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315B1 - 서랍 정리용 칸막이 - Google Patents

서랍 정리용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315B1
KR101356315B1 KR1020130103624A KR20130103624A KR101356315B1 KR 101356315 B1 KR101356315 B1 KR 101356315B1 KR 1020130103624 A KR1020130103624 A KR 1020130103624A KR 20130103624 A KR20130103624 A KR 20130103624A KR 101356315 B1 KR101356315 B1 KR 10135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sliding slot
partition portion
elastic member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김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열 filed Critical 김태열
Priority to KR102013010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75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repositionable 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서랍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가 개시된다. 상기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된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파티션부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으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랍 정리용 칸막이{PARTITION PLATE FOR ARRANGEMENT OF DRAWER}
본 발명은 서랍 정리용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을 수납하기 위한 서랍장이나 옷장 등에는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을 종류별 혹은 용도별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랍이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서랍은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가 구비되고, 양측면부에는 서랍장이나 옷장에 슬라이딩 체결하기 위한 슬라이딩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서랍은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을 종류별 혹은 용도별로 수납할 시에는 서랍장이나 옷장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시킨 후 서랍 내부에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을 수납을 하게 되며, 수납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랍장이나 옷장 내부로 인입하여 각종 물건이나 옷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깔끔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서랍은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옷 등이나 물건 등이 서로 뒤섞여 필요한 옷이나 물건 등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상기 서랍 내부에는 서랍 내부 공간을 용도별 혹은 종류별로 분할하여 서랍 내부에 수납되는 각종 물건들이 서로 뒤섞이지 않고 용도별 혹은 종류별로 적재하여 정리하거나 한눈에 찾을 수 있도록 수평하게 정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칸막이가 구비된다.
상기 칸막이는 일반적으로 서랍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는 고정식 칸막이와 서랍 내부에 고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칸막이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식 칸막이는 서랍 내부 공간을 사용자가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이동식 칸막이는 사용자가 서랍 내부 공간을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는 있으나 서랍에 칸막이가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서랍 내부에 수납된 각종 물건이 서로 뒤섞이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어 칸막이의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칸막이는 그 길이가 조절되지 않음으로써 칸막이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이나 깊이를 가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서랍에만 사용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칸막이가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칸막이는 반복적인 사용 시 탄성부재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칸막이의 압축 시 탄성부재가 겹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와 칸막이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어 상기 칸막이의 마모가 발생되거나 상기 칸막이에 탄성부재가 끼이게 됨으로써 고장이 발생되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2-120346호 (1982.07.2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서랍의 크기에 전혀 제약받지 않고 사용자가 서랍 내부 공간을 필요한 크기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랍 내부에 매우 용이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의 위치 이동과 제거가 매우 용이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시간 사용하여도 고장발생률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작동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따른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된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파티션부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으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 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탄성부재가 원상 복원되어 팽창될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파티션부 사이의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 방지수단은 상기 제2 파티션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딩 슬롯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파티션부를 상기 슬라이딩 슬롯 조립할 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칸막이는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된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 파티션부 및,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및 인출되는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제2 파티션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를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티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및, 상기 돌출부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기어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파티션부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가 제2 파티션부에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파티션부 사이의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는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탄성모듈의 탄성력에 의해 제1, 2 파티션부가 서랍 내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서랍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서랍 내부에서 설치되는 좌우 위치와 상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거 또한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탄성부재가 커버부재에 의해 커버되어 지지됨으로써 제2 파티션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반복적으로 가압되어 압축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가 휘어지거나 겹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부재는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이 반복된다 하더라도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파티션부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탄성부재와 제1 파티션부와의 사이에 마찰로 인한 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칩이 상기 탄성부재와 제1 파티션부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탄성부재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이 반복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가 겹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1 파티션부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는 오랜 시간 반복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고장 발생률이 종래의 일반적인 칸막이에 비하여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와 제1 파티션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동 소음도 전혀 발생되지 않아 품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켜 대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는 제1 파티션부(110), 제2 파티션부(120), 탄성모듈(130) 및, 분리 방지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티션부(11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는 슬라이딩 슬롯(111)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파티션부(110)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캡(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는 상기 캡(112)이 상기 제1 파티션부(110)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112)을 지지하는 한 쌍의 걸림턱(113)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파티션부(110)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홀들(114)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홀들(114)은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체결되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의 양측면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110)를 사출을 통해 제작한 후 냉각시킬 시 상기 제1 파티션부(110)의 양측면이 서로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파티션부(120)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슬라이딩 체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파티션부(120)는 본체부(121), 개구부(122), 지지부(123) 및 밀착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1)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슬라이딩 체결된다. 상기 본체부(121)의 양측면에는 상기 본체부(121)의 제작 시 재료를 절감하기 복수개의 홈부(121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2)는 상기 본체부(121)에 한 쌍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122)는 상기 본체부(121)를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삽입하여 조립할 시 상기 본체부(121)의 일측 끝단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121)의 일측 끝단부의 폭(W1)을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의 폭(W2) 보다 좁아지도록 하여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상기 본체부(121)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23)는 상기 개구부(122)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122)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3)는 상기 본체부(121)를 슬라이딩 슬롯(111)에 삽입하기 위하여 가압하게 되면 상기 본체부(121)가 압축되도록 휘어지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상기 본체부(121)의 삽입을 완료하면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된다.
상기 밀착부(124)는 서랍(3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124)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모듈(130)은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120)를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모듈(130)은 상기 제2 파티션부(12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120)가 원상 복원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파티션부(110)와 상기 제2 파티션부(120) 사이에 끼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모듈(130)은 탄성부재(131) 및 커버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1)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삽입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부재(131)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32)는 상기 탄성부재(131)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탄성부재(131)가 상기 제2 파티션부(12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탄성부재(131)가 원상 복원되어 팽창될 시 상기 탄성부재(131)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131)가 상기 제2 파티션부(12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원상 복원될 시 상기 탄성부재(131)와 상기 제1 파티션부(110)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상기 탄성부재(131)와 상기 제1 파티션부(110) 사이에 마찰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110)가 마모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는 상기 탄성부재(131)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132)가 없으므로 상기 제2 파티션부(120)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31)가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탄성부재(131)가 원상 복원될 시 상기 탄성부재(131)가 휘어져 상기 제1 파티션부(110)와 간섭이 발생됨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마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마모가 발생되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의 마모로 인하여 발생되는 칩이 상기 탄성부재(131)와 제1 파티션부(11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제2 파티션부(120)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거나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는 등의 고장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 파티션부(110)의 마모로 인하여 발생되는 칩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131)가 휘어져 겹쳐짐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31)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120)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거나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 등의 고장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모듈(130)은 탄성부재(131)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부재(132)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부재(131)가 가압된다 하더라도 상기 커버부재(132)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31)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31)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된다 하더라도 상기 커버부재(132)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슬롯(111)과 수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재(131)와 제1 파티션부(110)와의 사이에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칩에 의해 발생되는 고장 현상이나 상기 탄성부재(131)가 겹쳐져 슬라이딩 슬롯(111)에 끼이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고장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분리 방지수단(140)은 상기 제1, 2 파티션부(110)(120)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으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분리 방지수단(140)은 한 쌍의 돌출부(141)와 한 쌍의 스토퍼(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부(141)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상, 하부면 일측 끝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141)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길이까지는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토퍼(142)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14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110)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토퍼(142)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는 한 쌍의 탄성 연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탄성 연장부(150)는 각각 제1, 2 파티션부(110)(120)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연장부(150)는 서랍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시켜 상기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탄성 연장부(150)는 상기 서랍이 표준 사이즈 보다 제작되었을 경우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결합하여 상기 서랍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상기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연장부(150)는 결합부(151), 탄성부(152) 및 밀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1)는 상기 제1 파티션부(110) 또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끝단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151)는 홈부(151a)가 마련되어 상기 홈부(151a)가 상기 제1 파티션부(110) 또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끝단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110) 또는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끝단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52)는 상기 결합부(151)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53)는 서랍(300)의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탄성부(152)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153)는 상기 탄성부(15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 연장부(150)는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의 길이를 연장시킴과 동시에 상기 칸막이(100)를 압축시킨 상태로 서랍(300)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할 시 탄성모듈(130)에 의해 팽창되어 서랍(300)의 내부면에 칸막이(100)의 양측 끝단부가 밀착될 시 상기 탄성부재(131)의 원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서랍(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설치 및 제거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2 파티션부(120)를 제1 파티션부(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2 파티션부(120)를 제1 파티션부(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111) 내부로 삽입시켜 설치될 서랍(300)의 폭(D) 보다 상기 칸막이(10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에 삽입 설치된 탄성모듈(130)은 상기 슬라이딩 슬롯(111) 내부로 삽입되는 제2 파티션부(12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파티션부(110)의 슬라이딩 슬롯(111) 내부로 제2 파티션부(120)를 삽입하여 압축시킨 상태로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를 서랍(300) 내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2 파티션부(120)에 가해진 압축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탄성모듈(1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파티션부(120)가 원상 복원되어 상기 제1 파티션부(110)의 끝단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120)의 끝단부가 상기 서랍(300)의 내부면과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서랍(300) 내부에 칸막이(1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서랍(300)에 설치된 칸막이(10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상기 칸막이(100)를 제거할 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2 파티션부(120)를 상기 제1 파티션부(110)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축된 상태로 칸막이(100)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서랍(300)으로부터 칸막이(100)를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100)는 탄성모듈(1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2 파티션부(110)(120)가 서랍(300) 내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되는 서랍(300)에 대응하여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서랍(300) 내부에서 설치되는 좌우 위치와 상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거 또한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칸막이(100)는 탄성부재(131)가 커버부재(132)에 의해 커버되어 지지됨으로써 제2 파티션부(120)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31)가 반복적으로 가압되어 압축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131)가 휘어지거나 겹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31)는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이 반복된다 하더라도 슬라이딩 슬롯(111)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파티션부(11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탄성부재(131)와 제1 파티션부(110)와의 사이에 마찰로 인한 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칩이 상기 탄성부재(131)와 제1 파티션부(110) 사이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1)가 반복적으로 압축 및 팽창이 반복된다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131)가 겹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탄성부재(131)가 상기 제1 파티션부(110)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100)는 오랜 시간 반복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고장 발생률이 종래의 일반적인 칸막이에 비하여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131)와 제1 파티션부(110)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동 소음도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200)는 제1 파티션부(210), 제2 파티션부(220) 및 길이 조절수단(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티션부(210)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는 슬라이딩 슬롯(211)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파티션부(2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파티션부(1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1 파티션부(21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파티션부(220)는 상기 슬라이딩 슬롯(211)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210)에 슬라이딩 체결된다.
상기 제2 파티션부(220)는 지지부(123)가 생략되며 개구부(262)가 길이 조절수단(260)에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2 파티션부(1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제2 파티션부(2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길이 조절수단(260)은 상기 제1, 2 파티션부(210)(220)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220)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211)에 삽입 인출되는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길이 조절수단(260)은 돌출부(261), 개구부(262) 및 스토퍼(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61)는 상기 제2 파티션부(220)의 상, 하부면 일측 끝단부에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61)는 상기 제2 파티션부(220)의 일측 끝단부에서 타측 끝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소정 길이까지는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62)는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티션부(220)의 본체부(221)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63)는 상기 돌출부(261)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211)에 기어 형태로 한 쌍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200)는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211)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파티션부(22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220)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211)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파티션부(210)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210)와 상기 제2 파티션부(220)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탄성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200)는 상기 제1, 2 파티션부(210)(220)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 연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모듈(230)과 탄성 연장부(25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탄성모듈(130)과 탄성 연장부(2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탄성모듈(230)과 탄성 연장부(25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200)의 설치 및 제거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의한 서랍 정리용 칸막이(2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스토퍼(263)로부터 상기 돌출부(261)의 고정을 해제시킨 상태로 상기 제2 칸막이(220)부를 슬라이딩 슬롯(211) 내부로 삽입하여 서랍(400)의 폭(D) 보다 칸막이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 다음,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는 힘을 제거하여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원상 복원시켜 상기 돌출부(261)가 상기 스토퍼(263)에 의해 구속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칸막이(200)를 서랍(400) 내부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다음, 사용자가 다시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스토퍼(263)로부터 상기 돌출부(261)의 고정을 해제시킨 다음,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슬라이딩 슬롯(211)으로부터 인출시켜 제1 파티션부(210)와 제2 파티션부(220)의 끝단부가 서랍(400)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한 후,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는 힘을 제거하여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원상 복원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261)가 상기 스토퍼(263)에 의해 다시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칸막이(200)를 서랍(400) 내부에 설치하여 상기 서랍(400)의 내부를 분할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칸막이(200)를 제거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상하 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스토퍼(263)로부터 상기 돌출부(261)의 고정을 해제시킨다.
이후, 상기 제2 파티션부(220)를 슬라이딩 슬롯(211)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서랍(400)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제1, 2 파티션부(210)(220)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칸막이(200)를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200)의 위치를 이동시켜 재 설치하는 과정은 상술한 칸막이(200)를 고정시키는 과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210) : 제1 파티션부 (120)(220) : 제2 파티션부
(130)(230) : 탄성모듈 (140) : 분리 방지수단
(150)(250) : 탄성 연장부 (260) : 길이 조절수단

Claims (12)

  1.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된 제1 파티션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 파티션부;
    상기 제2 파티션부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파티션부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탄성모듈;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 연장부; 및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슬롯으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분리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탄성부재가 원상 복원되어 팽창될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파티션부 사이의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방지수단은,
    상기 제2 파티션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딩 슬롯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파티션부로부터 상기 제2 파티션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파티션부를 상기 슬라이딩 슬롯 조립할 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6. 삭제
  7. 슬라이딩 슬롯이 형성된 제1 파티션부;
    상기 슬라이딩 슬롯을 통해 상기 제1 파티션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제2 파티션부; 및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및 인출되는 길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제2 파티션부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상기 제2 파티션부를 가압하여 압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파티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및
    상기 돌출부를 단계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기어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제2 파티션부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 파티션부와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탄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제2 파티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슬롯에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를 커버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상가 제2 파티션부에 가압되어 압축되거나 상기 제2 파티션부가 원상 복귀되어 팽창될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슬라이딩 슬롯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파티션부 사이의 마찰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제1 파티션부와 상기 제2 파티션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파티션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서랍 정리용 칸막이.
KR1020130103624A 2013-08-30 2013-08-30 서랍 정리용 칸막이 KR10135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624A KR101356315B1 (ko) 2013-08-30 2013-08-30 서랍 정리용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624A KR101356315B1 (ko) 2013-08-30 2013-08-30 서랍 정리용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315B1 true KR101356315B1 (ko) 2014-01-28

Family

ID=5014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624A KR101356315B1 (ko) 2013-08-30 2013-08-30 서랍 정리용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3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15Y1 (ko) 2014-02-04 2014-04-16 (주)아이홈 서랍 칸막이
KR101955415B1 (ko) * 2016-07-05 2019-03-07 김태열 공간 정리용 칸막이
KR102358541B1 (ko) 2021-05-04 2022-02-08 김용진 서랍 칸막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072U (ko) * 2011-04-05 2012-10-15 김태열 칸막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072U (ko) * 2011-04-05 2012-10-15 김태열 칸막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315Y1 (ko) 2014-02-04 2014-04-16 (주)아이홈 서랍 칸막이
KR101955415B1 (ko) * 2016-07-05 2019-03-07 김태열 공간 정리용 칸막이
KR102358541B1 (ko) 2021-05-04 2022-02-08 김용진 서랍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9623B1 (en) Expandable partitioning device
CN102918223B (zh) 移动辅助装置
KR101356315B1 (ko) 서랍 정리용 칸막이
JPH0346776A (ja) 電気コネクタ
US8844122B2 (en) Assembly fixture
CN109906005B (zh) 服务器机柜及其单元机架
CN105188292A (zh) 一种快拆装置及显示装置
US3650588A (en) Container adapted to incorporate adjustable shelving or the like
KR101449361B1 (ko)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KR20120007072U (ko) 칸막이
KR101955415B1 (ko) 공간 정리용 칸막이
CN106207761A (zh) 装置的导轨安装结构及具有该导轨安装结构的开关
KR102358541B1 (ko) 서랍 칸막이
KR200472315Y1 (ko) 서랍 칸막이
KR101087747B1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KR200474324Y1 (ko) 수납장 조립 셋트
KR20120016400A (ko) 가구용 결합부재
EP3418659B1 (en) Storage units and refrigerators
KR101495638B1 (ko) 가구 조립 셋트
KR200481114Y1 (ko) 적층 조립식 공구함
CN107219895B (zh) 紧固装置及具有紧固装置的机箱
KR101900724B1 (ko) 멀티 카드 소켓 커넥터
KR101859816B1 (ko) 접어져 조립되어 서랍이 출입되는 서랍함체
KR100712725B1 (ko) 칸막이 조립체
KR101445323B1 (ko) 가구용 다리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