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721B1 - 케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721B1
KR101448721B1 KR1020130051366A KR20130051366A KR101448721B1 KR 101448721 B1 KR101448721 B1 KR 101448721B1 KR 1020130051366 A KR1020130051366 A KR 1020130051366A KR 20130051366 A KR20130051366 A KR 20130051366A KR 101448721 B1 KR101448721 B1 KR 101448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eat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heat dissip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웅
박상일
이서행
Original Assignee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잘만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잘만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1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 1 면이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제 1 면과 상이한 제 2 면이 상기 제 1 면에서 흡수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상기 제 1 면에서 흡수된 열, 외부환경의 온도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시각적인 색상이 가변하는 방열케이스와, 상기 방열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상기 방열케이스와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방열케이스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열케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스 어셈블리{Case assembly for the portable el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일반적으로 전자부품과, 전자부품과 연결되어 전자부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베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외부로 이미지 정보를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소리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처리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는 베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통하여 상기의 구성품들을 작동시키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작동 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 배터리, 스피커, 카메라 모듈, 메모리, 중앙처리유닛 등은 작동에 따라서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열은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성요소들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의 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하냐가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 1 면이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제 1 면과 상이한 제 2 면이 상기 제 1 면에서 흡수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상기 제 1 면에서 흡수된 열, 외부환경의 온도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시각적인 색상이 가변하는 방열케이스와, 상기 방열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상기 방열케이스와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방열케이스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열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는, 상기 제 1 면을 형성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시각표시창이 형성된 앞면의 반대편 뒷면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밀집한 부분과 밀착 고정되어 열을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수부와,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수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질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거나 서로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부의 표면은 상기 금속재질을 상기 방열부의 표면에 표면경화, 아노다이징(Anodizing), 도금, 전착(electro deposition) 및 라이닝(lining)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의 제 1 면과 휴대용 전자기기는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질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거나 서로 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의 제 2 면은 시온안료 및 비가역온도 변색잉크가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의 제 2 면의 시각적인 색상은 온도 감응 시 상기 제 2 면의 온도분포에 따라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로 시각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는,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는, 상기 방열케이스의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 확인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케이스는 에이비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ryene) 수지, 폴리부타디엔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Polvinnyl chloride) 수지, 나일론(Nylon)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는 경량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와 상기 단열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범퍼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케이스는 상기 방열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케이스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케이스의 크기, 상기 범퍼케이스의 크기 및 상기 단열케이스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방열케이스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퍼케이스는, 상기 방열케이스의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2 확인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온도 상승이나 온도 변화를 외부에서 인식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C)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전자기기(C)는 휴대폰, 노트북, PDA, 특수 목적의 단말기, 무전기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가 휴대폰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100)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방열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110)는 제 1 면(미도시)과 제 2 면(S2)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방열케이스(110)의 상기 제 1 면은 흡수부(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방열케이스(110)의 제 2 면(S2)은 방열부(11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S2)은 서로 상이한 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면과 제 2 면(S2)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휴대용 전자기기(C)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흡수부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시각표시창(미도시)이 형성된 앞면의 반대편인 휴대용 전자기기(C)의 뒷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부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밀집한 부분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스(110)의 상기 제 1 면, 즉 상기 흡수부의 외면과 휴대용 전자기기(C)는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재질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거나 서로 조합한 금속재질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금속재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모든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케이스(110)의 제 2 면(S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흡수부에서 흡수된 열, 외부환경의 온도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시적적인 색상이 가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케이스(110)는 휴대용 전자기기(C)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수부와 방열부(112)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케이스(110)가 휴대용 전자기기(C)와 분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흡수부와 방열부(112)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를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흡수부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재질은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선택하거나 서로 조합한 금속재질일 수 있다. 특히 상기 금속재질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전달하는 모든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112)의 표면은 상기 금속재질을 표면경화, 아노다이징(Anodizing), 도금, 전착(electro deposition) 및 라이닝(lining)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처리를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표면처리를 통하여 방열부(112)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케이스(110)의 제 2 면(S2)의 시각적인 색상은 온도 감응 시 제 2 면(S2)의 온도분포에 따라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로 시각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부(112)에는 시온안료 및 비가역 온도 변색잉크가 처리되어 방열부(112)의 온도에 따라 표시되는 색상의 명암, 채도 등이 가변함으로써 온도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후술할 단열케이스(120)와 대향하는 방열부(112)의 외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단열케이스(120)와 대향하는 방열부(112)의 외면에는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방열부(1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1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113)은 방열부(112)의 외면으로부터 후술할 단열케이스(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113)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113)은 방열부(112)의 재질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부(112)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113)이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방열케이스(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단열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열케이스(120)는 휴대용 전자기기(C) 또는 방열케이스(110)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단열케이스(120)는 방열부(112)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도록 형성되는 단열부(121) 및 단열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2)는 단열부(12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C)의 측면 또는 방열케이스(1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열케이스(120)는 방열부(112)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 1 색상확인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색상확인부(123)는 단열부(1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1 확인홀(미표기)을 구비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1 확인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열케이스(120)가 상기 제 1 확인홀을 구비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확인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서로 이격되도록 단열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제 1 확인홀은 각 방열핀(113)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방열핀(113)은 상기 각 제 1 확인홀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단열케이스(1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케이스(120)는 에이비에스(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ryene) 수지, 폴리부타디엔 테레프탈레이트(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수지, 폴리염화비닐(PVC, Polvinnyl chloride) 수지, 나일론(Nylon)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되는 경량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단열케이스(120)를 파지한 경우 방열케이스(110)의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못하도록 열을 차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열케이스(110)는 외부의 충격 또는 외부의 이물질 등을 차단함으로써 방열케이스(11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방열케이스(11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11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방열케이스(110) 일부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배면에 접촉하고, 방열케이스(110)의 다른 일부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방열케이스(110)가 설치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열케이스(11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흡수부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배면에 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수부와 휴대용 전자기기(C) 사이에는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제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방열케이스(110)의 외면에 단열케이스(1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110)의 각 방열핀(113)이 각 제 1 색상확인부(123)에 삽입되도록 위치를 결정하여 단열케이스(12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고정부(122)는 방열케이스(110)의 측면과, 휴대용 전자기기(C)의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122)는 일부가 휴대용 전자기기(C)의 전면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조립과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방열케이스(110)에 단열케이스(120)를 먼저 결합한 후 방열케이스(11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세한 조립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C)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발열 부품 또는 발열소자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C) 또는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파지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 또는 케이스 어셈블리(100)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C)를 사용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온도가 상승하고, 휴대용 전자기기(C) 내부의 열은 상기 흡수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수부에 전달된 열은 방열부(112)를 통하여 방열핀(113)으로 전달되고, 방열핀(113)의 열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열전달에 의하여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의 색상이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은 상온(15℃)에서는 금속재질의 고유 색을 띌 수 있다. 반면,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의 표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의 색상은 파란색 또는 노란색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고유 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은 상기와 같은 온도 변화에 따라서 시온안료 및 비가역온도 변색잉크의 고유의 색에서 다른 색으로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112) 및 방열핀(113)의 색상은 상기와 같이 색이 변한 것 뿐만 아니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라데이션 효과로 시각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온도 분포 중 가장 높은 부분의 색상이 밝거나 진하게 될 수 있으며, 온도분포에 따라 색상의 밝기 또는 진하기가 가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제 1 색상확인부(123)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온도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 시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어셈블리(1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방출하는 열의 정도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열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C)의 안전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200)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2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케이스 어셈블리(200)는 방열케이스(210) 및 단열케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210)는 흡수부(미도시), 방열부(212) 및 방열핀(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220)는 단열부(221), 고정부(222) 및 제 1 색상확인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210) 및 단열케이스(22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방열핀(213)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방열부(2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213)은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부분에 접촉하는 방열부(21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핀(21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블록 내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213)은 방열부(2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2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210)를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한 후 방열케이스(210)에 단열케이스(2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스(210)와 단열케이스(2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2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케이스(210) 및 단열케이스(2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2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방열케이스(210)에 단열케이스(2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 방열핀(213)은 단열케이스(220)의 각 제 1 색상확인부(223)에 삽입될 수 있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방열케이스(210)와 단열케이스(22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210)와 휴대용 전자기기(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2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케이스(220)의 고정부(222)는 방열케이스(21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휴대용 전자기기(C) 측면 적어도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단열케이스(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 방열케이스(210) 및 단열케이스(220)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210) 내부에 안착하고, 방열케이스(210)는 단열케이스(220)에 안착하여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 어셈블리(2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작동, 외부환경 등에 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어셈블리(200)가 열을 방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200)가 상기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경우 방열부(212) 및 방열핀(213)의 색상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212) 및 방열핀(213)의 색상이 가변하는 내용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케이스 어셈블리(200)는 케이스 어셈블리(2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 시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어셈블리(2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방출하는 열의 정도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열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C)의 안전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300)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3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스 어셈블리(300)는 방열케이스(310) 및 단열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310)는 흡수부(미도시), 방열부(312) 및 방열핀(3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320)는 단열부(321), 고정부(322) 및 제 1 색상확인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310) 및 단열케이스(32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방열핀(313)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방열부(3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313)은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부분에 접촉하는 방열부(31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핀(31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블록 내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313)은 방열부(31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열핀(313)은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단열케이스(320)의 외면측으로 돌출되는 방열핀(313)의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3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요철은 돌출되는 부분과 인입되는 부분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3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요철의 단면이 반원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3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310)를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한 후 방열케이스(310)에 단열케이스(3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스(310)와 단열케이스(3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3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케이스(310) 및 단열케이스(3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3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방열케이스(310)에 단열케이스(3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 방열핀(313)은 단열케이스(320)의 각 제 1 색상확인부(323)에 삽입될 수 있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방열케이스(310)와 단열케이스(32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310)와 휴대용 전자기기(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3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케이스(320)의 고정부(322)는 방열케이스(31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휴대용 전자기기(C) 측면 적어도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단열케이스(3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 방열케이스(310) 및 단열케이스(320)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310) 내부에 안착하고, 방열케이스(310)는 단열케이스(320)에 안착하여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 어셈블리(3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작동, 외부환경 등에 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어셈블리(300)가 열을 방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300)가 상기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경우 방열부(312) 및 방열핀(313)의 색상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312) 및 방열핀(313)의 색상이 가변하는 내용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케이스 어셈블리(300)는 케이스 어셈블리(3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 시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어셈블리(3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방출하는 열의 정도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열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C)의 안전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케이스 어셈블리(300)는 방열핀(313) 외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적을 증대시켜 방출되는 열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400)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4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방열케이스(410) 및 단열케이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410)는 흡수부(미도시), 방열부(412) 및 방열핀(4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420)는 단열부(421), 고정부(422) 및 제 1 색상확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410) 및 단열케이스(42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방열케이스(410)와 단열케이스(420) 사이에 설치되는 범퍼케이스(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범퍼케이스(430)는 방열케이스(41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퍼케이스(430)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재질은 실리콘, 고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범퍼케이스(430)의 크기는 방열케이스(4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퍼케이스(430)의 크기는 단열케이스(42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퍼케이스(4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방열케이스(410)의 제 2 면, 즉 방열부(412)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범퍼케이스(430)는 제 2 색상확인부(43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 2 색상확인부(431)는 범퍼케이스(4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 2 확인홀(미표기) 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확인창(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2 색상확인부(431)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색상확인부(431)가 상기 제 2 확인홀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 2 색상확인부(431)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색상확인부(423)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4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410)를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한 후 범퍼케이스(430) 및 단열케이스(420)를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스(410)와 범퍼케이스(430) 및 단열케이스(4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4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케이스(410), 범퍼케이스(430) 및 단열케이스(4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4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방열케이스(410)에 범퍼케이스(430)를 설치한 후 범퍼케이스(430)에 단열케이스(4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 방열핀(413)은 범퍼케이스(430)의 각 제 2 색상확인부(431) 및 단열케이스(420)의 각 제 1 색상확인부(423)에 삽입될 수 있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이 고정된 방열케이스(410), 범퍼케이스(430) 및 단열케이스(42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410)와 휴대용 전자기기(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4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열케이스(420)의 고정부(422)는 방열케이스(41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범퍼케이스(43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휴대용 전자기기(C) 측면 적어도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단열케이스(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 방열케이스(410), 범퍼케이스(430) 및 단열케이스(420)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410) 내부에 안착하고, 방열케이스(410)는 범퍼케이스(430) 내부에 안착하며, 범퍼케이스(430)는 단열케이스(420)에 안착하여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작동, 외부환경 등에 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어셈블리(400)가 열을 방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400)가 상기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경우 방열부(412) 및 방열핀(413)의 색상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412) 및 방열핀(413)의 색상이 가변하는 내용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 시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방출하는 열의 정도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열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C)의 안전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케이스 어셈블리(400)는 범퍼케이스(43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500)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5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케이스 어셈블리(500)는 방열케이스(510), 범퍼케이스(530) 및 단열케이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510)는 흡수부(미도시), 방열부(512) 및 방열핀(5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520)는 단열부(521), 고정부(522) 및 제 1 색상확인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케이스(530)는 제 2 색상확인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510), 범퍼케이스(530) 및 단열케이스(520)는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방열핀(513)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방열부(5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513)은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부분에 접촉하는 방열부(51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핀(51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블록 내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513)은 방열부(512)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5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510)를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한 후 범퍼케이스(530) 및 단열케이스(520)를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스(510)와 범퍼케이스(530) 및 단열케이스(5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5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케이스(510), 범퍼케이스(530) 및 단열케이스(520)를 순차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C)에 방열케이스(5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5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방열케이스(510)와 휴대용 전자기기(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방열케이스(510)에 범퍼케이스(5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510)는 범퍼케이스(530)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방열케이스(510)의 방열핀(513)은 범퍼케이스(530)의 제 2 색상확인부(5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범퍼케이스(530)에 단열케이스(5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 2 색상확인부(531)를 통하여 인출된 방열핀(513)은 제 1 색상확인부(52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520)의 고정부(522)는 방열케이스(51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범퍼케이스(53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휴대용 전자기기(C) 측면 적어도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단열케이스(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 방열케이스(510), 범퍼케이스(530) 및 단열케이스(520)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510) 내부에 안착하고, 방열케이스(510)는 범퍼케이스(530) 내부에 안착하며, 범퍼케이스(530)는 단열케이스(520)에 안착하여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 어셈블리(5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작동, 외부환경 등에 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어셈블리(500)가 열을 방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500)가 상기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경우 방열부(512) 및 방열핀(513)의 색상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512) 및 방열핀(513)의 색상이 가변하는 내용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케이스 어셈블리(500)는 케이스 어셈블리(5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 시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어셈블리(5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방출하는 열의 정도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열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C)의 안전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케이스 어셈블리(500)는 범퍼케이스(53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어셈블리(600)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케이스 어셈블리(600)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케이스 어셈블리(600)는 방열케이스(610), 범퍼케이스(630) 및 단열케이스(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610)는 흡수부(미도시), 방열부(612) 및 방열핀(6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620)는 단열부(621), 고정부(622) 및 제 1 색상확인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케이스(630)는 제 2 색상확인부(6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610), 범퍼케이스(630) 및 단열케이스(620)는 상기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방열핀(613)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방열부(61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613)은 휴대용 전자기기(C)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부분에 접촉하는 방열부(61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열핀(613)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블록 내지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613)은 방열부(612)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열핀(613)은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단열케이스(620)의 외면측으로 돌출되는 방열핀(613)의 외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6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요철은 돌출되는 부분과 인입되는 부분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핀(613)의 외면에 형성되는 요철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요철의 단면이 반원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600)를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610)를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한 후 범퍼케이스(630) 및 단열케이스(620)를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방열케이스(610)와 범퍼케이스(630) 및 단열케이스(620)를 먼저 조립한 후 케이스 어셈블리(600)를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열케이스(610), 범퍼케이스(630) 및 단열케이스(620)를 순차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C)에 설치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C)에 방열케이스(6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6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방열케이스(610)와 휴대용 전자기기(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의 방열히트싱크, 써멀테잎, 써멀그리스 및 써멀패드 중 적어도 하나가 개제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방열케이스(610)에 범퍼케이스(6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열케이스(610)는 범퍼케이스(630)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방열케이스(610)의 방열핀(613)은 범퍼케이스(630)의 제 2 색상확인부(6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이 완료되면, 범퍼케이스(630)에 단열케이스(62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 2 색상확인부(631)를 통하여 인출된 방열핀(613)은 제 1 색상확인부(62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단열케이스(620)의 고정부(622)는 방열케이스(61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범퍼케이스(630)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 및 휴대용 전자기기(C) 측면 적어도 일부분을 감쌈으로써 단열케이스(6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C), 방열케이스(610), 범퍼케이스(630) 및 단열케이스(620)의 크기는 순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C)는 방열케이스(610) 내부에 안착하고, 방열케이스(610)는 범퍼케이스(630) 내부에 안착하며, 범퍼케이스(630)는 단열케이스(620)에 안착하여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케이스 어셈블리(6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작동, 외부환경 등에 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어셈블리(600)가 열을 방출하는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케이스 어셈블리(600)가 상기와 같이 열을 방출하는 경우 방열부(612) 및 방열핀(613)의 색상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방열부(612) 및 방열핀(613)의 색상이 가변하는 내용은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케이스 어셈블리(600)는 케이스 어셈블리(6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의 사용 시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함으로써 열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C)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어셈블리(600)는 휴대용 전자기기(C)에서 방출하는 열의 정도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열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C)의 안전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케이스 어셈블리(600)는 범퍼케이스(630)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휴대용 전자기기(C)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 : 케이스 어셈블리
110,210,310,410,510,610 : 방열케이스
112,212,312,412,512,612 : 방열부
113,213,313,413,513,613 : 방열핀
120,220,320,420,520,620 : 단열케이스
121,221,321,421,521,621 : 단열부
122,222,322,422,522,622 : 고정부
123,223,323,423,523,623 : 제 1 색상확인부
430,530,630 : 범퍼케이스
431,531,631 : 제 2 색상확인부

Claims (5)

  1. 제 1 면이 휴대용 전자기기에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열을 흡수하고, 상기 제 1 면과 상이한 제 2 면이 상기 제 1 면에서 흡수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케이스; 및
    상기 방열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방열케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상기 방열케이스와 결합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방열케이스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단열케이스; 가 서로 결합되어 2가지 이상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을 형성하며,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시각표시창이 형성된 앞면의 반대편 뒷면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열 부품 및 발열소자가 밀집한 부분과 밀착 고정되어 열을 흡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수부; 및
    상기 제 1 면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 2 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부;를 구비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수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부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는 시온안료 및 비가역온도 변색잉크가 처리되어 온도 감응 시 상기 방열케이스의 온도분포에 따라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로 시각화되는 케이스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는,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열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확인 홀;을 구비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케이스와 상기 단열케이스 사이 또는 상기 단열케이스에 설치되는 범퍼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케이스 어셈블리.
KR1020130051366A 2013-05-07 2013-05-07 케이스 어셈블리 KR101448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66A KR101448721B1 (ko) 2013-05-07 2013-05-07 케이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66A KR101448721B1 (ko) 2013-05-07 2013-05-07 케이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721B1 true KR101448721B1 (ko) 2014-10-10

Family

ID=5199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366A KR101448721B1 (ko) 2013-05-07 2013-05-07 케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72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861A1 (ko) * 2015-08-13 2017-02-16 주식회사 바른전자 온도에 따라 색깔이 가변되는 메모리카드
JP2018148038A (ja) * 2017-03-06 2018-09-2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用ケース
KR20190091432A (ko) * 2019-07-29 2019-08-06 신승민 휴대 단말기용 방열 케이스
KR20210087285A (ko) * 2020-01-02 2021-07-12 세메스 주식회사 Oht 장치
WO2024022085A1 (zh) * 2022-07-25 2024-02-01 影石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支撑件及电子设备
KR102645457B1 (ko) * 2023-02-28 2024-03-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zr을 이용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소형 휴대용 무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054B1 (ko) * 2009-08-10 2011-12-15 양혜지 변색 휴대 전자기기
KR20120046800A (ko) * 2010-10-15 2012-05-11 (주)오토메스 전자제품용 발열촉진 케이스
KR20130114803A (ko) * 2012-04-10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121333A (ko) * 2012-04-27 2013-11-06 (주)에프알텍 방열판 및 그를 갖는 중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054B1 (ko) * 2009-08-10 2011-12-15 양혜지 변색 휴대 전자기기
KR20120046800A (ko) * 2010-10-15 2012-05-11 (주)오토메스 전자제품용 발열촉진 케이스
KR20130114803A (ko) * 2012-04-10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30121333A (ko) * 2012-04-27 2013-11-06 (주)에프알텍 방열판 및 그를 갖는 중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6861A1 (ko) * 2015-08-13 2017-02-16 주식회사 바른전자 온도에 따라 색깔이 가변되는 메모리카드
JP2018148038A (ja) * 2017-03-06 2018-09-20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用ケース
KR20190091432A (ko) * 2019-07-29 2019-08-06 신승민 휴대 단말기용 방열 케이스
KR102110491B1 (ko) * 2019-07-29 2020-05-13 신승민 휴대 단말기용 방열 케이스
KR20210087285A (ko) * 2020-01-02 2021-07-12 세메스 주식회사 Oht 장치
KR102343560B1 (ko) * 2020-01-02 2021-12-24 세메스 주식회사 Oht 장치
WO2024022085A1 (zh) * 2022-07-25 2024-02-01 影石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支撑件及电子设备
KR102645457B1 (ko) * 2023-02-28 2024-03-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zr을 이용한 안테나를 구비하는 소형 휴대용 무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21B1 (ko) 케이스 어셈블리
US7684187B1 (en) Heat dissipation device
JP5698894B2 (ja) 電子部品の放熱構造
US11324106B2 (en) Cooling apparatus for electronic element
US20140092559A1 (en) Cool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201424563A (zh) 結合天線之散熱裝置及其所應用之電子系統
JPWO2011108571A1 (ja) 発光装置の冷却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6905136B2 (ja) 放熱構造
TWI507116B (zh) 散熱件及具有該散熱件之可攜帶式電子裝置
JP2023084125A (ja) 撮影用ライト
CN111114815A (zh) 一种无人机基站
TWI631887B (zh) 散熱結構及具有所述散熱結構的電子裝置
JP2015156292A (ja) Led照明装置
JP2000208177A (ja) 電気接続箱の放熱構造
KR102186460B1 (ko) Led 조명 장치
CN212966855U (zh) 数码显示屏和电子设备
KR101709728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2015006282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CN212181406U (zh) 电子设备
KR100846771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JP2020042954A (ja) 光出射装置
CN209949279U (zh) 一种led电视机外壳
KR102430404B1 (ko) 방열장치
JP2005353724A (ja) 放熱構造を有する通信機器装置
TWI769874B (zh) 以高熱阻抗材料為殼體的散熱結構及具有其的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