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02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022B1
KR102369022B1 KR1020170104418A KR20170104418A KR102369022B1 KR 102369022 B1 KR102369022 B1 KR 102369022B1 KR 1020170104418 A KR1020170104418 A KR 1020170104418A KR 20170104418 A KR20170104418 A KR 20170104418A KR 102369022 B1 KR102369022 B1 KR 10236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assembly
rail
refrigera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378A (ko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0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7Adjustably or detachably mounted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드로워를 구비하는 드로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박스;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 박스에 연결되는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인너 케이스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4813호에는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는, 제1프레임, 미들 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은 냉장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미들 프레임과 연결된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미들 프레임과 연결되고 드로워의 양측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드로워는 상기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의 내측면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드로워가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나, 레일 어셈블리가 냉장실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냉장실 내에서 드로워의 높이는 가변될 수 없다.
만약, 상기 냉장실 내에서 상기 드로워의 높이를 가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상기 냉장실 내측면에서 분리한 후에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상기 냉장실 내측면에 다시 고정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저장실 내에서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이가 가변된 위치에서 드로워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 중 일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가 가변된 상태에서는 높이가 가변된 드로워 어셈블리의 하측에 위치된 드로워 어셈블리의 상측에 피보관물을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박스;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 박스에 연결되는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인너 케이스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되는 추가적인 드로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 가변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추가적인 드로워 어셈블리 간의 간격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드로워의 상측을 커버하는 글래스와,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측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이 상기 드로워 박스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로워 박스는,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드로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서포터에 레일 어셈블리가 설치되므로, 저장실 내에서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드로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서포터에 레일 어셈블리가 설치되므로,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가 가변된 상태에서 레일 어셈블리의 높이가 함께 가변되므로, 드로워가 저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잇다.
또한,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 중 상측의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경우에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 간의 간격이 증가되어 수납 공간이 추가로 생겨, 높이가 가변된 드로워 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된 드로워 어셈블리의 상측에 피보관물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가 저장실 내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가 저장실의 후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드로워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박스에 드로워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박스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13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4은 도 13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6은 레일 어셈블리를 도 4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제1홀더의 결합 해제를 위하여 연결 부재의 가압부가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홀더가 연결 부재와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도 1에서 제1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가 증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가 저장실 내에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저장실(12)을 형성하는 캐비닛(cabinet: 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도시되지 않은 냉장고 도어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은, 냉장실이거나 냉동실일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하나의 저장실(12)을 가지는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냉장고(10)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저장실(12)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장고(10)는, 바닥면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냉장고이거나, 가구장에 빌트인 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후술할 드로워(drawer)의 높이 가변이 가능한 구조에 대해서는 냉장고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저장실(12)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drawer assembly: 21, 22)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21, 22)는,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와, 제2드로워 어셈블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는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의 상방에 위치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가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의 상방에서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와의 사이에 공간이 거의 존재하지 않을 정로도 배치되어 있는 것이 도시된다.
도 1과 같은 배열에 의하면,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상방 공간이 최대화 되어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상방에 효과적으로 음식물과 같은 피보관물을 수납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는 상기 저장실(12) 내에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는 상기 저장실(12)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거나 또는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inner case: 110)의 일 측벽에는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슬롯(coupling slot: 112)이 구비된다. 일 예로 도 1에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후측벽(111)에 복수의 결합 슬롯(coupling slot: 112)이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높이를 가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를 복수의 결합 슬롯(112) 중 일 결합 슬롯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드로워 어셈블리가 높이 가변형 타입인 경우에는 드로워 어셈블리(21, 22) 자체의 상하 높이 및/또는 드로워의 체적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가 저장실의 후측벽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에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드로워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230)와, 상기 드로워(230)를 지지하는 드로워 박스(250)와, 상기 드로워(230)를 수용하며 상기 저장실(12)의 후측벽(111)에 결합되는 서포터(supporter: 210)와, 상기 서포터(210)에 설치되며 상기 드로워(230)의 슬라이딩 인출 및 인입을 위한 레일 어셈블리(rail assembly: 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1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후측벽(1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 슬롯(112) 중 일 결합 슬롯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9)는 상기 서포터(21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 슬롯(112)에 걸리기 위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서포터(210)의 결합부(219)를 일 결합 슬롯에서 분리시킨 후 다른 결합 슬롯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10)는, 피보관물을 지지하기 위한 글래스(glass: 212)와, 상기 글래스(212)의 전측을 지지하기 위한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글래스(212)의 후측을 지지하기 위한 후면 프레임(2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212)는 얇은 사각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은 상기 글래스(212)의 전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글래스(212)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면 프레임(212)은 상기 글래스(212)의 전면, 상면의 일부 및 하면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상기 글래스(212)의 후측 일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글래스(212)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상기 글래스(212)의 후면, 상면의 일부 및 하면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 각각이 상기 글래스(212)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212)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 및 상기 후면 프레임(216)의 좌우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212)가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글래스(212)의 좌우 양측으로 구조물이 돌출되지 않아 서포터(210)의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210) 전체적으로 볼 때, 상기 글래스(212)의 좌우 양단부에 별도의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상기 글래스(212)의 좌우 양단부 측에 존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래스(212)의 상면에 물이나 이물질이 낙하되더라도 상기 글래스(212)의 양단부에 별도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글래스(212) 상면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210)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은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이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의 일부는 상기 글래스(212)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212)의 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의 일부는 상기 글래스(212)의 하면과 접촉되어 상기 글래스(212)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230)는, 내부에 수납 공간(23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30)의 하측에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2)는 수평 단면적이 상기 드로워(23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줄어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30)의 전면 상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2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는 상기 드로워(23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박스(250)는, 상기 드로워(230)의 일부, 일 예로, 단차부(232)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2)가 상기 수용부(25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230)의 일부가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박스(250)는, 상기 수용부(254)를 형성하는 인너 프레임(inner frame: 251)과, 상기 인너 프레임(251)의 외측을 둘러싸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 252)과, 상기 인너 프레임(251)과 아우터 프레임(252)의 상단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30)는 상기 연결부(253)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253)를 안착부라고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프레임(214)은 상기 글래스(212)의 전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은 일 예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12)은 일 예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양측에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 양측의 수용부(214a)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측면의 일부가 내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214a)는 함몰부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4a)에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의 전단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214a)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면에서 후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214a)에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상방에서 볼 때,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의 상면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214a)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은, 상기 글래스(212)의 전측이 결합되는 글래스 결합부(214b)(또는 "제 1 결합부"라고도 할 수 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결합부(214b)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면에서 후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 결합부(214b)에 상기 글래스(2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면은 상기 글래스(212)의 앞쪽에 위치되므로,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글래스(212)의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214)은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과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14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14a)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면 및 상기 글래스 결합부(214a)와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체결부(214a)는 상기 전면 프레임(214)의 전면과 상기 글래스 결합부(214b)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상기 글래스(212)의 후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일 예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일 예로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216)의 양측에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21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216) 양측의 수용부(216a)는, 상기 후면 프레임(216)의 측면의 일부가 내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216a)는 함몰부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6a)에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 프레임(216)의 상방에서 볼 때,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의 상면이 보이지 않도록, 상기 수용부(216a)는 상기 후면 프레임(216)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상기 글래스(212)의 후측이 결합되는 글래스 결합부(216b)(또는 "제 2 결합부"라고도 할 수 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결합부(216b)는, 상기 후면 프레임(216)의 전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프레임(216)은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과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16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 브라켓(218)은 상기 글래스(212)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글래스 수용부(218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글래스 수용부(218a)는 상기 측면 브라켓(218)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 수용부(218a)에 의해서, 상기 측면 브라켓(218)이 상기 전면 프레임(214)과 상기 후면 프레임(216)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글래스(212)와 상기 측면 브라켓(218)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제한적이는 않으나, 상기 글래스(212)가 상기 글래스 수용부(2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브라켓(218)은 상기 글래스(212)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브라켓(218)은, 상기 전면 프레임(214)에 결합되기 위한 전면 프레임 결합부(218b)와, 상기 후면 프레임(216)에 결합되기 위한 후면 프레임 결합부(21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브라켓(218)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 결합부(218b)와 상기 후면 프레임 결합부(218c)는 도 6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프레임 결합부(218b)와 상기 후면 프레임 결합부(218c) 사이에 상기 글래스 수용부(218a)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글래스(212)가 상기 글래스 수용부(2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 결합부(218b)는 상기 글래스(212)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면 프레임 결합부(218c)는 상기 글래스(212)의 후면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프레임 결합부(218b, 218v)에는 상기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9)는 상기 측면 브라켓(218)의 후단 상측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박스에 드로워가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230)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핸들(236)이 결합되기 위한 핸들 결합부(2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 박스(250)의 전면에는 데코 부재(258)가 결합되기 위한 데코 부재 결합부(2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230)의 하면은 상기 인너 프레임(251)의 바닥면(251a)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로워(230)를 상기 저장실(12)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핸들(236)을 잡고 상기 드로워(230)를 당긴다.
상기 드로워(230)의 단차부(232)가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수용부(254)에 수용되므로, 상기 드로워(230)를 당기면 상기 드로워(230)와 함께 상기 드로워 박스(250)가 당겨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단차부(232)의 높이가 상기 드로워(230)의 나머지 부분의 높이 보다 낮기 때문에 상기 드로워(230)를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서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로워(230)를 당기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로워(230)의 하면에는 결합 리브(233)가 구비되고, 상기 인너 프레임(251)의 바닥면(251a)에는 상기 결합 리브(233)가 삽입되는 리브 슬롯(251b)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인너 프레임(251)의 바닥면(251a)을 수용부(254)의 바닥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233)는 일 예로 상기 단차부(232)의 저면 전단부에서 합아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 리브(233)가 상기 리브 슬롯(251b)에 삽입되므로, 상기 드로워(230)를 당겨도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드로워(230)를 상방에서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 수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 리브(233)가 상기 리브 슬롯(251b)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230)와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결합이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저장실(12)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2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서 상기 드로워(230)를 상기 드로워 박스(250)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분리 작업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박스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스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레일 어셈블리를 도 4의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를 상기 드로워 서포터(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브라켓(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드로워 박스(33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박스 연결 부재(260, 261)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에 고정되는 레일 연결 부재(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는, 고정 레일(242)과, 상기 고정 레일(2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레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242)은 상기 지지 브라켓(2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박스 연결 부재(260, 261)는, 제1연결 부재(260)와 제2연결 부재(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260)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 부재(261)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260)와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드로워 박스(25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350)와 상기 제2연결 부재(351)는 상기 드로어 박스(250)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연결 부재(260)와 상기 제2연결 부재(361)의 구조는 동일하고, 다만,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서의 결합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다.
상기 드로워 박스(250)는, 상기 각 연결 부재(260, 26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259, 259a)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한 쌍의 결합돌기(259)에 상기 제1연결 부재(260)가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결합돌기(259a)에 상기 제2연결 부재(261)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59, 259a)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연결부(253)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259, 259a)는 상기 인너 프레임(251)과 아우터 프레임(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 부재(260, 261)는, 상기 결합돌기(259, 259a)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부(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259, 259a)는 상기 결합부 수용부(263)의 상측에서 상기 돌기 수용부(263)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수용부(263)에는 스크류(S1)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26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S1)는 상기 각 연결 부재(260, 261)의 하방에서 상기 돌기 수용부(263)의 관통홀(264)을 관통한 후에 상기 결합부(259, 259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부재(260)는, 제1걸림부(265)와 제2걸림부(2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 부재(261)도 제1걸림부(265)와 제2걸림부(26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걸림부(265, 266, 266a)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한벽(26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한벽(267)은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좌우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는, 연결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271)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 레일(244)에 걸리기 위한 레일 걸림부(2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레일 걸림부(272)는 상기 이동 레일(244)의 전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244)에는 상기 레일 걸림부(272)가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24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271)에는 스크류(S2)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부(272)가 상기 이동 레일(244)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디(271)의 상방에서 스크류(S2)가 상기 체결홀(273)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레일(244)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바디(271)는 상기 이동 레일(344)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가 상기 이동 레일(244)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는 상기 이동 레일(244)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271)의 상면에는 제1걸림 후크(274) 및 제2걸림 후크(2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 후크(274) 및 상기 제2걸림 후크(275)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은 상기 이동 레일(244)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제1걸림 후크(274)는 상기 제1걸림부(265)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제2걸림 후크(275)는 상기 제2걸림부(266)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가 상기 제1연결 부재(26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와 상기 제1연결 부재(26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244)에는 상기 제2연결 부재(261)에 걸리기 위한 레일 걸림 후크(2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 후크(245)는, 상기 이동 레일(244)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레일 걸림 후크(245)는, 상기 이동 레일(24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245a)과, 상기 제1부분(245a)에서 전방(제1연결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24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 후크(245)는 상기 제2연결 부재(261)의 제2걸림부(266a)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 후크(245)는 상기 제2연결 부재(261)가 상기 이동 레일(2443)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제1걸림 후크(274)는 상기 제1연결 부재(260)가 상기 이동 레일(244)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제2걸림 후크(275)는 상기 제1연결 부재(260)가 상기 이동 레일(244)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와 상기 제1연결 부재(26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압하는 가압부(2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76)는 상기 연결 바디(271)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76)는 상기 레일 걸림부(272)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 걸림부(272)와 이격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276)는 상기 이동 레일(244)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 레일(244)의 전면과 이격된다.
상기 가압부(276)를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276)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 바디(371)의 일부분이 변형되어 상기 연결 부재(370)의 제1걸림 후크(374)와 상기 제1연결 부재(260)의 제1걸림부(265)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276)의 가압 시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1걸림 후크(274)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276)는 상기 제1걸림 후크(274)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부(276)는 상기 연결 바디(271)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 후크(27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부(276)를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276)의 하측 단부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저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브라켓(220)은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브라켓(220)은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221)과, 상기 제1브라켓(221)에서 절곡되며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22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2브라켓(222)은 상기 제1브라켓(221)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좌우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220)에서, 상기 제2브라켓(22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지지 브라켓(220)의 제1브라켓(221)이 상기 측면 브라켓(218)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 브라켓(220)이 이격된 위치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어셈블리(240)를 상기 지지 브라켓(220)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는 상기 제2브라켓(222)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 레일(372)이 상기 제2브라켓(392)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는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가 상기 후측벽(111)에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서포터(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가 상기 제2브라켓(2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는 상기 제1브라켓(221)과 이격된다.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아우터 프레임(252)의 측면부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와 상기 제1브라켓(2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는 상기 인너 프레임(251)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252)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박스(250)는 상기 이동 레일(244)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로워(230)와 함께 상기 드로워 박스(25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252)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를 커버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저장실(12) 외부로 인출되거나 저장실(12)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 박스(250)가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를 커버하므로,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는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2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228)는, 한 쌍의 체결부(228b)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228b)의 하측을 연결하는 수평부(228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결부(228b)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218)에 직접 체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브라켓(2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결부(228b)가 상기 제1브라켓(221)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일 예로 단일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부(228b), 상기 제1브라켓(221) 및 상기 측면 브라켓(218)을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228)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의 간격이 일정하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로워(230)가 레일 어셈블리(240)에 의해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글래스(212)의 상측에 피보관물을 놓는 경우, 상기 피보관물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측면 브라켓(218)에서 상기 결합부(219)와 나머지 부분 간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230)에 피보관물이 수납되는 경우 피보관물의 하중이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를 통해 상기 측면 브라켓으로 전달되어 상기 측면 브라켓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측면 브라켓(218)에 레일 어셈블리(240)가 설치되므로, 만약, 측면 브라켓(218)의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드로워(230)의 인출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드로워(230)가 원활히 인출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 연결부(228)가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을 연결하므로,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고, 한 쌍의 측면 브라켓(218)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드로워(230)의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제1홀더의 결합 해제를 위하여 연결 부재의 가압부가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홀더가 연결 부재와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박스(250)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와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의 가압부(276)를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276)의 하측 단부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저면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가압부(276)가 상기 인너 프레임(251)과 아우터 프레임(252) 사이 영역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276)의 일부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가압부(276)의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가압부(276)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도 17과 같이 상기 레일 연결 부재(270)에서 상기 가압부(276)와 상기 제1걸림 후크(274)가 위치되는 부분이 반시계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걸림 후크(274)와 상기 제1걸림부(265)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도 18과 같이 상기 제1걸림부(265)가 상기 제1걸림 후크(274)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박스(250)를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드로워 박스(250) 및 상기 드로워 박스(250)에 안착된 상기 드로워(230)가 상기 레일 어셈블리(240)에서 분리되어 상기 저장실(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에서 제1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가 증가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를 후측벽(111)에서 분리시킨 후에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높이를 증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를 상기 후측벽(111)에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210)에 레일 어셈블리, 즉, 이동 레일(242)이 설치되므로,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를 상기 후측벽(111)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며, 레일 어셈블리(240)의 높이도 함께 가변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높이를 증가시키면,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와,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 사이에 일정 크기의 간격(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간격(G)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간격(G)에 의해서 사용자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높이가 작으면서 좌우 폭이 큰 피보관물 일 예로 피자 등을 수용시킬 수 있다. 즉, 높이가 낮은 피보관물을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와,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의 상방의 공간과 독립되는 공간이므로, 상기 제1드로워 어셈블리(21)와, 상기 제2드로워 어셈블리(22) 사이 공간에 피보관물을 수납하므로, 수납 정리 측면에서 효율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10: 냉장고 11: 캐비닛
12: 저장실 111: 후측벽
112: 결합 슬롯 21: 제1드로워 어셈블리
22: 제2드로워 어셈블리 210: 서포터
220: 지지 브라켓 230: 드로워
240: 레일 어셈블리 250: 드로워 박스

Claims (16)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드로워를 구비하는 드로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서포터;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박스;
    상기 서포터에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 박스에 연결되는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인너 케이스와 분리되면, 상기 서포터에 결합된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서포터와 함께 분리되고, 상기 서포터가 인너 케이스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함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 슬롯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드로워의 상측을 커버하는 글래스와,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을 커버하는 한 쌍의 측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 사이에 위치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브라켓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제2브라켓의 상면에 체결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이 상기 드로워 박스에 연결되는 냉장고.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각 측면 브라켓에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 브라켓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의 일부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박스는 상기 드로워의 하측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하면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하면에는 결합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결합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슬롯이 구비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박스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인너 프레임과,
    상기 인너 프레임을 둘러싸는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인너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박스는, 외형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박스에 연결되는 박스 연결 부재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박스 연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연결 부재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 후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되는 추가적인 드로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의 높이 가변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와 상기 추가적인 드로워 어셈블리 간의 간격은 가변되는 냉장고.
KR1020170104418A 2017-07-21 2017-08-17 냉장고 KR102369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889 2017-07-21
KR20170092889 201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78A KR20190010378A (ko) 2019-01-30
KR102369022B1 true KR102369022B1 (ko) 2022-03-03

Family

ID=6527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418A KR102369022B1 (ko) 2017-07-21 2017-08-1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0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74U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냉장고의 유리선반
KR20070108734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833370B1 (ko) * 2006-11-20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선반의 높이조절 구조
KR101829222B1 (ko) * 2011-02-15 2018-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29793A (ko) * 2012-05-21 2013-11-29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높이 조절식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140045863A (ko) * 2012-10-09 2014-04-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용 서랍 어셈블리
KR102131054B1 (ko) * 2013-07-01 2020-07-08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냉장고용 선반지지 어셈블리
DE102014107692A1 (de) * 2014-06-02 2015-12-03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anordnung
KR101721882B1 (ko) * 2014-08-12 2017-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78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808B1 (ko) 선반 장착용 슬라이딩 레일
US8840205B2 (en)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shelf assembly for the same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CN107621115B (zh) 冰箱
US20110174012A1 (en) Refrigerator
KR102447530B1 (ko) 냉장고
KR102369022B1 (ko) 냉장고
US2741370A (en) Adjustable shelf
US10524587B2 (en) Cabinet with telescoping trays for fastener bins
EP3264015B1 (en) Refrigerator with glass shelves
KR20190106175A (ko) 냉장고
KR102404024B1 (ko)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JP7417890B2 (ja) 引き出し
KR20190005581A (ko) 서류함
JP5391044B2 (ja) 収納容器セ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収納容器付引出
KR100471105B1 (ko) 냉장고
WO2021084966A1 (ja) 引き出し
KR970002654B1 (ko) 냉장고의 선반 장착장치
KR20150003633A (ko) 냉장고
KR20180043652A (ko) 공간 활용을 위한 틈새수납장
EP2645030B1 (en) A cooling device with a movable separator
KR200322674Y1 (ko) 벽걸이형 다용도 수납함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JP3099678U (ja) 複数段にトレーが取り付けられた衣装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