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030B1 - 차량용 밴드 케이블 - Google Patents

차량용 밴드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030B1
KR101928030B1 KR1020170073103A KR20170073103A KR101928030B1 KR 101928030 B1 KR101928030 B1 KR 101928030B1 KR 1020170073103 A KR1020170073103 A KR 1020170073103A KR 20170073103 A KR20170073103 A KR 20170073103A KR 101928030 B1 KR101928030 B1 KR 10192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crew hole
fixing plate
band c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석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7007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 핀 혹은 스터드 볼트와 체결이 용이한 차량용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외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가 형성되며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며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이 삽입되도록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통공된 원통형의 나사공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밴드부의 끝단이 관통하는 삽입공 형태의 헤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의 내측 면에는 상기 파형부와 치합 결합되는 탄성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원통형 나사공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되는 끝단이 상기 원통형의 나사공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부분 절곡되어 있는 푸쉬 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밴드 케이블{BAND CABL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트 핀 혹은 스터드 볼트와 체결이 용이한 차량용 밴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내에는 많은 센서들과 전장 구성품들이 존재한다.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들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여러 형태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 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해 와이어링 하니스를 고정한다.
와이어링 하니스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데, 밴드 케이블은 와이어링 하니스를 묶어서 와이어링 하니스를 정리하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일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밴드 케이블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밴드 케이블(10)은 외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22)가 형성되며 와이어링 하니스(60)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20)와, 상기 밴드부(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차체패널(50)에 돌출 형성된 스터드 볼트(stud bolt,52)(혹은 볼트 핀)로써 고정되도록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통공된 나사공(32)이 형성된 고정부(30)와, 상기 고정부(3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공(42)의 내측 면에는 파형부(22)와 치합 결합되는 헤드부(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20)의 일측 면에 형성된 파형부(22)는 측면상 직각 삼각 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파형부(22)가 탄력적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헤드부(40)의 삽입공(42)에는 탄성턱(44)이 절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턱(44)은 자유 상태 하에서 상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일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력 상태 하에서의 연쇄적인 미끄러짐과 소정 부위의 파형부(22)에서의 위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30)는 정방형의 얇은 판 형상이며 중앙부분에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몸체(31)를 구비한 고정판(34)과, 상기 고정판(34)에서 일정 길이의 장방형의 얇은 판으로 연장되며 상향 또는 하향으로 곡률져 와이어링 하니스(60)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판(36)으로 구성된다. 참고적으로 상기 몸체(31)의 중공 부분이 나사공(32)이 된다. 상기 나사공(32)은 상부에는 고정턱(33)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차체패널(50)에 삽입된 스터드 볼트(52)(혹은 볼트 핀)의 임의의 나사산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40)는 고정판(34)과 안착판(36)의 접한 부분에 형성되어 삽입공(42)으로 밴드부(20)를 휘게 하여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밴드 케이블(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부(20)의 타단부가 와이어링 하니스(60)를 감은 상태에서 헤드부(40)의 삽입공(42)으로 끼워지면서 일 방향으로 형성된 파형부(22)에 탄성턱(44)이 연쇄적으로 미끄러져 소정부위의 파형부(22)에 위치 고정됨으로써, 와이어링 하니스(60)가 안정되게 묶여 차체패널(50)에 고정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구조의 밴드 케이블을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과 결합하기 위해서는 고정판(34) 상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몸체(31)에 형성된 나사공(32) 내로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을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 고정판(34) 끝단의 양 모서리 부분을 작업자의 손으로 눌러 일정한 압력을 가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손으로 압력을 가하는 양 모서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아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작업 중 작업자의 손이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에 찔리거나 걸려 부상의 우려가 높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09031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1066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 혹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작업자의 손을 보호하며 볼트 핀 혹은 스터드 볼트와 체결이 용이한 차량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간단한 푸쉬 동작만으로도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이 삽입되는 나사공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과의 체결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함에 있으며,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 끝단과 주변 부품 혹은 케이블 접촉으로 인한 제품 손상 및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은 외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가 형성되며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며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이 삽입되도록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통공된 원통형의 나사공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로서,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밴드부의 끝단이 관통하는 삽입공 형태의 헤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의 내측 면에는 상기 파형부와 치합 결합되는 탄성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원통형 나사공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되는 끝단이 상기 원통형의 나사공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부분 절곡되어 있는 푸쉬 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밴드부의 내측 면에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파형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은 고정판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되는 푸쉬 판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고정판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 내로 볼트 핀이 삽입될 수 있어, 고정판 끝단의 양 모서리 부분을 두 손으로 눌러 작업하는 종전의 밴드 케이블에 비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중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과의 접촉에 의해 작업자가 손 부상을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밴드 케이블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차량용 밴드 케이블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의 측면 예시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차량용 밴드 케이블의 사용상태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82)가 형성되며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80)와,
상기 밴드부(80)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며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이 삽입되도록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통공된 원통형(90)의 나사공(92)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1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밴드부(80)의 끝단이 관통하는 삽입공(110) 형태의 헤드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110)의 내측 면에는 상기 파형부(82)와 치합 결합되는 탄성턱(115)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00)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원통형(90)의 나사공(92)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되는 끝단이 상기 원통형(90)의 나사공(92)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부분 절곡되어 있는 푸쉬 판(130)이 상기 고정판(100)과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파형부(82)는 삽입공(110) 형태의 헤드부(12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빗변을 형성한 직각 삼각 형상이다. 이러한 파형부(8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밴드부(80)의 내측 면에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파형부(140)가 더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밀림 방지용 파형부(140)는 빗살무늬 외에 도트, 거칠기 부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밴드 케이블(A)의 사용 예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우선 밴드부(80)는 가요성이 있어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아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밴드부(80)를 이용해 와이어링 하니스를 미리 감아 정렬한 밴드 케이블(A)을 볼트 핀(200)에 결합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볼트 핀(200)에 밴드 케이블(A)을 결합한 후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아 정렬할 수도 있다.
즉, 작업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케이블(A)의 밴드부(80)를 이용해 와이어링 하니스를 미리 감아 정렬한다. 이때 밴드부(80)의 끝단은 삽입공(110) 형태의 헤드부(120)를 관통하여 하니스 굵기에 맞춰 조여진다.
이후 작업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 케이블(A)의 고정판(100)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90)의 나사공(92) 입구에 볼트 핀(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정렬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고정판(100)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되되 부분 절곡되어 있는 푸쉬 판(130)을 손으로 가압함으로써, 볼트 핀(200)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90)의 나사공(92)을 관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푸쉬 판(130)은 고정판(100)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100)의 끝단을 하방으로 눌러 주어 나사공(92) 내로 볼트 핀(200)이 삽입되도록 직경을 확장시켜 준다. 나사공(92) 내에는 고정턱이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된 볼트 핀(200) 혹은 스터드 볼트의 나사산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밴드 케이블(A)은 고정판(100)의 타측 끝단에서 연장되어 있는 푸쉬 판(130)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고정판(10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92) 내로 볼트 핀(200)이 삽입될 수 있어, 고정판 끝단의 양 모서리 부분을 두 손으로 눌러 작업하는 종전의 밴드 케이블에 비해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중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과의 접촉에 의해 작업자가 손 부상을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볼트 핀(200) 혹은 스터드 볼트가 삽입되는 나사공(92) 앞에 푸쉬 판(130)이 위치하기 때문에 볼트 핀(200) 혹은 스터드 볼트 끝단부에 다른 부품 혹은 케이블이 걸리거나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제품 손상이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부대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외측 면에 길이방향으로 파형부가 형성되며 와이어링 하니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 끝단과 연결되며 스터드 볼트 혹은 볼트 핀이 삽입되도록 상부 면에서 하부 면까지 통공된 원통형의 나사공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밴드부의 끝단이 관통하는 삽입공 형태의 헤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공의 내측 면에는 상기 파형부와 치합 결합되는 탄성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타측 끝단에서 상기 원통형 나사공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되, 연장되는 끝단이 상기 원통형의 나사공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부분 절곡되어 있는 푸쉬 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내측 면에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파형부;가 더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밴드 케이블.
KR1020170073103A 2017-06-12 2017-06-12 차량용 밴드 케이블 KR10192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03A KR101928030B1 (ko) 2017-06-12 2017-06-12 차량용 밴드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3103A KR101928030B1 (ko) 2017-06-12 2017-06-12 차량용 밴드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030B1 true KR101928030B1 (ko) 2018-12-11

Family

ID=6467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3103A KR101928030B1 (ko) 2017-06-12 2017-06-12 차량용 밴드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0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722A (ja) 2000-09-11 2002-06-21 Panduit Corp ケーブル取付クランプ及びケーブル取付方法
JP2004512790A (ja) 2000-10-14 2004-04-22 アー ライモント エ カンパニュイ 扁平な対象物を保持しかつ/または固定するための装置
WO2009018311A1 (en) 2007-07-30 2009-02-05 Newfrey Llc Trim clip for curtain side air bag tri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722A (ja) 2000-09-11 2002-06-21 Panduit Corp ケーブル取付クランプ及びケーブル取付方法
JP2004512790A (ja) 2000-10-14 2004-04-22 アー ライモント エ カンパニュイ 扁平な対象物を保持しかつ/または固定するための装置
WO2009018311A1 (en) 2007-07-30 2009-02-05 Newfrey Llc Trim clip for curtain side air bag tri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5439B2 (en) Mounting bracket for electrical or communication device
JPH051947Y2 (ko)
US4795116A (en) Fastener for cable strap
JP5213651B2 (ja) 引下線用コネクタ
US20140087607A1 (en) Terminal fitting
US4784358A (en) Cable strap
US20130256467A1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 cable
CN110125979A (zh) 线条体固定装置
KR101928030B1 (ko) 차량용 밴드 케이블
KR200431314Y1 (ko) 밴드케이블
JPH0627615U (ja) バンドクランプ
US2928637A (en) Wiring clip
US3861780A (en) Self-closing terminal connector
US2262372A (en) Electrical connector
JP2563924Y2 (ja) 電線等の結束具
CA2291555A1 (en) Electric motor with spring clip for strain relief
JP4834588B2 (ja) 接地クリップ金具
JP2554387Y2 (ja) ケーブルグランドの保持具
JPH0643527Y2 (ja) アングル用取付金具
KR200387582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JP6430817B2 (ja) 取着体、取着具及び配線・配管材固定装置
JPH1061647A (ja) 締め具
KR101737759B1 (ko) 프리텐션 접속단자
KR102302287B1 (ko) 스터드 타입 밴드케이블
US1732956A (en) Cable conne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