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361B1 -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 Google Patents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361B1
KR101449361B1 KR1020140011278A KR20140011278A KR101449361B1 KR 101449361 B1 KR101449361 B1 KR 101449361B1 KR 1020140011278 A KR1020140011278 A KR 1020140011278A KR 20140011278 A KR20140011278 A KR 20140011278A KR 101449361 B1 KR101449361 B1 KR 10144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guide
fixed
receiving space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환
Original Assignee
(주)한성헬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헬스피아 filed Critical (주)한성헬스피아
Priority to KR1020140011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2088/4235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having a latch mechanism coupling or disconnecting a drawer with drawer side slide from the rest of the slid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서랍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서랍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WITHDRAWAL APPARATUS FOR DRAWER AND WARDROBE}
본 발명은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서랍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서랍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랍은 빼었다 끼웠다 하게 되어 있는 뚜껑 없는 상자를 가리키며, 농장, 옷장, 책장, 서랍장 등의 장에 설치되어 각종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89709호에는 서랍에 슬라이드를 일체로 형성한 서랍장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서랍은 양측면에 슬라이딩레일이 구비되고, 그 서랍이 수용되는 장의 내부 양측면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면서 인입, 인출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은 서랍의 인출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랍의 인출시, 각종 물건이 수납된 서랍의 무게 중심이 인출된 전방으로 편중되면서 가이드레일이 그 서랍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89709호(2005.07.1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 서랍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서랍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으로 서랍이 수용되는 장(欌)으로부터 상기 서랍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서랍 인출장치로서,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한편, 그 서랍을 상기 바닥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서랍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랍은, 상,하부가 개구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하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개구된 상기 측판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하부면이 상기 측판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양측면에 상기 서랍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랍 인출시, 그 서랍을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부는, 양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전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서랍에 고정되며, 상기 서랍의 인입에 따라 이완되고, 그 서랍의 인출에 따라 이완된 상태로부터 수축되면서 상기 서랍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부는, 전,후단부가 상기 서랍의 인입,인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부는 상기 서랍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이 수용된 장으로부터 그 서랍을 적은 힘으로 인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장으로부터 서랍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가 구비된 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에서 서랍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에서 가압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에서 가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110)으로 서랍(120)이 수용되는 장(欌)(100)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서랍용 인출장치(1)로서,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바닥면(111)과 상기 서랍(120)을 연결하는 지지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장(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형태의 농장, 옷장, 책장, 서랍장 등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공간(11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그 수용공간(110)으로 상기 서랍(120)이 인입,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공간(110)은 둘레를 이루는 내측이 전면을 제외한 상,하,좌,우,후면 및 상기 바닥면(111)을 가진다.
상기 서랍(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수용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수납부(121) 및 상기 수납부(121)의 전면에 연결되고 개구된 상기 수용공간(110)의 전면을 차단하는 전판(122)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부(121)는 상,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수납부(121)의 둘레를 이루는 측판(121a) 및 상기 측판(121a)의 하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개구된 그 측판(121a)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판(12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바닥면(111)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의 인입,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바닥면(111)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11), 상기 서랍(12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1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20)의 크기 등에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1) 및 상기 가이드바(12)가 단수로 이루어지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그 서랍(120)의 하부 양측을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20)을 이루는 상기 하부판(121b)에 상기 가이드바(12)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은 상기 측판(121a)의 하부 내측에 배치되어 하부면이 그 측판(121a)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13)은 상기 하부판(121b)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120)의 하부를 강성보강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바(12)가 고정되는 상기 서랍(120)의 하부면이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동일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그 가이드바(12)가 상기 서랍(12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0)는 상기 서랍(12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바(12)가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방으로 인출된 상기 서랍(120)을 상기 수용공간(110)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바(12)가 상기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상기 서랍(120)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용 인출장치(1)는 상기 서랍(120)의 양측을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양측에 상기 장(10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레일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20)의 양측면이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양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지지부(10)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의 인출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는 각각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내측면에 고정되는 레일(21) 및 상기 서랍(120)의 외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레일(21)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바(22)를 포함한다.
상기 서랍(120)은 양측이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내부 양측면에 지지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부(10)에 의해 상기 바닥면(111)에 지지되면서 상기 장(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는 상기 서랍(120)을 전방으로 가압하면, 각각 상기 레일바(22)가 상기 레일(2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방으로 인출된 상기 서랍(120)을 상기 수용공간(110)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레일바(22)가 상기 레일(2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상기 서랍(120)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서랍용 인출장치(1)는 상기 서랍(120)의 하중은 물론, 그 서랍(120)에 수용되는 물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내측면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용 인출장치(1)는 상기 지지부(10) 및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상기 서랍(120)의 인출 및 그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용 인출장치(1)는 상기 서랍(120) 인출 시, 그 서랍(120)을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31)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31)은 전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0)을 이루는 내측면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서랍(120)에 고정되면서 상기 서랍(120)의 인입, 인출에 따라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형태를 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코일스프링(31)은 전단부가 상기 바닥면(111)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방부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서랍(120)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은 상기 서랍(120)의 크기 등에 따라 단수로 이루어지거나,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인입되면서 이완되고,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수축되어 그 서랍(120)을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은 상기 서랍(120)의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양단부 간의 이격된 길이가 가장 짧고, 가장 길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부가 상기 서랍(120)의 인입,인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바닥면(111)에 고정되고, 상부에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33)이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32), 상기 가이드프레임(32)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1)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34) 및 상부는 상기 서랍(120)의 하부면 후방측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33)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31)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가이드편(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35)은 상기 코일스프링(31)이 이완된 상태로부터 수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레일(33)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바(34)와 접하면서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고정바(34)는 상기 코일스프링(31)의 전단부를 고정하는 한편, 상기 가이드편(35)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레일(33)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코일스프링(31)을 중심으로 그 가이드프레임(32)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33)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32)으로부터 이탈됨이 수축,이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편(35)은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레일(33)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편(35a) 및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편(35a)을 연결하는 제2가이드편(35b)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은 후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편(35a)의 내측으로 끼움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편(35b)은 상기 서랍(120)의 하부면 후방측에 연결된다.
상기 코일스프링(3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인입되면, 그 서랍(120)을 따라 상기 가이드편(35)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완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가이드편(35)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수축되어 상기 서랍(120)을 가압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가압부(30)는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편(35)이 상기 슬라이드레일(3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31)이 이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120)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가이드편(35)이 상기 슬라이드레일(3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완된 상기 코일스프링(31)이 상기 서랍(120)을 가압하여 외부로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서랍용 인출장치(1)는 상기 서랍(120)을 인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힘이 상기 가압부(30)의 가압력에 의해 충당되면서 적은 힘으로 상기 서랍(120)의 인출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랍용 인출장치 10 : 지지부
11 : 가이드레일 12 : 가이드바
13 : 지지판 20 : 레일부
21 : 레일 22 : 레일바
30 : 가압부 31 : 코일스프링
32 : 가이드프레임 33 : 슬라이드레일
34 : 고정바 35 : 가이드편
100 : 장 110 : 수용공간
111 : 바닥면 120 : 서랍
121 : 수납부 122 : 전판

Claims (8)

  1. 전면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그 수용공간으로 서랍이 수용되는 장(欌)으로부터 상기 서랍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서랍 인출장치로서,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서랍을 지지하는 한편, 그 서랍을 상기 바닥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서랍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서랍은,
    상,하부가 개구되는 측판과, 상기 측판의 하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며 개구된 상기 측판의 하부를 차단하는 하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부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하부면이 상기 측판의 하부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양측면에 상기 서랍을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인출시, 그 서랍을 인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양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전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에 고정되고, 후단부가 상기 서랍에 고정되며,
    상기 서랍의 인입에 따라 이완되고, 그 서랍의 인출에 따라 이완된 상태로부터 수축되면서 상기 서랍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전,후단부가 상기 서랍의 인입,인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전,후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단부가 내측으로 끼움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부는 상기 서랍에 연결되고, 하부는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용 인출장치.
  8. 제 1, 4, 5, 6, 7항 중 어느 한 항의 서랍용 인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
KR1020140011278A 2014-01-29 2014-01-29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KR10144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78A KR101449361B1 (ko) 2014-01-29 2014-01-29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278A KR101449361B1 (ko) 2014-01-29 2014-01-29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361B1 true KR101449361B1 (ko) 2014-10-10

Family

ID=5199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278A KR101449361B1 (ko) 2014-01-29 2014-01-29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3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83B1 (ko) 2016-12-21 2017-07-06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화전과 소방호스 관리장치
KR101752787B1 (ko) 2016-12-27 2017-07-12 (주) 더베스트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용 소방호스와 밸브장치
KR101906579B1 (ko) 2018-01-18 2018-10-11 (주)신아방재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시스템
KR20180122100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이알케미칼 사격용 탄두회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0364A (ja) 2004-02-20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理台
KR20130076278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탑스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0364A (ja) 2004-02-20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調理台
KR20130076278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탑스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383B1 (ko) 2016-12-21 2017-07-06 세종종합기술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소화전과 소방호스 관리장치
KR101752787B1 (ko) 2016-12-27 2017-07-12 (주) 더베스트이앤씨 건축물의 소방용 소방호스와 밸브장치
KR20180122100A (ko) *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이알케미칼 사격용 탄두회수장치
KR101934303B1 (ko) * 2017-05-02 2019-03-25 주식회사 이알케미칼 사격용 탄두회수장치
KR101906579B1 (ko) 2018-01-18 2018-10-11 (주)신아방재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인명구조 소방설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119B1 (ko) 신발장에 구비되는 신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장
KR101449361B1 (ko)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US9993077B2 (en) Slide rail assembly and sliding auxiliary device thereof
CN103462387A (zh) 滑轨总成
CN113325927A (zh) 固定装置与具有该固定装置的机箱
KR20140037362A (ko) 접이식 수납장을 가진 서랍장
KR1024912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US20140265787A1 (en) Computer monitor stand having an internal tray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JP2015112304A (ja) 収納装置
JP6622966B2 (ja) 引出しおよび該引出し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101500674B1 (ko) 책 인출 유닛을 포함하는 책장
KR101707803B1 (ko) 서랍이탈이 방지되는 수납함
KR101968107B1 (ko)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KR101356315B1 (ko) 서랍 정리용 칸막이
KR200349789Y1 (ko) 가구용 슬라이드 다단레일
KR101585495B1 (ko) 고정식 서랍이 구비된 붙박이장
KR200457209Y1 (ko) 서랍장
CN108725933B (zh) 一种可抽拉、承重式储物箱
KR200472315Y1 (ko) 서랍 칸막이
KR200434231Y1 (ko) 이동서랍장에 설치된 슬라이드 선반
KR101555806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RU16754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предметов
KR102369022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