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387B1 -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387B1
KR101210387B1 KR1020100131040A KR20100131040A KR101210387B1 KR 101210387 B1 KR101210387 B1 KR 101210387B1 KR 1020100131040 A KR1020100131040 A KR 1020100131040A KR 20100131040 A KR20100131040 A KR 20100131040A KR 101210387 B1 KR101210387 B1 KR 10121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ing
coupling plate
cut
male
tigh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477A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0013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3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단에 한 쌍의 손잡이부가 각각 구비되고 선단에는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및 2 절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가 서로 결합되면서 케이블 타이의 돌출된 띠형부를 라운드지게 자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scissors for cable tie}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케이블 타이를 자를 때 절단면을 매끄럽게 절단하여 작업자의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절단면에 의해 상처받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 타이의 끝단을 파지하여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타이는 자동차에 배선될 와이어하니스를 묶거나 묶인 와이어 하니스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와이어를 작업자가 묶을 경우에, 종래에는 작업자로 하여금 복수개의 와이어를 케이블 타이가 에워싸게 한 다음,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 선단을 체결구멍에 삽입하고 나서 니퍼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구멍을 관통하여 나온 띠형부의 선단을 잡아당겨서 복수개의 와이어의 돌출부를 일반가위로 절단하게 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로 하여금 니퍼공구와 일반가위를 사용하게 하여, 상기 작업을 수행할 시에 작업수행테이블에 상기 2개의 도구들이 준비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테이블에 상기 2개의 도구를 안치시키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해당 단계 시마다 해당 도구를 작업자에게 찾는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을 낮춘다고 하는 문제점을 종래의 케이블 조임 및 절단작업은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가위로 띠형부를 절단하게 되면, 그 절단부위의 모서리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서, 상기 띠형부의 날카로운 부분이 작업중인 작업자에 손이나 팔 부위에 손상을 입히게 되고, 아울러 자동차의 조립과정시에 제일먼저 차체에 와이어 하니스가 부착된 다음 나머지 자동차부품이 차체에 장착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띠형부의 선단부분이 상기 나머지 자동차부품을 손상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종래의 케이블 타이 조임 및 절단작업은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일반가위에 띠형부를 잡아당길 수 있는 잡아당김부를 선단에 탈착가능하게 마련하고, 돌출된 띠형부를 절단하되 절단된 부위가 둥근부위가 되게 절단할 수 있는 라운딩부를 상기 잡아당김부에 인접하게 탈착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단에 한 쌍의 손잡이부가 각각 구비되고 선단에는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및 2 절단부가 힌지핀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의 선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나사홀과, 상기 제 1 절단부의 선단부 윗면과 상기 제 2 절단부의 선단부 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는, 상기 제 1 절단부의 선단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절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절단부의 나사홀과 대응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절단부의 선단 윗면과 동일높이 선상을 갖는 제 1 결합판; 상기 제 1 결합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 1 절단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절단부의 절개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돌출형성되는 제 1 잡아당김부(21); 상기 제 1 결합판의 중단에서 상기 제 1 잡아당김부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숫형라운딩부; 상기 제 1 결합판의 기단에서 상기 제 1 잡아당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암형라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는, 상기 제 2 절단부의 선단 내측면에서 상기 제 2 절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탁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2 절단부의 나사홀 대응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절단부의 선단 밑면과 동일 높이 선상을 갖는 제 2 결합판; 상기 제 2 결합판의 선단에서 상기 제 2 절단부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절단부의 절개부가 형성된 위치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잡아당김부의 윗면과 밑면이 접촉되는 제 2 잡아당김부; 상기 제 2 결합판의 중단에서 상기 제 2 잡아당김부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숫형라운딩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제 2 암형라운딩부; 상기 제 2 결합판의 기단에서 상기 제 2 잡아당김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암형라운딩부에 삽입되는 제 2 숫형라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케이블 절단가위에 의하면, 작업자가 제 1 및 2 절단부에 각가 장착된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에 의하여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를 라운드지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차량 및 기계장치를 수리할 때, 작업자의 신체부위가 상기 티형부의 날카로운 선단에 긁히지 않아 상처를 입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및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의 중단과 기단에 각각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 절단부위를 우측 및 좌측으로 라운드지게 자를 수 있는 제 1 숫형라운딩부와 제 1 암형라운딩부, 그리고, 제 2 숫형라운딩부와 제 2 암형라운딩부가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손잡이부를 한 번 파지한 상태에서 자리 이동없이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 선단을 라운드지게 자를 수 있으므로,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 절단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밴드 케이블이 다수의 전선 다발이나 두꺼운 전선을 결속시킴에 따라 스트립의 선단 길이가 짧아도, 본 발명의 제 1, 2 집게부로 스트립의 선단을 파지하여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두꺼운 전선 및 다수의 전선 다발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의 사용모습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 절단가위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의 측면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 절단가위는, 기단에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각각 구비되고 선단에는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 20a)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및 2 절단부(30, 30a)가 힌지핀(1)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1)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서로 근접하게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 20a)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의 선단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새의 부리형상을 하고 있는 판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선단은 새의 아래 부리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선단은 새의 위 부리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단면 윗면과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단면 밑면에는 절개부(9, 9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 20a)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가 상기 힌지핀(1)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이동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가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절단부(30)의 선단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절단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선단 윗면과 동일높이 선상을 갖는 제 1 결합판(25);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선단에서 상기 제 1 절단부(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절개부(9)가 형성된 위치에서 돌출형성되는 제 1 잡아당김부(21);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가 형성된 위치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잡아당기부(21)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판(25)에서 돌출형성되는 숫형라운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선단 내측면에서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탁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나사홀(5) 대응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절단부(30)의 선단 밑면과 동일 높이 선상을 갖는 제 2 결합판(25a); 상기 제 2 결합판(25a)의 선단에서 상기 제 2 절단부(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절개부(9a)가 형성된 위치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의 윗면과 밑면이 접촉되는 제 2 잡아당김부(21a);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가 형성된 위치에서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결합판(25a)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a)의 숫형라운딩부(2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암형라운딩부(23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는, 상기 제 1 결합판(25)에 형성된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판(25)에서 돌출형성되는 암형라운딩부(23)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a)는, 상기 제 2 결합판(25)에 형성된 상기 암형라운딩부(2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결합판(25a)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의 암형라운딩부(23)에 삽입되는 숫형라운딩부(2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의 선단에는 복수개의 나사홀(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에는 상기 나사홀(5)과 대응되어 유통가능한 나사홀(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을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의 내측면에 각각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홀(5, 5a)에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을 삽입시켜 체결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이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의 윗면과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의 밑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기(7)가 횡방향을 따라 수직상향 및 수직하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의 마찰돌기(7)와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의 마찰돌기(7)는 서로 교호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숫형라운딩부(22)와 제 2 결합판(25a)의 숫형라운딩부(22a)는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는 채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에서 각각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절단부(30)와 제 2 절단부(30a)의 선단 높이방향에 걸쳐 각각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암형라운딩부(23)와 제 2 결합판(25a)의 암형라운딩부(23a)에는 상기 숫형라운딩부(22, 22a)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는 오목홈(24)을 형성한 채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에서 각각 수평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절단부(30)와 제 2 절단부(30a)의 선단 높이방향에 걸쳐 각각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숫형라운딩부(22, 22a)의 상단 및 하단 테두리에는 날면(8)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24)을 구획형성하고 있는 상기 암형라운딩부(23, 23a)의 상단 및 하단 테두리에도 날면(8)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다수개의 전선(W)을 감싼 뒤 체결구(6)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4)를 잡아당기고 절단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블록체(20, 20a)의 제 1 잡아당김부(21)와 제 2 잡아당김부(21a) 사이에 당기고자 하는 상기 띠형부(4)의 선단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 작업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를 서로 오므려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와 제 2 잡아당기부(21a)를 서로 접촉시킨다.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4)는 상기 제 1 및 제 2 잡아당김부(21, 21a)에 의해 파지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를 파지한 채로 당기면 상기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4)가 당겨지면서 다수개의 전선(W)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잡아당김부(21a)에 의해 당겨져 선단이 우측으로 돌출된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4)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숫형라운딩부(22)와 제 2 결합판(25a)의 암형라운딩부(23a) 사이에 절단하고자 하는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위치시킨다.
즉,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상단과 상기 암형라운딩부(23a)의 하단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므리면,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가 서로 오므려지고, 아울러,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상단부가 상기 암형라운딩부(23a)의 오목홈(24)에 일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상부와 상기 암형라운딩부(23a)의 하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는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날면(8)과 상기 암형라운딩부(23a)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날면(8)에 의해 절단되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절단면이 반구형상처럼 라운드지게 절단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잡아당김부(21a)에 의해 당겨져 선단이 좌측으로 돌출된 케이블 타이의 띠형부(4)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암형라운딩부(23)와 제 2 결합판(25a)의 숫형라운딩부(22a) 사이에 절단하고자 하는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위치시킨다.
즉,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상기 암형라운딩부(23)의 상단과 상기 숫형라운딩부(22a)의 하단 사이에 놓이도록 한다.
그 다음, 작업자는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므리면,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가 서로 오므려지고, 아울러, 상기 숫형라운딩부(22a)의 하단부가 상기 암형라운딩부(23)의 오목홈(24)에 일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숫형라운딩부(22a)의 하부와 상기 암형라운딩부(23)의 상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는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날면(8)과 상기 암형라운딩부(23)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날면(8)에 의해 절단되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절단면이 반구형상처럼 라운드지게 절단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와 제 2 손잡이부(10a)가 작업자에 의해 서로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숫형라운딩부(22)의 상단부와 제 2 결합판(25a)의 숫형라운딩부(22a)의 하단부 일부가 상기 제 2 결합판(25a)의 암형라운딩부(23a)의 오목홈(24)과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암형라운딩부(23)의 오목홈(2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제 1, 2 잡아당김부(21, 21a)가 상기 제 1, 2 절단부(30, 30a)의 선단부에 형성된 절개부(9)의 잘려진 깊이만큼 서로 더 이동되어 접촉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본 발명의 절단가위에 의해 상기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반구형상처럼 라운드지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차량 및 기계장치의 수리작업을 할 때, 절단부위가 날카롭게 절단된 띠형부(4)의 선단에 의해 신체에 상처를 입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절단가위는, 도 3의 도면을 예시로 들면, 제 1, 2 절단부(30, 30a)의 선단 내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의 중단에는 선단이 우측으로 돌출된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라운드지게 자를 수 있는 숫형라운딩부(22)와 암형라운딩부(23a)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의 기단에는 선단이 좌측으로 돌출된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라운드지게 자를 수 있는 암형라운딩부(23)와 숫형라운딩부(22a)가 각각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10, 10a)를 한번 파지한 상태에서 번거롭게 손목을 비틀거나 상기 제 1, 2 손잡이부(10, 10a)를 반대로 파지하지 않아도 좌측 및 우측으로 돌출된 띠형부(4)을 한 자리에서 라운드지게 자를 수 있다.
또한, 밴드 케이블이 다수의 전선 다발이나 두꺼운 전선을 결속시킴에 따라 상기 체결구(6)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띠형부(4)의 선단이 짧아도 본 발명의 절단가위에 형성된 제 1, 2 잡아당김부(21, 21a)로 상기 띠형부(4)의 선단을 파지하여 잡아당길 수 있기 때문에 두꺼운 전선 및 다수의 전선 다발도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더군다나, 상기 제 1 및 2 잡아당김부(21, 21a)의 마찰돌기(7)가 상기 띠형부(4)의 래치(2)와 마찰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제 1 및 2 잡아당김부(21, 21a)로 상기 띠형부(4)의 선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미끌림 없이 잡아당길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9)에 의해 잘려진 높이만큼 상기 제 1 및 2 잡아당김부(21, 21a)가 서로 더 이동되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 1 숫형라운딩부(22)와 제 2 암형라운딩부(22a)의 일부가 상기 제 2 암형라운딩부(23a)과 제 1 암형라운딩부(23)의 오목홈(24)에 각각 삽입되면서 띠형부(4)를 절단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띠형부(4)의 절단부위를 작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자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10a : 손잡이부 20 :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
20a :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 22, 22a : 숫형라운딩부
23, 23a : 암형라운딩부 25 : 제 1 결합판
25a : 제 2 결합판

Claims (4)

  1. 기단에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각각 구비되고 선단에는 제 1 및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 20a)가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제 1 및 2 절단부(30, 30a)가 힌지핀(1)에 의해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는,
    상기 제 1 및 제 2 절단부(30, 30a)의 선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나사홀(5)과,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선단부 윗면과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선단부 밑면에 각각 형성되는 절개부(9, 9a)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는,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선단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절단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1 절단부(30)의 나사홀(5)과 대응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선단 윗면과 동일높이 선상을 갖는 제 1 결합판(25);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선단에서 상기 제 1 절단부(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절단부(30)의 절개부(9)가 형성된 위치에서 돌출형성되는 제 1 잡아당김부(21);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가 형성된 위치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잡아당기부(21)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판(25)에서 돌출형성되는 숫형라운딩부(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a)는,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선단 내측면에서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착탁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나사홀(5) 대응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절단부(30)의 선단 밑면과 동일 높이 선상을 갖는 제 2 결합판(25a); 상기 제 2 결합판(25a)의 선단에서 상기 제 2 절단부(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절단부(30a)의 절개부(9a)가 형성된 위치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의 윗면과 밑면이 접촉되는 제 2 잡아당김부(21a);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가 형성된 위치에서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결합판(25a)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a)의 숫형라운딩부(22)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암형라운딩부(23a)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는, 상기 제 1 결합판(25)에 형성된 상기 숫형라운딩부(22)의 후방에서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결합판(25)에서 돌출형성되는 암형라운딩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a)는, 상기 제 2 결합판(25)에 형성된 상기 암형라운딩부(2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가 돌출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 2 결합판(25a)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손잡이부(10, 10a)가 오므려짐에 따라 상기 제 1 조임 및 절단작업 블록체(20)의 암형라운딩부(23)에 삽입되는 숫형라운딩부(22a)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숫형라운딩부(22)와 상기 제 2 결합판(25a)의 숫형라운딩부(22a)는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는 채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판(25, 25a)에서 각각 수평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판(25)의 암형라운딩부(23)와 상기 제 2 결합판(25a)의 암형라운딩부(23a)는 상기 숫형라운딩부(22, 22a)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구형상의 단면을 갖는 오목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잡아당김부(21)의 윗면과 상기 제 2 잡아당김부(21a)의 밑면에는 복수개의 마찰돌기(7)가 횡방향을 따라 수직상향 및 수직하향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4. 삭제
KR1020100131040A 2010-12-20 2010-12-20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KR10121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040A KR101210387B1 (ko) 2010-12-20 2010-12-20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040A KR101210387B1 (ko) 2010-12-20 2010-12-20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77A KR20120069477A (ko) 2012-06-28
KR101210387B1 true KR101210387B1 (ko) 2012-12-10

Family

ID=4668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040A KR101210387B1 (ko) 2010-12-20 2010-12-20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24B1 (ko) 2020-05-12 2020-11-24 박성순 케이블 타이용 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8471B (zh) * 2017-05-04 2018-09-14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剪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642A1 (en) * 2003-11-10 2006-04-13 Elkins Bert V Tool for cutting cable ties leaving a round e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75642A1 (en) * 2003-11-10 2006-04-13 Elkins Bert V Tool for cutting cable ties leaving a round e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24B1 (ko) 2020-05-12 2020-11-24 박성순 케이블 타이용 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477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9206C (en) Electrician's compound tool
US20070277383A1 (en) Cable Tie Removal Tool
US9450388B2 (en) Multi-function wire stripping hand tool and kit and method for using same
US10513043B2 (en) Methods of operating cutting tools
US5575029A (en) Combination tool
US7966681B2 (en) Multi-function pipe cutting and fitting tool
US6934991B2 (en) Electrician's tool
US9186804B2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1210387B1 (ko)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US6701560B2 (en) Nail pulling utility tool
KR101124589B1 (ko) 밴드 케이블 절단가위
US20050097758A1 (en) Tool for cutting cable ties leaving a round end
US11110582B2 (en) Multi-purpose hand tool
US3058213A (en) Steel strap cutting tool
CN105592689B (zh) 用于修枝工具的拉动构件
CN214588210U (zh) 一种电缆加工多功能夹具
JP3183506U7 (ko)
KR20120005002U (ko) 밴드케이블의 라운드 절단장치
CN215510632U (zh) 一种用于剥线的磨口钳
CN218016114U (zh) 一种卡带剪切钳
CN211729046U (zh) 一种具有羊角锤功能的电工钳
KR20120108810A (ko) 케이블 타이 절단용 공구
KR20090011835U (ko) 다용도 펜치
KR101371665B1 (ko) 콜게이트튜브 삽입 부재
JPH05305916A (ja) 結束バンド用結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