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462B1 -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 Google Patents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462B1
KR101449462B1 KR1020130118831A KR20130118831A KR101449462B1 KR 101449462 B1 KR101449462 B1 KR 101449462B1 KR 1020130118831 A KR1020130118831 A KR 1020130118831A KR 20130118831 A KR20130118831 A KR 20130118831A KR 101449462 B1 KR101449462 B1 KR 10144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ontents
support ring
suction nozzle
eg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채
Original Assignee
강수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수채 filed Critical 강수채
Priority to KR102013011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4Devices or machines for opening raw eggs or separating the contents thereof
    • A47J43/145Mach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08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eggs
    • A23J1/09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eggs separating yolks from wh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계란판 상에서 계란을 빼내지 않은 상태 그대로 계란내용물을 추출과 동시에 혼합하여 용기에 바로 주입하도록 하기 위하여, 계란판 상에 고정된 계란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며 계란의 상부측을 뚫고 내부로 진입하여 계란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 내에 계란내용물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회전력에 의해 계란내용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흡입노즐에 연결되어 흡입된 계란내용물이 이동되는 유입호스와, 상기 유입호스에 연결되어 계란내용물을 강제 이송시키면서 노른자위와 흰자위로 된 계란내용물을 분해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에 연결되어 분해된 계란내용물이 이동되는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에 연결 설치되어 분해된 계란내용물을 용기에 주입하는 배출노즐 및 배출밸브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and mixing injection of egg contents}
본 발명은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란판 상에서 계란을 빼내지 않은 상태 그대로 계란내용물을 추출과 동시에 혼합하여 용기에 바로 주입하도록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날계란의 내용물(노른자위+흰자위)을 혼합한 상태로 요리해 먹으려면 먼저 계란껍질을 깨뜨려 내부 내용물을 분리하여 용기에 담은 후, 다른 기구를 이용해서 혼합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계란의 숫자가 적으면 손으로 깨뜨려 내용물을 분리하여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지만, 대형음식점이나 학교, 군부대와 같이 대용량의 계란요리를 할 때는 껍질을 깨뜨린 후 내용물을 분리해 따로 혼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대용량의 계란요리를 할때는 추출 및 혼합시간이 많이 걸려 요리시간을 맞추기 힘들게되므로, 요리시간을 맞추려고 급히 하다보면 음식이 제대로 익지 않거나 맛이 나지 않게 되며, 또한 급하게 계란을 깨다 보면 껍질이 음식에 포함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계란을 파쇄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기는 하나, 이러한 종래 파쇄기들은 계란을 완전히 깨뜨리는 방식으로 내부의 내용물을 분리하는데만 주력한 결과, 분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내용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상당한 양의 내용물이 껍질과 함께 버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072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계란판 상에서 계란을 빼내지 않은 상태 그대로 계란내용물을 추출과 동시에 혼합하여 용기에 바로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계란 내부 내용물을 빠른 시간에 손쉽게 추출, 혼합 및 주입하도록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란판 상에 고정된 계란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며 계란의 상부측을 뚫고 내부로 진입하여 계란내용물을 흡입하는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 내에 계란내용물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회전력에 의해 계란내용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흡입노즐에 연결되어 흡입된 계란내용물이 이동되는 유입호스와, 상기 유입호스에 연결되어 계란내용물을 강제 이송시키면서 노른자위와 흰자위로 된 계란내용물을 분해하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에 연결되어 분해된 계란내용물이 이동되는 배출호스와, 상기 배출호스에 연결 설치되어 분해된 계란내용물을 용기에 주입하는 배출노즐 및 배출밸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는 계란판에서 계란을 빼내지 않은 상태로 흡입노즐 및 흡입펌프를 통해 계란내용물을 추출과 동시에 혼합하여 용기에 바로 주입하도록 함으로써 노른자위와 흰자위가 분해된 계란내용물을 빠른시간에 손쉽게 용기보관 할 수 있으며, 특히 음식점이나 가정집에서 손쉽게 구매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흡입펌프의 유입측 및 배출측에 구비된 다수의 격자망을 통해 계란내용물의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미세하게 분해할 수 있으며, 집진탱크의 배출압력시에 발생되는 와류로 인해 계란내용물을 완전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탱크 및 진공탱크의 추가 구성을 알 수 있는 정면개략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흡입노즐의 다른 실시예 도면,
도 6 및 도 7은 흡입노즐과 단속판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계란판 공급부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는 계란내용물(12)을 흡입하는 흡입노즐(10)과, 계란내용물(12)이 이동되는 유입호스(20) 및 배출호스(40)와, 유입호스(20)와 배출호스(40) 사이에 구비되는 흡입펌프(30)와, 배출호스(40)에 연결되는 배출노즐(50) 및 배출밸브(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노즐(10)은 도 1에서와 같이 계란판(2) 상에 삽입 고정된 계란(11)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흡입노즐(10)은 계란(11)의 배열에 맞게 다수 설치되며, 다수 흡입노즐(10)에 일체로 연결된 작동판(81)이 수직실린더(83)에 의해 작동되면서 다수 흡입노즐(10) 전체를 승강 작동시키게 되며, 흡입노즐(10)이 하강하면서 계란(11)의 상부측을 뚫고 내부로 진입하여 계란내용물(12)을 흡입하고 난 후, 상승하면서 원위치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흡입노즐(10)의 외주연에는 탄성스프링(16)이 구비되며, 탄성스프링(16)은 흡입노즐(10) 상에 고정된 상부지지링(13)에 의해 하부측이 지지된다. 상부지지링(13)은 흡입노즐(10) 상에 빙둘러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지지링(13)은 그 하부측에 설치된 안전판(93)에 의해 동작이 단속되며, 안전판(93)은 수평실린더(91)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하면서 안전판(93)의 승강작동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안전판(93) 상에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해제공(96) 및 지지공(97)이 연결 형성되는 단속부(95)를 형성하여, 단독으로 수평작동하는 수평실린더(91)에 의해 안전판(93)이 작동되게 한다. 이때 안전판(93)은 상부측에 설치된 작동판(81)에 고정 설치되어 그 상부에 설치된 수직실린더(83)에 의해 상하로 연동 작동된다.
상기 흡입노즐(10) 상의 상부지지링(13)의 하부측에는 하부지지링(14)이 이격 설치된다. 하부지지링(14)은 상부지지링(13)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하부지지링(14)의 하부측에는 흡입노즐(10)은 통과되나 하부지지링(14)은 걸림되는 크기의 통공(64)을 갖는 멈춤판(63)이 고정 설치되어, 하부지지링(14)의 하강이 멈춤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대(81) 상에 설치된 흡입노즐(10) 상에는 그 흡입노즐(10)을 감싸며 이동을 조절하는 조절대(55)가 고정 설치되며, 조절대(55)의 상부측에는 상부지지링(13)이 단속 해제되어 하강 작동시 조절대(55)의 상부에 밀착되어 흡입노즐(10)의 하강 작동을 단속하는 멈춤링(53)이 설치된다. 조절대(55)의 상부측에 이격 설치된 멈춤링(53)에 의해 흡입노즐(10)의 계란(11) 진입 깊이가 단속된다.
또한, 상부지지링(13)의 상부측에 이격 설치되는 조절대(55)와의 사이에 탄성스프링(16)이 구비되게 하여, 상부지지링(13)이 탄성 하강작동되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지지링(13)이 안전판(93)에 의해 단속이 해제되면 흡입노즐(10)이 탄성스프링(16)에 의해 하강하면서 흡입노즐(10)의 하단부가 계란(11)의 상부측을 깨뜨리면서 진입하여 조절대(55)와 멈춤링(53)의 마찰에 의해 계란(11)의 내부 상부측에 멈추게 된다.
상기 다수 흡입노즐(10)에는 각각 유입호스(20)가 연결 설치된다. 유입호스(20)는 흡입노즐(10)을 통해 흡입되는 계란내용물(12)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유입호스(20)에 흡입펌프(30)가 연결되어 계란내용물(12)을 강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흡입펌프(30)는 도 4에서와 같이 유입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망(35,36)을 구비하고, 배출측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격자망(37,38,39)을 상호 어긋나게 이격 구비하여 구성되게 한다.
상기 유입측 격자망(35,36)을 통해 유입되는 끈적한 응고상태의 계란내용물(12)이 분해되며, 흡입펌프(30)의 압력과 함께 배출측 격자망(37,38,39)을 통해 계란내용물(12)이 완전 분해된다. 이때 격자망 끼리 상호 이격되면서 격자망 방향이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분해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때, 격자망(35~39)의 메쉬간격은 0.3~0.6㎜ 정도가 적당하며, 격자망(35~39) 간의 간격은 1~2㎜ 정도가 적당하다.
상기 흡입펌프(30)에는 배출호스(40)가 연결되어 흡입펌프(30)를 통해 노른자위와 흰자위가 분해된 계란내용물(12)을 강제 이송시킨다.
상기 배출호스(40)에는 노른자위와 흰자위가 분해된 계란내용물(12)을 용기(3)에 주입하는 배출노즐(50)이 연결 설치되며, 배출노즐(50)에는 배출밸브(60)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흡입노즐(10)을 통해 유입호스(20)로 유입된 계란내용물(12)이 흡입펌프(30)를 거치면서 노른자위와 흰자위가 분해된 상태로 배출호스(40)를 지나 배출노즐(50)을 통해 외부 배출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펌프(30)와 배출밸브(60) 사이에 계란내용물(12)을 저장 보관하는 집진탱크(7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집진탱크(71)에서는 미세 분리된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배출압력으로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완전 혼합되게 한다.
그리고, 계란내용물(12)을 용기(3)에 주입시 공기가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되면 쉽게 상하게되므로 보관기간이 짧아질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용기(3) 내에 최대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집진탱크(71)와 배출밸브(60) 사이에는 계란내용물(12)의 기포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탱크(7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집진탱크(71)에 연결되는 진공탱크(73)는 도 3에서와 같이 각기 밸브에 의해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흡입노즐(10) 측으로 공급되는 계란판(2)은 도 14에서와 같이 흡입노즐(1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작업대(77)를 기준으로 좌,우측부에서 번갈아 이송하는 계란판 이송수단(75)에 의해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계란판 이송수단(75)은 계란판(2)을 양측에서 번갈아 작업대(77)에 공급하는 한쌍의 클램프(76)와, 그 한쌍의 클램프(76)가 이송되는 상부레일(78)로 구성된다. 이때 클램프(76) 및 상부레일(78)은 흡입노즐(10)의 좌,우측부 양측 뿐만 아니라 전,후방측부로도 추가로 설치 가능하다.
또한, 흡입노즐(10)은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계란(11)의 일렬배열에 맞게 5~6개 정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렬배열 상태로 1~6열로 배열하여 원하는 배열만큼으로 구비될 수 있어, 계란판(2) 전체를 한번에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노즐(10) 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계란내용물(12)의 흡입 이동방향을 따라 스크류(17)를 더 구비하여 스크류(17)의 회전력에 의해 계란내용물(12)이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흡입노즐(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흡입공(19)은 바닥측에 형성되게 할 수 있으나, 흡입공(19)이 관 처럼 바닥측에 형성되면 끈적한 응고상태의 계란내용물(12) 흡입시 흡입공(19)이 막히기 쉬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흡입공(19)은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흡입노즐(10)의 하단부 측벽 상에 빙둘러 다수개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흡입노즐(10)의 하단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고, 그 깔때기 형상의 측벽 상에 흡입노즐(10)을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의 동작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8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계란(11)의 수직 상부측에 흡입노즐(10)이 이격 위치되고 상부지지링(13)이 안전판(93)에 의해 하강이 멈춤된 초기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상부지지링(13)을 단속하는 안전판(93)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지지공(97)에 의해 정지상태로 있던 상부지지링(13)이 그 하부측에 해제공(96)이 위치되면서 단속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부지지링(13)의 상부측에 구비된 탄성스프링(16)에 의해 흡입노즐(1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흡입노즐(10)의 하단부는 그 하부측에 위치된 계란(11)의 상부측 껍질을 깨면서 진입하게 되며, 조절대(55)의 상부에 이격 설치된 멈춤링(53)이 하강하여 조절대(55)의 상부에 밀착 정지되면서 흡입노즐(10)의 진입이 멈춤된다. 흡입노즐(10)의 멈춤지점은 계란(11)의 상부측에서 약 1/3 지점이다.
그런 다음, 도 10에서와 같이 계란(11) 내부의 흡입노즐(10) 멈춤된 지점에서부터 흡입펌프(30)가 작동되면서 계란내용물(12)을 흡입하게 되고, 흡입노즐(10)의 상부측에 설치된 수직실린더(83)의 작동에 의해 작동판(81)이 하강 이동되어 흡입노즐(10)은 계란(11)의 내부 상부측에서부터 하부 바닥측까지 서서히 이동하면서 계란내용물(12)을 남김없이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입노즐(10)의 하단부가 계란(11) 내부의 바닥측에 위치하게 될때, 하부지지링(14)은 그 하부측에 고정 설치된 멈춤판(63) 상에 밀착 멈춤되게 함으로써 흡입노즐(10)이 계란(11)의 바닥에 접촉되어 계란(11)이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계란(11)의 바닥부가 깨지게 되면 계란내용물(12)이 장치 또는 작업장으로 유입되므로 이를 방지함이 중요하다.
이러한 동작과정에서 흡입노즐(10) 및 유입호스(20)를 통해 이동되는 계란내용물(12)은 노른자위와 흰자위가 거의 분해되지 않고 섞이지 않은 상태로 이동되며, 흡입펌프(30)를 통해 노른자위와 흰자위가 완전 분리되어 배출호스(40)로 이동되고 집진탱크(71) 내로 유입 저장된다.
상기 집진탱크(71)에서는 상술된 바 대로 흡입펌프(30)를 거쳐 미세 분리된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배출압력으로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완전 혼합하여 배출노즐(50)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한 계란내용물(12)의 흡입이 완료되면, 도 11에서와 같이 작동판(81)에 연결된 수직실린더(83)에 의해 안전판(93)이 한번더 하강하여 안전판(93)의 해제공(96)이 상부지지링(13)을 관통하여 상부지지링(13)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인장된 탄성스프링(16)이 초기 압축상태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서와 같이 안전판(93)을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91)에 의해 안전판(93)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안전판(93)의 지지공(97) 상부에 상부지지링(13)이 걸림 위치되게 한다.
그런 다음, 도 13에서와 같이 작동판(81)에 연결된 수직실린더(83)를 상승 작동시키게 되면 작동판(81), 안전판(93) 및 상부지지링(13)을 포함한 흡입노즐(10) 전체가 상승하면서 도 8에서와 같은 전체 초기상태가 되면서 작동이 완료된다.
2 : 계란판 10 : 흡입노즐
11 : 계란 12 : 계란내용물
13 : 상부지지링 14 : 하부지지링
16 : 탄성스프링 17 : 스크류
20 : 유입호스 30 : 흡입펌프
40 : 배출호스 50 : 배출노즐
54 : 상부지지링멈춤판 60 : 배출밸브
63 : 하부지지링멈춤판 71 : 집진탱크
72 : 진공탱크 75 : 계란판 이송수단
81 : 작동판 93 : 안전판

Claims (7)

  1. 계란판(2) 상에 고정된 계란(11)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어 승강 작동하며, 계란(11)의 상부측을 뚫고 내부로 진입하여 계란내용물(12)을 흡입하는 흡입노즐(10);
    상기 흡입노즐(10) 내에 계란내용물(12)의 이동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회전력에 의해 계란내용물(12)을 이송시키는 스크류(17);
    상기 흡입노즐(10)에 연결되어 흡입된 계란내용물(12)이 이동되는 유입호스(20);
    상기 유입호스(20)에 연결되어 계란내용물(12)을 강제 이송시키면서 노른자위와 흰자위로 된 계란내용물(12)을 분해하는 흡입펌프(30);
    상기 흡입펌프(30)에 연결되어 분해된 계란내용물(12)이 이동되는 배출호스(40);
    상기 배출호스(40)에 연결 설치되어 분해된 계란내용물(12)을 용기(3)에 주입하는 배출노즐(50) 및 배출밸브(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노즐(10) 상에는 상부지지링(13) 및 하부지지링(14)이 이격 설치되어지되,
    상기 상부지지링(13)은 하부측에 설치되어 수평 이동되는 안전판(93)에 의해 상하 승강작동이 단속되며, 상부지지링(13)의 상부측에 이격 설치되는 조절대(55)와의 사이에 탄성스프링(16)이 구비되어 상부지지링(13)이 탄성 하강작동되게 하고,
    상기 조절대(55)의 상부측에 이격 설치된 멈춤링(53)의 하강에 의해 흡입노즐(10)의 계란(11) 진입 깊이가 단속되고,
    상기 하부지지링(14)은 하부측에 설치된 멈춤판(63)에 의해 하강이 멈춤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펌프(30)와 배출밸브(60) 사이에 계란내용물(12)을 저장 보관하며, 미세 분리된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배출압력으로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켜 완전 혼합시키는 집진탱크(7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탱크(71)와 배출밸브(60) 사이에 계란내용물(12)의 기포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탱크(7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펌프(30)의 유입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자망(35,36)이 구비되고, 배출측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격자망(37,38,39)이 상호 어긋나게 이격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판(2)은 흡입노즐(10)의 하부측을 기준으로 좌,우측부에서 번갈아 이송하는 계란판 이송수단(75)에 의해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7. 삭제
KR1020130118831A 2013-10-04 2013-10-04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KR10144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31A KR101449462B1 (ko) 2013-10-04 2013-10-04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831A KR101449462B1 (ko) 2013-10-04 2013-10-04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462B1 true KR101449462B1 (ko) 2014-10-13

Family

ID=5199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831A KR101449462B1 (ko) 2013-10-04 2013-10-04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4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4263A (zh) * 2015-07-14 2015-11-18 上海应用技术学院 蛋类产品提取机
ES2567378A1 (es) * 2014-10-21 2016-04-21 Isabel OBREO RODRÍGUEZ Máquina quebradora de huevos y separadora de su contenido mediante succión de la yema
CN107456122A (zh) * 2017-09-22 2017-12-12 浙江工业大学 一种双针管蛋液循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60Y1 (ko) * 2002-04-30 2002-07-27 박석순 계란파쇄기
KR200295064Y1 (ko) 2002-08-16 2002-11-21 김기복 계란 흡출장치
KR200407282Y1 (ko) 2005-11-09 2006-01-26 박태진 계란 내용물 분리장치
KR100902307B1 (ko) * 2008-12-09 2009-06-11 김종하 계란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60Y1 (ko) * 2002-04-30 2002-07-27 박석순 계란파쇄기
KR200295064Y1 (ko) 2002-08-16 2002-11-21 김기복 계란 흡출장치
KR200407282Y1 (ko) 2005-11-09 2006-01-26 박태진 계란 내용물 분리장치
KR100902307B1 (ko) * 2008-12-09 2009-06-11 김종하 계란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7378A1 (es) * 2014-10-21 2016-04-21 Isabel OBREO RODRÍGUEZ Máquina quebradora de huevos y separadora de su contenido mediante succión de la yema
CN105054263A (zh) * 2015-07-14 2015-11-18 上海应用技术学院 蛋类产品提取机
CN107456122A (zh) * 2017-09-22 2017-12-12 浙江工业大学 一种双针管蛋液循环装置
CN107456122B (zh) * 2017-09-22 2023-12-26 浙江工业大学 一种双针管蛋液循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462B1 (ko) 계란내용물 추출 및 혼합주입장치
CN106308575A (zh) 真空食物处理装置
KR101509626B1 (ko)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CA2951447C (en) Dispenser preparing beverages from powders
CN112642548B (zh) 一种中药材循环粉碎破壁制备装置及其工作方法
CN203792767U (zh) 一种羽绒灰尘收集处理机上的收集装置
KR20160056225A (ko) 전자제품 분진제거기
CN109323313A (zh) 全封闭风幕油烟机灶台板
CN210815932U (zh) 吹气式针头清洗装置
CN205612350U (zh) 真空食物料理装置
CN108739947B (zh) 一种基于腊肉加工的自动化切割混料设备
KR100902307B1 (ko) 계란 가공장치
CN107824325A (zh) 一种饲料添加剂粉碎机除尘装置
CN206405024U (zh) 一种黄豆浸泡装置
CN204735448U (zh) 一种大蒜杂质清理装置
CN209060087U (zh) 接种机针头消毒装置
CN207023969U (zh) 一种防止抽气孔堵塞的真空料理机
CN108015847A (zh) 一种魔芋一体化加工装置
CN211799722U (zh) 一种冶金矿山开采用粉尘治理装置
KR101103148B1 (ko) 주입 노즐 고정틀부와 공급 노즐 걸름망부로 이루어진 호두과자 제빵기용 내용물 주입장치
KR200407285Y1 (ko) 계란 내용물 분리장치의 혼합 배출장치
KR101274749B1 (ko) 부품 자동 공급 장치
CN204724461U (zh) 大蒜去皮去杂装置
CN213494095U (zh) 具有自动送料功能的蔬菜粉碎设备
CN204724460U (zh) 一种大蒜蒜皮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