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796A - 밴드케이블 커팅기 - Google Patents

밴드케이블 커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796A
KR20140045796A KR1020120112000A KR20120112000A KR20140045796A KR 20140045796 A KR20140045796 A KR 20140045796A KR 1020120112000 A KR1020120112000 A KR 1020120112000A KR 20120112000 A KR20120112000 A KR 20120112000A KR 20140045796 A KR20140045796 A KR 2014004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handle
band cable
cutt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20112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5796A/ko
Publication of KR2014004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1/00Hand tools for applying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2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with jaws operated indirectly by the handles, e.g. through cams or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 커팅기에 관한 것으로, 밴드케이블의 피절단부위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을 갖는 몸체, 이 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삽입홀의 하측 내부로 노출되는 하부칼날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이 고정부재에 직진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손잡이를 힌지 연결한 슬라이드부재, 이 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되어 삽입홀로 삽입된 피절단부위를 잡아당기는 그립부, 및 이 밴드케이블의 피절단부위가 삽입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에 외력 작용시 시소 운동되며 일측에 구비된 상부칼날로써 피절단부위를 절단하는 절단작동부를 포함하고, 하부칼날과 상부칼날에 라운드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커팅기를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에워싼 밴드케이블의 죄임부재를 당겨서 묶도록 하고, 연속된 죄임부재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죄임부재를 라운드지게 커팅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뾰족한 모서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드케이블 커팅기{BAND CABLE CUTTER}
본 발명은 밴드케이블 커팅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팅기를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에워싼 밴드케이블의 죄임부재를 당겨서 묶도록 하고, 연속된 죄임부재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죄임부재를 라운드지게(R) 커팅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뾰족한 모서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밴드케이블 커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장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 와이어 하네스를 소정의 위치에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밴드 케이블이라는 부재를 사용한다.
이 밴드케이블은 와이어 하네스를 한꺼번에 묶어서 소정의 장소에 걸림후크를 사용하여 고정하여 배선을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와이어 하네스에는 고정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원형의 구멍에 걸림후크가 삽입되어서 밴드케이블을 고정한 후에 자유롭게 회전되어지는 정홀 방식과, 밴드케이블 체결시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하네스에 방향성을 부여하여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슬롯방식(Slot Type)과, 정홀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형의 구멍에 일측으로 홀을 모조로 형성하여서 밴드케이블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키이홀(Key Hole)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237호(2010. 03. 18.)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밴드케이블은 플렉시블조임구로 와이어 하네스를 조여 주어 고정하고 삽입공으로 지나치게 인출된 부분을 가위로 절단하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에 따라 잘려진 단부가 날카로워 타 와이어 하네스를 손상하거나 작업자에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팅기를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에워싼 밴드케이블의 죄임부재를 당겨서 묶도록 하고, 연속된 죄임부재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죄임부재를 라운드지게 커팅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뾰족한 모서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 밴드케이블 커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는: 밴드케이블의 피절단부위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의 하측 내부로 노출되는 하부칼날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직진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손잡이를 힌지 연결한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홀로 삽입된 피절단부위를 잡아당기는 그립부, 및 상기 밴드케이블이 피절단부위가 상기 삽입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외력 작용시 시소 운동되며 일측에 구비된 상부칼날로써 피절단부위를 절단하는 절단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칼날과 상기 상부칼날에 라운드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피절단부위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되는 접촉편,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당김 여부에 따라 회동되며 피절단부위를 상기 접촉편으로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핀, 및 초기 상태에 상기 접촉편과 유격된 상기 가압핀을 상기 손잡이에 외력 작용시 상기 가압핀을 탄성적으로 회동시켜 피절단부위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작동부는, 상기 손잡이에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힌지 연결되며 상측으로 푸셔를 돌출 형성한 지지부재, 상기 몸체의 내측에 대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삽입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구비된 푸쉬탄성부재, 및 상기 몸체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상부칼날을 형성하여 피절단부위가 상기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당기는 외력 작용시 회동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푸셔에 의해 회동 작동되며 피절단부위를 커팅하도록 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작동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당기는 풀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상기 풀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회전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는 커팅기를 이용하여 와이어하네스를 에워싼 밴드케이블의 죄임부재를 당겨서 묶도록 하고, 연속된 죄임부재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죄임부재를 라운드지게 커팅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뾰족한 모서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내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작동 완료 후 절단된 밴드케이블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내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작동 완료 후 절단된 밴드케이블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100)는 밴드케이블(10)의 피절단부위(16)를 절단하는 기기로서, 몸체(110), 고정부재(120), 슬라이드부재(130), 그립부(140), 및 절단작동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밴드케이블(10)은 헤드(12) 및 죄임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헤드(12)는 차체 패널(도시하지 않음) 등에 끼워 삽입되고, 죄임부재(14)를 삽입하기 위해 끼움공(13)을 통공한다.
그리고, 죄임부재(14)는 와이어하네스(2)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는다. 특히, 죄임부재(14)가 헤드(12)의 끼움공(13)에 삽입시 끼움공(13) 내측에 걸리게 된다. 이때, 죄임부재(14)는 끼움공(13)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피절단부위(16)는 죄임부재(14) 중 헤드(12)의 일측을 통해 끼움공(13)에 삽입된 후 헤드(12)의 타측으로 노출되는 부위를 말한다. 피절단부위(16)는 밴드케이블 커팅기(100)에 의해 커팅(cutting)된다.
한편, 몸체(110)는 밴드케이블 커팅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고정부재(120), 슬라이드부재(130), 그립부(140), 및 절단작동부(200)를 구비한다.
아울러, 몸체(110)는 죄임부재(14)의 피절단부위(16)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112)을 형성한다.
고정부재(120)는 몸체(110)의 내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드부재(130)를 지지한다. 특히, 고정부재(120)는, 후술할, 제 5피벗핀(234)에 의해 몸체(110)에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20)는 하부칼날(122)을 구비한다. 하부칼날(122)은 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삽입홀(112)의 하측 내부로 소정 노출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하부칼날(122)은 피절단부위(16)의 하측면을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슬라이드부재(130)는 고정부재(120)에 직진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고정부재(120)는 슬라이드부재(130)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드부재(13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124)를 구비한다. 서포트리브(124)는 고정부재(120)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다.
아울러, 슬라이드부재(130)는 강제로 당길 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32)를 구비한다. 손잡이(132)는 슬라이드부재(130)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손잡이(132)는 상측을 고정부재(120)에 힌지 연결된다. 즉, 손잡이(132)는 제 1피벗핀(134)에 의해 고정부재(120)에 힌지 연결된다.
한편, 그립부(140)는 삽입홀(112)에 인접하도록 슬라이드부재(130)에 구비된다. 그래서, 그립부(140)는 삽입홀(112)로 삽입된 피절단부위(16)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특히, 그립부(140)는, 접촉편(142), 가압핀(144), 및 가압탄성부재(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촉편(142)은 삽입홀(112)에 삽입되는 피절단부위(16)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슬라이드부재(130)에 구비된다.
그리고, 가압핀(144)은 슬라이드부재(130)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가압핀(144)은 제 3피벗핀(145)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30)에 회전 가능하게 구속된다. 특히, 가압핀(144)은 제 3피벗핀(145)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가압핀(144)은 손잡이(132)의 당김 여부에 따라 편심 회동되며 피절단부위(16)를 접촉편(142)으로 밀착시키도록 가압한다.
이때, 가압핀(144)은 손잡이(132)를 당기지 않는 상태인 외력 제거된 초기 상태에서 하부칼날(122) 또는 몸체(110) 내측에 접하며 상측이 접촉편(142)과 소정 유격된다. 그래서, 밴드케이블(10)의 피절단부위(16)는 유격된 접촉편(142)과 가압핀(144) 사이로 삽입된다.
아울러, 가압탄성부재(146)는 초기 상태에 접촉편(142)과 유격된 가압핀(144)을 손잡이(132)에 외력 작용시 가압핀(144)을 탄성적으로 회동시켜 피절단부위(16)를 가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탄성부재(146)의 일측은 슬라이드부재(130)에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가압탄성부재(146)의 타측은 가압핀(144)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가압탄성부재(146)는 토션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가압탄성부재(146)는 가압핀(144)을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려는 힘을 발생하는데, 가압핀(144)은 초기 상태에 하부칼날(122) 또는 몸체(110) 내측에 접함에 따라 일방향 회전 방지되며 접촉편(142)과 일정 유격을 유지하게 된다.
손잡이(132)가 당겨지는 외력을 받게 되면, 가압핀(144)은 하부칼날(122) 또는 몸체(110)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가압탄성부재(1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3피벗핀(145)을 기준으로 일방향 회전됨으로써 피절단부위(16)의 하측을 접촉편(142)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물론, 손잡이(132)에 가해지는 외력 제거시, 슬라이드부재(130)는 원위치 복귀함으로써, 가압핀(144)은 하부칼날(122) 또는 몸체(110) 내측에 접하면서 타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래서, 가압핀(144)과 접촉편(142)은 유격된 초기 상태가 된다.
한편, 절단작동부(200)는 밴드케이블(10)의 피절단부위(16)가 삽입홀(112)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32)에 외력 작용시 시소 운동되며 일측에 구비된 상부칼날(232)로써 피절단부위(16)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죄임부재(14)가 와이어하네스(2)를 감싼 후 헤드(12)의 끼움공(13)에 삽입된 피절단부위(16)는 접촉편(142)과 가압핀(14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32)의 반복적 이동을 통해 당겨지게 된다. 삽입홀(112)을 통공한 몸체(110)의 일측은 헤드(12)에 접하여 지지된다. 특히, 피절단부위(16)는 끼움공(13) 내측에서 역방향 이탈 방지되게 형성된다.
'피절단부위(16)가 삽입홀(112)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는 죄임부재(14)가 와이어하네스(2)를 최대한 죄임으로써, 피절단부위(16)가 더 이상 몸체(110) 내부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예로서, 절단작동부(200)는, 지지부재(210), 푸쉬탄성부재(220), 및 회동부재(23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10)는 손잡이(132)에 구비된 제 2피벗핀(136)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때, 지지부재(210)는 손잡이(132)가 당겨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 2피벗핀(136)의 후측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10)는 슬라이드부재(130)에 힌지 연결된다. 즉, 지지부재(210)는 제 4피벗핀(214)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30)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손잡이(132)가 반복적으로 후진되면서 접촉편(142)과 가압핀(144)의 반복적 가압으로 피절단부위(16)를 당길 때, 슬라이드부재(130)와 지지부재(210)는 직선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피절단부위(16)가 삽입홀(112)로 완전히 삽입되면, 슬라이드부재(130)가 더 이상 후진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때, 작업자가 손잡이(132)를 더 후진시키면, 지지부재(210)는 제 4피벗핀(214)을 기준으로 일방향 회전된다.
특히, 지지부재(210)는 상측에 푸셔(212)를 돌출 형성한다.
또한, 푸쉬탄성부재(220)는 몸체(110)의 내측에 대해 지지부재(210)를 삽입홀(112)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몸체(110) 내부에 구비된다. 즉, 푸쉬탄성부재(220)는 몸체(110)의 타측 내측면에 대해 지지부재(210)를 탄성적으로 접촉편(142) 방향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초기에, 슬라이드부재(130)와 손잡이(132)는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푸쉬탄성부재(220)의 일측은 몸체(110)의 타측 내면에 탄성 지지되고, 푸쉬탄성부재(220)의 타측은 지지부재(210)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푸쉬탄성부재(220)의 타측이 지지부재(210)를 제 2피벗핀(136)을 기준으로 시계방향(도면에서 봤을 때)으로 모멘트를 받도록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제 4피벗핀(214)이 손잡이(132)를 제 1피벗핀(134)을 기준으로 시계방향(도면에서 봤을 때)으로 모멘트를 받도록 밀게 된다.
회동부재(230)는 몸체(110)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회동부재(230)는 고정부재(120)를 몸체(110)에 위치 고정하고 있는 제 5피벗핀(234)에 의해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회동부재(230)는 일측에 상부칼날(232)을 형성한다. 회동부재(230)가 회동되면, 하부칼날(122)과 상부칼날(232)은 설정된 쉐어 앵글(share angle)로 인해 피절단부위(16)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즉, 피절단부위(16)가 삽입홀(112)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32)에 당기는 외력 작용시, 지지부재(210)가 일방향 회전된다. 이때, 푸셔(212)가 상승하면서 회동부재(230)의 타측을 밀어 올리게 된다. 그래서, 회동부재(230)가 시소 동작하게 되고, 상부칼날(232)은 하부칼날(122) 방향으로 하향하면서 피절단부위(16)를 절단하게 된다.
아울러, 절단작동부(200)는, 걸림부재(240), 풀탄성부재(250), 및 회전휠(2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부재(240)는 몸체(110)에 연결된다. 특히, 걸림부재(240)는 회동부재(230)의 타측에 인접하도록 몸체(110)의 손으로 잡는 부위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풀탄성부재(250)는 걸림부재(24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회동부재(230)의 타측에 연결된다. 그래서, 풀탄성부재(250)는 회동부재(230)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당기게 된다. 즉, 풀탄성부재(250)는 걸림부재(240)에 대해 회동부재(230)를 탄성적으로 당기는(pull) 역할을 한다. 여기서, 풀탄성부재(250)는 코일 스프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휠(260)은 걸림부재(240)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풀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회전휠(260)은 몸체(110)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몸체(110)는 개방되는 장착홀(262)을 통공하고, 회전휠(260)은 장착홀(262)에 삽입된 후 걸림부재(240)를 나사 결합한다.
이에 따라, 회전휠(260)이 일방향으로 회전시 걸림부재(240)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풀탄성부재(250)는 회동부재(230)의 타측을 당기는 힘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휠(260)이 타방향으로 회전시 걸림부재(240)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풀탄성부재(250)는 회동부재(230)의 타측을 당기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30)는 풀탄성부재(250)의 탄성력 조절을 통해 회동을 위해 가해지는 힘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풀탄성부재(250)는 회동되며 들려지는 회동부재(230)의 타측을 당김으로써, 외력 제거시, 회동부재(230)는 탄성적으로 원위치 복귀하게 된다.
특히, 걸림부재(240)는 표시부재(270)를 구비한다. 표시부재(270)는 눈금 등 풀탄성부재(250)의 탄성 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회전휠(260)이 회전됨으로써, 걸림부재(240)가 승하강하게 되고, 표시부재(270)의 해당 정보가 몸체(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밴드케이블(10)의 피절단부위(16)가 삽입홀(112)로 완전히 삽입된 후, 손잡이(132)가 당겨질 때, 회동부재(230)가 회동됨에 따라, 상부칼날(232)이 하부칼날(122)과 셰어각(share angle)을 이루며 피절단부위(16)의 해당 부위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피절단부위(16)는 절단면이 죄임부재(14)의 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면처리될 경우, 뾰족한 모서리로 인해 안전사고가 유발된다.
그래서, 하부칼날(122)과 상부칼날(232)은 라운드면부(300)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피절단부위(16)의 절단면은 곡률지게(R) 형성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100)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케이블 커팅기의 작동 완료 후 절단된 밴드케이블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밴드케이블 12: 헤드
14: 죄임부재 16: 피절단부위
100: 밴드케이블 커팅기 110: 몸체
112: 삽입홀 120: 고정부재
122: 하부칼날 124: 서포트리브
130: 슬라이드부재 132: 손잡이
134: 제 1피벗핀 136: 제 2피벗핀
140: 그립부 142: 접촉편
144: 가압핀 145: 제 3피벗핀
146: 가압탄성부재 200: 절단작동부
210: 지지부재 212: 푸셔
214: 제 4피벗핀 220: 푸쉬탄성부재
230: 회동부재 232: 상부칼날
240: 걸림부재 250: 풀탄성부재
260: 회전휠 270: 표시부재
300: 라운드면부

Claims (4)

  1. 밴드케이블의 피절단부위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의 하측 내부로 노출되는 하부칼날을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직진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고, 손잡이를 힌지 연결한 슬라이드부재;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왕복 이동으로 상기 삽입홀로 삽입된 피절단부위를 잡아당기는 그립부; 및
    상기 밴드케이블의 피절단부위가 상기 삽입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외력 작용시 일측에 구비된 상부칼날로써 피절단부위를 절단하는 절단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칼날과 상기 상부칼날은 라운드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커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피절단부위의 상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되는 접촉편;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편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의 당김 여부에 따라 회동되며 피절단부위를 상기 접촉편으로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핀; 및
    초기 상태에 상기 접촉편과 유격된 상기 가압핀을 상기 손잡이에 외력 작용시 상기 가압핀을 탄성적으로 회동시켜 피절단부위를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커팅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작동부는,
    상기 손잡이에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힌지 연결되며, 상측으로 푸셔를 돌출 형성한 지지부재;
    상기 몸체의 내측에 대해 상기 손잡이를 상기 삽입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밀도록 구비된 푸쉬탄성부재; 및
    상기 몸체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에 상기 상부칼날을 형성하여 피절단부위가 상기 삽입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에 당기는 외력 작용시 회동되는 상기 지지부재의 푸셔에 의해 회동 작동되며 피절단부위를 커팅하도록 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커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작동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걸림부재;
    상기 걸림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동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타측을 탄성적으로 당기는 풀탄성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의 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과 회전량에 따라 상기 풀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회전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커팅기.
KR1020120112000A 2012-10-09 2012-10-09 밴드케이블 커팅기 KR20140045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000A KR20140045796A (ko) 2012-10-09 2012-10-09 밴드케이블 커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000A KR20140045796A (ko) 2012-10-09 2012-10-09 밴드케이블 커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796A true KR20140045796A (ko) 2014-04-17

Family

ID=5065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000A KR20140045796A (ko) 2012-10-09 2012-10-09 밴드케이블 커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57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5678B2 (ja) ラチェット式結束工具
TWI530040B (zh) Tight line
JP5436572B2 (ja) ステンレススチール金属製のロッキングタイのための電動工具
KR102022736B1 (ko) 절단 공구 및 그 작동 방법
EP2280136A3 (en) Reinforcing bar binding machine
US9902519B2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246259A1 (en) Cable tie tensioning and cut off tool
JP4859580B2 (ja)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US8561531B2 (en) Hand-held battery powered center punch band clamp tool
JP2004242477A (ja) 掴線器
KR20140045796A (ko) 밴드케이블 커팅기
US9132928B2 (en) Hand-held battery powered center punch band clamp tool
KR101133235B1 (ko) 커터
KR102453536B1 (ko) 밴드 신장 도구
JP6598068B2 (ja) テープ巻付装置
JP2014068618A (ja) 採果鋏
KR20120005002U (ko) 밴드케이블의 라운드 절단장치
JP5436140B2 (ja) 間接活線工事に用いられる把持工具の補助部材
KR101210387B1 (ko)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JP3183506U (ja) 結束バンド外し具
JP3183506U7 (ko)
JP2017001133A (ja) コネクタ取り外し用プライヤ
US11738475B2 (en) Windshield removal tool
CN108724031A (zh) 夹持装置
KR20120108810A (ko) 케이블 타이 절단용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