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196B1 - 위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196B1
KR101449196B1 KR1020120153160A KR20120153160A KR101449196B1 KR 101449196 B1 KR101449196 B1 KR 101449196B1 KR 1020120153160 A KR1020120153160 A KR 1020120153160A KR 20120153160 A KR20120153160 A KR 20120153160A KR 101449196 B1 KR101449196 B1 KR 10144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rolling mill
plate
disposed
posit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429A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9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3/00Safet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eaker blocks; Devices for freeing jammed rolls for handling cobbles; Overload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상에 안착되는 대차바디 및 상기 대차바디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대차바디의 상단에 장착되는 장치베이스 및 상기 장치베이스상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기에서 검사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의 높이 또는 폭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압연기 관련 각종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조정장치{Apparatus for changing worker's position}
본 발명은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압연기에서 점검 또는 각종 교체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압연기(2)의 백업롤(3)이나 워크롤(4)의 쵸크 교환 작업, 워크롤 구동모터(8) 점검, 각종 유압라인 및 냉각수 라인(미도시) 등을 점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이동대차(6)를 구동하여 가이드레일(5)을 따라 압연기(2) 방향으로 이동한 후, 이동대차(6)의 상부에 보조발판(7)을 쌓아 압연기(2)에서 점검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점검 또는 교체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 압연기(2)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백업롤(3)와 워크롤(4) 관련 작업을 수행할 때는, 그 높이가 5~6m에 이르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동대차(6)상에서 보조발판(7)을 상당한 높이로 설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만약 작업자가 보조발판(7)을 안정적으로 적층하지 못하면 높은 위치에서 낙상되어 타박상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압연기(2) 관련 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수시로 보조발판(7)을 옮기고 쌓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압연기에서 검사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의 높이 또는 폭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압연기 관련 각종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압연기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상에 안착되는 대차바디 및 상기 대차바디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대차바디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배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되는 신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상기 장치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실린더와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판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상기 승강판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토록 제공되는 가이드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장부는, 상기 승강판의 삽입홈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되는 신장판 및 상기 승강판의 양측에서 상기 신장판과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신장판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제2 실린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부는 압연기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의 일 실시예는 압연기에서 검사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작업능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압연기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압연기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압연기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해 작업자가 압연기의 측면에서 점검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위치 조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압연기에서 검사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의 높이 또는 폭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함으로써, 압연기 관련 각종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압연기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압연기의 일측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해 작업자가 압연기의 측면에서 점검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의 일 실시예는 압연기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23)상에 안착되는 대차바디(20) 및 상기 대차바디(20)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위치조정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대차바디(20)는 압연기의 측면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23)상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대차바디(20)상에는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레일(23)상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기알려진 엔진이나 구동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대차바디(20)의 상부에는 상기 위치조정수단(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조정수단(30)은 압연기에서 작업자가 점검하고자 하는 위치 또는 백업롤쵸크, 워크롤쵸크, 냉각수 배관 등 작업자가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로 작업자를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주로 압연기의 측면 위치에 대응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위치조정수단(30)은 장치베이스(40) 및 승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장치베이스(40)는 상기 대차바디(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50)는 상기 장치베이스(40)상에 배치된다. 상기 승강부(50)는 압연기의 측면 높이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50)는 제1 실린더(51), 승강판(53) 및 가이드대(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1 실린더(51)는 상기 장치베이스(40)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2단 유압실린더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린더(51)가 2단 유압실린더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실린더 본체(51a) 길이에 비해 실린더 로드(51b)가 거의 2배로 신장될 수 있어 작업자의 위치를 보다 높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51a) 길이가 1단 유압실린더에 비해 짧게 구성할 수 있어, 작업자가 래더부재(58)를 타고 상기 승강판(53)으로 오르는 높이도 그만큼 낮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53)은 상기 제1 실린더(51)의 로드(51b)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실린더(51)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도록 제공된다. 작업자는 상기 승강판(53)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래더부재(58)를 타고 상기 승강판(53)에 오르면, 제어박스(C)를 통해 상기 제1 실린더(51)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실린더(51)의 로드(51b)가 작동되게 되고 작업자는 압연기의 측면에서 작업을 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대(55)는 상기 장치베이스(40)의 상단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홈(5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55a)에는 상기 승강판(53)의 연결부(53b)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판(53)은 상기 제1 실린더(51)의 구동시 상기 가이드대(55)를 따라 상하방향이동이 수직하게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위치 조정장치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정수단(30)은 상기 승강판(53)에 배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되는 신장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신장부(60)는 신장판(61) 및 제2 실린더(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승강판(53)에서 상기 연결부(53b)가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는 상기 승강판(53)의 폭방향으로 삽입홈(53a)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판(61)은 상기 삽입홈(53a)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판(53)의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상기 제어박스(C)를 통해 상기 신장판(61)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판(53)의 양측에는 상기 신장판(61)과 연결된 제2 실린더(63)가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제어박스(C)를 통해 상기 제2 실린더(63)를 구동하면 상기 신장판(61)이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승강판(53)상에서 작업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보다 더 확보해주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압연기의 측면에서 A 부위의 워크롤쵸크 등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할 때, 작업자는 우선 상기 래더부재(58)를 타고 상기 승강판(53)에 오른 후, 상기 제어박스(C)를 통해 상기 제1 실린더(51)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판(53)상에서 A 위치의 높이까지 이동한다.
다음 작업자는 다시 상기 제어박스(C)를 통해 상기 제2 실린더(63)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판(53)의 삽입홈(53a)에서 상기 신장판(61)이 A 부위 방향으로 수평하게 신장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는 상기 신장판(61)으로 이동하여 압연기의 A 부위를 점검하거나 또는 부품 등의 교체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압연기 관련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박스(C)는 무선 컨트롤러이거나 상기 승강판(53)의 일측에 장착되는 컨트롤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53) 및 상기 신장판(61)상에는 작업자가 압연기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천공(7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70)을 통해 상기 승강판(53) 및 상기 신장판(61)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판(53) 및 상기 신장판(61)의 둘레를 따라 작업자가 압연가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레일(8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판(61)상의 안전레일(80)은 상기 승강판(53)상의 안전레일(8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신장판(61)이 상기 승강판(53)으로부터 신장되는 동안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원리를 통해 압연기에서 작업자가 점검하고자 하는 위치 또는 부품 등을 교체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압연기 관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사항은 위치 조정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대차바디 30...위치조정수단
40...장치베이스 50...승강부
51...제1 실린더 53...승강판
55...가이드대 60...신장부
61...신장판 63...제2 실린더
70...천공 80...안전레일

Claims (4)

  1. 삭제
  2. 압연기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레일상에 안착되는 대차바디; 및
    상기 대차바디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대차바디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배치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정토록 제공되는 신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대차바디의 상단에 설치된 장치베이스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판;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상기 승강판과 연결되며 배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하이동을 안내토록 제공되는 가이드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는,
    상기 승강판의 삽입홈에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되는 신장판; 및
    상기 승강판의 양측에서 상기 신장판과 연결되어 배치되며, 상기 신장판을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제2 실린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압연기 일측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장치.



KR1020120153160A 2012-12-26 2012-12-26 위치 조정장치 KR101449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60A KR101449196B1 (ko) 2012-12-26 2012-12-26 위치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60A KR101449196B1 (ko) 2012-12-26 2012-12-26 위치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29A KR20140083429A (ko) 2014-07-04
KR101449196B1 true KR101449196B1 (ko) 2014-10-08

Family

ID=5173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160A KR101449196B1 (ko) 2012-12-26 2012-12-26 위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1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355Y1 (ko) 1999-10-26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디스켈러 워크롤 교환 장치
KR200243132Y1 (ko) 1997-06-04 2001-11-30 이구택 압연롤 교체를 위한 롤센터조정 및 표면검사장치
KR200445968Y1 (ko) 2007-11-16 2009-09-14 김용직 자가 수동운전식 고소작업장치
KR20120077970A (ko) * 2010-12-31 2012-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로봇용 프로그램 전용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132Y1 (ko) 1997-06-04 2001-11-30 이구택 압연롤 교체를 위한 롤센터조정 및 표면검사장치
KR200175355Y1 (ko) 1999-10-26 2000-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디스켈러 워크롤 교환 장치
KR200445968Y1 (ko) 2007-11-16 2009-09-14 김용직 자가 수동운전식 고소작업장치
KR20120077970A (ko) * 2010-12-31 2012-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로봇용 프로그램 전용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29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90191U (zh) 一种防超载式建筑塔吊
WO2009044481A1 (ja) エレベータの揚重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枠及びエレベータの揚重方法
CN202071836U (zh) 铁路桥梁隧道升降作业平车
KR101449196B1 (ko) 위치 조정장치
CN103395599B (zh) 循环工作站
CN105752890B (zh) 叉车货叉大范围侧移滑架机构
RU201210953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и/ил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валков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KR20140003820U (ko) 파이프 설치용 장치
CN105314395A (zh) 一种切割设备的自动装料装置
CN204822149U (zh) 立式对齐挡板装置
CN207857688U (zh) 一种气囊式浮动工作台
CN104385453A (zh) 加气混凝土多功能砌块分离机
CN106629323A (zh) 一种固定电梯导轨的机架座
CN203998076U (zh) 一种汽车板簧生产单元连续上、下料装置
CN206359194U (zh) 发动机缸体毛坯上料升降机
CN206842971U (zh) 一种网架杆件加工辅助升降装置
CN206783528U (zh) 一种移动式玻璃切削装置
CN206148527U (zh) 一种电池加酸用加酸机构
CN110405850A (zh) 一种pvc铝塑共挤型材用全自动钻孔装置
CN205816482U (zh) 一种卷板机
CN203112096U (zh) 一种自动升降滚动装置
CN215666814U (zh) 轻型反应器吊装装置
CN208120670U (zh) 移行升降机
CN217862122U (zh) 一种桥梁护栏打孔装置
KR101222487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모듈 설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