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715B1 -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 Google Patents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715B1
KR101449715B1 KR1020130003542A KR20130003542A KR101449715B1 KR 101449715 B1 KR101449715 B1 KR 101449715B1 KR 1020130003542 A KR1020130003542 A KR 1020130003542A KR 20130003542 A KR20130003542 A KR 20130003542A KR 101449715 B1 KR101449715 B1 KR 101449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tablet
tablets
receiv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813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조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00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7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6Trinkets, e.g. shirt buttons or jewellery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02Supply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정제가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된 정제들을 일시 수용한 후 하부의 호퍼로 배출하는 중간 셔터들을 포함하는 약제 포장기의 정제 배출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이 정제 배출 감지 장치는 중간 셔터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하는 정제 감지부, 및 상기 정제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로부터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근거하여 처방 대상 정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처방에 따른 정확한 조제가 보장된다.

Description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Medicine packing machine with tablet discharge detection}
본 발명은 약제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약제 포장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제 캐비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정제 형태의 약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해주는 도 1과 같은 약제 포장기가 잘 알려져 있다. 약제 포장기는 각종 정제가 종류별로 수납되는 정제 캐비닛(100)과, 정제 캐비닛(100)의 하측에서 정제 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포장하는 포장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제 캐비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 본체(110)와 컨테이너(120)를 구비한다. 캐비닛 본체(1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측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캐비닛 본체(11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쪽 면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120)는 다수의 카트리지(130)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캐비닛 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카트리지(130)들이 함께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카트리지(130)는 카트리지 케이스(131)와 카트리지 케이스(131)의 하단에 결합하는 카트리지 베이스(132)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케이스(131)에는 여러 종류의 정제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가 수납된다. 카트리지 베이스(132)는 카트리지 케이스(131)에 수납된 정제를 처방 신호에 따라 배출하도록 제어된다.
카트리지(130)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해당 이송 통로를 통해 낙하하여 해당 중간 셔터(300)에 일시 수용된다. 참고로 이송 통로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11061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중간 셔터(300)들은 처방에 따른 해당 정제들을 일시 수용한 후 개방되어 수용하고 있던 정제를 배출한다. 이에 중간 셔터(300)들로부터 배출된 정제들은 다시 낙하하여 호퍼(400)에 모두 수용되며, 호퍼(400) 하측에 위치한 포장 유닛(200)에 의해 1회 복용 분량씩 포장된다. 여기서 포장 유닛(20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포장지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포장지를 밀봉하는 밀봉 기기 및 포장지에 각종 정보를 인쇄하는 인쇄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카트리지 베이스(132)의 배출구에는 광학식의 센서가 장착되는데, 이 센서는 정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30)로부터 정제의 배출이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130)로부터 정제는 배출되었으나, 호퍼(400)에 모두 수용되지 않아 잘못된 조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이송 통로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여 정제가 중간 셔터(300)에 수용되지 않는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단지 카트리지(130)에서의 정제 배출 여부만을 감지하기 때문에, 정제가 정상적으로 이송 통로를 통해 이송되어 중간 셔터(300)에 수용되었는지의 여부를 보장하지 못한다. 이는 결국 처방전에 따라 조제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된다.
본 발명은 처방전에 따라 조제 대상이 되는 모든 정제들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정제가 수용된 카트리지들로부터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된 정제들을 일시 수용한 후 하부의 호퍼로 배출하는 중간 셔터들을 포함하는 약제 포장기의 정제 배출 감지 장치는 중간 셔터로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하는 정제 감지부, 및 상기 정제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로부터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근거하여 처방 대상 정제인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대한 정보에는 정제 길이, 폭,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상기 정제 감지부는 감지 영역으로 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어레이, 및 상기 송신된 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어레이는 제1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 어레이 및 상기 제1어레이 신호와 직각 방향으로 제2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도록 배치된 제2송신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어레이는 상기 제1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 어레이 및 상기 제2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 감지부는 배출 정제의 색상을 더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색상을 추가로 고려하여 해당 정제의 배출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처방 대상 정제가 중간 셔터에 모두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중간 셔터에 수용된 정제를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처방전에 따라 조제 대상이 되는 정제들이 중간 셔터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처방에 따른 정확한 조제를 보장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된 정제가 처방전에 따른 해당 정제인지를 삼차원 형상에 근거하여 판별하므로, 기존과 달리 잘못된 조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 셔터에 처방 대상 정제가 모두 수용되면 곧바로 수용된 정제를 호퍼로 배출시키므로, 조제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약제 포장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제 캐비닛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배출 감지 장치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제 감지부 예시도.
도 5는 정제의 형상에 따른 정제 감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부스러기일 경우의 정제 감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의 송신 타이밍과 수신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1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2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3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4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5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6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7예시도.
도 15는 하나의 중간 셔터로의 정제 배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배출 감지 장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정제 감지부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배출 판단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정제 배출 감지 장치가 구성되는 약제 포장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 1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정제 배출 감지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감지부(500)와 저장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의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제 감지부(500)는 중간 셔터(300) 별로 구성되며, 중간 셔터(300)로 수용되는 정제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 감지부(500)는 중간 셔터(300)로의 정제 진입 영역에 대해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한다. 이차원적 감지를 위해, 정제 감지부(500)는 광센서 어레이를 이용하여 정제를 감지한다. 여기서 광센서로는 적외선(IR) 기반의 센서, 초음파 기반의 센서 혹은 레이저 기반의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감지부(500)는 송신 어레이(510)와 수신 어레이(520)와 필터부(530) 및 신호 변환부(540)를 포함한다. 송신 어레이(510)는 발광소자들이 나열되게 구성되며, 수신 어레이(520)는 발광소자들에 대응되는 수광소자들이 나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필터부(530)는 수신 어레이(520)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특정 파장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신호 변환부(540)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로, 정제 감지부(500)는 정제의 색상을 감지하기 위한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 즉 송신 어레이(510)와 수신 어레이(520)의 배치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송신 어레이(510)와 수신 어레이(520)는 중간 셔터(300)별로 그 상부 둘레에 배치된다. 송신 어레이(510)는 감지 영역, 즉 중간 셔터(300)로의 진입 영역으로 제1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 어레이(511)와 제2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2송신 어레이(512)로 구성되며, 수신 어레이(520)는 제1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 어레이(521)와 제2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 어레이(522)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송신 어레이(511)와 제1수신 어레이(521)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며, 제2송신 어레이(512)와 제2수신 어레이(522)도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이차원적으로 보면, 제1송신 어레이(511)와 제1수신 어레이(521)는 X축 상에 배치되며, 제2송신 어레이(512)와 제2수신 어레이(522)는 Y축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즉, 제1어레이 신호의 방향과 제2어레이 신호의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는 정제의 배출 여부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차원적인 감지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송신 어레이(510)는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수신 어레이(520)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런데 정제가 감지 영역을 통과하면, 송신 어레이(510)의 일부 송신 신호는 수신 어레이(520)에서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현상은 정제가 감지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에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제가 원형인 경우 감지 대상 영역에 대한 감지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 5의 (a)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정제가 장방형인 경우는 도 5의 (b)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 (b), (c)는 정제가 아닌 부스러기가 감지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저장부(600)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부(600)에는 카트리지(130)별로 수용되어 있는 종류의 정제 정보가 저장되며, 카트리지(130)별로 해당 이송 통로 혹은 해당 중간 셔터(300)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00)에는 카트리지(130)별로 수용되어 있는 정제에 대한 삼차원 형상 정보가 저장된다. 삼차원 형상 정보에는 정제의 길이, 폭, 두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정제의 형상으로는 원형, 장방형, 타원형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형상 별로 그리고 동일한 형상이라도 크기 등에 따라 정제의 길이, 폭 두께는 달라지기 때문에, 삼차원 형상 정보는 정제를 구별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저장부(600)에는 정제의 색상 정보가 더 저장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정제를 구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어 유닛일 수 있다. 이 제어부(700)는 서버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처방 데이터에는 처방 대상 정제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는데, 정제 ID와 정제의 수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을 수 있다. 서버로부터 약제 포장기로 처방 데이터가 전달되면, 처방 대상 정제들이 카트리지(130)로부터 배출되며, 배출된 정제들은 해당되는 중간 셔터(300)로 낙하한다. 이에 중간 셔터(300)로 수용되는 정제는 정제 감지부(500)에 의해 감지되며, 제어부(700)는 정제 감지부(500)의 감지 데이터로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고,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근거하여 처방 대상 정제인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광 송신 타임 간격 정보와 정제 감지부(500)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차원 형상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도 7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차원 감지 데이터의 변화로부터 충분히 예측될 수 있다. 참고로 이차원 감지 이미지 데이터는 t=0일 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며, 이에 대한 삼차원 형상 이미지 데이터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3003137800-pat00001
Figure 112013003137800-pat00002
제어부(700)는 삼차원 형상 예측을 위한 연산을 통해 삼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삼차원 형상 정보에는 형상의 길이, 폭, 두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어부(700)는 획득된 삼차원 형상 정보와 저장부(600)에 저장된 삼차원 형상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 만일 감지 데이터에 색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700)는 감지된 색상 정보와 저장부(600)에 저장된 색상 정보를 추가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 이때 저장부(600)에 저장된 삼차원 형상 정보들 중 비교 대상이 되는 삼차원 형상 정보는 처방 대상 정제들 중 해당 중간 셔터를 통해 배출되어야 할 정제들의 삼차원 형상 정보(들)이다. 정제별로 어떤 중간 셔터를 통해 배출되어야 하는지는 저장부(6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700)는 저장부(600)에 저장된 삼차원 형상 정보들 중 중간 셔터(300)별로 비교 대상이 되는 삼차원 형상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 여부 비교시에는 오차 범위를 둘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0)는 처방 대상 정제가 중간 셔터(300)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만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700)는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이때 경고는 오디오 출력이나 화면 표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중간 셔터(300)별로 해당되는 모든 처방 대상 정제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700)는 중간 셔터(300)별로 처방 대상 정제들이 모두 수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중간 셔터(3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수용된 처방 대상 정제들이 모두 호퍼(400)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처방 대상 정제들이 모두 감지되고 감지된 정제의 카운트 수가 처방 대상 정제들의 수가 일치하면, 제어부(700)는 중간 셔터(3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조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기존에는 카트리지(130)에서 배출된 정제들이 중간 셔터(300)에 모두 수용될 정도의 충분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중간 셔터(300)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 같이 하면, 중간 셔터(300)를 개방하는데 다소 긴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중간 셔터(300)에 처방 대상 정제가 모두 수용되기도 전에 중간 셔터(300)를 개방해버리는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간 셔터(300)별로 처방 대상 정제들이 모두 감지될 시에 곧바로 중간 셔터(3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조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의 송신 타이밍과 수신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D_on은 LED가 On된 상태에서의 수신을 의미하며, D_off는 LED가 Off된 상태에서 수신 광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한다. D_off일 때 일정량 이상의 광이 감지되면, 제어부(700)는 이를 외란광의 영향 혹은 오동작인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즉, 제어부(700)는 송신 LED에서 광을 송신하지 않았으나 그 송신 LED의 대응 수신 LED를 통해 일정량 이상의 광이 감지된 경우, 관리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것이다. 여기서 알림 방식으로는 화면 출력이나 경고음 출력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송신 어레이(510)를 구성하는 송신 LED의 광 세기를 조절하고 수신 어레이(520)를 구성하는 수신 LED의 광 수신 여부를 통해 정제 감지부(5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LED를 On하였으나 수신 LED로 광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700)는 송신 LED의 광 세기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 LED의 광 세기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이 같이 송신 LED의 광 세기를 조절했음에도 수신 LED로 광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700)는 송신 LED의 고장 혹은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알린다. 참고로 정제의 감지시에는 당연히 일부 수신 LED에서 광이 수신되지 않으므로, 이 같은 현상이 어느 정도 계속될 경우에 송신 LED의 광 세기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1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광 송신용 다이오드(D1, D2, D3, D4, D5)와 광 수신용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 TR5)는 각각 5개인 것으로 가정한다. D1에서 D5로 순차적으로 온 되어 정해진 시점(T1_0, T1_1, T1_2, T1_3, T1_4)에 광이 송출된다. 그리고 모든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 TR5)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각 다이오드의 온 전환 사이에는 시간적 갭이 존재한다. 즉, T1_0과 T1_1 사이, T1_1과 T1_2 사이, T1_2와 T1_3 사이, T1_3와 T1_4 사이에는 시간적 갭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상 갭 구간에서는 모든 트랜지스터들이 오프로 전환된다. 이 같이, 다이오드의 광 송신 시간 구간을 각각 다르게 한 이유는 인접 광에 의한 수신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센서 어레이가 많을 경우에는 수신 에러를 발생시킬 염려가 없도록 서로 떨어져 있는 다이오드들에 대해서는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700)는 도 10과 같이 송신 어레이(510)와 수신 어레이(5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2예시도이다.
다이오드의 광 송신 시간 구간은 도 8의 예와 동일하며, 트랜지스터는 대응되는 다이오드의 온 시간 구간에서만 온으로 전환된다. 즉, D1이 온 될 때에는 D1에 대응되는 TR1만 온 되고, D2가 온 될 때에는 D2에 대응되는 TR2만 온 되고, D3이 온 될 때에는 D3에 대응되는 TR3만 온 되고, D4가 온 될 때에는 D4에 대응되는 TR4만 온 되며, D5가 온 될 때에는 D5에 대응되는 TR5만 온 되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정제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센서 어레이의 수가 많을 때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도 9와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510)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520)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3예시도와 제4예시도이다.
도 9의 예와 동일하되, 온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의 인접 트랜지스터도 온으로 전환된다. 이는 송신 광의 폭으로 인해 인접 트랜지스터에서 광을 수신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의 예와 같이 센서 어레이를 구동시키면 광 감도(sensitivity)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700)는 도 10 혹은 도 11과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510)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520)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5예시도와 제6예시도이다.
전체 다이오드들 중 일부 다이오드가 동시에 온 되어 광을 송신하도록 그리고 대응되는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센서 어레이가 많을 경우 서로 다른 시간 구간을 할당하여 광을 송신하도록 하면 정제 감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부 다이오드들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정제 감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대응 트랜지스터만을 같이 구동시킴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700)는 도 12 혹은 도 13과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510)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520)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7예시도이다.
전체 다이오드들 중 일부 다이오드가 동시에 온 되어 광을 송신하도록 그리고 대응되는 트랜지스터와 그에 인접한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즉, 도 14의 구동 방식은 도 10과 도 13의 구동 방식을 접목한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정제 감지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할 수 있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700)는 도 14와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510)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520)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보통 한 열에 카트리지가 N개(10여개), 하나의 중간 셔터에는 보통 M열(6열 정도)이 모여있기 때문에, 하나의 중간 셔터에서 N×M개의 카트리지를 dispensing할 수 있으며 각각의 수량이 Z개라고 하면, 2×N×M×Z 또는 일반적으로 수학식 3에 따라 계산되는 수의 정제가 동시에 또는 약간의 타이밍을 두고 떨어지게 된다.
Figure 112013003137800-pat00003
따라서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로 스캐닝을 하고 분해능을 향상시켜 동시에 여러 개가 떨어지는 약을 구분하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중간 셔터로 총 4개의 정제가 낙하하면 이를 각각 그리고 전체적으로 시공간적으로 분리해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어부(700)는 도 8 내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센서 어레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같이 하면, 정확한 약품과 정확한 수량 카운트를 동시에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정제 캐비닛 110 : 캐비닛 본체
120 : 컨테이너 130 : 카트리지
131 : 카트리지 케이스 132 : 카트리지 베이스
300 : 중간 셔터 400 : 호퍼
500 : 정제 감지부 510 : 송신 어레이
511 : 제1송신 어레이 512 : 제2송신 어레이
520 : 수신 어레이 521 : 제1수신 어레이
522 : 제2수신 어레이 530 : 필터부
540 : 신호 변환부 600 : 저장부
700 : 제어부

Claims (10)

  1. 정제가 수용된 다수개의 카트리지;
    상기 다수개의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정제가 이동하는 각각의 배출 통로;
    다수개의 상기 배출 통로 하부마다 위치하며, 다수개의 상기 배출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각각 일시 수용하는 중간 셔터;
    감지 영역으로 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어레이 및 상기 송신된 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어레이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상기 중간 셔터마다 수용되는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하는 중간 셔터별 정제 감지부;
    상기 정제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로부터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근거하여 처방 대상 정제인지를 판단하며, 중간 셔터별로 처방 대상 정제들이 모두 수용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수용된 정제를 배출시키는 제어부; 및
    다수개의 상기 중간 셔터에서 배출되는 정제를 수용하는 하부 호퍼;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발광소자의 광 미송신 중에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대응 수광소자에 일정량 이상의 광이 수신되면 에러 발생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발광소자의 광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수광소자의 광 수신 여부를 통해 상기 정제 감지부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대한 정보에는 정제 길이, 폭,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어레이는 제1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 어레이 및 상기 제1어레이 신호와 직각 방향으로 제2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도록 배치된 제2송신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어레이는 상기 제1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 어레이 및 상기 제2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발광소자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달리 활성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광소자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달리 활성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감지부는 배출 정제의 색상을 더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색상을 추가로 고려하여 해당 정제의 배출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03542A 2013-01-11 2013-01-11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KR101449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42A KR101449715B1 (ko) 2013-01-11 2013-01-11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42A KR101449715B1 (ko) 2013-01-11 2013-01-11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13A KR20140091813A (ko) 2014-07-23
KR101449715B1 true KR101449715B1 (ko) 2014-10-15

Family

ID=5173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542A KR101449715B1 (ko) 2013-01-11 2013-01-11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7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2159A1 (en) 2003-08-19 2008-04-16 Global Factories B.V.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a string of drugs
KR100886493B1 (ko) * 2007-09-21 2009-03-05 (주)크레템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KR20090051188A (ko) * 2006-09-05 2009-05-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포장 방법
KR20120102875A (ko) * 2011-03-09 2012-09-19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2159A1 (en) 2003-08-19 2008-04-16 Global Factories B.V.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a string of drugs
KR20090051188A (ko) * 2006-09-05 2009-05-21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포장 방법
KR100886493B1 (ko) * 2007-09-21 2009-03-05 (주)크레템 정제공급기의 수량조절모듈
KR20120102875A (ko) * 2011-03-09 2012-09-19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813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992B2 (en) Tablet dispenser of medicine packing apparatus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EP26002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items
KR101878884B1 (ko) 약제 공급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를 이용한 약제 계수 장치
JP5754677B2 (ja) 錠剤容器充填装置および方法
EP25697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items
US10151735B2 (en) Solid content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511262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KR101144716B1 (ko)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및 그의 통합 카트리지 제어 방법
KR101449715B1 (ko)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KR100966621B1 (ko) 약제포장장치의 자유형상정제 자동공급기 및 이의 정제공급방법
KR100503000B1 (ko) 정제 자동분배장치의 정제 감지 장치와 제어방법
KR101752673B1 (ko) 정제 센서를 포함하는 정제 카세트 베이스 및 그 정제자동분배기
KR102158746B1 (ko) 조제 자동화 장비 적용을 위한 정제약품 계수용 다면 광학 센서 모듈
KR101464999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KR101534318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분배기
KR101511261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KR20170060865A (ko) 약품 자동 포장장치
KR20180106304A (ko) 정제 카세트 베이스의 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제자동분배기
GB24971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items
KR102600140B1 (ko) 비전 기반 정제 계수기
EP41058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counting and dispensing items
CN210358146U (zh) 输送设备
KR102084495B1 (ko) 장착부 식별번호 설정방법
KR20220013312A (ko) 비전기반 정제계수기
KR102054683B1 (ko) 의약품 불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포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