락으로 당김으로써 해당 손가락에 통증을 느끼거나 살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심되게 회전되는 한 쌍의 편심회전부재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에 각각 편심 회전되게 구비되고 회전시 점차적으로 외접되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당기는 편심회전부재, 및 상기 스트랩부를 당기기 위해 상기 편심회전부재를 강제로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편심회전부재 각각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에 의해 대응되는 편심회전부재를 편심 회전시키는 스트립부재, 및 상기 스트립부재를 당기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리퍼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재는 슬롯홀을 통공하고, 상기 그리퍼는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홀에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헤드부를 위치 고정한 채 상기 스트랩부만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통공한 측판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회전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정지시 탄성 복귀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일측이 연결된 탄성부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는 편심되게 회전되는 한 쌍의 편심회전부재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어 작업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작동 초기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작동 중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작동 초기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의 작동 중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20)의 조임장치(100)는 설치부재(110), 편심회전부재(122,124) 및 조작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설치부재(110)는 편심회전부재(122,124) 및 조작부(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설치부재(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설치부재(110)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도시된다.
편심회전부재(122,124)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설치부재(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편심회전부재(122,124)는 설치부재(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특히, 편심회전부재(122,124)는 편심 회전된다.
편의상, 편심회전부재(122,124)는 2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설치부재(110)의 전측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 1편심회전부재(122)는 제 1피벗핀(123)에 의해 설치부재(110)에 대해 편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제 2피벗핀(125)에 의해 설치부재(110)에 대해 편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반대 방향으로 편심 회전되면서 점차적으로 외접된다. 이에 따라,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와이어 하네스(10)를 감싼 밴드케이블(20)의 스트랩부(24)를 당기게 된다.
여기서, 밴드케이블(20)은 차체(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설치되는 헤드부(22), 및 헤드부(22) 일측에서 연장되어 와이어 하네스(10)를 감싼 후 헤드부(22)의 타측으로 삽입되어 걸려 고정되는 스트랩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삽입된 스트랩부(24)를 당기게 된다.
특히, 제 1편심회전부재(122)는 스트랩부(24)와 접촉부위에서 슬립(slip)이 발생되지 않도록 둘레면에 제 1요철부재(127)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스트랩부(24)와 접촉부위에서 슬립(slip)이 발생되지 않도록 둘레면에 제 2요철부재(128)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조작부(130)는 헤드부(22)에 삽입된 스트랩부(24)를 당기기 위해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조작부(130)는 스트립부재(132) 및 그리퍼(gripper,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트립부재(132)는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에 의해 대응되는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를 편심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트립부재(132)는 제 1분기스트립(133), 제 2분기스트립(135) 및 합지스트립(1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분기스트립(133)은 제 1편심회전부재(122)에 연결되고, 제 2분기스트립(135)은 제 2편심회전부재(124)에 연결된다.
이때, 제 1분기스트립(133)은 제 1편심회전부재(122)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 1편심회전부재(122)의 연결 부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분기스트립(135)은 제 2편심회전부재(124)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 2편심회전부재(124)의 연결 부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제 1분기스트립(133)과 제 2분기스트립(135)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합지스트립(137)은 제 1분기스트립(133)의 단부와 제 2분기스트립(135)의 단부를 함께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합지스트립(137)은 제 1분기스트립(133)과 제 2분기스트립(135)을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한다. 이때, 합지스트립(137)은 직선 왕복 이동되며 제 1분기스트립(133)과 제 2분기스트립(135)을 당김에 따라 제 1분기스트립(133)과 제 2분기스트립(135)을 힌지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합지스트립(137)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그리퍼(134)는 스트립부재(132) 특히, 합지스트립(137)의 단부에 연결되고,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그리퍼(134)를 당김으로써, 스트립부재(132)는 당겨지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제 1편심회전부재(12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도 4 및 도 5 참조)
그리퍼(13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합지스트립(137)의 단부에 연결된다.
특히, 그리퍼(134)는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그리퍼(134)가 설치부재(110)에 지지됨으로써, 스트립부재(132)가 하부 방향으로 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설치부재(110)는 슬롯홀(138)을 통공하고, 그리퍼(134)는 가이드핀(139)을 형성한다.
가이드핀(139)이 슬롯홀(138)에 삽입되어 슬롯홀(138)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그리퍼(134)는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핀(139)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사이에 끼인 스트립부재(132)를 당길 경우, 밴드케이블(20)의 헤드부(22)는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에 걸려 스트립부재(132)와 동일 방향으로 이동 방지된다. 그래서, 스트립부재(132)는 그리퍼(134)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헤드부(22)의 밀착에 의해 회전에 간섭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헤드부(22)는 회전되는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로부터 유격된 채 위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설치부재(110)는 측판부재(140)를 연장 형성하고, 측판부재(140)는 삽입홀(142)을 통공한다. 이때, 삽입홀(142)은 헤드부(22)가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판부재(140)는 밴드케이블(20)의 헤드부(22)를 위치 고정하고, 스트랩부(24)는 삽입홀(142)을 통해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그리퍼(134)를 당김으로써, 스트립부재(132)가 당겨진다.
특히, 그리퍼(134)의 당기는 외력 제거시, 스트립부재(132)와 제 1편심회전부재(122) 및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자동적으로 원위치 복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편심회전부재(122)는 조작부(130)의 그리퍼(134)를 당기는 조작 정지시 탄성 복귀되도록 설치부재(110)에 일측이 연결된 탄성부재(150)에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조작부(130)의 그리퍼(134)를 당기는 조작 정지시 탄성 복귀되도록 설치부재(110)에 일측이 연결된 탄성부재(150)에 연결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부재(110), 제 1편심회전부재(122) 및 제 2편심회전부재(124)에 연결된다. 물론, 탄성부재(15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 1편심회전부재(122)와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안정적으로 호 궤적을 따라 왕복 이동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설치부재(110)는 호 궤적의 제 1가이드홀(112)과 제 2가이드홀(114)을 형성한다. 아울러, 제 1편심회전부재(122)는 제 1가이드홀(112)을 따라 안내되는 제 1가이드돌기(122a)를 돌출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제 2편심회전부재(124)는 제 2가이드홀(114)을 따라 안내되는 제 2가이드돌기(124a)를 돌출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와이어 하네스 20: 밴드케이블
100: 조임장치 110: 설치부재
122,124: 제 1,2편심회전부재
123,125: 제 1,2피벗핀 130: 조작부
132: 스트립부재 134: 그리퍼
140: 측판부재 142: 삽입홀
150: 탄성부재

Claims (5)

  1.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에 각각 편심 회전되게 구비되고, 회전시 점차적으로 외접되며 와이어 하네스를 감싼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당기는 편심회전부재; 및
    상기 스트랩부를 당기기 위해 상기 편심회전부재를 강제로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편심회전부재 각각에 연결되어 당기는 외력에 의해 대응되는 편심회전부재를 편심 회전시키는 스트립부재; 및
    상기 스트립부재를 당기기 위해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슬롯홀을 통공하고;
    상기 그리퍼는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슬롯홀에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상기 밴드케이블의 헤드부를 위치 고정한 채 상기 스트랩부만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을 통공한 측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회전부재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정지시 탄성 복귀되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일측이 연결된 탄성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KR1020130092328A 2013-08-05 2013-08-05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KR10145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28A KR101450208B1 (ko) 2013-08-05 2013-08-05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328A KR101450208B1 (ko) 2013-08-05 2013-08-05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208B1 true KR101450208B1 (ko) 2014-10-13

Family

ID=5199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328A KR101450208B1 (ko) 2013-08-05 2013-08-05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5683A (zh) * 2021-01-13 2021-04-30 白银有色长通电线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线芯生产用开机牵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922A (ja) * 1994-12-08 1996-06-18 Sumitomo Wiring Syst Ltd 結束用バンド締め付け用具
KR101143877B1 (ko) *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6922A (ja) * 1994-12-08 1996-06-18 Sumitomo Wiring Syst Ltd 結束用バンド締め付け用具
KR101143877B1 (ko) * 2012-02-16 2012-05-09 (주)하나전력기술단 배전 케이블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5683A (zh) * 2021-01-13 2021-04-30 白银有色长通电线电缆有限责任公司 一种电缆线芯生产用开机牵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03400A (ru) Гибк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с рычагом
WO2012101843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101450208B1 (ko)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CN208045912U (zh) 压接手工具
US20130047870A1 (en) Hand-held battery powered center punch band clamp tool
JP2018067438A (ja) テープ巻付装置
JP2563924Y2 (ja) 電線等の結束具
CN211704863U (zh) 捆扎固定装置
US6502310B1 (en) Cable insulation slitting tool
KR20120077136A (ko)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EP1038821A3 (en) Rewinding device for the power cord of an electrical appliance
JP6027284B1 (ja) 端子台取付装置および搬送装置
KR101928030B1 (ko) 차량용 밴드 케이블
JP2017001133A (ja) コネクタ取り外し用プライヤ
US11565305B2 (en) Wire straightening tool
KR20190012573A (ko) 와이어 하네스 정렬용 밴드
JP2016144373A (ja) オプションコネクタの固定構造
CN217737492U (zh) 一种护线套、电控盒体及电控盒装置
KR20140045796A (ko) 밴드케이블 커팅기
KR20210068924A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KR101667844B1 (ko) 가공 장치
JP3918964B2 (ja) ケーブルクリップ
JP2004055267A (ja) 止水剤塗布治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の防水方法
JPH0140135Y2 (ko)
JP3088790U (ja) スリット付コードコネ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