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278A -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278A
KR20130076278A KR1020110144800A KR20110144800A KR20130076278A KR 20130076278 A KR20130076278 A KR 20130076278A KR 1020110144800 A KR1020110144800 A KR 1020110144800A KR 20110144800 A KR20110144800 A KR 20110144800A KR 20130076278 A KR20130076278 A KR 2013007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inding
unit
rail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278A/ko
Publication of KR2013007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고정레일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이동부재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과, 이동부재를 하우징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레일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체와, 그 이동체의 타측 양쪽에 일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회동되고 그 회동동작으로 타측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근접되면서 그 안쪽으로 결속홀을 형성하며 외측벽에 스토퍼를 갖는 걸림구결속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안착되고 탄성스프링의 타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을 갖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상기 결속홀에 결속된 채 이동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에는 하우징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 일측에는 이동레일의 펼침동작으로 상기 걸림구에 이끌려 이동된 걸림구결속체의 타측 단부가 벌려지면서 상기 스토퍼가 삽입결속되게 스토퍼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SELF CLOSING APPARATUS OF SLIDE A RAIL}
본 발명은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결속홀에 걸림구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경우 걸림구결속체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은 채 원활히 동작되어 지도록 한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냉장고, 오븐, 전자 제품 등에는 각각의 목적에 따라 수납물이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여닫을 수 있는 서랍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구에 경우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옷이 수납되는 형태, 냉장고에 경우에는 안쪽에 발생되는 냉기로 각종 음식물 및 야채 등을 저온 보관되도록 수납되는 형태, 그리고 오븐에 경우에는 조리되는 음식물을 수납하는 형태로 서랍체가 설치되어 수납되는 수납물이 내부와 바깥으로 이동되면서 수납 및 인출될 수 있다. 이런, 서랍체는 각 장치의 본체에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면서 인출 및 인입 작동하여 수납물을 수납 및 인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랍체를 슬라이딩 되도록 본체에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장치는 볼 또는 롤러 등의 구름 운동하는 슬라이딩체가 설치되어 서랍체가 슬라이딩 되면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많은 수납물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작은 힘으로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고, 서랍체가 부드럽게 작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슬라이딩 장치는 서랍체를 작은 힘에 의해 작동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서랍체가 과도한 힘으로 인입되면 서랍체가 닫힘 위치에 정지되지 않고 본체와 충돌에 의해 다시 인출되고, 약한 힘으로 인입되면 서랍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냉장고에 설치된 서랍체는 서랍체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으면 내부에서 발생된 냉기가 유출되어 수납되어 있는 음식물이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서랍체를 자동으로 폐쇄시킬 수 있는 자동폐쇄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동폐쇄장치는 서랍체의 인입 시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폐쇄시키고, 폐쇄시킨 후에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서랍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자동폐쇄장치는 통상 덮개 형태의 하우징과, 직선운동부재와 회전운동부재로 이루어진 이동부재 및 탄성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부재의 운동을 부드럽게 해주는 댐퍼가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자동폐쇄장치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56913호(2011.08.08)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하우징과 이동부재 및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폐쇄장치에서 하우징을 기울여도 하우징으로부터 이동부재가 이탈되지 않게 하여 취급이 편리하도록 구조변경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을 포함하여 종래의 자동폐쇄장치는 하나의 회전운동부재가 직선운동부재에 일방향으로 회동되게 마련됨으로써 탈착돌기가 회전운동부재의 후크걸림부에 걸려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하나의 회전운동부재가 모든 압력을 전달받게 됨은 물론 일측으로 편향된 채 이동하게 됨으로써 하우징의 내측벽에 부딪히면서 이동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 나아가 상호 접촉에 의해 부품의 손상 또는 파손발생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자동폐쇄장치는 직선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직선형 홈과 원호형 홈으로 구성된 이동부재 가이드 홈과, 그 가이드 홈과 연통되게 변형공간부 및 탄성변형돌기를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하우징의 정교하게 제작하여야 함은 물론,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강수단을 마련하여야 하고, 보강수단을 마련하지 않은 경우 강도가 좋지 않아 장기간 사용시 휨 발생 등 부품이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우징의 형태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줄임은 물론 이동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걸림구결속체에 걸림구가 결속되거나 결속해제되는 과정에서 걸림구결속체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동작으로 사용 신뢰성을 높이도록 함은 물론, 그에 따른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한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의 구성은, 고정레일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하우징과 이동부재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과, 이동부재를 하우징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레일에 설치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체와, 그 이동체의 타측 양쪽에 일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회동되고 그 회동동작으로 타측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근접되면서 그 안쪽으로 결속홀을 형성하며 외측벽에 스토퍼를 갖는 걸림구결속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이 안착되고 탄성스프링의 타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을 갖는 스프링안착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상기 결속홀에 결속된 채 이동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를 이루는 둘레에는 하우징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 일측에는 이동레일의 펼침동작으로 상기 걸림구에 이끌려 이동된 걸림구결속체의 타측 단부가 벌려지면서 상기 스토퍼가 삽입결속되게 스토퍼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구결속체는 두개의 단위결속체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체의 고정축에 끼워지게 끼움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타측 안쪽에는 단부가 서로 맞닿은 경우 상기 결속홀을 형성하도록 결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위결속체 일측벽 일부분에는 상기 결속홈에 연장 형성되게 내측연장홈을 갖는 연장턱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이 서로 면접촉되면서 두개의 단위결속체가 이동체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 상기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위결속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벽 타측에는 개방홈이 형성되고, 그 개방홈에는 상기 걸림구결속체의 복귀동작시 스토퍼가 접촉되도록 탄성변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 따르면,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절첩되거나 펼쳐지는 경우, 걸림구가 걸림구결속체에 결속 또는 결속해제되는 과정에서 걸림구결속체가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아 원활하게 작동되고, 이에 따라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은 물론 사용상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서 고정레일에 이동레일이 절첩동작되어 결속홈에 걸림구가 결속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서 고정레일에 이동레일이 펼침동작되어 결속홈에서 걸림구가 결속해제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를 보인 저면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에 설치된 자동폐쇄장치를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는 고정레일(100)에 설치되는 하우징(200)과 이동부재(300) 및 탄성스프링(400)과 이동부재(300)를 하우징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레일에 설치되는 걸림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동폐쇄장치의 세부 구성에 따른 설명에 앞서, 슬라이드 레일은 통상 서랍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는 본체의 내벽면 또는 하부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00)과, 그 고정레일(100)에 절첩 또는 펼쳐지게 결합되도록 서랍체의 측벽에 결합되는 이동레일(110)로 구성되어 있고, 서랍체의 인출거리를 확보하면서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중간레일(120)과 구름베어링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100)에 하우징(200)이 설치되어 있고, 이동레일(110)에는 걸림구(5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110)이 고정레일에 절첩동작되면서 걸림구(500)가 하우징(200)의 내부로 인입된 후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이동부재에 결속되면서 이동부재를 밀어내어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시키면서 서랍체를 닫힘동작시키는 것이다. 서랍체가 닫힘상태에서는 이동부재에 걸림구가 결속된 상태이므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 이상의 힘으로 서랍체를 인출시키지 않으면 서랍체는 인출되지 않은 채 닫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스프링(400)은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하우징(200)에 결합되어져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통해 탄성스프링이 신축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00)은 고정레일(100)에 고정되는 부위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그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400)이 안착되고 탄성스프링(400)의 타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212)을 갖는 스프링안착부(210)가 형성되고, 하우징(200)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구(500)가 삽입되어 이동부재에 결속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개구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결합홈(212)은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첨부의 도면에는 탄성스프링의 양단부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스프링으로 도시함에 따라 테이퍼진 부분이 삽입되어 결속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일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진다. 물론 탄성스프링의 양단부 형태가 고리형인 경우에는 그 고리를 걸 수 있는 후크형태로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220)는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 절첩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구(500)가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구인입구멍(222)과, 그 걸림구인입구멍(222)에 연통되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걸림구이동구멍(224)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개구부(222)의 둘레 정확하게는 걸림구이동구멍(224)의 둘레에는 하우징(200)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안내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3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3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 상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체(310)와, 그 이동체(310)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림구결속체(3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결합홈(312)은 위에서 설명한 스프링결합홈(212)과 그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져 탄성스프링이 결합되는 구조이면 된다. 첨부의 도면에서는 일측 일부가 개방되고 그 안쪽으로 탄성스프링의 테이퍼부분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이동체(310)는 상기 이동안내부(230)에 걸쳐진 상태로 하우징 내에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결합홈(3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구결속체(320)를 결합하기 위해 밑면에 대해 직각으로 고정축(314)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고정축(314)은 상기 걸림구결속체(320)가 두 개의 단위결속체(320a,320b)로 이루어짐에 따라 두 개가 마련되어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어져 형성되어 진다.
상기 걸림구결속체(320)는 상기 이동체(310)의 타측 양쪽에 각각 형성된 고정축(314)에 일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그 회동동작으로 타측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근접되면서 그 안쪽으로 결속홀(330)을 형성하게 되며, 외측벽에는 스토퍼(3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걸림구결속체(320)는 두개의 단위결속체(320a,320b)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체(310)의 고정축(314)에 끼워지게 끼움홈(3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타측 안쪽에는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근접한 경우 그 안쪽으로 상기 결속홀(330)을 형성하도록 결속홈(3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홈(326)이 각각 형성된 단위결속체의 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내측방향으로 각각 회동되면서 상기 결속홀(33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슬라이드 레일의 작동시 이동레일의 절첩 또는 펼침동작에 의해 상기 단위결속체가 회동되면서 상기 결속홀을 개폐하게 됨으로써 결속홀에 인입된 걸림구(500)의 결속여부를 결정짓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단위결속체(320a,320b) 일측벽 일부분에는 상기 결속홈(326)에 연장 형성되게 내측연장홈(342)을 갖는 연장턱(340)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데, 그 연장턱(340)은 두개의 단위결속체가 이동체에 끼움결합되는 경우에 각각의 단위결속체에 형성된 연장턱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면접촉되게 마련된다.
상기 연장턱(340)을 마련한 이유는, 서랍체를 강하게 닫거나 여는 과정에서 단위결속체가 서로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파손을 줄이도록 함은 물론, 단위결속체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품의 파손이나 걸림구의 결속불량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결속체가 내측과 외측방향으로 원활히 회동동작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단위결속체는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근접하면서 형성한 결속홀(330)에 삽입된 걸림구(500)에 의해 이동레일(110)의 펼침동작시 걸림구(500)에 이끌려 하우징의 타측으로 이동된 후 결속홀이 벌려지면서 걸림구가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때 결속홀이 벌려지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양측벽 일측에는 상기 걸림구결속체(320)의 단위결속체에 형성된 스토퍼(322)가 삽입결속되게 스토퍼삽입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삽입부(240)는 일예로서 첨부의 도면에서와 같이 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삽입부(24)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스토퍼(322)가 삽입되어져 걸림구결속체(320)의 이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체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는 탄성스프링은 신장된 상태로 이동체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서랍체를 닫는 경우에는 서랍체에 결합된 이동레일(110)이 고정레일(100)에 절첩되고, 그에 따라 이동레일에 설치된 걸림구(500)가 하우징(200)에 형성된 걸림구인입구멍(222)으로 인입된 후 스토퍼삽입부(240)에 걸려있는 단위결속체의 결속홀(330)로 인입되어져 단위결속체를 서랍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스토퍼삽입부(240)에 삽입된 스토퍼(322)가 이탈됨과 동시에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일시에 이동부재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탄성스프링의 강한 수축력에 의해 이동부재의 복귀시 하우징(200)의 내벽면에 스토퍼(322)가 형성된 부위가 강하게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이동부재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00)의 양측벽 타측에는 개방홈(250)이 형성되고, 그 개방홈(250)에는 상기 걸림구결속체(320)의 복귀동작시 스토퍼(322)가 접촉되도록 탄성변형돌기(260)가 형성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개방홈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돌기(260)가 마련됨으로 인해 강한 충격발생시 이를 완충시켜 주게 되어 걸림구결속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이동부재의 복귀시 스프링안착부(210)의 일면에 이동체가 강하게 부딪히게 되는데, 이동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체의 일면에 충격완충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충격완충부는 돌기형태 또는 이동체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돌출된 고리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보강부(350)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부(350)를 형성하는 이유는 내구성의 향상으로 단위결속체가 결속홀에 결속된 걸림구(500)에 이끌려 이동되는 경우에 단위결속체의 휨 발생 등을 방지하여 파손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고정레일에 절첩 또는 펼침동작되는 이동레일의 작동상태에 따른 자동폐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고정레일에 이동레일이 절첩된 상태에서는 단위결속체가 벌려지지 않은 채 결속홀(330)에 걸림구(500)가 결속되어 있고, 탄성스프링(400)은 수축된 상태로 이동부재가 자유자재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서랍체의 인출로 이동레일이 고정레일로부터 펼쳐지게 되며, 걸림구(500)는 결속홀(330)에 결속된 채 단위결속체를 잡아당겨 하우징의 타측으로 끌어오게 되고, 걸림구(500)가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까지 이동되면 하우징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있는 단위결속체의 스토퍼(322)가 스토퍼삽입부(240)에 삽입되면서 단위결속체의 단부가 벌려지고, 그와 함께 걸림구(500)를 결속홀에서 결속해제시키게 된다.
결속홀에서 걸림구가 결속해제된 경우, 서랍체가 인출된 것임을 알 수 있고, 걸림구가 결속홀에서 결속해제된 상태에서는 탄성스프링은 신장된 상태로 이동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체는 이동정지상태의 단위결속체와 함께 이동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인출된 서랍체를 인입시키게 되면, 걸림구(500)가 벌어져 있는 결속홀(330)로 인입되면서 그 압력으로 반대방향으로 밀게 됨으로써 스토퍼삽입부(240)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322)가 빠져나오면서 단위결속체의 단부가 오므려져 결속홀에서 걸림구의 이탈을 방지시킴과 동시에 탄성스프링의 수축력으로 인해 강한 힘으로 이동되어져 복원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딩 레일의 자동폐쇄장치는 걸림구가 결속홀에 결속되어진 상태로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경우, 걸림구결속체가 두 개의 단위결속체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이동과정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걸림구결속체에 전달되는 피로도를 줄일 수 있어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 종래의 구조에 비해 간단하면서도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줄임은 물론 제품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고정레일 110: 이동레일
120: 중간레일 200: 하우징
210: 스프링안착부 212: 스프링결합홈
220: 개구부 222: 걸림구인입구멍
224: 걸림구이동구멍 230: 이동안내부
240: 스토퍼삽입부 250: 개방홈
260: 탄성변형돌기 300: 이동부재
310: 이동체 312: 스프링결합홈
314: 고정축 320: 걸림구결속체
320a, 320b: 단위결속체 322: 스토퍼
324: 끼움홈 326: 결속홈
330: 결속홀 340: 연장턱
342: 내측연장홈 350: 보강부
400: 탄성스프링 500: 걸림구

Claims (5)

  1. 고정레일(100)에 설치되는 하우징(200)과, 그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300)와, 상기 하우징(200)과 이동부재(300)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는 탄성스프링(400)과, 이동부재(300)를 하우징 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레일에 설치되는 걸림구(500)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00)는, 상기 탄성스프링(400)의 일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3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 상에서 왕복이동되는 이동체(310)와, 그 이동체(310)의 타측 양쪽에 일측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회동되고 그 회동동작으로 타측 단부가 서로 맞닿거나 근접되면서 그 안쪽으로 결속홀(330)을 형성하며 외측벽에 스토퍼(322)를 갖는 걸림구결속체(320)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스프링(400)이 안착되고 탄성스프링(400)의 타측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홈(212)을 갖는 스프링안착부(210)가 형성되고, 하우징(200)의 타측에는 상기 걸림구(500)가 삽입되어 상기 결속홀(330)에 결속된 채 이동되도록 개구부(220)가 형성되며, 그 개구부(220)를 이루는 둘레에는 하우징(200)의 측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이동체(31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동안내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양측벽 일측에는 이동레일의 펼침동작으로 상기 걸림구(500)에 이끌려 이동된 걸림구결속체(320)의 타측 단부가 벌려지면서 상기 스토퍼(322)가 삽입결속되게 스토퍼삽입부(2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결속체(320)는 두개의 단위결속체(320a,320b)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체(310)의 고정축(314)에 끼워지게 끼움홈(324)이 형성되고,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타측 안쪽에는 단부가 서로 맞닿은 경우 상기 결속홀(330)을 형성하도록 결속홈(3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결속체(320a,320b) 일측벽 일부분에는 상기 결속홈(326)에 연장 형성되게 내측연장홈(342)을 갖는 연장턱(340)이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340)이 서로 면접촉되면서 두개의 단위결속체가 이동체(310)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결속체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위결속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3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양측벽 타측에는 개방홈(250)이 형성되고, 그 개방홈(250)에는 상기 걸림구결속체(320)의 복귀동작시 스토퍼(322)가 접촉되도록 탄성변형돌기(2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KR1020110144800A 2011-12-28 2011-12-28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KR20130076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00A KR20130076278A (ko) 2011-12-28 2011-12-28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800A KR20130076278A (ko) 2011-12-28 2011-12-28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78A true KR20130076278A (ko) 2013-07-08

Family

ID=4898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800A KR20130076278A (ko) 2011-12-28 2011-12-28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2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61B1 (ko) * 2014-01-29 2014-10-10 (주)한성헬스피아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CN107575719A (zh) * 2017-07-31 2018-01-12 湖南长城信息金融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多止位点与滑道滑槽的可伸缩式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361B1 (ko) * 2014-01-29 2014-10-10 (주)한성헬스피아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CN107575719A (zh) * 2017-07-31 2018-01-12 湖南长城信息金融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多止位点与滑道滑槽的可伸缩式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567B1 (ko) 자동폐쇄장치
US10499737B2 (en) Slide device
US9388619B2 (en) Automatic closing apparatus
AU2015200849B2 (en) Refrigerator
EP1809143B1 (en) Self closing apparatus mounted to a slide
US7871113B2 (en) Door unit for cold storage
EP2770284A2 (en) Refrigerator
US20110215690A1 (en) Hidden Self-Closing Drawer Slide Assembly
US20170299256A1 (en) Refrigerator
EP2607747A2 (en) Cord lock
EP3730000A1 (en) Sliding device for drawer
KR101288892B1 (ko)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KR20130076278A (ko)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폐쇄장치
KR101524829B1 (ko) 가구용 도어 댐핑장치
KR101139290B1 (ko) 자동 폐쇄 장치
TWM474401U (zh) 應用於滑軌之自關緩衝暨自動彈開機構
KR101129565B1 (ko)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CN217743622U (zh) 滑动装置
KR101129570B1 (ko)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2508425B1 (ko) 슬라이드 도어용 완충장치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KR101583472B1 (ko) 슬라이드 장치
TWM511255U (zh) 滑軌防脫結構
KR101056917B1 (ko) 긴 행정거리를 갖는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