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261B1 -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261B1
KR101511261B1 KR20130008769A KR20130008769A KR101511261B1 KR 101511261 B1 KR101511261 B1 KR 101511261B1 KR 20130008769 A KR20130008769 A KR 20130008769A KR 20130008769 A KR20130008769 A KR 20130008769A KR 101511261 B1 KR101511261 B1 KR 10151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ay
tablet
tablets
control uni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861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배준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2013000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2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20Applications of counting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eed of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09Colo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10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의 정제를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가 개시된다. 이 카트리지 베이스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되어야 할 종류가 아닌 다른 종류의 정제가 수용된 경우 상기 표시부로 해당 텍스트 혹은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Catridge base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제 포장 장치의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약제 포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카트리지 베이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는 상부 구조체(10)와 하부 구조체(20)로 구성된다. 상부 구조체(10)에는 다수의 컨테이너(30)들이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각 컨테이너(30)에는 카트리지(40)들이 구성된다. 카트리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50)와 카트리지 베이스(60)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케이스(50)는 어느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며, 카트리지 베이스(60) 상에는 카트리지 케이스(50)가 장착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50)에 수용된 정제는 카트리지 베이스(60)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약품 자동 포장 장치의 하부에 위치한 호퍼(hopper)에 집결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베이스(60)의 배출구(61)에는 광학식의 센서(7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센서(70)는 정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따라서 정제의 배출이 확인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정제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광학식 센서(70)는 단지 물체가 배출구(61)를 통과하는지 여부만을 감지한다. 따라서 만일 정제가 아닌 가루 날림과 같은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정제 배출로 오인할 소지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50)에 지정된 종류의 정제가 아닌 다른 종류의 정제가 수용된 경우, 잘못된 정제의 배출인지를 감지할 수 없다. 이는 결국 잘못된 조제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858218호에는 카트리지 케이스가 정착되는 카트리지 베이스에 표시부가 마련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 표시부에는 고유식별번호가 표시되며, 따라서 관리자는 이 표시부에 표시된 번호를 통해 카트리지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 카트리지 베이스에 마련된 표시부는 7 세그먼트(seven-segment) 표시부이다. 따라서 카트리지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 관련 정보 및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배출 여부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의 정제를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되어야 할 종류가 아닌 다른 종류의 정제가 수용된 경우 상기 표시부로 이를 알리기 위한 텍스트 혹은 이미지 형식의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 베이스는 처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베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하는 정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제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로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따라 정제의 배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제 감지부는 감지 대상 영역으로 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어레이, 및 상기 송신된 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 어레이는 제1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 어레이 및 상기 제1어레이 신호와 직각 방향으로 제2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도록 배치된 제2송신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어레이는 상기 제1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 어레이 및 상기 제2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발광소자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달리 활성화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광소자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달리 활성화 제어한다.
상기 정제 감지부는 배출 정제의 색상을 더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색상을 추가로 고려하여 해당 정제의 배출인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제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수와 상기 처방 데이터에 따른 정제 배출 수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에 수용된 정제 관련 정보 및 상태에 대해 표시부를 통해 다양한 표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인출된 컨테이너에 구비된 다수의 카트리지들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 배출 여부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된 정제가 처방전에 따른 해당 정제인지를 삼차원 형상과 추가로 색상에 근거하여 판별하므로, 잘못된 조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를 카운트하므로, 조제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종래 약제 포장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카트리지 베이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약품정보 제1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약품정보 제2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 둘레에 센서 어레이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정제의 형상에 따른 정제 감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부스러기일 경우의 정제 감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의 송신 타이밍과 수신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1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2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3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4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5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6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7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배출 감지 방법 흐름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가 구비된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와 카트리지 베이스(200)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케이스(100)에는 한 종류의 정제가 수용되며, 카트리지 베이스(200)에 장착된다. 카트리지 베이스(200)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된 정제를 배출시킨다. 따라서 카트리지 베이스(200)를 정제 배출기라 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베이스(200)는 표시부(210)와 저장부(230)와 통신부(22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텍스트 및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apl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통신부(220)는 약제 포장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통합 제어 유닛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통신부(220)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방식으로는 시리얼 통신으로서 반이중(half-duplex) 통신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저장부(230)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이 저장부(230)에는 카트리지 베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230)에는 약품 정보가 저장된다. 약품 정보에는 약품명과 약품 코드 그리고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수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추가로 약품 정보에는 약품 바코드, 약품 이미지, 유효 기간, 유통 기간 중 적어도 일부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유효기간은 정제들이 최초로 포장된 시점에 정해진 약품의 정상적 사용 가능기간을 의미하며, 유통기간은 포장 제품이 포장 해제 후 다시 재포장되어 새로 정해진 약품의 정상적 사용 가능기간을 의미한다. 일 예로, 약품 정보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케이스(100)가 카트리지 베이스(200)에 장착되면 카트리지 베이스(200)에서 읽어들여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약품 정보에는 정제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제의 삼차원 형상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같은 목적으로 정제의 색상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삼차원 형상 정보에는 정제의 길이, 폭, 두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여기서 정제의 형상으로는 원형, 장방형, 타원형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형상 별로 그리고 동일한 형상이라도 크기 등에 따라 정제의 길이, 폭, 두께는 달라지기 때문에, 삼차원 형상 정보는 정제를 구별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정제의 색상 정보도 정제를 구별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약품 정보는 카트리지 베이스(200)가 카트리지 케이스(100)로부터 읽어들인 정보일 수 있다. 즉, 약품 정보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케이스(100)가 카트리지 베이스(200)에 장착되면, 카트리지 베이스(200)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의 장착시 접촉식 혹은 비접촉식으로 약품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추가로 저장부(230)에는 다양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된 정제의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와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부(2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베이스(200)가 정제를 배출할 시에 표시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들도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 등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정제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는 정제가 정상적으로 배출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정제 과다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는 조제 데이터에 따라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량보다 많이 배출되었음을 의미하며, 정제 부족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는 조제 데이터에 따라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량보다 적게 배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배출 정제 부족은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잔여 수량이 조제 데이터에 따라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량보다 적음을 의미하며, 정제 없음은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정제가 하나도 수용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저장부(230)에는 카트리지 베이스(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카트리지 케이스(100)의 장착/미장착, 동작 중, 통신 이상, 전원 이상, 동작 이상(시스템 에러) 등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그래픽 데이터들의 일부 예를 도시하였다. 첫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된 정제의 양이 충분함을 나타낸 것이고, 두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정제의 양이 부족하여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낸 것이며, 세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100)가 카트리지 베이스(20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네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베이스(200)가 동작 이상 상태임을 나타낸 것이고, 다섯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에 대한 약품 정보(약품명, 용량)를 나타낸 것이며, 여섯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잔여 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240)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 Unit)(240)일 수 있다. 이 제어부(240)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배출시, 배출되는 정제의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된 약품 정보 중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40)는 배출 수량과 잔여 수량으로 나누어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약품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부(210)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도 7과 같이 약품명과 용량에 대한 약품 정보를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약품 코드와 잔여 수량이 없음을 나타내는 약품 정보를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약품 바코드를 읽어들여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캐너로 약품 바코드를 읽어들여 해당 약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의 수량이 기준 수량 이상일 경우에는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230)에서 읽어들여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기준 수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량이 부족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230)에서 읽어들여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정제의 배출시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 중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230)에서 읽어들여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조제 데이터에 따라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동시에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 중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230)에서 읽어들여 표시부(21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카트리지 베이스(200)의 상태에 따라 동작 중, 통신 이상, 전원 이상, 동작 이상, 카트리지 케이스(100)의 장착/미장착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 중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230)에서 읽어들여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카트리지 베이스(200)는 발광부(250)를 더 포함한다. 발광부(250)는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케이스(100) 내부로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조사된 광이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케이스(100)의 몸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발광부(250)의 발광을 제어하되, 경우에 따라 발광 색상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40)는 약품 정보나 카트리지 베이스(200)의 상태 등에 따라 발광부(250)의 발광 색상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카트리지 케이스(100)가 카트리지 베이스(200)에 장착된 경우와 미장착된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발광부(250)의 발광 색상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40)는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정제가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발광부(250)의 발광 색상을 달리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카트리지 베이스(200)는 정제 감지부(260)를 더 포함한다. 정제 감지부(260)는 카트리지 베이스(200)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한다. 이를 위해, 정제 감지부(260)는 광센서 어레이를 이용하여 배출 정제를 감지한다. 여기서 광센서로는 적외선(IR) 기반의 센서, 초음파 기반의 센서 혹은 레이저 기반의 센서를 예로 들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감지부(260)는 송신 어레이(261)와 수신 어레이(262)와 필터부(263) 및 신호 변환부(264)를 포함한다. 송신 어레이(261)는 발광소자들이 나열되게 구성되며, 수신 어레이(262)는 발광소자들에 대응되는 수광소자들이 나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필터부(263)는 수신 어레이(262)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특정 파장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신호 변환부(264)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로, 정제 감지부(260)는 정제의 색상을 감지하기 위한 컬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 둘레에 센서 어레이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정제의 형상에 따른 정제 감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부스러기일 경우의 정제 감지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센서 어레이, 즉 송신 어레이(261)와 수신 어레이(262)의 배치가 도 9 및 도 10에 예시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송신 어레이(261)와 수신 어레이(262)는 카트리지 베이스(200)의 배출구(270) 둘레에 배치된다. 일 예로, 배출구의 폭이 50mm이고 길이가 600mm일 경우 최소한 폭으로 10개 길이 방향으로 120개의 센서가 배치되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어레이(261)는 배출구(270)상으로 제1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 어레이(261a)와 제2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2송신 어레이(261b)로 구성되며, 수신 어레이(262)는 제1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 어레이(262a)와 제2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 어레이(262b)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송신 어레이(261a)와 제1수신 어레이(262a)는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며, 제2송신 어레이(261b)와 제2수신 어레이(262b)도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다. 이차원적으로 보면, 제1송신 어레이(261a)와 제1수신 어레이(262a)는 X축 상에 배치되며, 제2송신 어레이(261b)와 제2수신 어레이(262b)는 Y축 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즉, 제1어레이 신호의 방향과 제2어레이 신호의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는 정제의 배출 여부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차원적인 감지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송신 어레이(261)는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수신 어레이(262)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런데 정제가 배출구(270)를 통해 배출되면, 송신 어레이(261)의 일부 송신 신호는 수신 어레이(262)에서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같은 현상은 정제가 배출구(270)상의 감지 대상 영역을 통과하는 동안에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제가 원형인 경우 감지 대상 영역에 대한 감지 변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 11의 (a)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정제가 장방형인 경우는 도 11의 (b)와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a), (b), (c)는 정제가 아닌 부스러기가 감지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240)는 정제 배출에 따른 정제 감지부(260)의 감지 데이터로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고, 예측된 형상에 근거하여 정제의 실제 배출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40)는 광 송신 타임 간격 정보와 정제 감지부(260)의 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차원 형상을 예측할 수 있다. 이는 도 10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이차원 감지 데이터의 변화로부터 충분히 예측될 수 있다. 참고로 이차원 감지 이미지 데이터는 t=0일 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며, 이에 대한 삼차원 형상 이미지 데이터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3007542950-pat00001
Figure 112013007542950-pat00002
제어부(240)는 삼차원 형상 예측을 위한 연산을 통해 삼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삼차원 형상 정보에는 형상의 길이, 폭, 두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어부(240)는 획득된 삼차원 형상 정보와 저장부(230)에 저장된 삼차원 형상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 만일 감지 데이터에 색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240)는 감지된 색상 정보와 저장부(230)에 저장된 색상 정보를 추가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한다. 그리고 동일 여부 비교시에는 오차 범위를 둘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종류의 정제가 배출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240)는 해당 종류의 정제가 배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표시부(210)로 이를 알리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통합 제어 유닛으로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통합 제어 유닛에서 알림음 출력이나 화면 출력을 통해 관리자에게 정제의 비정상 배출 사실을 알리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240)는 정제 감지부(260)에 의해 감지된 배출 정제의 수와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배출 정제 수를 비교하여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40)는 표시부(210)로 그 사실을 알리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부(220)를 통해 통합 제어 유닛으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레이의 송신 타이밍과 수신 타이밍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예에서 D_on은 LED가 On된 상태에서의 수신을 의미하며, D_off는 LED가 Off된 상태에서 수신 광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한다. D_off일 때 일정량 이상의 광이 감지되면, 제어부(240)는 이를 외란광의 영향 혹은 오동작인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린다. 즉, 제어부(240)는 송신 LED에서 광을 송신하지 않았으나 그 송신 LED의 대응 수신 LED를 통해 일정량 이상의 광이 감지된 경우, 관리자에게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것이다. 여기서 알림 방식으로는 화면 출력이나 경고음 출력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송신 어레이(261)를 구성하는 송신 LED의 광 세기를 조절하고 수신 어레이(262)를 구성하는 수신 LED의 광 수신 여부를 통해 정제 감지부(260)의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LED를 On하였으나 수신 LED로 광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40)는 송신 LED의 광 세기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여 송신 LED의 광 세기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이 같이 송신 LED의 광 세기를 조절했음에도 수신 LED로 광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40)는 송신 LED의 고장 혹은 수명이 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알린다. 참고로 정제의 배출시에는 일부 수신 LED에서 광이 수신되지 않으므로, 이 같은 현상이 어느 정도 계속될 경우에, 즉 기설정된 시간 동안 계속될 경우에 송신 LED의 광 세기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1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광 송신용 다이오드(D1, D2, D3, D4, D5)와 광 수신용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 TR5)는 각각 5개인 것으로 가정한다. D1에서 D5로 순차적으로 온 되어 정해진 시점(T1_0, T1_1, T1_2, T1_3, T1_4)에 광이 송출된다. 그리고 모든 트랜지스터(TR1, TR2, TR3, TR4, TR5)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각 다이오드의 온 전환 사이에는 시간적 갭이 존재한다. 즉, T1_0과 T1_1 사이, T1_1과 T1_2 사이, T1_2와 T1_3 사이, T1_3와 T1_4 사이에는 시간적 갭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상 갭 구간에서는 모든 트랜지스터들이 오프로 전환된다. 이 같이, 다이오드의 광 송신 시간 구간을 각각 다르게 한 이유는 인접 광에 의한 수신 에러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센서 어레이가 많을 경우에는 수신 에러를 발생시킬 염려가 없도록 서로 떨어져 있는 다이오드들에 대해서는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도 14와 같이 송신 어레이(261)와 수신 어레이(26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2예시도이다.
다이오드의 광 송신 시간 구간은 도 10의 예와 동일하며, 트랜지스터는 대응되는 다이오드의 온 시간 구간에서만 온으로 전환된다. 즉, D1이 온 될 때에는 D1에 대응되는 TR1만 온 되고, D2가 온 될 때에는 D2에 대응되는 TR2만 온 되고, D3이 온 될 때에는 D3에 대응되는 TR3만 온 되고, D4가 온 될 때에는 D4에 대응되는 TR4만 온 되며, D5가 온 될 때에는 D5에 대응되는 TR5만 온 되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정제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센서 어레이의 수가 많을 때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도 12와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261)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262)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3예시도와 제4예시도이다.
도 15의 예와 동일하되, 온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의 인접 트랜지스터도 온으로 전환된다. 이는 송신 광의 폭으로 인해 인접 트랜지스터에서 광을 수신할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도 16과 도 17의 예와 같이 센서 어레이를 구동시키면 광 감도(sensitivity)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240)는 도 16 혹은 도 17과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261)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262)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과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5예시도와 제6예시도이다.
전체 다이오드들 중 일부 다이오드가 동시에 온 되어 광을 송신하도록 그리고 대응되는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센서 어레이가 많을 경우 서로 다른 시간 구간을 할당하여 광을 송신하도록 하면 정제 감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일부 다이오드들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정제 감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대응 트랜지스터만을 같이 구동시킴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40)는 도 18 혹은 도 19와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261)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262)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어레이 구동 방식의 제7예시도이다.
전체 다이오드들 중 일부 다이오드가 동시에 온 되어 광을 송신하도록 그리고 대응되는 트랜지스터와 그에 인접한 트랜지스터가 온 되어 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즉, 도 20의 구동 방식은 도 16과 도 19의 구동 방식을 접목한 것이다. 이 같이 하면 정제 감지에 소요되는 시간은 단축할 수 있고,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 감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240)는 도 20과 같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송신 어레이(261)를 구성하는 발광소자들의 활성화와 수신 어레이(262)를 구성하는 수광소자들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제 배출 감지 방법 흐름도이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20)를 통해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고(S100), 그 처방 데이터에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100)에 수용된 정제가 배출되도록 제어한다(S200). 이때 처방 데이터에는 정제 배출 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어부(240)는 그 정제 배출 수만큼 정제가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정제의 배출에 따라 제어부(240)는 정제 감지부(260)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제어부(240)는 입력된 감지 데이터로 삼차원 형상을 예측하여 삼차원 형상 정보를 획득한다(S300). 이 삼차원 형상 정보에는 정제의 길이, 폭, 두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제어부(240)는 획득된 삼차원 형상 정보와 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삼차원 형상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400). 만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40)는 배출되어야 할 정제가 배출된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정제가 배출된 것이거나 부스러기 등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알린다(S500).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정제의 배출에 문제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부(210)로 출력하거나 해당 알림 신호를 통신부(220)를 통해 통합 제어 유닛으로 전달한다.
한편, 감지 데이터에 색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40)는 S400 과정에서 색상을 추가로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어부(240)는 처방 데이터에 따른 배출 정제 수와 감지된 정제 배출 수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일치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40)는 이를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카트리지 케이스 200 : 카트리지 베이스
210 : 표시부 220 : 통신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250 : 발광부 260 : 정제 감지부
261 : 송신 어레이 261a : 제1송신 어레이
261b : 제2송신 어레이 262 : 수신 어레이
262a : 제1수신 어레이 262b : 제2수신 어레이
263 : 필터부 264 : 신호 변환부

Claims (18)

  1.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의 정제를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에 있어서,
    표시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에 대한 약품명, 약품 코드, 수량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처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 베이스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정제를 이차원적으로 감지하기 위해, 감지 대상 영역으로 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어레이 및 상기 송신된 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어레이를 포함하는 정제 감지부; 및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고, 그 배출 정제의 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약품 정보 중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저장된 약품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상기 정제 감지부의 감지 데이터로 삼차원 형상을 예측한 후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따라 정제의 배출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제 감지부는 배출 정제의 색상을 더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색상을 추가로 고려하여 해당 정제의 배출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의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와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수량에 따라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품 정보에는 약품 바코드, 약품 이미지, 유효기간 중 적어도 일부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정제 배출시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정제 배출시 해당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정제 배출시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들에는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들에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장착, 미장착, 동작 중, 통신 이상, 전원 이상, 동작 이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색상으로 발광하는 발광 가능한 발광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삼차원 형상에 대한 정보에는 정제 길이, 폭,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어레이는 제1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는 제1송신 어레이 및 상기 제1어레이 신호와 직각 방향으로 제2어레이 신호를 송신하도록 배치된 제2송신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어레이는 상기 제1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 어레이 및 상기 제2어레이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발광소자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달리 활성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광소자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달리 활성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제의 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카운트 수와 상기 처방 데이터에 따른 정제 배출 수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발광소자의 광 미송신 중에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대응 수광소자에 일정량 이상의 광이 수신되면 에러 발생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발광소자의 광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수신 어레이를 구성하는 수광소자의 광 수신 여부를 통해 상기 정제 감지부의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베이스.
KR20130008769A 2013-01-25 2013-01-25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KR10151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769A KR101511261B1 (ko) 2013-01-25 2013-01-25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769A KR101511261B1 (ko) 2013-01-25 2013-01-25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61A KR20140095861A (ko) 2014-08-04
KR101511261B1 true KR101511261B1 (ko) 2015-04-10

Family

ID=5174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769A KR101511261B1 (ko) 2013-01-25 2013-01-25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2053B (zh) * 2019-05-11 2021-11-30 哈尔滨商业大学 一种自动收集计数的药丸收集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93B1 (ko) 2002-02-20 2008-08-1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 장치
KR20090081992A (ko) * 2008-01-25 2009-07-29 (주)제이브이엠 보조트레이용 정제 분배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20007688A (ko) * 2010-07-15 2012-01-25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및 그의 통합 카트리지 제어 방법
KR20120102875A (ko) * 2011-03-09 2012-09-19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493B1 (ko) 2002-02-20 2008-08-18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 장치
KR20090081992A (ko) * 2008-01-25 2009-07-29 (주)제이브이엠 보조트레이용 정제 분배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20007688A (ko) * 2010-07-15 2012-01-25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및 그의 통합 카트리지 제어 방법
KR20120102875A (ko) * 2011-03-09 2012-09-19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약제 검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861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6418B2 (ja) 薬品払出装置
US20090043605A1 (en) Medication managing apparatus
KR100842177B1 (ko) 정제자동포장기의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0485B1 (ko) 약제 공급 장치
US7868741B2 (en) Medication managing apparatus
KR100429024B1 (ko) 정제 공급장치
KR102187435B1 (ko) 고체약품 부분의 조제 분량을 저장하고 분배하기 위한 저장 및 투입 스테이션
US20150290084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table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190312A1 (en)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Method Of Dispensing Medicines, Medicine Dispen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0599509B1 (ko) 약제 자동 포장장치 및 그 장치 카트리지의 카세트 자동인식방법
EP2551205A1 (en) Automatic free-form tablet dispenser for medication packaging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tablets thereby
KR100744427B1 (ko) 약제자동포장장치용 카세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1511262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WO2011102491A1 (ja) 薬剤払出装置及び装着カセット管理方法
KR101511261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KR101144716B1 (ko)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및 그의 통합 카트리지 제어 방법
KR101464999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베이스
KR101462873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KR20170082751A (ko) 제조약 복용 알림 장치
KR101378834B1 (ko) 물류운영시스템의 배송이력정보 관리장치
JP7436017B2 (ja) 判別装置
KR101449715B1 (ko) 정제 배출 감지 기능을 구비한 약제 포장기
JP2018027182A (ja) 包装体開封検知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2005031B2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medication of a patient
US20220168187A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medication of a pat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