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24B1 -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24B1
KR102404024B1 KR1020170104359A KR20170104359A KR102404024B1 KR 102404024 B1 KR102404024 B1 KR 102404024B1 KR 1020170104359 A KR1020170104359 A KR 1020170104359A KR 20170104359 A KR20170104359 A KR 20170104359A KR 102404024 B1 KR102404024 B1 KR 10240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ail
supporter
assembly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452A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로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로워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 이동 레일과 고정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드로워 서포터와 상기 이동 레일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연결 부재와,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Refrigerator and a drawer assembly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4813호에는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는, 제1프레임, 미들 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임은 냉장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미들 프레임과 연결된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미들 프레임과 연결되고 드로워의 양측면에 연결된다.
즉, 상기 드로워는 상기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의 내측면에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드로워가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나, 레일 어셈블리가 냉장실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드로워가 레일 어셈블리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드로워를 냉장고에서 분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드로워가 냉장실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레일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레일 어셈블리가 인너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드로워를 레일 어셈블리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드로워 어셈블리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 레일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로워 어셈블리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 이동 레일과 고정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드로워 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연결 부재; 및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는 상기 이동 레일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복수의 걸림부 중 일 걸림부와 복수의 걸림 후크 중 일 걸림 후크의 걸림 해제를 위하여 사용자가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압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드로워의 인출입 과정에서 레일 어셈블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 연결 부재가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드로워를 구비하는 드로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 상기 저장실 내의 일 지점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드로워 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연결 부재;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에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 중 일 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드로워 서포터의 일부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일 측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연결 부재의 가압부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쉽게 상기 레일 연결 부재와 서포터 연결 부재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드로워 서포터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레일 연결 부재와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레일 연결 부재와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의 결합 해제 과정에서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나 레일 연결 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드로워 서포터가 형성하는 영역 내측에서 상기 드로워 서포터에 연결되므로, 상기 드로워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 내에 드로워 어셈블리가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 내에 드로워 어셈블리가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서포터, 레일 어셈블리 및 브라켓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연결 부재와 제1서포터 연결 부재의 결합 해제를 위하여 레일 연결 부재의 가압부가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 연결 부재가 레일 연결 부재와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 내에 드로워 어셈블리가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실 내에 드로워 어셈블리가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2)을 형성하는 캐비닛(cabinet: 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냉장고 도어(1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은, 냉장실이거나 냉동실일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하나의 저장실(12)을 가지는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냉장고(1)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복수의 저장실(12)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장고(1)는, 바닥면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냉장고이거나, 가구장에 빌트인 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1)가 빌트인 타입 냉장고인 경우에는 상기 냉장고 도어(15)에 가구장 도어(2)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 예로 냉장고 도어(15)에 가구장 도어(2)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캐비닛(10)의 하측에는 기계실(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12)에는 하나 이상의 드로워 어셈블리(drawer assembly: 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12)에는 하나 이상의 선반(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30)는, 피보관물을 수용하며 상기 저장실(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drawer: 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10)는 일 예로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2)에는 상기 저장실(12) 내로 인입된 드로워(3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기 위한 드로워 커버(drawer cover: 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어셈블리(30)는, 드로워(310)와, 상기 드로워(310)를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drawer supporter: 330)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와 연결되는 레일 어셈블리(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10)는, 내부에 수납 공간(31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10)의 하측에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 안착되기 위한 단차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2)는 수평 단면적이 상기 드로워(31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줄어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10)의 전면 상측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20)이 결합되는 핸들 결합부(3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드로워(31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고, 상기 핸들(3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핸들 결합부(314)는, 상기 드로워(31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314a)와, 상기 수평부(314a)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320)은, 상기 수평부(314a)의 상단에 놓이는 상측부(324)와, 상기 상측부(324)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부(322)와, 상기 전면부(322)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측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2)는, 상기 상측부(324)가 상기 수평부(314a)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314a)의 전면을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수평부(314a)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부(326)는 상기 상측부(324)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22)가 상기 수평부(314a)의 전면을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부(326)는 상기 수평부(314a)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320)의 상측부(324)와 상기 내측부(32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314a)는 상기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20)의 상측부(324)와 상기 내측부(326) 사이에 공간에 상기 수평부(314a)가 위치된 상태에서 스크류(S1)가 상기 수직부(314b)를 관통하여 상기 핸들(3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핸들(320)이 상기 핸들 결합부(3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320)의 내측부(326)는 상기 드로워(310)의 전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320)의 내측부(326)와 상기 드로워(310)의 전면 사이 공간으로 손을 집어넣어 상기 핸들(320)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는 상기 드로워(3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는, 상기 드로워(310)의 일부, 일 예로, 단차부(312)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2)가 상기 수용부(33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310)의 일부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310)의 단차부(312)를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수용부(332)에 수용시키면 상기 드로워(310)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가 결합되므로, 상기 드로워(310)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결합 수단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추가적인 결합 수단 없이 상기 드로워(310)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가 결합되므로, 상기 드로워(310)가 상기 저장실(12)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3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서 상기 드로워(310)를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와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는, 상기 수용부(332)를 형성하는 인너 프레임(inner frame: 333)과, 상기 인너 프레임(331)의 외측을 둘러싸는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 331)과, 상기 인너 프레임(333)과 아우터 프레임(331)의 상단 테두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10)는 상기 연결부(335)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335)를 안착부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전면에는 데코부재 결합부(33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데코부재 결합부(334)에는 데코부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고, 상기 데코부재(3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금속 질감을 가지는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 결합부(334)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33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340)는, 상기 데코부재 결합부(334)의 전면, 상면 및 하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340)는, 상기 데코부재 결합부(334)의 전면에 접촉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341)와, 상기 접촉부(341)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342)와, 상기 제1접촉부(34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부재(340)는 스크류(S2)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보스(346, 3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346)는, 상기 제1연장부(34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체결보스(346)와, 상기 제2연장부(344)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보스(34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는 상기 스크류(S2)가 체결되는 스크류 체결 플랜지(334a)가 구비될 있다. 상기 데코부재(340)가 상기 데코부재 결합부(33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S2)가 상기 스크류 체결 플랜지(334a)를 관통한 후에 상기 체결보스(346, 347)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30)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를 상기 저장실(12)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서포터 연결 부재(350, 351)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에 고정되는 레일 연결 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서포터 연결 부재(350, 351)는,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와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와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370)는, 고정 레일(372)과, 상기 고정 레일(3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레일(3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372)은 상기 브라켓(39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9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다른 드로워 어셈블리의 선반 커버(40)나, 상기 인너 케이스(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와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와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의 구조는 동일하고, 다만,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서의 결합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는, 상기 각 서포터 연결 부재(350, 35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돌기(336, 33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한 쌍의 결합돌기(336)가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에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결합돌기(336a)가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36, 336a)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연결부(335)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336, 336a)는 상기 인너 프레임(333)과 아우터 프레임(33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서포터 연결 부재(350, 351)는, 상기 결합돌기(336, 336a)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36, 336a)는 상기 돌기 수용부(353)의 상측에서 상기 돌기 수용부(353)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 수용부(353)에는 스크류(S3)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3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S3)는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350, 351)의 하방에서 상기 돌기 수용부(353)의 관통홀(354)을 관통한 후에 상기 결합돌기(336, 336a)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각 서포터 연결 부재(350, 351)의 하면에는 상기 스크류(S3)의 헤드 부분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35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는, 제1걸림부(355)와 제2걸림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도 제1걸림부(355)와 제2걸림부(35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걸림부(355, 356, 356a)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제한벽(3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한벽(357)은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좌우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는, 연결 바디(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361)의 하면에는 상기 이동 레일(380)에 걸리기 위한 레일 걸림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레일 걸림부(362)는 상기 이동 레일(380)의 전면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380)에는 상기 레일 걸림부(362)가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3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361)에는 스크류(S4)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3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부(362)가 상기 이동 레일(380)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디(361)의 상방에서 스크류(S4)가 상기 체결홀(363)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 레일(38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바디(361)는 상기 이동 레일(380)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가 상기 이동 레일(380)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는 상기 이동 레일(38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바디(361)의 상면에는 제1걸림 후크(364) 및 제2걸림 후크(3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 후크(364) 및 상기 제2걸림 후크(365)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은 상기 이동 레일(380)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한다.
일 예로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제1걸림 후크(364)는 상기 제1걸림부(355)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제2걸림 후크(365)는 상기 제2걸림부(356)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가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와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380)에는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에 걸리기 위한 레일 걸림 후크(3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 후크(382)는, 상기 이동 레일(380)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레일 걸림 후크(382)는, 상기 이동 레일(38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부분(382a)과, 상기 제1부분(382a)에서 전방(제1서포터 연결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38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 후크(382)는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의 제2걸림부(356a)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레일 걸림 후크(382)는 상기 제2서포터 연결 부재(351)가 상기 이동 레일(380)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제1걸림 후크(364)는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가 상기 이동 레일(38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제2걸림 후크(365)는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가 상기 이동 레일(38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는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와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압하는 가압부(3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66)는 상기 연결 바디(361)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66)는 상기 레일 걸림부(362)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 걸림부(362)와 이격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366)는 상기 이동 레일(38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이동 레일(380)의 전면과 이격된다.
상기 가압부(366)를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366)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 바디(361)의 일부분이 변형되어 상기 연결 부재(360)의 제1걸림 후크(364)와 상기 제1서포터 연결 부재(350)의 제1걸림부(355)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66)의 가압 시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1걸림 후크(364)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366)는 상기 제1걸림 후크(364)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압부(366)는 상기 연결 바디(361)를 기준으로 상기 제1걸림 후크(36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외측에서 상기 가압부(366)를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366)의 하측 단부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저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드로워 서포터, 레일 어셈블리 및 브라켓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39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브라켓(391)과, 상기 제1브라켓(391)에서 절곡되며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39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392)은 상기 제1브라켓(391)의 하측 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는 상기 제2브라켓(392)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 레일(372)이 상기 제2브라켓(392)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가 상기 제2브라켓(39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는 상기 제1브라켓(391)과 이격된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아우터 프레임(331)의 측면부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와 상기 제1브라켓(39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는 상기 인너 프레임(333)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331) 사이 영역(339)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는 상기 이동 레일(38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로워(310)와 함께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331)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를 커버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드로워(310)가 상기 저장실(12) 외부로 인출되거나 저장실(12)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를 커버하므로,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391)이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측벽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2브라켓(392)이 다른 드로워 어셈블리의 드로워 커버(40)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2브라켓(392)이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바닥벽에 설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양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331)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과 상기 인너 케이스(110)의 일 측벽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가 인너 프레임(33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인너 프레임(333)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드로어(310)는 상기 연결부(335)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제1홀더의 결합 해제를 위하여 연결 부재의 가압부가 가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홀더가 연결 부재와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와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의 가압부(366)를 가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366)의 하측 단부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저면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가압부(366)가 상기 인너 프레임(333)과 아우터 프레임(331) 사이 영역(339)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366)의 일부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가압부(366)의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즉, 상기 가압부(366)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도 13과 같이 상기 레일 연결 부재(360)에서 상기 가압부(366)와 상기 제1걸림 후크(364)가 위치되는 부분이 반시계 방향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1걸림 후크(364)와 상기 제1걸림부(355)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도 14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355)가 상기 제1걸림 후크(364)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를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 및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 안착된 상기 드로워(310)가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에서 분리되어 상기 저장실(12)에서 인출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연결 부재(360)의 가압부(366)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쉽게 상기 연결 부재와 제1홀더(35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를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에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366)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연결 부재(360)와 상기 제1홀더(35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 부재(360)와 상기 제1홀더(350)의 결합 해제 과정에서 상기 연결 부재(360)나 제1홀더(35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370)가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가 형성하는 영역 내측에서 상기 드로워 서포터(330)에 연결되므로, 상기 드로워(3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1: 냉장고 10: 캐비닛
30: 드로워 어셈블리 310: 드로워
330: 드로워 서포터 350: 제1서포터 연결 부재
351: 제2서포터 연결 부재 360: 레일 연결 부재
370: 레일 어셈블리 390: 브라켓

Claims (13)

  1. 내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
    이동 레일과 고정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드로워 서포터와 상기 이동 레일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연결 부재와,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는 상기 이동 레일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에서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연장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일 걸림부와 복수의 걸림 후크 중 일 걸림 후크의 걸림을 해제하는 드로워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 의해서 상기 연결 바디가 변형되어 상기 일 걸림 후크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바디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일 걸림 후크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디는, 상기 이동 레일의 상면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 바디가 상기 이동 레일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레일의 전방에 위치되되 상기 이동 레일의 전면과 이격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의 후방에 위치되는 추가적인 서포터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에는 상기 추가적인 서포터 연결 부재에 걸리기 위한 레일 걸림 후크가 구비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서포터는,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드로워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에는 상기 결합부가 수용되는 결합부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의 하측에서 스크류가 상기 결합부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부에 체결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연결 부재가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 영역에 위치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일부는 상기 드로워 서포터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드로워 어셈블리.
  11.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드로워를 구비하는 드로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는, 드로워를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
    상기 저장실 내의 일 지점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고정 레일에 연결되는 이동 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어셈블리;
    상기 드로워 서포터에 고정되는 서포터 연결 부재;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되며,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 중 일 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드로워 서포터의 일부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일 측벽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서포터 연결 부재는 상기 이동 레일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걸림부에 걸리는 복수의 걸림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걸림 후크가 이격되어 배치되는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에서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연장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걸림부 중 일 걸림부와 복수의 걸림 후크 중 일 걸림 후크의 걸림을 해제하는 냉장고.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104359A 2017-08-17 2017-08-17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KR10240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59A KR102404024B1 (ko) 2017-08-17 2017-08-17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359A KR102404024B1 (ko) 2017-08-17 2017-08-17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52A KR20190019452A (ko) 2019-02-27
KR102404024B1 true KR102404024B1 (ko) 2022-05-31

Family

ID=6556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359A KR102404024B1 (ko) 2017-08-17 2017-08-17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291B1 (ko) * 2004-02-09 2006-10-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도어밀폐장치
KR100644292B1 (ko) * 2004-12-31 2006-11-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증발기 연결구조
KR100946784B1 (ko) * 2007-09-11 2010-03-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부 및 이를 이용한 서랍식 냉장고
KR100998369B1 (ko) * 2008-05-22 201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워 장치
KR101007112B1 (ko) * 2008-08-01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944106B1 (ko) * 2012-04-10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14107692A1 (de) * 2014-06-02 2015-12-03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52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808B1 (ko) 냉장고
KR102447530B1 (ko) 냉장고
EP3564605A1 (en) Refrigerator
KR102474192B1 (ko) 냉장고
KR101508384B1 (ko)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04361B1 (ko) 냉장고의 선반
EP3722713B1 (en) Refrigerator
KR1024912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102404024B1 (ko) 냉장고 및 그의 드로워 어셈블리
JP6480159B2 (ja) 収納部材および該収納部材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EP3264015B1 (en) Refrigerator with glass shelves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KR102369022B1 (ko) 냉장고
KR102338782B1 (ko) 냉장고
KR200341131Y1 (ko) 서랍형 공구함
JP6403475B2 (ja) 冷却貯蔵庫
KR200461841Y1 (ko) 냉장고
KR20140124120A (ko) 냉장고
EP3751223B1 (en) Storage contain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KR100334648B1 (ko) 김치냉장고
KR20150003633A (ko) 냉장고
JP2772634B2 (ja) 隙間配置収納ケース用スライドトレー
KR100271583B1 (ko) 냉장고의슬라이딩포켓을지니는도어포켓
KR20080111832A (ko) 냉장고
KR970002654B1 (ko) 냉장고의 선반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